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917Y1 -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917Y1
KR200374917Y1 KR20-2004-0031256U KR20040031256U KR200374917Y1 KR 200374917 Y1 KR200374917 Y1 KR 200374917Y1 KR 20040031256 U KR20040031256 U KR 20040031256U KR 200374917 Y1 KR200374917 Y1 KR 200374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engaging
li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철 filed Critical 김광철
Priority to KR20-2004-0031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추장, 된장, 쌈장 등의 가공식품을 담아 판매하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봉인팁을 제거하고 사용해야 하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가공 식품이 채워지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 테두리면에 상기 가공식품의 누출 및 산화방지를 위해 구비되는 용기차단막과,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체결캡으로 이루어진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은 판형상이고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되 그 절곡부의 전면 하단에는 개봉돌기가 외향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의 후면 절곡부 일측에 연결부로 연결되고 전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연장부안착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향하는 결합부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결합부와, 봉인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부착되어 상기 개봉돌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정길이의 봉인팁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는 그 상부 외주면에 상기 결합부의 결합부지지돌기가 체결되도록 결합부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내부에 담겨진 가공식품이 진열대에 전시되는 동안 뚜껑을 개폐할 필요도 없이 봉인여부를 봉인팁의 부착여부만을 확인하여 식별할 수 있어,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식품에 대한 신뢰성을 심어줄 수 있다.

Description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 food Container having sealing tip }
본 고안은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추장, 된장, 쌈장 등의 가공식품을 담아 판매하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봉인팁을 제거하고 사용해야 하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의 식품코너 또는 할인마트 등에서는 고추장, 된장, 쌈장 등의 가공식품을 담아놓은 식품 용기가 진열대에 올려진 상태에서 많이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식품 용기는 일반적으로 고추장, 된장, 쌈장 등의 가공식품이 담겨지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는 용기몸체와 그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되 그 상부에 뚜껑이 구비되는 체결캡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 테두리면에는 용기 내부의 가공식품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공기와 접촉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등의 용기차단막이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식품 용기는 체결캡이 용기몸체와 쉽게 분리되어 불순한 의도를 가지는 일부 소비자는 상기 체결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차단막을 제거하여 맛을 보는 등의 행동을 한 후 이를 구매하지 않고 다시 체결캡을 용기몸체에 다시 결합시켜 놓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재진열된 후, 선의의 소비자가 불량 가공식품 용기를 구매하는 경우에는 가공식품에 대한 강한 불쾌감을 갖게 되고 이는 이와 같은 식품의제조사 및 유통사에 대해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용기의 불량상태를 외부에서 식별이 불가능하여 매장의 직원은 외관을 육안으로는 식별이 불가능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상기 체결캡을 개방한 상태에서 불량상태 유무를 확인해야 하므로 확인작업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비되고, 작업능률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위조방지를 위한 봉인 기능을 갖추어 용기 내부에 담겨진 가공식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전까지 보관·진열 등의 유통과정에서 불순한 의도로 제품에 유해한 투입 또는 개봉여부 등을 쉽고 간단하게 누구나 식별 확인이 가능하게 형성하여 상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 등을 확보하고 제품에 대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식품 용기를 들어올릴 경우 뚜껑과 용기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용기몸체 상단에 형성되어 뚜껑의 분리를 방지하는 식품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배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저면도.
도 9는 도 7의 A - A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 및 그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 - B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 및 그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식품 용기 110 : 용기몸체
120 : 뚜껑 130 : 결합부
140 : 봉인팁 141a,141b : 팁연결부
150 : 체결캡
본 고안은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가공 식품이 채워지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 테두리면에 상기 가공식품의 누출 및 산화방지를 위해 구비되는 용기차단막과,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체결캡으로 이루어진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은 판형상이고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되 그 절곡부의 전면 하단에는 개봉돌기가 외향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의 후면 절곡부 일측에 연결부로 연결되고 전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연장부안착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향하는 결합부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결합부와, 봉인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부착되어 상기 개봉돌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정길이의 봉인팁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는 그 상단부 외주면에 상기 결합부의 결합부지지돌기가 체결되도록 결합부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몸체는 상기 결합부걸림턱의 하측에 상기 결합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의 연장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연장부안착홈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 테두리는 상기 뚜껑의 절곡부의 내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끼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용기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저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 및 그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 및 그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100)는 내부에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110)와, 그 용기몸체(110)의 상부에 체결되되 개폐 가능한 뚜껑(120)이 상부에 결합되고 그 뚜껑(120)의 하부에 상기 용기몸체(110)에 체결되는 결합부(13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체결캡(1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식품 용기(100)를 구성하는 용기몸체(110)와 체결캡(150)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용기몸체(110)는 고추장, 된장, 쌈장 등의 가공식품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그 용기몸체(110)의 외측 벽면의 상부에는 외향하는 결합부걸림턱(112)이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걸림턱(112)의 하부에는 외향하는 스토퍼(11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결합부(130)가 용기몸체(110)에 체결시 더 이상 하부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객이 식품 용기(100)를 들어올리는 경우 손가락으로 스토퍼(116)의 하측을 들어올리도록 형성되어 용기몸체(110)와 체결캡(150)이 분리되어 용기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용기몸체(1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캡(150)은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120)과, 그 뚜껑(12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너비를 가지는 띠형상의 결합부(130)가 분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뚜껑(120)은 전면부 하측에는 뚜껑(120)을 결합부(130)에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연장부(122)가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후면부에는 그 뚜껑(120)의 가장자리 테두리면을 따라 일정부분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부(130)와 일체로 연결부(124)가 형성되고, 그 연결부(124)의 양측에는 상기 뚜껑(120)이 일정각도이내에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경첩부(125a, 125b)가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120)과 결합부(130)가 연결부(124)와 경첩부(125a, 125b)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124)는 상기 뚜껑(120)이 개방되는 경우, 완전 분리되어 분실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120)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는 절곡부(1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부(126)의 단부는 상기 결합부(130)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턱(130a)에 체결되는데 이는 뚜껑(120)을 개폐하는 경우 반복하여 절곡부(126)가 끼움턱(130a)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12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결합부(130)의 내주면에는 결합부지지돌기(13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30)가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120)의 전면 절곡부(126) 하단에 구비되는 연장부(122)는그 중앙에 걸림홈(122b)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 손으로 여닫을 수 있는 개봉돌기(122a)가 외향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30)의 전면부 외측에는 상기 뚜껑(120)의 연장부(122)가 안착되는 연장부안착홈(130b)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22b)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30c)가 연장부안착홈(130b)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120)을 개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상기 개봉돌기(122a)를 들어올리면 뚜껑(120)의 걸림홈(122b)이 결합부(130)의 걸림돌기(130c)에서 빠져 이탈되면서 열리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122)의 연장부안착홈(130b)의 외측면에는 소정거리를 두고 연장된 팁연결부(141) 끝단이 봉인팁(140)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봉인기능을 수행 하도록 형성되되, 이 봉인팁(140)은 사용자가 양측단 중 어느 한쪽을 잡고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팁연결부(141)의 어느 한쪽 단부가 절개되면서 강제 분리되어 봉인이 해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봉인팁(140)의 내측 하부면에는 걸림돌기(142)가 형성되어 뚜껑(120) 연장부(122)의 개봉돌기(122a)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뚜껑(12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봉인팁(140)의 상단 중앙부에 소정 형상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개봉을 위한 봉인팁(140) 제거가 용이하도록 손가락 형상의 대응 홈 내지 돌기 등을 선택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몸체(110)의 수용부(110c)에 있는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봉인팁(140)을 손으로 잡아당겨 분리하게 되면 뚜껑(12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120)의 상부면에는 다른 용기의 저면이 안착 가능하도록 용기안착홈(121)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110)의 외부 측면 모서리 일측부는 단차지게 오목한 용기걸림턱(111)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몸체(110)를 대량으로 사출성형하여 차례대로 적재시에 일정깊이 이상으로 다른 용기몸체(110)가 깊숙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나중에 하나씩 적재된 용기몸체(110)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용기몸체(110)의 저면에는 고정돌기(119)를 구비하여 식품 용기(100)를 적층시에 뚜껑(120)의 용기안착홈(121)에 끼워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사용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100)는 용기몸체(110)의 수용부(110c) 내에 고추장, 된장, 쌈장 등의 가공식품이 채워지고 그 용기몸체(110)의 상부 테두리면(110b)에 외부공기의 유입 및 내용물의 유출을 막기 위한 용기차단막(118)이 부착되고, 그 용기몸체(110)의 상부에는 뚜껑(120)이 일체로 구비되는 체결캡(15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캡(150)의 결합부(130)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지지돌기(132)가 용기몸체(110)의 상부 외주면(110a)에 형성되는 결합부걸림턱(112)에 체결되고, 뚜껑(120) 절곡부(126)의 단부는 끼움턱(130a)에 체결된다.이와 같이 체결되면, 상기 결합부(130)의 결합부지지돌기(132)와 용기몸체(110)의 결합부걸림턱(112)은 견고하게 결합되어 식품 용기(100)의 소비자가 쉽게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100)는 할인마트 등의 진열대에 올려진 상태로 판매되며, 소비자는 이를 사용하거나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체결캡(150)이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체결캡(150)의 봉인팁(140)을 제거하여야만 한다. 이때, 몸체용기(110)에 결합되는 체결캡(15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봉인팁(140)을 잡아당겨 제거하게 되면, 체결캡(15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120)의 개봉돌기(122a)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120)의 전면에 구비되는 개봉돌기(122)를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용기몸체(110)의 상단부 테두리에 부착되어 내용물을 보호하는 비닐 재질의 용기차단막(118)을 제거한 후 내용물을 확인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용기몸체(110)의 상부 테두리면(110b)에 융착된 용기차단막(118)은 상기 체결캡(150)의 결합부(130)가 용기몸체(110) 상단부에서 비교적 낮은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부걸림턱(112)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의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체결캡(150)의 결합부(13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쉽고 간단하게 사용자가 비닐실링지인 용기차단막(118)을 절취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인기능을 하는 봉인팁(140)을 제거한 후 내용물을 확인한 후, 다시 뚜껑(120)을 닫아놓더라도 이미 봉인팁(140)이 완전 제거된 상태이므로 진열대에 전시된 식품 용기(100)의 상태를 일반 소비자 또는 상품의 하자유무를 검사하는 직원이 뚜껑(120)을 열어볼 필요도 없이 곧바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용기는 용기 내부에 담겨진 가공식품이 진열대에 전시되는 동안 뚜껑을 개폐할 필요도 없이 봉인여부를 봉인팁의 부착 여부만을 확인하여 식별할 수 있어,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식품에 대한 신뢰성을 심어줄 수 있다.
또한, 대형할인점 등의 직원은 이와 같이 진열된 가공 식품의 불량 및/또는 개봉여부를 봉인팁의 존재 유무(有無)만을 확인하여 다른 가공식품으로 교체하므로 획인작업 시간이 크게 줄어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가공 식품이 채워지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 테두리면에 상기 가공식품의 누출 및 산화방지를 위해 구비되는 용기차단막과,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체결캡으로 이루어진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은 판형상이고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되 그 절곡부의 전면 하단에는 개봉돌기가 외향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의 후면 절곡부 일측에 연결부로 연결되고 전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연장부안착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향하는 결합부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결합부와, 봉인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부착되어 상기 개봉돌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봉인하는 일정길이의 봉인팁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는 그 상단부 외주면에 상기 결합부의 결합부지지돌기가 체결되도록 결합부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상기 결합부걸림턱의 하측에 상기 결합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연장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연장부안착홈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 테두리는 상기 뚜껑의 절곡부의 내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끼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KR20-2004-0031256U 2004-11-02 2004-11-02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KR200374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256U KR200374917Y1 (ko) 2004-11-02 2004-11-02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256U KR200374917Y1 (ko) 2004-11-02 2004-11-02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917Y1 true KR200374917Y1 (ko) 2005-02-07

Family

ID=4944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256U KR200374917Y1 (ko) 2004-11-02 2004-11-02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9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22B1 (ko) 2007-02-13 2008-06-02 동진기업 주식회사 장류 포장용기
KR200448784Y1 (ko) 2008-03-12 2010-05-24 동진기업 주식회사 장류 포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22B1 (ko) 2007-02-13 2008-06-02 동진기업 주식회사 장류 포장용기
KR200448784Y1 (ko) 2008-03-12 2010-05-24 동진기업 주식회사 장류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8699B2 (en) Sift-resistant dispensing closure
US9187209B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having tear tab and hinged lid
KR100700789B1 (ko) 저장용기 뚜껑 및 기구물
US5718347A (en) Child resistant, user friendly container and closure
US4555056A (en) Tamperproof food package
US20100072217A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with frangible closure member
US20140284346A1 (en) Tamper Resistant Container
US10543967B2 (en) Child-resistant containers
US20080277397A1 (en) Integrated food packaging system
US20150175315A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with frangible hinge
FR2600630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avec detection de manipulation frauduleuse
JP2004518590A (ja) 一部を分離可能なカバーを有するいたずら防止機能付き小出し封止体
WO2005082733A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US9650204B2 (en) Egg package
US20110031246A1 (en) Tamper-Resistant Storage Container
US20130206784A1 (en) Container with recessed handle cavities
US3773170A (en) Package
KR200374917Y1 (ko)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US9643761B1 (en) Child-resistant containers
US20170158396A1 (en) Child-resistant containers
KR200407405Y1 (ko) 봉인 기능을 갖춘 식품 용기
US20060289515A1 (en) Meal tray with snap-fit lid that can be opened by peeling
KR200454719Y1 (ko) 식품 용기
KR20230009795A (ko) 원터치 캡
KR101876962B1 (ko)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