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795A - 원터치 캡 - Google Patents

원터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795A
KR20230009795A KR1020210164413A KR20210164413A KR20230009795A KR 20230009795 A KR20230009795 A KR 20230009795A KR 1020210164413 A KR1020210164413 A KR 1020210164413A KR 20210164413 A KR20210164413 A KR 20210164413A KR 20230009795 A KR20230009795 A KR 2023000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ouch
container
air inle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숙
이승민
서대식
Original Assignee
김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숙 filed Critical 김경숙
Priority to KR102021016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795A/ko
Publication of KR2023000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캡에 관한 것으로, 힌지의 위치가 고정 캡의 바디보다 높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캡을 회동하여 닫을 때에, 배액 노즐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배액 노즐의 밀봉 라인과 밀폐 돌기의 밀봉 라인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밀폐 돌기가 정확한 위치에서 배액 노즐의 배액 구멍을 깊숙이 삽입하여 밀봉함으로써, 밀폐 돌기와 배액 노즐 간의 틈새를 제거하여 용기 내의 액체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용기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액체 내용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캡{ONE TOUCH TYPE CAP ASSEMBLY}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부에 고정되는 고정 캡과, 그 고정 캡에 힌지구조로 회동 캡이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 원터치 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힌지(hinge)의 위치가 고정 캡의 바디(body)보다 높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캡을 회동하여 닫을 때에, 배액 노즐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배액 노즐의 밀봉 라인과 밀폐 돌기의 밀봉 라인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밀폐 돌기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의 배액 구멍을 깊숙이 삽입하여 밀봉함으로써, 용기 내의 액체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용기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액체 내용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용유, 간장, 식초, 및 참기름 등의 액체 내용물(액상 식품)은 합성수지나 글라스 재질의 용기 안에 저장되며, 그 용기의 상부 개구에는 액체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용기 캡, 일명 원터치 캡이 장착된다.
원터치 캡은, 용기의 입구부(개구)를 막아서 액상 식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 열려 있는 개구를 통해서 액상 식품이 유출되도록 한다.
원터치 캡은, 평상 시 보관할 때에 용기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사용상 부주의로 인해 넘어지더라도 외부로 액상의 식품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며, 조리 시에는 조리 대상물에 직접 붓거나 조리 기구에 용이하게 부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원터치 캡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제작과 개발을 거듭하고 있는바, 그 대표적인 형태 중 액체 내용물을 쉽게 따를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 액체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토출구(토출 구멍)가 구비되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뚜껑이 일체로 구비되는 형태로 제작되었지만, 토출구가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액체 내용물을 부을 때 많은 양이 한꺼번에 쏟아질 우려가 있었으며, 뿐만 아니라 동일한 구멍으로 액체 내용물과 공기가 출입하게 되므로, 일정한 양을 부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용기를 가압하여야만 액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개발되었지만, 공기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저절로 액체 내용물이 흘러나올 수는 없고, 반드시 사용자가 용기를 가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 또한 가하는 힘에 따라 토출되는 양이 일정치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 캡 이외에 요즘에 출시되는 일반적인 기술로서, 액체 용기 캡은 품질과 위생보장 및 이물질 삽입방지 등을 목적으로 배출 공에 개봉 편이 형성되고, 회동 뚜껑이 힌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배출 공이 형성된 속캡에 개봉 편이 함께 형성되어 이물 삽입방지 및 품질, 위생 보장 등을 할 수 있다. 즉, 위조 및 변조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밀폐작업(속캡의 배출 공을 개봉 편으로 밀봉하고 손잡이 링을 잡아당기면 배출 공을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일명, 루땡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가격 상승요인과 함께 사용상의 불편함과 동시에 제작상의 구조적인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봉 편이 존재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일단 개봉 편을 개봉한 후에는 용기가 넘어지거나 경사질 경우, 토출구멍으로부터 액체 내용물이 토출되어 회동 캡의 내벽 심지어는 용기 외벽을 따라 흘러나오는 등 내용물의 밀폐에 많은 문제점이 있고, 한번 개봉 편을 개봉한 후에는 회동 캡의 개폐가 느슨할 경우 외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액체 내용물의 변질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10-2012-0084878호에는 "액상 식품용 용기 캡"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액상 식품용 용기 캡(일명, 원터치 캡)은 일측에 개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되며, 내주부 하단에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내면 상단부 일측에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 중간부에 안착 면이 연장 구비되고, 상기 안착 면 중앙으로는 액체 내용물의 배출을 차단하는 밀폐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동 캡과; 상측 외주부에 상기 결합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 돌기가 구비되고, 그 하단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외주면 타측에 상기 힌지에 의해 회동 캡과 연결 결합하며, 상기 단턱의 하측에 용기에 체결 가능하도록 내주 체결편과 외주 체결편이 구비되어 상기 내외주 체결편 사이에 구비된 홈에 용기를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내부 상면은 상기 단턱의 높이와 일치된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중앙에는 일측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돌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 부재 상단으로는 상측으로 갈수록 계단식으로 축소되는 신축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의 텐션면이 구비되며, 상기 텐션면 상단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관통 구비되어 있는 결합 캡으로 구성된다.
종래 액상 식품용 용기 캡(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10)의 입구부(11)에 결합 캡(20)이 결합한다. 힌지(40)에 의해서 결합 캡(20)에 회동 캡(30)이 회동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밀폐 돌기(31)가 회동 캡(30)의 안착면 중앙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밀폐 돌기(31)와 상응하여 결합 캡(20)의 상면에 액체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구(21)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액상 식품용 용기 캡(1)은, 힌지(40)가 결합 캡(20)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도 1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0)를 중심으로 회동 캡(30)을 회동하여 닫을 때에, 토출구(21)의 밀봉 라인(L1)과 밀폐 돌기(31)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닫힌다.
여기서, 토출구(21)의 밀봉 라인(L1)이란 토출구(21)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선이고, 밀폐 돌기(31)의 밀봉 라인(L2)이란 밀폐 돌기(31)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선으로 정의한다.
종래 원터치 캡(1)은 액체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구(21)가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회동 캡(30)의 닫을 때, 토출구(21)의 밀봉 라인(L1)과 밀폐 돌기(31)의 밀봉 라인(L2)이 서로 엇갈린 상태(교차하는 상태)로, 밀폐 돌기(31)가 토출구(21) 안에 삽입된다. 이때, 밀폐 돌기(31)가 토출구(21)를 차단하는 방향이 정면방향(정 위치)이 아니라 측면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토출구(21)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토출구(21)가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에서는, 밀폐 돌기(31)가 정 위치에서 토출구(21)를 차단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 때문에, 밀폐 돌기(31)가 토출구(21)를 완전하기 밀폐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 밀폐 돌기(31)와 토출구(21) 사이에 미세한 틈새(gap)가 발생할 수 있고, 그 틈새를 통해서 용기의 액체 내용물 일부가 누출되거나, 용기 안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액체 내용물을 변질 혹은 부패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 뿐만아니라, 종래 원터치 캡(1)은 밀폐 돌기(31)에 가이드 부재(32)가 추가로 형성되는 구조이며, 일정 각도 기울어진 토출구(21)를 밀봉하는 데 있어서 가이드 부재(32)가 토출구(21) 상단 외측을 타고 넘어가면서 밀폐 돌기(31)를 가이드 하여 토출구(21)에 삽입되는 복잡한 구조이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원터치 캡(1)은 제품의 유통(流通) 중에 변조를 방지하거나, 회동 캡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원터치 캡 전체에 수축 필름(버진 캡, vergin cap)을 패킹하여, 사용자가 구매 후에 그 수축필름을 벗겨서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생산공정에서 수축필름의 패킹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기의 입구부에 고정 캡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한 구조이므로, 용기 폐기 시, 용기로부터 원터치 캡을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워 재활용 분리 배출이 안되는 단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84878호(공개일: 2012년 07월 3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힌지의 위치가 고정 캡의 바디보다 높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캡을 회동하여 닫을 때에, 배액 노즐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배액 노즐의 밀봉 라인과 밀폐 돌기의 밀봉 라인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밀폐 돌기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의 배액 구멍을 깊숙이 삽입하여 밀봉함으로써, 용기 내의 액체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용기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액체 내용물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과제는 변조방지용 후크가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 안에 한번 삽입되면 변조방지용 후크의 끝단이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에 걸려서 빠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사용 시에는 회동 캡을 상방으로 잡아당겨서 변조방지용 후크를 절단한 후에 회동 캡을 개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축필름을 별도로 패킹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공정이 단축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단순구조에 의해서 유통과정에서 위조와 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은 용기의 입구부에 바디가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며,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액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 노즐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바디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단턱 홈을 갖는 결합리브가 돌출되며, 상기 결합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결합리브 보다 낮은 높이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에는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 홀이 형성되는 고정 캡; 및 힌지에 바디가 연결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 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바디 내측에는 상기 배액 노즐의 입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밀폐 돌기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바디의 하면 테두리 내주면을 따라 상기 단턱 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바디의 하면 테두리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플랜지에 접촉하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에는 변조방지용 후크가 형성되는 회동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힌지의 위치가 상기 고정 캡의 바디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캡을 회동하여 닫을 때, 상기 배액 노즐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상기 배액 노즐의 밀봉 라인과 상기 밀폐 돌기의 밀봉 라인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상기 밀폐 돌기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의 배액 구멍을 깊숙이 삽입하여 차단하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캡의 바디 전면에는 손잡이용 홈을 갖는 경사부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밀폐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손잡이용 홈 안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회동 캡을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캡의 바디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고정 캡을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절개 홈이 형성됨으로써, 용기로부터 원터치 캡을 분리할 때, 회동 캡을 잡고 위로 당기면 절개 홈이 일부 찢어지면서 캡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리수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캡의 바디에는 상기 용기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 캡의 바디에는 공기 흡입구를 차단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캡을 닫을 때, 상기 고정 캡과 상기 회동 캡이 형합(결합)되도록 상기 회동 캡의 후방쪽 부분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액 노즐의 입구부 각도는 상기 고정 캡의 바디를 기준으로 2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약 30°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 캡의 제작에서, 상부 금형의 분리시 상기 상부 금형의 수직방향 분리를 위하여 상기 배액 노즐의 배액 구멍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 안에 상기 변조방지용 후크를 한번 끼워 결합한 후에, 상기 회동 캡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변조방지용 후크의 끝단이 절단되어 변조방지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 캡을 열기 위해 당기면 상기 변조방지용 후크의 양 끝단이 끊어지도록 변조방지용 후크에는 절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캡을 열었을 때, 상기 고정 캡의 바디보다 상기 회동 캡의 바디가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 캡의 바디보다 상기 회동 캡의 바디가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후방 쪽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후방 쪽에 연결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의 높이는 상기 힌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힌지의 위치가 고정 캡의 바디보다 높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캡을 회동하여 닫을 때, 배액 노즐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배액 노즐의 밀봉 라인과 밀폐 돌기의 밀봉 라인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밀폐 돌기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의 배액 구멍을 깊숙이 삽입하여 밀봉함으로써, 밀폐 돌기와 배액 노즐 간의 틈새를 제거하여 용기 내의 액체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용기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액체 내용물의 변질 및 부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변조방지용 후크가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 안에 한번 삽입되면, 변조방지용 후크의 끝단이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에 걸려서 빠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사용 시에는 회동 캡을 상방으로 잡아당겨서 변조방지용 후크를 절단한 후에 회동 캡을 개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산공정에서 수축필름을 패킹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공정이 단축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단순구조에 의해서 유통과정에서 위조와 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정 캡의 바디 하부 내주면에 다수의 절개 홈이 형성되어, 용기로부터 원터치 캡을 분리할 때, 회동 캡을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절개 홈이 일부 찢어져 캡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용기와 원터치 캡의 분리 수거 측면에서 분리수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고정 캡의 바디에 용기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회동 캡의 바디에는 공기 흡입구를 차단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가 형성되어 용기 내부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글라스 재질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배액 노즐을 통해서 용기의 액체 내용물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회동 캡의 바디 전면에 살빼기 구조로 손잡이용 홈을 형성하여, 회동 캡을 개방할 때에 그 손잡이용 홈을 손잡이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손잡이용 홈만큼 회동 캡의 두께 편차로 인한 수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디가 슬림화되어, 제작시 재료를 절감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터치 캡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용기에 결합된 원터치 캡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용기에 결합된 원터치 캡을 열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용기에 결합된 원터치 캡을 열고, 액체 내용물을 토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에서, 회동 캡을 열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에서, 회동 캡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정면도
도 9는 도 6의 배면도
도 10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11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5의 평면도
도 13은 도 6의 평면도
도 14는 도 5의 저면도
도 15는 도 6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 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용기에 결합된 원터치 캡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용기에 결합된 원터치 캡을 열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용기에 결합된 원터치 캡을 열고, 액체 내용물을 토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에서, 회동 캡을 열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에서, 회동 캡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배면도이며, 도 10은 도 5의 좌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우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6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5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도 6의 저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2)은 용기(10)의 입구부(11)에 바디(10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바디(101)의 상면에는 액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 노즐(102)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 캡(100); 고정 캡(10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며, 바디(201) 내측에는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밀폐 돌기(202)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회동 캡(200); 및 고정 캡(100)에 회동 캡(20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고정 캡(100)의 바디(101)보다 높게 배치되는 힌지(300); 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회동 캡(200)을 회동하여 닫거나 열 때, 배액 노즐(102)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과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밀폐 돌기(202)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깊숙이 삽입하여 차단하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2)에서,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이란 배액 노즐(102) 입구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선이고,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란 밀폐 돌기(202)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선이다. 그리고 정 위치란 밀폐 돌기(202)가 배액 노즐(102) 입구부 측면이 아니라 정면에서 배액 노즐(102) 입구부를 차단할 수 있는 위치를 말한다.
이하, 상기 고정 캡(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는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10)의 입구부(neck)(1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한다.
고정 캡(100)은 생산공정에서 용기(10)의 입구부(neck)(11)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사용 중이나 혹은 사용자(소비자)가 임의로 용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 하부에는 용기(10)의 입구부(neck)(11)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 홈(107)이 형성되고, 그 결합 홈(107)의 하단에는 걸림돌기(108)가 연장 형성된다. 결합 홈(107) 안에는 용기(10)의 입구부(11)가 억지끼움되고, 걸림돌기(108)에 걸리도록 입구부(11)의 외주에는 걸림턱(12)이 형성된다.
결합 홈(107) 안에 용기(10)의 입구부(neck)(11)가 삽입되어 밀착되면, 걸림턱(12)에 걸림돌기(108)가 걸리게 되고, 걸림돌기(108)의 하단은 용기(10)의 플랜지(1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원터치 캡(2)의 위치가 용기(10)의 입구부(11)에 고정되고, 용기(10) 내의 액체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101)의 상면에는 액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 노즐(102)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 각도(α)는 고정 캡(100)의 바디(101)를 기준으로 25° 내지 40°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 각도(α)를 25° 내지 40°로 경사지게 형성한 이유는, 상기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 각도가 40°를 초과하면 용기(10)를 덜 기울여도 액체 내용물을 토출하기는 쉽지만 밀폐 돌기(202)와 배액 노즐(102)의 개폐 구조상 밀폐 돌기(202)가 배액 노즐(102)을 정 위치에서 차단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20° 미만이면 밀폐 돌기(202)와 배액 노즐(102)의 개폐 구조상 밀폐 돌기(202)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102)을 차단하기가 상대적으로 쉽지만 용기(10)를 많이 기울여야 액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통해서 액체 내용물이 토출될 때에, 액체 내용물 전방으로 토출되지 않고 하방으로 비스듬히 토출되므로 사용자의 옷 등에 튀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편리하게 토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 안에는 오 토출 방지부(102b)가 더 형성되어 배액 구멍(102a)을 통해서 액체 내용물이 토출될 때에, 액체 내용물 전방으로 토출되지 않고 하방으로 비스듬히 토출되므로 사용자의 옷 등에 튀지 않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1)의 상면 테두리에는 그 상면 테두리를 따라 단턱 홈(103a)을 갖는 결합리브(103)가 돌출되고, 결합리브(103)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결합리브(103) 보다 낮은 높이로 제1 플랜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104)의 정 중앙에는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에는 후술하는 변조방지용 후크(205)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의 위치와 개수는 본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변조방지용 후크(205)는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 안에 한번 삽입되면, 변조방지용 후크(205)의 끝단이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강제로 회동 캡(20)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절단부(205a)에 의해 변조방지용 후크(205)가 절단됨으로써, 별도의 수축필름(미도시) 패킹공정을 거치지 않으면서도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조와 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 하부 내주면에는 용기(10)로부터 고정 캡(100)을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절개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캡(100)은 생산공정에서 용기(10)의 입구부(neck)(11)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사용 중이나 혹은 사용자(소비자)가 임의로 용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2)에서는, 절개 홈(110)에 의해서 용기(10)로부터 원터치 캡(2) 전체를 분리할 때에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즉, 액체 내용물을 다 사용한 후 용기(10) 폐기 시, 회동 캡(200)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절개 홈(110)에 의해서 고정 캡(100)의 바디(101) 하단부가 찢어지면서 원터치 캡(2) 전체를 용기(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 홈(110)을 이용하여 고정 캡(100)의 바디(101) 하단부를 찢어서 분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용기(10)로부터 원터치 캡(2)을 분리 수거하는 재활용 측면에서 분리수거가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에는 용기(10)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회동 캡(200)의 바디(201)에는 공기 흡입구(120)를 차단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120)는 공기 흡입홀(121)을 구비한다.
액체 내용물이 참기름 또는 들기름과 같은 식품일 경우, 글라스 재질의 용기(10)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글라스 재질의 용기(10)를 사용하는 경우,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이 좁아서 배액 노즐(102)을 통해서 액체 내용물이 잘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액체 내용물의 토출과 그 토출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따른 공기 유입이, 직경이 작은 배액 구멍(102a)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이 경우 용기(10) 내의 액체 내용물이 잘 토출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용기(10) 내의 액체 내용물이 잘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 캡(100)의 바디(101)에는 공기 흡입구멍(121)을 갖는 공기 흡입구(120)가 더 형성되고, 회동 캡(200)의 바디(201)에는 공기 흡입구(120)를 차단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220)가 형성됨으로써, 액체 내용물의 토출과 그 토출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따른 공기 유입이 별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액 구멍(102a)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도 용기(10) 내의 액체 내용물이 잘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회동 캡(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회동 캡(200)의 바디(201)는 힌지(300)를 통하여 고정 캡(100)의 바디(101)에 연장 형성되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고정 캡(10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한다.
회동 캡(200)의 바디(201) 내측에는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차단하기 위한 밀폐 돌기(202)가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25° 내지 40°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 캡(200)의 바디(201)의 테두리 내주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단턱 홈(103a)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203)가 돌출 형성된다.
바디(201)의 테두리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제1 플랜지(104)에 접촉하는 제2 플랜지(204)가 형성된다. 회동 캡(200)을 닫을 때, 제1 플랜지(104)와 제2 플랜지(204)는 밀착되며, 그 제1 플랜지(104)와 제2 플랜지(204)의 결합에 의해서 고정 캡(100)과 회동 캡(200)이 정 위치에서 결합하도록 한다.
제2 플랜지(204)에는 변조방지용 후크(205)가 형성될 수 있다. 변조방지용 후크(205)에는 회동 캡(200)을 열기 위해 당기면 끊어지도록 하는 절단부(205a)가 형성될 수 있다. 회동 캡(200)을 잡아당기면 절단부(205a)에 의해서 변조방지용 후크(205)의 양 끝단이 끊어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 캡(200)의 바디(201) 전면에는 손잡이용 홈(211)을 갖는 경사부(210)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그 경사부(210)에는 밀폐 돌기(20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 각도(α)가 25° 내지 40°로 경사지고, 이와 상응하여 경사부(210)도 고정 캡(100)의 바디(101)를 기준으로 25° 내지 40°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10)는 밀폐 돌기(202)가 일정 각도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밀폐 돌기(202)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사출금형(Injection mould)은 플라스틱의 가소성을 이용한 성형법으로 플라스틱 재료를 용융하여 금형의 상측과 하측의 공간에 넣어 경화시켜서 제품을 만드는 금형이다.
사출금형 제작시 고려해야 할 첫 번째 사항은 제품을 수축 변형이 없게 생산하기 위해서 살빼기를 하고, 두 번째 사항은 금형 내에서 뻑뻑하게 굳은 제품을 쉽게 빼내기 위하여 구배(경사각도)를 주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첫 번째 사항을 고려하여 회동 캡(200)의 바디(201) 전면에 손잡이용 홈(211)을 갖는 경사부(210)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살빼기를 함으로써, 수축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살빼기 부분을 손잡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 캡(200)의 바디(201) 전면에 손잡이용 홈(211)을 형성하여 회동 캡(200)을 개방할 때에 손잡이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경사부(210)에 밀폐 돌기(202)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회동 캡(200)의 바디(201)가 슬림화되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사항을 고려하여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수직으로 형성한다.
즉, 고정 캡(100)의 제작 시,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형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안으로 수지액을 주입하고 경화한 후,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을 수직방향 분리하여 제품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배액 구멍(102a)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도 2 및 도 3 참조).
본 실시 예의 원터치 캡의 형상에 있어서, 회동 캡(200)을 닫을 때, 고정 캡(100)과 회동 캡(200)의 형상이 합치되도록 상기 힌지(300)와 상응하여 회동 캡(200)의 후방쪽에는 절개부(20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터치 캡(2)의 형상은 본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하, 상기 힌지(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힌지(300)는 그 위치가 고정 캡(100)의 바디(101)보다 높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 캡(200)을 회동하여 닫을 때, 배액 노즐(102)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과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밀폐 돌기(202)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깊숙이 삽입하여 차단함으로써, 액체 내용물 일부가 누출되거나 공기가 유입되어 액체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부패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 캡(200)을 회동하여 닫을 때에,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과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일치된 상태로, 밀폐 돌기(202)가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차단함으로써, 종래 원터치 캡의 토출구(21)가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에서는, 밀폐 돌기(31)가 정 위치에서 토출구(21)를 차단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 충격 등에도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깊숙이 삽입하여 차단함으로써, 액체 내용물 일부가 누출되거나 공기가 유입되어 액체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부패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생산 과정에서, 수축필름 패킹 공정을 하지 않고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 안에 변조방지용 후크(205)를 결합하여 밀봉한 후에 출하하며, 유통과정에서 위조 및 변조를 목적으로 회동 캡(200)을 개방하는 경우, 변조방지용 후크(205)가 절단되어 위조와 변조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캡(100)의 바디(101)는 회동 캡(200)의 바디(201)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될 수 있으며, 힌지(300)는 제1 플랜지(104)의 후방 쪽에서 고정 캡(100)의 바디(101)와 회동 캡(200)의 바디(201)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120)는 제1 플랜지(104)의 후방 쪽에 연결되어 유동(흔들림)이 방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흡입구(120)의 높이는 힌지(3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캡(2)의 작동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 손으로는 용기(10)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회동 캡(200)의 전면에 형성된 손잡이용 홈(211) 안에 손가락을 넣은 후, 상방으로 회동 캡(200)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변조방지용 후크(205)에 힘이 가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조방지용 후크(205)가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이므로, 강제로 변조방지용 후크(205)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절단부(205a)에 의해서 변조방지용 후크(205)가 절단됨에 따라 회동캡(20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원터치 캡(2)은, 기존 원터치 캡(1)과는 달리,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조나 회동 캡이 임의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축필름(일명, 버진캡)을 사용하지 않고, 변조방지용 후크(205)를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수축필름 패킹 공정을 제거하여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다음, 힌지(300)를 기준으로 회동 캡(200)을 회동하여 개방한 후, 배액 노즐(102)을 통해서 용기(10) 내의 액체 내용물을 필요한 양만큼 토출하여 사용한다.
그 다음, 힌지(300)를 기준으로 회동 캡(200)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 후, 배액 노즐(102)을 밀봉하여 용기(10)를 보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보관 과정은 밀폐 돌기(202)가 배액 노즐(102)의 정 위치에 삽입되어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완전 밀봉하여야 용기(10) 내의 액체 내용물이 누출되거나 공기 유입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밀폐 돌기(202)가 배액 노즐(102)을 밀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 캡(200)을 회동시키면, 배액 노즐(102)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과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힌지(300)의 위치가 고정 캡(100)의 바디(101)보다 높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과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밀폐 돌기(202)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깊숙하게 삽입하여 차단한다.
즉, 밀폐 돌기(202)가 배액 노즐(102)의 정 위치에서 차단하여 밀폐 돌기(202)와 배액 노즐(102) 간의 틈새를 제거함으로써, 액체 내용물 일부가 누출되거나, 용기(1) 안으로 공기 유입되어 액체 내용물을 변질시키거나 부패시키는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힌지의 위치가 고정 캡의 바디보다 높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캡을 회동하여 닫을 때, 배액 노즐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배액 노즐의 밀봉 라인과 밀폐 돌기의 밀봉 라인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밀폐 돌기가 정 위치에서 배액 노즐의 배액 구멍을 깊숙이 삽입하여 밀봉함으로써, 밀폐 돌기와 배액 노즐 간의 틈새를 제거하여 용기 내의 액체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용기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액체 내용물의 변질 및 부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변조방지용 후크가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 안에 한번 삽입되면, 변조방지용 후크의 끝단이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에 걸려서 빠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사용 시에는 회동 캡을 상방으로 잡아당겨서 변조방지용 후크를 절단한 후에 회동 캡을 개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산공정에서 수축필름을 패킹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공정이 단축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단순구조에 의해서 유통과정에서 위조와 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정 캡의 바디 하부 내주면에 다수의 절개 홈이 형성되어, 용기로부터 원터치 캡을 분리할 때, 회동 캡을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절개 홈이 일부 찢어져 캡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용기와 원터치 캡의 분리 수거 측면에서 분리수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고정 캡의 바디에 용기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회동 캡의 바디에는 공기 흡입구를 차단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가 형성되어 용기 내부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글라스 재질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배액 노즐을 통해서 용기의 액체 내용물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회동 캡의 바디 전면에 살빼기 구조로 손잡이용 홈을 형성하여, 회동 캡을 개방할 때에 그 손잡이용 홈을 손잡이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손잡이용 홈만큼 회동 캡의 두께 편차로 인한 수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디가 슬림화되어, 제작시 재료를 절감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원터치 캡
10: 용기
11: 용기의 입구부
100: 고정 캡
101: 고정 캡의 바디
102: 배액 노즐
102a: 배액 구멍
103a: 단턱 홈
103: 결합리브
104: 제1 플랜지
105: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
107: 삽입홈
110: 절개홈
120: 공기 흡입구
200: 회동 캡
201: 회동 캡의 바디
202: 밀폐 돌기
203: 결합 돌기
204: 제2 플랜지
205: 변조방지용 후크
205a: 절단부
210: 경사부
211: 손잡이용 홈
220: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
300: 힌지

Claims (21)

  1. 용기(10)의 입구부에 바디(101)가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며, 상기 바디(101)의 상면에는 액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 노즐(102)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바디(101)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단턱 홈(103a)을 갖는 결합리브(103)가 돌출되며, 상기 결합리브(103)의 외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결합리브(103) 보다 낮은 높이로 제1 플랜지(10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104)에는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이 형성되는 고정 캡(100); 및
    힌지(300)에 바디(201)가 연결되며,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 캡(10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바디(201) 내측에는 상기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밀폐 돌기(202)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바디(201)의 하면 테두리 내주면을 따라 상기 단턱 홈(103a)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203)가 돌출되며, 상기 바디(201)의 하면 테두리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플랜지(104)에 접촉하는 제2 플랜지(204)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204)에는 변조방지용 후크(205)가 형성되는 회동 캡(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300)의 위치가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캡(200)을 회동하여 닫을 때, 상기 배액 노즐(102)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상기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과 상기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상기 밀폐 돌기(202)가 상기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캡(200)의 바디(201) 전면에는 손잡이용 홈(211)을 갖는 경사부(210)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10)에는 상기 밀폐 돌기(2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10)로부터 상기 고정 캡(100)을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절개 홈(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에는 상기 용기(10)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 캡(200)의 바디(201)에는 공기 흡입구(120)를 차단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캡(200)을 닫을 때, 상기 고정 캡(100)과 상기 회동 캡(200)이 결합하도록 상기 회동 캡(200)의 후방쪽 부분이 절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 각도는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를 기준으로 25° 내지 40°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100)의 금형 사출에서, 상부 금형의 분리시 상기 상부 금형의 수직방향 분리를 위하여 상기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방지용 후크 결합홀(105) 안에 상기 변조방지용 후크(205)를 한번 끼워 결합한 후에, 상기 회동 캡(200)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변조방지용 후크(205)가 절단되어 변조방지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방지용 후크(205)에는 절단부(20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캡(200)의 바디(201)가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0)는 상기 제1 플랜지(104)의 후방 쪽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120)는 상기 제1 플랜지(104)의 후방 쪽에 연결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120)의 높이는 상기 힌지(3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4. 용기(10)의 입구부에 바디(10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바디(101)의 상면에는 액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 노즐(102)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 캡(100);
    상기 고정 캡(10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며, 바디(201) 내측에는 상기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밀폐 돌기(202)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회동 캡(200); 및
    상기 고정 캡(100)에 상기 회동 캡(20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보다 높게 배치되는 힌지(300);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에는 상기 용기(10)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 캡(200)의 바디(201)에는 공기 흡입구(120)를 차단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22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120)는 상기 제1 플랜지(104)의 후방 쪽에 연결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캡(200)의 바디(201) 전면에는 손잡이용 홈(211)을 갖는 경사부(210)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10)에는 상기 밀폐 돌기(2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10)로부터 상기 고정 캡(100)을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절개 홈(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에는 상기 용기(10)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 캡(200)의 바디(201)에는 공기 흡입구(120)를 차단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차단 돌기(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캡(200)을 닫을 때, 상기 고정 캡(100)과 상기 회동 캡(200)이 결합하도록 상기 회동 캡(200)의 후방쪽 부분이 절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 각도는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를 기준으로 25° 내지 40°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캡(200)을 회동하여 닫을 때, 상기 배액 노즐(102)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상기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과 상기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상기 밀폐 돌기(202)가 상기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21. 용기(10)의 입구부에 바디(10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바디(101)의 상면에는 액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 노즐(102)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 캡(100);
    상기 고정 캡(10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며, 바디(201) 내측에는 상기 배액 노즐(102)의 입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밀폐 돌기(202)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회동 캡(200); 및
    상기 고정 캡(100)에 상기 회동 캡(20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고정 캡(100)의 바디(101)보다 높게 배치되는 힌지(300); 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캡(200)을 회동하여 닫을 때, 상기 배액 노즐(102)의 경사각도에 상응하여 상기 배액 노즐(102)의 밀봉 라인(L1)과 상기 밀폐 돌기(202)의 밀봉 라인(L2)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상태로, 상기 밀폐 돌기(202)가 상기 배액 노즐(102)의 배액 구멍(102a)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KR1020210164413A 2021-07-09 2021-11-25 원터치 캡 KR20230009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13A KR20230009795A (ko) 2021-07-09 2021-11-25 원터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200A KR102388913B1 (ko) 2021-07-09 2021-07-09 원터치 캡
KR1020210164413A KR20230009795A (ko) 2021-07-09 2021-11-25 원터치 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200A Division KR102388913B1 (ko) 2021-07-09 2021-07-09 원터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795A true KR20230009795A (ko) 2023-01-17

Family

ID=814372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200A KR102388913B1 (ko) 2021-07-09 2021-07-09 원터치 캡
KR1020210164413A KR20230009795A (ko) 2021-07-09 2021-11-25 원터치 캡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200A KR102388913B1 (ko) 2021-07-09 2021-07-09 원터치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88913B1 (ko)
WO (1) WO2023282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13B1 (ko) * 2021-07-09 2022-04-21 김경숙 원터치 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878A (ko)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성림정공 액상 식품용 용기 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66A (ja) * 1997-07-11 1999-02-02 Yamamura Glass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5256013B2 (ja) * 2008-12-24 2013-08-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KR101062113B1 (ko) * 2009-02-16 2011-09-02 전영복 용기마개 고정구
JP6290613B2 (ja) * 2013-11-27 2018-03-07 三笠産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18087034A (ja) * 2016-11-29 2018-06-07 東罐興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容器
KR200497215Y1 (ko) * 2017-12-15 2023-08-31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KR102388913B1 (ko) * 2021-07-09 2022-04-21 김경숙 원터치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878A (ko)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성림정공 액상 식품용 용기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536A1 (ko) 2023-01-12
KR102388913B1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6238A1 (en) Sift-resistant dispensing closure
US5358130A (en) One-piece container closure with lid held open for dispensing
CA2688363C (en) One-piece dispensing closure
US20060043091A1 (en) Seal for reclosable cap enclosure
CN103958363B (zh) 显窃启封闭件
WO2008024775A1 (en) Closure for container
BRPI0817557B1 (pt) Fecho de plástico
KR20230009795A (ko) 원터치 캡
ZA200302209B (en) Sealed cosmetic dispenser with easy open closure.
US2322527A (en) Bottle closure
JP6377977B2 (ja) 紙製容器用の注出装置
JP3895704B2 (ja) 注出筒付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101876962B1 (ko)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JP5912661B2 (ja) 合成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
CA2701024C (en) Sift-resistant dispensing closure
KR200447108Y1 (ko) 양념통 뚜껑
JPH08156957A (ja) キャップ
JP2001192051A (ja) 飲料容器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JP3583235B2 (ja) 内容液注出容器における中栓およびキャップ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KR930000541Y1 (ko) 용기 마개
JP4316201B2 (ja) 注出栓及び該注出栓を使用した容器
KR200185918Y1 (ko) 용기용 밸브
JP7312423B2 (ja) キャ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