KR20130002699U -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 Google Patents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699U
KR20130002699U KR2020110009516U KR20110009516U KR20130002699U KR 20130002699 U KR20130002699 U KR 20130002699U KR 2020110009516 U KR2020110009516 U KR 2020110009516U KR 20110009516 U KR20110009516 U KR 20110009516U KR 20130002699 U KR20130002699 U KR 201300026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rays
packaging package
pickling material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허태준
오영운
조경민
임이종
손상수
여익현
Original Assignee
(주)풀무원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풀무원홀딩스 filed Critical (주)풀무원홀딩스
Priority to KR2020110009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699U/ko
Publication of KR20130002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6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66Means on, or attached to, container flange facilitating opening, e.g. non-bonding region, cut-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55Peelable se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구분되어 수용된 다양한 종류의 절임식재료가 상호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수용된 절임식재료의 자체 조미/숙성이 가능한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의 일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트레이와,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 개의 트레이의 사이에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편과, 트레이의 상부와 맞닿아 복수 개의 트레이를 밀폐 포장하는 리드를 포함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PACKAGE OF PICKLED FOOD INGREDIENT}
본 고안은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분되어 수용된 다양한 종류의 절임식재료가 상호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수용된 절임식재료의 자체 조미/숙성이 가능한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무지, 우엉, 오이, 당근 등과 같이 김밥용 재료로 쓰이는 절임식재료는, 별도의 조미/숙성 공정을 거친 뒤 진공 포장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렇게 진공 포장을 통해 유통이 되면, 절임식재료 간 일정한 크기와 부피를 갖기 어렵고, 포장을 뜯거나 상품진열을 위해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배치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포장용기를 프레스를 이용해 일정한 틀로 성형한 뒤, 별도의 포장필름을 개구된 상부면에 접착시키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포장용기의 방식은, 상호 중첩되는 부위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절임식재료 간 혼입이 되어, 상품이 변질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었다. 또한, 별도의 조미/숙성 공정이 요구되어 다대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89485호(2005.07.14 공고)가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절임식재료를 수용하고, 수용된 절임식재료 간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된 절임식재료를 포장하는 공정에 있어서, 별도의 조미/숙성 공정 없이도 포장된 자체에서 조미/숙성이 가능한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의 일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트레이;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의 사이에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및 상기 트레이의 상부와 맞닿아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를 밀폐 포장하는 리드;를 포함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편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며,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편의 폭은, 3~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편의 깊이는, 3~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편은, 폭 대 깊이의 비율이 1:1~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는,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1트레이박스와, 상기 제1트레이박스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트레이; 및 상기 제1트레이의 양 측면에 연결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는 제2트레이박스와, 상기 제2트레이박스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2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박스는,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 및 내부의 측면에 상기 받침돌기와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측면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트레이박스는, 상기 제1트레이박스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측면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두께가 0.5~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드는, 상기 트레이의 상부와 부착되지 않는 필오프(peel off)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트레이박스와, 상기 트레이박스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트레이;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에 구비된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 사이에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및 상기 플랜지부에 맞닿아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를 밀폐 포장하는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박스는,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 및 내부의 측면에 상기 받침돌기와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면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는, 상기 플랜지부와 부착되지 않는 필오프(peel off)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따르면,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절임식재료를 수용한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간에 U자형으로 연결한 연결편을 통해, 트레이에 수용된 절임식재료 간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따르면, 트레이 내부에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절임식재료 간 조미/숙성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별도의 조미/숙성 공정 없이도 자체 조미/숙성이 가능하여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따르면, 외관이 깔끔하고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는 틀이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품 진열 시 진열대에 안정적으로 배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있어서, 트레이와 연결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있어서, 제1트레이박스 및 제2트레이박스에 절임식재료가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B'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있어서, 리드의 필오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C-C'선을 도시한 단면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100)는 크게, 트레이(110)와, 연결편(140)과, 리드(150)를 포함한다.
먼저, 트레이(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이(110)는,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트레이(110)는 상부의 일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일부면은, 후술될 제1트레이박스와 제2트레이박스의 상면과 동일하다.
상기 트레이(110)는,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120)는,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1트레이박스(122)와,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2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트레이(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레이(120)의 양 측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트레이(13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는 제2트레이박스(132)와,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와,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반찬 혹은 일정한 크기와 부피로 가공된 단무지, 우엉, 오이, 당근 등과 같은 김밥용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편(140)은 도시된 복수 개의 트레이(1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110)의 사이에 양단을 연결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140)은,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에 구비된 각각의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 사이에 양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편(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U자 형상이란, U자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양단 사이의 부위가 하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연결편(140)은 하부로 돌출된 V자,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편(140)은, 양단 사이의 부위가 상기와 같이, 하부로 돌출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이러한 연결편(140)의 형상은 크게 제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연결편(140)의 양단 사이 부위가 하부로 돌출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는 전제가 따를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리드(150)는, 말 그대로 커버로써 복수 개의 트레이(110)를 밀폐 포장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리드(150)는 제1트레이(120) 및 제2트레이(130)에 각각 구비된 제1트레이박스(122)와 제2트레이박스(132)를 덮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트레이(110)를 밀폐 포장한다. 이때, 리드(150)는 상기 제1트레이(120) 및 제2트레이(130)에 각각 구비된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에 맞닿아 접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100)는 크게, 트레이(110)와, 연결편(140)과, 리드(1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도 1에서 상술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된 내용이라도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중 연결편(14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연결편(140)은 도시된 복수 개의 트레이(1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110)의 사이에 양단을 연결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140)은,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에 구비된 각각의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 사이에 양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편(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U자 형상이란, U자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양단 사이의 부위가 하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연결편(140)은 하부로 돌출된 V자,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편(140)은 복수 개의 트레이(110) 즉,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를 상호간에 연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 각각에 구비된 제1트레이박스(122) 및 제2트레이박스(132)에 수용된 조미액(절임식재료에 함유된 맛을 내는 액체)이 연결된 부위(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와 리드가 접촉되는 부위)를 통해, 조미액 간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시 말해, 연결편(140)은 U자, V자, 상부가 개구된 ㄷ자 등과 같이 하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리드(150)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트레이박스(122) 및 제2트레이박스(132)에 수용된 조미액이 넘친다 하더라도, 연결된 부위를 통해 조미액 간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연결편(140)은 배수 기능까지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편(140)의 폭(W)은, 3~10mm의 임계적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편(140)의 폭(W)이란, 복수 개의 트레이(110)가 상호 연결되는 사이, 즉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 각각에 구비된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 사이를 말한다.
이때, 연결편(140)의 폭(W)이 3mm 미만일 경우,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 각각에 구비된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 사이가 중첩될 가능성이 크므로 조미액의 유동을 확실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연결편(140)의 폭(W)이 10mm 이상일 경우,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 각각에 구비된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 사이가 필요이상으로 벌어지게 되어, 견고성이 떨어질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편(140)의 폭(W)은 3~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편(140)의 깊이(D)는, 폭(W)과 더불어 3~10mm의 임계적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편(140)의 깊이(D)란, 상기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를 연결하는 수평면으로부터 아랫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이러한 연결편(140)의 깊이(D)가 3mm 미만일 경우,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를 연결하는 수평면으로부터 아랫면의 거리차이가 거의 없어, 조미액의 유동을 확실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연결편(140)의 깊이(D)가 10mm 이상일 경우, 제1플랜지부(124)와 제2플랜지부(134)를 연결하는 수평면으로부터 아랫면의 거리차이가 필요이상으로 벌어지게 되어, 불필요한 제작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견고성까지 떨어질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편(140)의 깊이(D)는 3~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연결편(140)의 폭(W)과 깊이(D)는, 조미액의 유동을 차단하고, 견고하게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를 연결하는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유로 연결편(140)의 폭(W) 및 깊이(D)의 비율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편(140)의 폭(W) 대 깊이(D)의 비율은, 1:1~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있어서, 트레이와 연결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트레이(120) 및 제2트레이(130)를 포함하는 트레이(110)와, 상기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140)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120)는,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1트레이박스(122)와,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2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는,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122a)와, 내부의 측면에 상기 받침돌기(122a)와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측면돌기(12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트레이(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레이(120)의 양 측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트레이(13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는 제2트레이박스(132)와,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는,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는, 내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측면돌기(132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제1트레이박스(122)와 제2트레이박스(13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보이나, 이는 본 고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은 본 고안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10)는 두께(t)가 0.5~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트레이(110)는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를 포함하는데, 일체형의 성형제품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구성들은 동일한 두께(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110)의 두께(t)는, 틀을 유지하기 위한 강도의 임계적 범위이다. 즉, 트레이(110)의 두께(t)가 0.5mm 미만이면, 강도의 견고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트레이(110)의 두께(t)가 1mm를 초과하는 경우는 필요이상의 두께(t)로 인해 제작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트레이(110)의 두께(t)는 0.5~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연결편(140)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호 연결된 제1트레이(120) 및 제2트레이(130)의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있어서, 제1트레이박스 및 제2트레이박스에 절임식재료가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B'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5 및 도 6을 동시에 참조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동시에 참조하면, 제1트레이(120) 및 제2트레이(130)를 포함하는 트레이(110)와, 상기 제1트레이(120)와 제2트레이(1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140)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120)는,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1트레이박스(122)와,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2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는,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122a)와, 내부의 측면에 상기 받침돌기(122a)와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측면돌기(12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트레이(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레이(120)의 양 측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트레이(13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는 제2트레이박스(132)와,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는,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는, 내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측면돌기(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제1트레이박스(122) 및 제2트레이박스(132)에는 절임식재료(10)와, 상기 절임식재료(10)에 함유된 조미액(20)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절임식재료(10)는, 다양한 종류의 반찬 혹은 일정한 크기와 부피로 가공된 단무지, 우엉, 오이, 당근 등과 같은 김밥용 재료가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미액(20)은 절임식재료(10)의 종류에 따라 각각 함유된 음식의 맛을 내는 액을 말한다.
상술된 제1트레이박스(122)에 포함되는 받침돌기(122a)와, 제1측면돌기(122b), 그리고 제2트레이박스(132)에 포함되는 제2측면돌기(132a)는, 상기 제1트레이박스(122) 및 상기 제2트레이박스(132)에 수용되는 절임식재료(10)의 조미숙성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임식재료(10)는 상기 돌출된 받침돌기(122a), 제1측면돌기(122b), 제2측면돌기(132a)와의 부분 접촉됨에 따라, 비 접촉되는 부위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절임식재료(10)는 사기 틈을 통해 전체적인 부위에 조미액(20)이 함유될 수 있는 구조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제1트레이박스(122)와, 제2트레이박스(132)의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내부에 수용되는 절임식재료(10)의 자체적인 조미숙성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제1트레이박스(122)에 포함되는 받침돌기(122a)와, 제1측면돌기(122b), 그리고 제2트레이박스(132)에 포함되는 제2측면돌기(132a)는, 구조적인 강도의 향상과 더불어 상품의 운송이나 진열과정에서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 기능도 갖출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있어서, 리드의 필오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100)의 리드(도 1의 150)를 포함한 평면도를 확인할 수 다.
이때, 상기 리드(도 1의 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도 1의 110)의 상부와 부착되지 않는 필오프(15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필오프(152)는, 손쉽게 리드(도 1의 150)가 상기 트레이(도 1의 110)의 상부로부터 박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필오프(152)는, 이지필 필름(easy peelable film)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C-C'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200)는 크게, 트레이(210)와, 연결편(230)과, 리드(250)를 포함한다.
트레이(210)는,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트레이박스(212)와, 상기 트레이박스(212)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박스(212)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반찬 혹은 일정한 크기와 부피로 가공된 단무지, 우엉, 오이, 당근 등과 같은 김밥용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연결편(230)은, 도시된 복수 개의 트레이(210)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편(230)은,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210)에 구비된 각각의 플랜지부(214) 사이에 양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리드(250)는, 복수 개의 트레이(210)를 밀폐 포장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리드(250)는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트레이박스(212)를 덮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트레이(210)를 밀폐 포장한다. 이때, 리드(250)는 플랜지부(214)에 맞닿아 접착됨에 따라 복수 개의 트레이(210)를 밀폐 포장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드(250)는, 상기 플랜지부(214)와 부착되지 않는 필오프(25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필오프(252)는, 손쉽게 리드(250)가 상기 트레이(210)의 상부로부터 박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필오프(252)는, 이지필 필름(easy peelable film)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따르면,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절임식재료를 수용한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간에 U자형으로 연결한 연결편을 통해, 트레이에 수용된 절임식재료 간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에 따르면, 트레이 내부에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절임식재료 간 조미/숙성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별도의 조미/숙성 공정 없이도 자체 조미/숙성이 가능하여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절임식재료 20 : 조미액
100 :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110 : 트레이
120 : 제1트레이 122 : 제1트레이박스
122a : 받침돌기 122b : 제1측면돌기
124 : 제1플랜지부
130 : 제2트레이 132 : 제2트레이박스
132a : 제2측면돌기 134 : 제2플랜지부
140 : 연결편
150 : 리드 152 : 필오프
200 :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210 : 트레이 212 : 트레이박스
212a : 받침돌기 212b : 측면돌기
214 : 플랜지부
230 : 연결편
250 : 리드 252 : 필오프

Claims (13)

  1.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의 일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트레이;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의 사이에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및
    상기 트레이의 상부와 맞닿아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를 밀폐 포장하는 리드;를 포함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며,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폭은,
    3~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깊이는,
    3~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폭 대 깊이의 비율이 1:1~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1트레이박스와, 상기 제1트레이박스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트레이; 및
    상기 제1트레이의 양 측면에 연결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는 제2트레이박스와, 상기 제2트레이박스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2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레이박스는,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 및
    내부의 측면에 상기 받침돌기와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측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레이박스는,
    상기 제1트레이박스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측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두께가 0.5~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트레이의 상부와 부착되지 않는 필오프(peel off)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11. 내부에 절임식재료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트레이박스와, 상기 트레이박스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트레이;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에 구비된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 사이에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및
    상기 플랜지부에 맞닿아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를 밀폐 포장하는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박스는,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 및
    내부의 측면에 상기 받침돌기와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플랜지부와 부착되지 않는 필오프(peel off)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KR2020110009516U 2011-10-26 2011-10-26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KR201300026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516U KR20130002699U (ko) 2011-10-26 2011-10-26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516U KR20130002699U (ko) 2011-10-26 2011-10-26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99U true KR20130002699U (ko) 2013-05-06

Family

ID=5242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516U KR20130002699U (ko) 2011-10-26 2011-10-26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69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40Y1 (ko) * 2013-05-21 2013-09-12 (주)경인팩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N109550753A (zh) * 2017-09-27 2019-04-02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表面粘贴有标签材料的零部件
WO2024064663A1 (en) * 2022-09-19 2024-03-28 Altria Client Services Llc Blister pack with undercu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40Y1 (ko) * 2013-05-21 2013-09-12 (주)경인팩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N109550753A (zh) * 2017-09-27 2019-04-02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表面粘贴有标签材料的零部件
EP3461762A1 (en) * 2017-09-27 2019-04-0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Component with sheet material adhered to surface thereof
JP2019061104A (ja) * 2017-09-27 2019-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面にシート材が粘着される部品
US10481524B2 (en) 2017-09-27 2019-11-1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Component with sheet material adhered to surface thereof
CN109550753B (zh) * 2017-09-27 2022-04-08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表面粘贴有标签材料的零部件
WO2024064663A1 (en) * 2022-09-19 2024-03-28 Altria Client Services Llc Blister pack with undercu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818B2 (en) Party tray
AU2011201375B2 (en) Egg and other product packaging
JP6483025B2 (ja) パッケージ化された食品
CA2578918A1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US11628972B2 (en) Containers featuring improved food integrity and takeout experience
JP2010537902A (ja) 食品又は他の製品用の相互接続容器システム
MXPA01012465A (es) Empaque con utensilio integrado.
KR20130002699U (ko)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US20160007807A1 (en) Container
US20140263384A1 (en) Food package
EP1533245A1 (en) A container for food products
GB2297536A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removable compartment
US20160251133A1 (en) Presentation assembly, with grouping tray and items having a round base such as yoghurt pots
US20020033393A1 (en) Food packaging with stabiliser
JP2014118180A (ja) 包装容器
EP2666729B1 (en) Packaging for sliced cheese
JP5412473B2 (ja) 固形乳製品の切断兼用保存ケース
KR20160048635A (ko) 밀폐 용기
KR20190002641U (ko) 초밥용 포장용기
GB2462153A (en) Fresh produce pack comprising tray and outer perforated wrap
KR102534913B1 (ko) 밀폐 큐브 용기
KR20090001473U (ko) 포장용 상자
KR20160100782A (ko) 밀폐 용기
CA3133092A1 (en) Packaged food product
JP3108182U (ja) 物品の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