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41U - 초밥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초밥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41U
KR20190002641U KR2020180001642U KR20180001642U KR20190002641U KR 20190002641 U KR20190002641 U KR 20190002641U KR 2020180001642 U KR2020180001642 U KR 2020180001642U KR 20180001642 U KR20180001642 U KR 20180001642U KR 20190002641 U KR20190002641 U KR 201900026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lid
sidewall
side wall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213Y1 (ko
Inventor
박찬용
Original Assignee
(주)주비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비푸드 filed Critical (주)주비푸드
Priority to KR2020180001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1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초밥용 포장용기는,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하부 용기부; 및 상기 제 1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제 1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다수의 초밥 사이를 분리하는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 및 상기 제 1 뚜껑부가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영역의 측벽에 형성된 제 1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밥용 포장용기{PACKING VESSEL FOR SUSHI}
본 고안은 초밥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기 내부에서 각각의 초밥의 흔들림 및 이탈을 억제하여 미려한 외형 유지가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초밥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초밥의 경우에는, 밥과 밥의 위에 놓이는 생선회 등이 도시락의 형태로 포장시 분리되기 쉽고, 서로 다른 초밥끼리도 섞이기 쉽다. 아울러, 초밥의 경우, 상하기 쉬운 재료인 생선이 포함되는 까닭에 보관에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72497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에는, 복수개의 수용부를 구비한 유부 포장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경우, 하부 필름(100)에 다수의 유부 초밥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수용부(110)가 구비되어 있으나, 일반 초밥에 적용시 초밥을 젓가락으로 집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신선한 보관을 위한 별도의 궁리도 필요해 보인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72497호(2010년 7월 1일) : 유부 포장 용기 및 유부 포장 방법, 식품 포장 용기.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포장용기 내부에서 각각의 초밥의 흔들림 및 이탈을 억제하여 미려한 외형 유지가 가능하고, 효과적인 질소 밀봉에 의해 초밥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초밥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포장용기는,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하부 용기부; 및 상기 제 1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제 1 뚜껑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제 1-1 바닥면과 연결되고, 다수의 초밥 사이를 분리하는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 및 상기 제 1 뚜껑부가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영역의 측벽에 형성된 제 1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 1 하부 결합부는, 제 1 하부 측벽, 상기 제 1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3 하부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 1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4 하부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1 하부 결합부; 및 제 2 하부 측벽, 상기 제 2 하부 측벽과 연결된 상기 제 3 하부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 2 하부 측벽과 연결된 상기 제 4 하부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2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하부 측벽과 상기 제 2 하부 측벽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 1-1 하부 결합부 및 상기 제 1-2 하부 결합부는 각각,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1 하부 결합부는, 제 1-1 계단 및 상기 제 1-1 계단의 상부에 설계된 제 1-2 계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 1-1 계단의 제 1-1 면과 연결되는 제 1-2 계단의 측벽은, 상기 제 1-1 계단의 제 1-1 면과 상기 제 1 뚜껑부가 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아울러, 상기 제 1 영역의 바닥*과 상기 제 1-1 계단의 제 1-1 면은 나란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뚜껑부는, 다수의 초밥 사이를 분리하는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 제 1 뚜껑 측벽, 상기 제 1 뚜껑 측벽과 연결된 제 3 뚜껑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 1 뚜껑 측벽과 연결된 제 4 뚜껑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1 상부 결합부; 및 제 2 뚜껑 측벽, 상기 제 2 뚜껑 측벽과 연결된 상기 제 3 뚜껑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 2 뚜껑 측벽과 연결된 상기 제 4 뚜껑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2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뚜껑 측벽과 상기 제 2 뚜껑 측벽은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1 상부 결합부는, 제 1-1 바닥면; 및 제 1-1 바닥면과 연결된 제 1-1 측벽;을 구비하되, 상기 제 1-1 상부 결합부의 제 1-1 바닥면과 상기 제 1-1 상부 결합부의 제 1-1 측벽은, 상기 제 1 영역과 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 3 뚜껑 측벽과 상기 제 4 뚜껑 측벽은 각각,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 1 영역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오목한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뚜껑부의 상기 제 1 영역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오목한 영역은, 대향하는 위치에 쌍으로 형성되고, 둘레가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의 높이가, 상기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뚜껑부가 상기 제 1 영역을 덮은 경우, 상기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제 1 하부 칸막이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뚜껑부가 결합 후, 상기 제 1 뚜껑부의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용기부는, 용기를 탑재할 수 있는 제 3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 영역은, 둘레에 단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영역은, 둘레에 단차를 구비한 부분의 상부의 4개의 측벽에 각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용기부는, 용기를 탑재할 수 있는 제 4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에 각각의 용기가 탑재 시,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의 상부의 영역은, 공간을 형성하는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의 사이에는, 오목한 영역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의 길이는, 상기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의 길이 방향의 상기 제 1 영역의 폭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초밥용 포장용기에 따르면, 포장용기 내부에서 각각의 초밥의 흔들림 및 이탈을 억제하여 미려한 외형 유지가 가능하고, 효과적인 질소 밀봉에 의해 초밥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하부 용기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하부 용기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하부 용기부의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1-1 하부 결합부 및 제 1-2 하부 결합부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제 1 뚜껑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제 1 뚜껑부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제 1 뚜껑부의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제 1 뚜껑부의 측면도.
도 12는 밀봉이 된 상태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1000)의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10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1000)의 하부 용기부(100)의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1-1 하부 결합부(112a) 및 제 1-2 하부 결합부(112b)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1000)의 제 1 뚜껑부(200)의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밀봉이 된 상태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10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하기에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10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밥용 포장용기(1000)는, 하부 용기부(100), 제 1 뚜껑부(200), 제 2 뚜껑부(300), 제 1 소용기부(400) 및 제 2 소용기부(500)를 포함한다.
하부 용기부(100)는,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용기부(100)는, 제 1 영역(110), 제 2 영역(130), 제 3 영역(150), 제 4 영역(170) 및 제 5 영역(190)을 포함한다.
제 1 영역(110)은 그 바닥면에 초밥을 올려서 수납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영역이다. 제 1 영역(110)은, 제 1 영역(110)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다수의 초밥 사이를 분리하는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111); 및 제 1 뚜껑부(20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영역(110)의 측벽에 형성된 제 1 하부 결합부(112);를 포함한다.
제 1 하부 결합부(112)는, 제 1-1 하부 결합부(112a) 및 제 1-2 하부 결합부(112b)를 포함한다. 제 1-1 하부 결합부(112a)와 제 1-2 하부 결합부(112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1-1 하부 결합부(112a)는, 제 1 하부 측벽, 제 1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3 하부 측벽의 일부 및 제 1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4 하부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제 1-1 하부 결합부(112a)의, 제 1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3 하부 측벽의 일부가 연결되는 부분 및 제 1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4 하부 측벽의 일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곡선의 형태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 하부 측벽과 제 2 하부 측벽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 3 하부 측벽과 제 4 하부 측벽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 1-1 하부 결합부(112a)는 단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1 하부 결합부(112a)는, 제 1-1 계단(S1a) 및 제 1-1 계단(S1a)의 상부에 설계된 제 1-2 계단(S2a)을 구비한다. 제 1-1 계단(S1a)의 제 1-1 면과 연결되는 제 1-2 계단(S2a)의 측벽은, 제 1-1 계단(S1a)의 제 1-1 면과 제 1 뚜껑부(200)가 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α)을 이룬다. 이러한 예각으로 형성된 제 1-1 계단(S1a)의 제 1-1 면과 연결되는 제 1-2 계단(S2a)의 측벽의 특징에 의해, 초밥의 수용 시 제 1 뚜껑부(200)의 둔각 부분이 이 예각 부분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2 계단(S2a)의 측벽과 제 1-2 계단(S2a)의 제 1-2 면 사이에는 제 1-2 계단(S2a)의 모서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영역(110)의 바닥면, 제 1-1 계단(S1a)의 제 1-1 면 및 제 1-2 계단(S2a)의 제 1-2 면은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2 하부 결합부(112b)는, 제 2 하부 측벽, 제 2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3 하부 측벽의 일부 및 제 2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4 하부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제 1-2 하부 결합부(112b)의, 제 2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3 하부 측벽의 일부가 연결되는 부분 및 제 2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4 하부 측벽의 일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곡선의 형태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2 하부 결합부(112b)는 단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2 하부 결합부(112b)는, 제 2-1 계단(S1b) 및 제 2-1 계단(S1b)의 상부에 설계된 제 2-2 계단(S2b)을 구비한다. 제 2-1 계단(S1b)의 제 2-1 면과 연결되는 제 2-2 계단(S2b)의 측벽은, 제 2-1 계단(S1b)의 제 2-1 면과 제 1 뚜껑부(200)가 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룬다. 이러한 예각으로 형성된 제 2-1 계단(S1b)의 제 2-1 면과 연결되는 제 2-2 계단(S2b)의 측벽의 특징에 의해, 초밥의 수납 시 제 1 뚜껑부(200)의 둔각 부분이 예각 부분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각 부분의 형성에 따라, 제 3 하부 측벽과 제 4 하부 측벽은 각각, 제 1-1 하부 결합부(112a) 및 제 1-2 하부 결합부(112b)가 연결되는 양 끝부분에 가로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제 2-2 계단(S2b)의 측벽과 제 2-2 계단(S2b)의 제 2-2 면 사이에는 제 2-2 계단(S2b)의 모서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영역(110)의 바닥면, 제 2-1 계단(S1b)의 제 2-1 면 및 제 2-2 계단(S2b)의 제 2-2 면은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영역(110)은, 제 1 영역(110)에 제 1 뚜껑부(200)가 결합 후, 제 1 뚜껑부(200)의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간에는 본 고안의 포장용기(1000) 최상부에 비닐 재질(V)을 이용한 밀봉 시에, 질소가 충진될 수 있다.
하부 용기부(100)의 제 2 영역(130)은 제 1 영역(110)과 동일한 특징을 구비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 용기부(100)의 제 3 영역(150)은, 소스 또는 반찬을 담은 용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3 영역(150)은, 둘레에 단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 3 영역(150)은, 둘레에 단차를 구비한 부분의 상부의 4개의 측벽에 각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151, 17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151, 171)에 소스 또는 반찬을 담은 제 1 소용기부(400)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410, 510)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제 1 소용기부(400)가 제 3 영역(15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용기부(100)의 제 4 영역(170)은, 소스 또는 반찬을 담은 용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4 영역(170)은, 둘레에 단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 4 영역(170)은, 둘레에 단차를 구비한 부분의 상부의 4개의 측벽에 각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소스 또는 반찬을 담은 제 2 소용기부(500)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제 2 소용기부(500)가 제 4 영역(17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5 영역(190)은, 제 3 영역(150)과 제 4 영역(170)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영역으로, 제 1 소용기부(400) 및 제 2 소용기부(500)의 제 3 영역(150)과 제 4 영역(170)에의 탑재시, 제 1 소용기부(400) 및 제 2 소용기부(500)의 테두리가 일부 겹쳐지도록 설계되어, 해당 테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 1 소용기부(400) 및 제 2 소용기부(500)를 착탈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 3 영역(150)과 제 4 영역(170)에 각각 제 1 소용기부(400) 및 제 2 소용기부(500)가 탑재 시, 제 3 영역(150), 제 4 영역(170) 및 제 5 영역(190)을 하나로 감싸는 둘레 부분의 상부 영역과 제 3 영역(150), 제 4 영역(170) 및 제 5 영역(190)의 상부의 영역은, 공간을 형성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 공간에는 본 고안의 포장용기(1000) 최상부에 비닐 재질(V)을 이용한 밀봉 시에, 질소가 충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1 뚜껑부(200)는, 다수의 초밥 사이를 분리하는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211); 및 제 1 영역(110)과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측벽에 형성된 제 1 상부 결합부(212);를 포함한다. 제 1 뚜껑부(200)는,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211)의 좌측과 우측에 초밥을 수용할 수 있도록 주변 보다 오목하게 설계된 다수의 초밥 수용 부분(213)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상부 결합부(212)는, 제 1 뚜껑 측벽, 제 1 뚜껑 측벽과 연결된 제 3 뚜껑 측벽의 일부 및 제 1 뚜껑 측벽과 연결된 제 4 뚜껑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1 상부 결합부(212a); 및 제 2 뚜껑 측벽, 제 2 뚜껑 측벽과 연결된 제 3 뚜껑 측벽의 일부 및 제 2 뚜껑 측벽과 연결된 제 4 뚜껑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2 상부 결합부(212b);를 포함한다. 제 1 뚜껑 측벽과 제 2 뚜껑 측벽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 3 뚜껑 측벽과 제 4 뚜껑 측벽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1 상부 결합부(212a)는, 제 1-1 바닥면(217a) 및 제 1-1 바닥면(217a)과 연결된 제 1-1 측벽(218a)을 구비하되, 제 1-1 상부 결합부(212a)의 제 1-1 바닥면과 제 1-1 상부 결합부(212a)의 제 1-1 측벽(218a)은, 제 1 영역(110)과 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둔각(β)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2 상부 결합부(212b)는, 제 1-2 바닥면(217b) 및 제 1-2 바닥면(217b)과 연결된 제 1-2 측벽(218b)을 구비하되, 제 1-2 상부 결합부(212b)의 제 1-2 바닥면(217b)과 제 1-2 상부 결합부(212b)의 제 1-2 측벽(218b)은, 제 1 영역(110)과 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둔각 부분의 형성에 따라, 제 3 뚜껑 측벽과 제 4 뚜껑 측벽은 각각, 제 1-1 상부 결합부(212a) 및 제 1-2 상부 결합부(212b)가 연결되는 양 끝부분에 가로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초밥의 수납 시 제 1 뚜껑부(200)의 둔각 부분이 제 1 영역(110)의 예각 부분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둔각 부분의 형성에 따라, 제 3 뚜껑 측벽과 제 4 뚜껑 측벽은 각각, 제 1-1 상부 결합부(212a) 및 제 1-2 상부 결합부(212b)가 연결되는 양 끝부분에 가로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상에서, 제 3 뚜껑 측벽과 제 4 뚜껑 측벽은 각각, 적어도 일부에 제 1 영역(110)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오목한 영역(2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 1 뚜껑부(200)의 제 1 영역(110)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오목한 영역(214)은, 대향하는 위치에 쌍으로 형성되고, 둘레가 곡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뚜껑부(200)의 제 1 영역(110)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오목한 영역(214)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 1 뚜껑부(200)를 제 1 영역(1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밀봉에 의한 질소 충진시, 제 1 뚜껑부(200)의 하부의 제 1 영역(110)에 질소가 잘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211)의 높이가,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111)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111)의 길이는,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111)의 길이 방향의 제 1 하부 영역의 폭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111)는,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111)의 길이 방향의 영역의 일부에만 구비되어 있다. 제 1 하부 칸막이(111)의 높이 및 길이의 특징에 의해, 제 1 뚜껑부(200)를 열어 초밥을 젓가락으로 집기 용이하다. 만약, 제 1 하부 칸막이(111)가 높고 길게 구비되면, 내부에 수용된 초밥은 젓가락으로 집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제 1 뚜껑부(200)가 제 1 영역(110)을 덮은 경우,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211)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제 1 하부 칸막이(111)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상부 칸막이(211)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제 1 하부 칸막이(111)의 사이에는 공간을 통해, 밀봉에 의한 질소 충진 시, 칸과 칸 사이로 질소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뚜껑부(300)는, 제 1 뚜껑부(200)와 동일한 특징으로 구비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초밥용 포장용기(1000)에 따르면, 포장용기(1000) 내부에서 각각의 초밥의 흔들림 및 이탈을 억제하여 미려한 외형 유지가 가능하고, 효과적인 질소 밀봉에 의해 초밥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0 : 포장용기
100 : 하부 용기부 200 : 제 1 뚜껑부
300 : 제 2 뚜껑부 400 : 제 1 소용기부
500 : 제 2 소용기부
110 : 제 1 영역 130 : 제 2 영역
150 : 제 3 영역 170 : 제 4 영역
190 : 제 5 영역
111 : 제 1 하부 칸막이 112 : 제 1 하부 결합부
112a : 제 1-1 하부 결합부 112b : 제 1-2 하부 결합부
211 : 제 1 상부 칸막이 212 : 제 1 상부 결합부
212a : 제 1-1 상부 결합부 212b : 제 1-2 상부 결합부
213 : 초밥 수용 부분 V : 밀봉용 비닐

Claims (16)

  1. 초밥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하부 용기부; 및
    상기 제 1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제 1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다수의 초밥 사이를 분리하는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 및
    상기 제 1 뚜껑부가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영역의 측벽에 형성된 제 1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하부 결합부는,
    제 1 하부 측벽, 상기 제 1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3 하부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 1 하부 측벽과 연결된 제 4 하부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1 하부 결합부; 및
    제 2 하부 측벽, 상기 제 2 하부 측벽과 연결된 상기 제 3 하부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 2 하부 측벽과 연결된 상기 제 4 하부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2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부 측벽과 상기 제 2 하부 측벽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 1-1 하부 결합부 및 상기 제 1-2 하부 결합부는 각각,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하부 결합부는,
    제 1-1 계단 및 상기 제 1-1 계단의 상부에 설계된 제 1-2 계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 1-1 계단의 제 1-1 면과 연결되는 제 1-2 계단의 측벽은, 상기 제 1-1 계단의 제 1-1 면과 상기 제 1 뚜껑부가 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 1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 1-1 계단의 제 1-1 면은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뚜껑부는,
    다수의 초밥 사이를 분리하는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
    제 1 뚜껑 측벽, 상기 제 1 뚜껑 측벽과 연결된 제 3 뚜껑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 1 뚜껑 측벽과 연결된 제 4 뚜껑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1 상부 결합부; 및
    제 2 뚜껑 측벽, 상기 제 2 뚜껑 측벽과 연결된 상기 제 3 뚜껑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 2 뚜껑 측벽과 연결된 상기 제 4 뚜껑 측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 1-2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뚜껑 측벽과 상기 제 2 뚜껑 측벽은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상부 결합부는,
    제 1-1 바닥면; 및 제 1-1 바닥면과 연결된 제 1-1 측벽;을 구비하되,
    상기 제 1-1 상부 결합부의 제 1-1 바닥면과 상기 제 1-1 상부 결합부의 제 1-1 측벽은, 상기 제 1 영역과 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 3 뚜껑 측벽과 상기 제 4 뚜껑 측벽은 각각,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 1 영역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오목한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뚜껑부의 상기 제 1 영역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오목한 영역은,
    대향하는 위치에 쌍으로 형성되고, 둘레가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의 높이가,
    상기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뚜껑부가 상기 제 1 영역을 덮은 경우,
    상기 다수의 제 1 상부 칸막이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제 1 하부 칸막이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뚜껑부가 결합 후, 상기 제 1 뚜껑부의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부는,
    용기를 탑재할 수 있는 제 3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은,
    둘레에 단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은,
    둘레에 단차를 구비한 부분의 상부의 4개의 측벽에 각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부는,
    용기를 탑재할 수 있는 제 4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에 각각의 용기가 탑재 시,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의 상부의 영역은, 공간을 형성하는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의 사이에는,
    오목한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의 길이는,
    상기 다수의 제 1 하부 칸막이의 길이 방향의 상기 제 1 영역의 폭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KR2020180001642U 2018-04-13 2018-04-13 초밥용 포장용기 KR200491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42U KR200491213Y1 (ko) 2018-04-13 2018-04-13 초밥용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42U KR200491213Y1 (ko) 2018-04-13 2018-04-13 초밥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41U true KR20190002641U (ko) 2019-10-23
KR200491213Y1 KR200491213Y1 (ko) 2020-03-04

Family

ID=6838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42U KR200491213Y1 (ko) 2018-04-13 2018-04-13 초밥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135A (ko) * 2020-11-25 2022-06-02 조정준 환경 친화적인 일회용 도시락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68Y1 (ko) * 2000-01-17 2000-07-15 임종민 포장용 깡통
JP2002095429A (ja) * 2000-09-20 2002-04-02 Chuo Kagaku Co Ltd 寿司用包装容器
KR20100072497A (ko) 2008-12-22 2010-07-01 (주)신선촌 유부 포장 용기 및 유부 포장 방법, 식품 포장 용기
KR20140005221U (ko) * 2013-03-26 2014-10-07 주식회사 에코머스 식품 포장 용기
JP3212312U (ja) * 2017-05-17 2017-09-07 デンカ株式会社 包装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3558B1 (fr) * 1993-12-08 1996-03-01 Michelin & Cie Pneumatique, jante, anneau de soutien et ensemble comprenant lesdits élé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68Y1 (ko) * 2000-01-17 2000-07-15 임종민 포장용 깡통
JP2002095429A (ja) * 2000-09-20 2002-04-02 Chuo Kagaku Co Ltd 寿司用包装容器
KR20100072497A (ko) 2008-12-22 2010-07-01 (주)신선촌 유부 포장 용기 및 유부 포장 방법, 식품 포장 용기
KR20140005221U (ko) * 2013-03-26 2014-10-07 주식회사 에코머스 식품 포장 용기
JP3212312U (ja) * 2017-05-17 2017-09-07 デンカ株式会社 包装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135A (ko) * 2020-11-25 2022-06-02 조정준 환경 친화적인 일회용 도시락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13Y1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9792A1 (en) Container apparatus
US20220073264A1 (en) Container for comestible products
KR200491213Y1 (ko) 초밥용 포장용기
JP2016064853A (ja) 包装用容器
KR200468685Y1 (ko) 다기능 용기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KR102278888B1 (ko) 기밀성이 유지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도시락
KR102351533B1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JPH092447A (ja) 弁当用容器
KR102278887B1 (ko) 일회용 도시락 밀폐용기
JP2555467Y2 (ja) 食品包装用容器
GB2334019A (en) A sealable container for food
JP3210115U (ja) 発泡樹脂容器、包装容器及び包装済食品と発泡樹脂容器との組立体
KR200478760Y1 (ko) 칸칸 밀폐 용기
KR101839221B1 (ko) 반찬용 김 저장 용기
KR200392822Y1 (ko) 포장용 상자
KR200492398Y1 (ko) 개별 소포장 용기
KR200468395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JP4944511B2 (ja) 発泡容器
KR200485807Y1 (ko) 만두 포장용기
KR200410872Y1 (ko) 2열 적재식 딸기 포장용기
JP3213764U (ja) 包装用容器
JPH0826360A (ja) 生鮮蟹類専用包装体
JP2003252371A (ja) 食品収納容器
JP3076143U (ja) 弁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