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41Y1 -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41Y1
KR930000541Y1 KR2019900020666U KR900020666U KR930000541Y1 KR 930000541 Y1 KR930000541 Y1 KR 930000541Y1 KR 2019900020666 U KR2019900020666 U KR 2019900020666U KR 900020666 U KR900020666 U KR 900020666U KR 930000541 Y1 KR930000541 Y1 KR 930000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piece
jaw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김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남 filed Critical 김성남
Priority to KR2019900020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4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기 마개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마개를 개방한 상태의 요부확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4a도는 C부 확대단면도, 제4b도는 D부 확대단면도, 제4c도는 E부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마개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제6도는 종래제품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용기마개 B : 유출부
1 : 몸체 2 : 마개
3 : 용기 4 : 유출관
4' : 유출안내로 5 : 흡입공
6 : 지지격판 7 : 첨단부
8 : 안내개구부 9 : 결합공
10 : 연결편 11 : 결합편
11' : 걸림턱 12 : 괘지턱
13 : 괘지편 13' : 만곡부
14 : 걸림환턱
본 고안은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내의 내용물을 유출할시에 마개의 개방상태가 부동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 유출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중 또는 사용후의 내용물이 외부로 전혀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용기의 청결함(cleanliness)을 유지토록 한데에 고안의 주안점이 있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기(특히, 장유용 용기)가 제6도에 사시도로서 개시되어 있다. 제6도상의 용기마개는 공개번호 제86-706호(출원번호 : 84-5772)공개된 내용으로서 이의 구성과 문제점을 상세히 살펴보면 :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되는 몸체(101)와 마개(102)를 몸체(101)상부의 좌우 결합공(103)일측의 개구부(104)를 통하여 마개(102)의 연결편(105)좌우 단부에 돌설된 돌봉(106)을 억지끼움하여, 상기 돌봉(106)의 축핀역할로 마개(105)가 개폐되는바, 이는 마개(102)개방상태에서 용기내의 내용물을 유출코져 할시에 마개(102)가 자중 및 용기의 미세한 유동에도 닫혀지는 폐단에 있어 내용물의 유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마개(102)에 내용물이 묻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마개(102)가 몸체(101)로부터 쉬이 이탈하여 분실되는 사례가 허다함은 물론, 마개를 닫을때 필히 방향을 확인한 후 닫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용기 마개는 용기와의 밀폐력이 저조하다. 이는 용기마개와 용기가 단순히 나사결합으로 밀폐되거나, 결합용 환턱과 환홈에 의해 밀폐되어 용기가 넘어졌을때는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내의 내용물 유출후 잔여내용물의 재수거 또한 용이치 않은등 다수의 문제점을 해결치 못하였는 바,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의 용기마개(A)는 제1도의 사시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몸체(1)와 마개(2)로 대분되며, 상기 몸체(1) 내주연에는 나선(1')이 형성되어 용기(3)와 나사결합된다. 이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키로 하고, 제2도를 참조하여 마개(2)가 개방된 상태의 유출부(B)를 살펴보기로 한다.
유출관(4)과 흡입공(5)이 형성된 지지격판(6)은 흡입공(5)을 중심으로 상향 경사진 깔데기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는 잔류 내용물의 흡입공(5)으로의 재수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유출관(4)으로 유출된 내용물의 잔여분은 유출관(4)을 따라 흘러내려 지지격판(6)을 경유하여 흡입공(5)으로 재수거되는 데에는 많은 소요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내용물의 재수거 시간을 최소화하고져 지지격판(6)의 상부, 즉 유출관(4)전측을 산형의 첨단부(7)로 구성하였다.[제4a도 참조]
상기 첨단부(7)로 하여 유출관(4)의 외연을 타고 흘러내린 잔여 내용물은 첨단부(7)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분산되어 급속히 흡입공(5)으로 재수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출관(4)의 상단 유출안내로(4')후측에는 안내개구부(8)가 요설되어 있다. 이는 용기(3)내의 내용물 유출시에 내용물의 원활한 유출을 제공한다. 내용물 유출시 흡입공(5)을 통해 용기(3)내로 흡입된 공기는 유출관(4)을 따라 내용물과 배출되면서 안내개구부(8)로 유도되어 재차 흡입공(5)으로 흡입되는 순환을 연속으로 행하면서 내용물의 정량신속 유출에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다.
마개(2)는 몸체(1)에 억지끼움으로 삽설되며 이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몸체(1)에 테이퍼형 결합공(9)이 형성되어 마개(2)의 연결편(10)단부에 형성된 테이퍼형 결합편(11)이 억지끼움된다. 결합편(11)단부에는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공(9)하단에서 고정케 되는 것이다.
실재 결합편(11)은 결합공(9)보다 약간 크게 성형된 후 억지끼움되므로 결합공(9)의 하단과 걸림턱(11')상간에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는 결합공(9)과 결합편(11)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편(11)이 상부로 올라가려는 반발력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밀폐된다.
그리고 결합공(9)상부의 몸체(1)좌우에는 괘지턱(12)이 돌설된다. 동 괘지턱(12)은 마개(2)의 연결편(10)좌우에 형성된 괘지편(13)의 선단과 연접되는 부위로서, 마개(2)가 밀폐시는 이격되고, 마개(2)개방시에는 괘지편(13)의 선단이 괘지턱(12)에 슬라이드되면서 90도 이상 접혀졌을 때 마개(2)의 유동 및 닫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괘지편(13)의 선단 만곡부(13')가 괘지턱(2)에 연접되게끔 구성되었다.[제4b도 참조]
이때 마개(2)의 연결편(10)은 만곡상태(마개 밀폐시)에서 펼쳐져 탄력을 지닌 상태이므로 괘지편(13)의 괘지력을 보조케 되는 것이다.
몸체(1)의 내저부에는 용기(3)의 상내연과 긴밀히 연접되는 걸림환턱(14)이 환설되어 있으며, 이는 용기(3)와 용기마개(A)를 결합하였을시에 패킹역할을 수행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용기마개(A)는 용기(3)와 1차마다 결합되고 내부에는 걸림환턱(14)이 용기(3)상단내연부와 긴밀히 밀착케 되므로 완벽한 밀폐효과를 거둘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3)내의 내용물 유출시 마개(2)의 닫힘 또는 유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용물의 낭비 및 유출방해 요소를 제거하였으며 잔여 내용물의 재수거를 신속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3)와 용기마개(A)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등 그 효용가치가 매우 높은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이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범위가 언급될 것이나, 단순히 재질의 변경이나 부분적인 구조를 등가물로 치환하는 것도 그 기술사상을 같이하는 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 하겠다.

Claims (2)

  1. 몸체(1)와 마개(2)로 결합구성되는 용기마개(A)에 있어서, 상기 몸체(1)내저부에는 용기(3)의 상내연과 연접되는 걸림환턱(14)이 환설되고, 상기 마개(2)는 연결편(10)단부에 걸림턱(11')을 가진 테이퍼형 결합편(11)이 구비되어, 동 결합편(11)은 몸체(1)에 형성된 테이퍼형 결합공(9)에 억지끼움되며, 상기 마개(2)의 연결편(10)좌우에는 선단에 만곡부(13')가 형성된 괘지편(13)이 형성되어 몸체(1) 결합공(9)상부좌우의 괘지턱(12)에 슬라이드 연접케 구성되며, 상기 몸체(1)의 유출관(4)전측의 지지격판(6)에는 산형의 첨단부(7)가 형성지며, 상기 유출관(4)상단의 유출안내로(4')후측에는 안내개구부(8)가 요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괘지편(13)은 마개(2)밀폐시에는 괘지턱(12)과 이격되고, 마개(2)개방시에는 만곡부(13')가 괘지턱(12)에 연접되어 막(2)의 개방상태를 괘지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KR2019900020666U 1990-12-21 1990-12-21 용기 마개 KR930000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666U KR930000541Y1 (ko) 1990-12-21 1990-12-21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666U KR930000541Y1 (ko) 1990-12-21 1990-12-21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541Y1 true KR930000541Y1 (ko) 1993-02-10

Family

ID=1930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666U KR930000541Y1 (ko) 1990-12-21 1990-12-21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5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8130A (en) One-piece container closure with lid held open for dispensing
US4132334A (en) Spill and tamper resistant safety closure
US5988413A (en) Child resistant container and closure
CA1299143C (en) Cap for bottles and the like
US5052575A (en) Holder for an aseptic package
EP3336004A1 (en) Closing cap for containers for liquids, with discharge adjustment
KR930000541Y1 (ko) 용기 마개
US5000354A (en) Container for fluids
KR102388913B1 (ko) 원터치 캡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JPH0339411Y2 (ko)
BE1006947A6 (fr) Bouchon inviolable en matiere synthetique en une seule piece, a capuchon articule avec une charniere a effet de ressort.
KR200181962Y1 (ko) 소아용 액체용기의 뚜껑
KR940002881Y1 (ko) 용기의 뚜껑부 회전 개폐장치
JP2001192051A (ja) 飲料容器
JP4447711B2 (ja) 可撓性吸引管を備えた容器蓋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RU222008U1 (ru) Закрывающий колпачок на шарнире с защитой от брызг
KR0133369Y1 (ko) 액체용기마개
JPH0718588Y2 (ja) 容器の注出口
KR100526153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940001910Y1 (ko) 액체용기의 마개
KR200451448Y1 (ko) 사용이 편리한 식품용기 마개구조
KR890008069Y1 (ko) 세제용기의 유출개폐장치
KR200486082Y1 (ko)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