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782A -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782A
KR20160100782A KR1020150096338A KR20150096338A KR20160100782A KR 20160100782 A KR20160100782 A KR 20160100782A KR 1020150096338 A KR1020150096338 A KR 1020150096338A KR 20150096338 A KR20150096338 A KR 20150096338A KR 20160100782 A KR20160100782 A KR 2016010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partition wall
groov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102015009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782A/ko
Publication of KR2016010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서로 다른 내용물이 뒤섞이지 않도록 결합력 및 밀폐력을 강화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이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며 저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홈에 대응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밀폐 용기{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한편, 용기 내부를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하고, 서로 다른 내용물이 뒤섞이지 않도록 결합력 및 밀폐성을 강화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담아서 보관하거나 포장하는 용기는 체적을 가진 용기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용기는 본체가 유리나 도자기, 금속재로 제작된 제품도 있지만, 주로 소비자 측면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 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합성수지 용기의 경우, 내열유리나 도자기, 금속 재질의 용기보다 대량 생산면에서 유리하여 값이 저렴한 것은 물론이고, 무게가 가볍고 탄성이 좋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잘 견딜 수 있는 특성이 있는바, 부피가 아주 작은 것부터 대용량의 큰 것까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아울러, 밀폐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가정에서 주로 반찬이나 야채, 채소, 과일 등의 장기간 보존에 열악한 식료품들을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쓰인다.
그런데, 이러한 용기의 개폐가 수월한 경우, 소유자 외에 타인도 쉽게 덮개를 개폐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하는 대형마트와 같은 곳에서는, 개폐가 수월한 용기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면 내용물의 손상이나 파손 심지어 도난까지 이루어지는 사례가 적잖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대형마트에 진열된 용기의 내용물이 궁금한 소비자가 덮개를 개방하고 그 안의 내용물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에 손상을 입히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며, 따라서 최종 소비자만이 개봉할 수 있도록,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밀봉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밀폐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구입한 후에는, 가정에서 용기의 재사용을 위해 손쉽게 덮개를 개폐할 수 있어야 하며, 덮개를 닫았을 때에는 내용물의 누설이 없도록 견고하게 밀폐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하나의 용기에 여러 가지 내용물을 담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뒤섞이지 않도록 내부 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할 필요가 있으며, 각각의 내용물이 배정된 공간을 넘어서 다른 내용물이 담긴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끔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덮개의 결합력과 밀폐 및 밀봉성이 우수한 밀폐 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 상태의 해제 없이는 개봉이 불가능한 밀폐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봉 상태의 해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초 개봉 이후에는 반복 개폐가 용이하고 이때에도 밀폐성이 계속 유지되는 밀폐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뒤섞이지 않도록 각각의 분할 공간에 담을 수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이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며, 저면 테두리를 따라 상기 결합홈에 대응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보조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격벽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격벽의 상단이 양쪽 끝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돌기는 일측이 수직하고 타측이 외측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 일측을 제거하여 상기 덮개의 테두리 일측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홈은, 상단 외측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서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하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내측 테두리에서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홈은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홈은 코너부가 라운드진 육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홈은 일측이 수직하고 타측이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가 개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밀폐 용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보조 용기,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밀폐 용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와 덮개의 결합력 및 밀폐성이 우수하여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되고,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에 의하면, 절취선을 따라 본체의 상단 테두리 일측을 제거하지 않으면 덮개의 개방이 불가하므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밀봉 상태의 해제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을 담는 공간이 격벽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고, 격벽 상단이 덮개에 밀착되어 밀폐되므로, 보관 및 이동시 내용물들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결합 단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결합 단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200)와, 본체(200) 상단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300)를 포함한다. 본체(200)와 덮개(300)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진공 성형, 압출 성형,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등 공지의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체(2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함체형이며, 필요에 따라 육면체나 원통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덮개(300)는 본체(200)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00)는 바닥부(210)와, 바닥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측벽부(220)의 상단 테두리에 볼록하게 걸림턱(230)이 형성되며, 걸림턱(230)의 외측 하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홈(240)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24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진 확장부(250)가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확장부(250)의 끝단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진 돌출부(260)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돌출부(260)의 외측 하단 테두리를 따라서 소정의 폭으로 플랜지부(270)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240)의 외측 측벽은 외측 하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덮개(300)의 결합돌기(340)가 결합되었을 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결합홈(240)은, 확장부(250)의 내측(본체의 공간부쪽)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각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241)와, 가이드부(241)의 하단에서 외측 하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242)와, 제1 경사부(242)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저면부(24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경사부(242)의 하단과 저면부(243)의 외측 테두리는 소정 곡률의 라운드부(244)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홈(240)의 저면부(243) 내측 테두리에서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부(245)가 형성되며, 제2 경사부(245)의 상단에서 걸림턱(230)의 외측 하단까지 수직부(246)가 상향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240)의 가이드부(241)와 걸림턱(230)의 외측면은, 후술하는 덮개(300)의 결합돌기(340)를 삽입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제1 경사부(242)와 라운드부(244)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340)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결합돌기(340)의 수직 방향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게끔 한다. 이때, 제2 경사부(245)는 결합돌기(340)의 하단부를 라운드부(244)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체(200)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는 절취선(280)이 형성되는데, 예컨대 이 절취선(280)은 복수 개의 장방타원형 관통홀이 일정 방향으로 연속하여 서로 이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취선(280)은 본체(200)와 덮개(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200)의 상단 테두리 일측을 절취하여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덮개(300)의 일측 테두리를 파지하여 개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덮개(300)는 본체(200)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플레이트부(310)와, 플레이트부(310)의 테두리 외측을 따라 하향 돌출 형성되며 본체(200)의 결합홈(24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340)와, 결합돌기(34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200)의 확장부(250) 상측에 밀착되는 안착부(3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부(3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걸림부(320)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본체(200)와 덮개(300) 결합시 본체(200)의 측벽부(220) 내측 상단에 걸림부(320)의 외측면이 밀착된다.
걸림부(320)의 외측 상단 테두리를 따라 원호 단면 형태로 볼록하게 지지부(330)가 형성되며, 본체(200)와 덮개(300) 결합시 본체(200)의 걸림턱(230)에 지지부(330)가 밀착된다.
결합돌기(340)는 지지부(330)의 외측 하단 테두리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본체(200)의 결합홈(240)에 끼움 결합된다. 안착부(350)는 결합돌기(340)의 외측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본체(200)와 덮개(300) 결합시 본체(200)의 확장부(250) 상측에 밀착된다.
이때, 결합돌기(340)는 안착부(35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꺾임부(341)와, 꺾임부(341)의 하단에서 외측 하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삽입부(342)와, 제1 삽입부(342)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끝단부(343)를 포함한다. 제1 삽입부(342)의 하단과 끝단부(343)의 외측 테두리 사이에는 원호 형태로 라운드진 연결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끝단부(343)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제2 삽입부(345)가 형성된다. 제2 삽입부(345)의 경사 각도는 제1 삽입부(342)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부(345)의 상단에서 지지부(330)의 외측 테두리 하단까지 연장부(346)가 수직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의 본체(200)와 덮개(300)는 다음과 같이 결합한다.
먼저, 본체(200)에 내용물을 담고, 덮개(300)를 본체(20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덮개(300)의 테두리 부분을 본체(200)의 테두리 부분에 가압하여, 덮개(300)의 결합돌기(340)를 본체(200)의 결합홈(240)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본체(200)와 덮개(300)의 결합 공정이 프레스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덮개(300)의 안착부(350)는 본체(200)의 확장부(250)에 밀착되고, 덮개(300)의 지지부(330)는 본체(200)의 걸림턱(230)에 밀착되며, 덮개(300)의 걸림부(320)가 본체(200)의 측벽부(220) 상단 내측에 걸려서 밀착 지지된다.
본체(200)와 덮개(300) 결합시, 덮개(300)의 결합돌기(340)가 본체(200)의 결합홈(240)으로 삽입되는데, 결합돌기(340)의 끝단부(343)는 결합홈(240)의 가이드부(241)와 걸림턱(230)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홈(240)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때 결합홈(240)의 가이드부(241)와 제1 경사부(242)는 결합돌기(340)에 밀려서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결합홈(240) 내부로 삽입된 결합돌기(340)는, 연결부(344)가 라운드부(244)의 내측으로 밀착되며, 이때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홈(240)의 제1 경사부(242)와 가이드부(241)가 결합돌기(340)의 제1 삽입부(342)와 꺾임부(341) 외측에 밀착된다. 또한, 결합홈(240)의 제2 경사부(245)는 결합돌기(340)의 제2 삽입부(345)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연결부(344)가 라운드부(24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본체(200)의 결합홈(240)에 덮개(300)의 결합돌기(340)가 끼움 결합되면, 결합돌기(340)의 제1 삽입부(342)와 연결부(344)가 각각 결합홈(240)의 제1 경사부(242)와 라운드부(244) 내측에 밀착되므로,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는, 본체(200)와 덮개(300) 결합시 덮개(300)의 안착부(350)가 본체(200)의 확장부(250)에 밀착되고, 안착부(350)의 끝단은 돌출부(26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므로, 외부 공기의 본체(200) 내부 유입을 방지하여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300)의 걸림부(320) 외측면이 본체(200)의 측벽부(220) 내측면에 밀착되므로, 본체(200)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200)와 덮개(300)의 결합시 덮개(300)는 본체(200)의 상측에 밀착되며, 덮개(300) 개봉을 위해서는 덮개(300)의 테두리 부분인 안착부(350)를 파지하여 잡아당겨야 한다. 그러나, 안착부(350)의 끝단이 본체(200)의 돌출부(260)에 의해 둘러싸이고, 돌출부(260)와 안착부(350) 사이의 틈새가 협소하므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서는 안착부(35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없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는, 본체(200)와 덮개(300)의 결합에 의해 밀봉 상태가 되어 예기치 못한 개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밀폐 용기(100)의 개봉을 위해서는 덮개(300)의 안착부(350)를 파지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체(200)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절취선(280)이 형성된다. 즉, 절취선(280)을 따라 본체(200)의 상단 테두리 일측을 제거함으로써, 덮개(300)의 안착부(35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노출시키는 것이다.
일 예로서, 장방 타원형의 관통홀이 일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연속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절취선(280)을 형성할 수 있다.
절취선(280)은 본체(200)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형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70)의 끝단으로부터 결합홈(240)의 일측까지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절취선(281)을 포함하며, 한 쌍의 제1 절취선(281)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절취선(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절취선(281)만이 있는 경우에는 한 쌍의 제1 절취선(281) 사이 구간을 상측으로 절곡시켜 덮개(300)의 안착부(350)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제2 절취선까지 있는 경우에는 제2 절취선을 따라 한 쌍의 제1 절취선(281) 사이 구간을 파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덮개(300)의 안착부(35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절취선(281)은 플랜지부(270)의 끝단으로부터 확장부(250)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절취선(280)을 따라 플랜지부(270)로부터 확장부(250)까지 본체(200)의 테두리 일부를 제거하여 덮개(300)의 안착부(350)를 노출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절취선(281)이 플랜지부(270)의 끝단으로부터 걸림턱(230)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절취선(280)을 따라 플랜지부(270)로부터 결합홈(240)까지 본체(200)의 테두리 일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덮개(300)의 안착부(350)와 함께 결합돌기(34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개봉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 형태의 결합홈(240a)이 본체(20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덮개(3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340a)는 결합홈(240a)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결합홈(240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단면 형태의 결합홈(240b)에 사각형 단면 형태의 결합돌기(340b)가 억지끼움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결합홈(240b)과 결합돌기(340b)의 코너부는 라운드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변형예로서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육각형 단면 형태의 결합홈(240c)에 육각형 단면 형태의 결합돌기(340c)가 억지끼움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결합홈(240c)과 결합돌기(340c)의 코너부는 라운드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측(본체의 공간부쪽) 측벽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외측 측벽은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240d)에, 이와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돌기(340d)가 억지끼움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결합홈(240d)의 외측 측벽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340d)의 외측면을 탄성 지지함에 따라, 결합홈(240d)으로부터 결합돌기(340d)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그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본체(200a) 내부의 공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290)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고, 격벽(290)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홈(291)에 덮개(300a)의 플레이트부(310)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311)가 끼움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200a) 내부의 공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290)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때, 격벽(290)은 본체(200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벽(290)의 형태와 개수 및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격벽(290)의 상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걸림턱(230)으로부터 내측 공간부로 갈수록 높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덮개(300a) 결합시 플레이트부(310)의 저면이 격벽(290)의 상단을 가압하면서 탄성 변형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레이트부(310)의 저면과 격벽(290)의 상단이 밀착되어, 덮개(300a)와 격벽(290) 사이 틈새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격벽(290)에 의해 분할된 한 공간의 내용물이 격벽(290)을 넘어 다른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격벽(290)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끼움홈(291)이 형성되며, 덮개(300a)의 플레이트부(310) 저면에는 이 끼움홈(291)에 대응 결합하는 복수 개의 끼움돌기(311)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데, 본체(200a)와 덮개(300a) 결합시 격벽(290) 상단의 끼움홈(291)에 플레이트부(310) 저면의 끼움돌기(311)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결합력과 밀폐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끼움홈(291)과 끼움돌기(311)는, 일부 또는 전체가 도 2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결합홈(240) 및 결합돌기(340)와 동일한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끼움홈(291)은, 격벽(290)의 상단 일측에서 내측(본체(200)의 공간부 중앙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241)와, 가이드부(241)의 하단에서 외측(본체(200)의 테두리쪽)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242)와, 제1 경사부(242)의 하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저면부(243)와, 제1 경사부(242)와 저면부(243)를 연결하며 소정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의 라운드부(244)와, 저면부(243)의 내측 테두리에서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245)와, 제2 경사부(245)의 상단에서 격벽(290) 상단까지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2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끼움돌기(311)는, 플레이트부(310)의 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꺾임부(341)와, 꺾임부(341)의 하단에서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삽입부(342)와, 제1 삽입부(342)의 하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끝단부(343)와, 제1 삽입부(342)와 끝단부(343)를 연결하며 소정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의 연결부(344)와, 끝단부(343)의 내측 테두리에서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삽입부(345)와, 제2 삽입부(345)의 상단에서 플레이트부(310)의 저면까지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격벽(290) 상단에 격벽(29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끼움홈(29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홈(291)이 격벽(290) 상단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끼움돌기(311) 역시 끼움홈(291)과 대응 결합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이 경우 전술한 복수 개의 끼움홈(291)과 끼움돌기(311)가 형성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체(200a)와 덮개(300a)의 밀폐력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체(200a)와 덮개(300a)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결합홈(240)과 결합돌기(340) 및 절취선(280)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a)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b)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그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본체(200)의 내부에 보조 용기(400)가 수납되고, 보조 용기(400)의 공간부에 격벽(440)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200) 내부에 보조 용기(400)가 수용되는데, 이 보조 용기(400)는 보관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용기(400)는, 본체(200) 내부의 부피에 비해 보관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양이 적어서 유동에 의한 내용물의 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거나, 본체(200) 내부의 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공간에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담을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400)는 바닥부(410)와, 바닥부(410)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420)와, 측벽부(4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소정 폭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430)를 포함한다. 본체(200) 내부에 보조 용기(400) 수납시, 보조 용기(400)의 플랜지부(430)가 본체(200)의 걸림턱(230)에 안착된다.
이때, 보조 용기(400)는 본체(200) 및 덮개(300a)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200) 내부에 수납시 밀착되도록, 본체(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체(200)에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 있을 때, 보관 과정에서 본체(200)와 보조 용기(400)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유입되면, 특히 본체(200)와 보조 용기(400)가 투명 재질인 경우 외관상 지저분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200)로부터 보조 용기(400)를 분리하였을 때 보조 용기(400)의 측벽부(420) 외측면에 묻은 내용물을 깨끗하게 닦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본체(200) 내부에 수납된 보조 용기(400)의 유동 방지를 위해서도, 보조 용기(400) 수납시 보조 용기(400)의 측벽부(420) 외측면이 본체(200)의 측벽부(220)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보조 용기(400)는 본체(200)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용기(400) 내부의 공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440)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때, 격벽(440)은 보조 용기(4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벽(440)의 형태와 개수 및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격벽(440)의 상단은 양쪽의 플랜지부(430)에서 보조 용기(400)의 공간부 내측으로 갈수록 높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벽(290)의 중앙부가 위쪽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용기(400)의 격벽(440) 상단에는 복수 개의 끼움홈(450)이 형성되며, 덮개(300a)의 플레이트부(310)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끼움돌기(311)가 이 끼움홈(450)에 대응 결합하게 된다. 이때, 끼움홈(450)과 끼움돌기(311)의 단면 형태 및 그 기능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끼움홈(291) 및 끼움돌기(311)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체(200)와 덮개(300a)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결합홈(240)과 결합돌기(340) 및 절취선(280)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b)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a,100b : 밀폐 용기
200 : 본체
240,240a~240d : 결합홈
260 : 돌출부
280 : 절취선
290,440 : 격벽
291,450 : 끼움홈
300 : 덮개
310 : 플레이트부
311 : 끼움돌기
340,340a~340d : 결합돌기
350 : 안착부
400 : 보조 용기

Claims (13)

  1.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이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며, 저면 테두리를 따라 상기 결합홈에 대응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보조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단이 양쪽 끝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일측이 수직하고 타측이 외측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 일측을 제거하여 상기 덮개의 테두리 일측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단 외측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서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하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내측 테두리에서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코너부가 라운드진 육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일측이 수직하고 타측이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12. 상부가 개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밀폐 용기.
  13.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보조 용기;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밀폐 용기.
KR1020150096338A 2015-07-07 2015-07-07 밀폐 용기 KR20160100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38A KR20160100782A (ko) 2015-07-07 2015-07-07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38A KR20160100782A (ko) 2015-07-07 2015-07-07 밀폐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098 Division 2015-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782A true KR20160100782A (ko) 2016-08-24

Family

ID=5688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338A KR20160100782A (ko) 2015-07-07 2015-07-07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87B1 (ko) * 2020-03-20 2021-07-19 한병기 일회용 도시락 밀폐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87B1 (ko) * 2020-03-20 2021-07-19 한병기 일회용 도시락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9592B1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CA2396943C (en) Triple seal container with protrusion
RU2524897C2 (ru) Контейнер с двумя противостоящими крышками
TW200934704A (en) Container and closure thereof
CA2854468A1 (en) A flip container for blister card medication holders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KR101417382B1 (ko) 용기
KR20160100782A (ko) 밀폐 용기
JP2012192976A (ja) 開閉蓋付き容器
KR200454719Y1 (ko) 식품 용기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JP6314364B2 (ja) 蓋付き容器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160048635A (ko) 밀폐 용기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170140986A (ko) 용기구조체
KR200449949Y1 (ko) 밀폐용기 결합구조
JP6634212B2 (ja) 容器
JP4195602B2 (ja) 密閉式仕切り容器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KR101738011B1 (ko) 노출형 패킹이 구비된 밀폐용기
KR200264765Y1 (ko)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