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82Y1 -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82Y1
KR200486082Y1 KR2020170004542U KR20170004542U KR200486082Y1 KR 200486082 Y1 KR200486082 Y1 KR 200486082Y1 KR 2020170004542 U KR2020170004542 U KR 2020170004542U KR 20170004542 U KR20170004542 U KR 20170004542U KR 200486082 Y1 KR200486082 Y1 KR 200486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charge port
hinge
projectio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정 filed Critical (주)삼정
Priority to KR2020170004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구를 갖고 병에 결합되는 바디에 배출구 둘레의 유체안내돌기를 형성하여 배출 정확성을 확보하며, 또 바디와 힌지를 통하여 연결된 커버에 배출구에 내삽되어 엇물리는 밀폐돌기를 도입하여 간이 밀폐성까지 확보하며, 나아가 밀폐돌기가 경사단부를 갖도록 하여 일체형 유연성 힌지를 도입하여도 폐쇄시 밀폐돌기가 정확하게 배출구에 결합되도록 한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캡어셈블리는 배출구, 이 배출구 둘레의 일측에 구비된 유체안내돌기,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병결합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배출구에 내삽되어 엇물리는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바디와 커버를 연결하도록 유체안내돌기의 대편에 해당하는 타측에 배열된 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CAP ASSEMBLY EQUIPPED WITH DISCHARGE ACCURACY MEANS}
본 고안은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구를 갖고 병에 결합되는 바디에 배출구 둘레의 유체안내돌기를 형성하여 배출 정확성을 확보하며, 또 바디와 힌지를 통하여 연결된 커버에 배출구에 내삽되어 엇물리는 밀폐돌기를 도입하여 간이 밀폐성까지 확보하며, 나아가 밀폐돌기가 경사단부를 갖도록 하여 일체형 유연성 힌지를 도입하여도 폐쇄시 밀폐돌기가 정확하게 배출구에 결합되도록 한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가정, 식당 등에서 사용하는 생수병이나 텀블러 등에는 병(bootle)에 결합되고 배출구를 갖는 바디와, 이 배출구를 개폐하는 커버로 구성된 다양한 캡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 제20-0315101호(등록일자 2003년05월20일) [컵 뚜껑]이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통상 휴대가 가능한 컵에 사용되는 뚜껑은 상단면이 경사져 있고, 경사진 상단면의 하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휴대시 액체가 쉽게 유출되지 않는 기능적 구조로 되어 있으나, 심한 요동에 의한 흔들림에 의해서는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 개구부에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된 마개가 형성된 것이 있으나, 이 마개의 경우 단지 개구부의 차단 기능만이 가능할 뿐 밀폐 기능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컵을 세운 상태로만 휴대하여야 하여 하는 불편함과, 컵이 쓰러지면 액체가 유출된다는 점과, 음료를 마시는 도중 경사진 상단면을 타고 마개가 내려와 닫히게 되는 단점이 있어, 이 등록고안에서는 이중컵 뚜껑은 마개에 개구부에의 밀폐수단을 강구하여 액체의 유출을 완전히 방지토록 함으로서 휴대의 편리함을 도모하였고, 마개를 축결합에 의한 회전방식으로 개폐토록 하여 개폐 시 뚜껑에 고정토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토록 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12-0094649호(공개일자 2012년08월27일) [음료용기의 마개]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에서는 음료용기를 밀폐하되 충진된 음료수에 포함된 탄산가스 또는 알코올이 음료용기를 개봉한 후 다시 입구를 막았을 때 음용수가 나간 만큼의 빈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용기의 밀폐처리된 마개를 개봉한 후에도 음료 본연의 맛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병의 입구에 결합되는 마개몸체와, 마개몸체의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펌프연결부재와, 펌프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펌프로 구성되며, 마개몸체와 펌프연결부재의 힌지 결합된 타측 방향에 회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상호 치합되는 잠금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마개몸체와 펌프본체는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마개몸체의 상부내측으로 움푹하게 파이며 외주연이 원호로 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펌프본체는 상기 안착부에 밀착되도록 외주연이 원호로 된 돌출결합부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음용수용기에 공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일방향 밸브가 설치된 가압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음료용기의 마개를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10-1404859호(등록일자 2014년05월30일)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분리 가능한 뚜껑은 스파우트를 가지는 내측 뚜껑과 열 수 있는 힌지를 가진 외측 뚜껑을 포함하고, 내측 뚜껑은 외측 뚜껑에 있는 노치와 체결되는 이동 가능한 연장부(extension)에 의해 닫히고, 상기 연장부를 노치의 맞물림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시 버튼을 동작시킴으로써 열리게 되어, 뚜껑은 음료용 스파우트를 가지는 내측 뚜껑과 상기 음료용 스파우트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0942642호(등록일자 2010년02월08일) [용기의 공회전방지 마개]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마개 본체부의 힌지부 내측에 마개 개방시 용기 본체에 지렛대 형태로 걸쳐지는 고임편이 구비됨으로써 개방상태의 유지 및 공회전을 저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부돌출 구성을 배제하여 어떤 형태의 자동화포장라인에 설치된 기기에도 적용이 자유롭도록 하는 용기의 공회전방지 마개를 제시하며, 마개 본체부의 힌지부 내측에 마개 개방시 용기 본체에 지렛대 형태로 걸쳐지는 고임편이 구비됨으로써 개방상태의 유지 및 공회전을 저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부돌출 구성을 배제하여 어떤 형태의 자동화포장라인에 설치된 기기에도 적용이 자유롭도록 하는 용기의 공회전방지 마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가정, 식당 등에서 사용하는 생수병이나 텀블러 등에는 병(bootle)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바디에 배출구 둘레의 유체안내돌기를 형성하여 배출 정확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나, 배출구의 밀폐성을 단순하게 일체형 합성수지 소재 자체에 의하여 간소하게 확보하는 기술이나, 또 일체형 수지재 유연성 힌지를 도입함에도 커버의 밀폐돌기가 정확하게 바디의 배출구에 실패 없이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와는 모두 부관하다.
이에 본 고안은 배출구를 갖고 병에 결합되는 바디에 배출구 둘레의 유체안내돌기를 형성하여 배출 정확성을 확보하며, 또 바디와 힌지를 통하여 연결된 커버에 배출구에 내삽되어 엇물리는 밀폐돌기를 도입하여 간이 밀폐성까지 확보하도록 한 캡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또 본 고안은 밀폐돌기가 경사단부를 갖도록 하여 일체형 유연성 힌지를 도입하여도 폐쇄시 밀폐돌기가 정확하게 배출구에 결합되도록 한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바디와 커버를 연결하는 힌지가 서로 힘 작용점이 다른 제1스윙축과 제2스윙축으로 구성하여 커버의 개폐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고, 특히 내용물(유체, 특히 생수)을 배출하는 경우 커버가 임의로 배출구를 닫지 않도록 한 캡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나아가 본 고안은 배출구 폐쇄 상태에서 커버, 바디, 힌지가 가급적 한 덩이인 것과 같은 경계면을 유지하여 미감 향상 및 사용자 상해나 주변 기물 파손 문제가 없도록 한 캡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또한 본 고안은 바디 배출구 둘레에 밀폐환턱을 도입하고, 이 밀폐환턱과 커버의 외곽 스커트가 엇물려 추가로 밀폐성이 확보되도록 한 캡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또한 본 고안은 바디가 유체안내돌기와 연결되고 유체안내돌기 보다 낮은 경계턱을 가져 배출구 및 유체안내돌기 이외의 부위에 유체가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추가로 배출 정확성을 보강하는 캡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또한 본 고안은 유체안내돌기가 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두께가 차츰 감소하는 점감아치부로 구성되고, 나아가 배출구가 즉 힌지 반대측으로 편심되어 있어 생수 등 병에 담긴 유체 배출시 유체안내돌기 외에는 가급적 유체가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더욱 더 배출 정확성을 보강하는 캡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구체적으로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 보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는
배출구, 이 배출구 둘레의 일측에 구비된 유체안내돌기,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병결합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배출구에 내삽되어 엇물리는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바디와 커버를 연결하도록 유체안내돌기의 대편에 해당하는 타측에 배열된 힌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에서
상기 커버의 밀폐돌기는 힌지측이 더 길게 형성되어 경사단부를 갖고,
상기 힌지는 커버와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상하접면에서 벗어나 커버와 바디를 연결하는 제1스윙축과,
제1스윙축과 어긋난 위치에서 커버와 바디를 연결하는 제2스윙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에서 제1스윙축은 커버와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좌우접면과 동일선상에 배열되어 있고, 제2스윙축은 바디에 위치한 하부 제2-1스윙축과, 커버에 위치한 상부 제2-2스윙축과, 제2-1스윙축 및 제2-2스윙축을 잇는 탄성편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구체적으로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 보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는 배출구를 갖고 병에 결합되는 바디에 배출구 둘레의 유체안내돌기를 형성하여 배출 정확성을 확보하며, 또 바디와 힌지를 통하여 연결된 커버에 배출구에 내삽되어 엇물리는 밀폐돌기를 도입하여 간이 밀폐성까지 확보하고, 또 밀폐돌기가 경사단부를 갖도록 하여 일체형 유연성 힌지를 도입하여도 폐쇄시 밀폐돌기가 정확하게 배출구에 결합되며, 아울러 바디와 커버를 연결하는 힌지가 서로 힘 작용점이 다른 제1스윙축과 제2스윙축으로 구성하여 커버의 개폐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고, 특히 내용물(유체, 특히 생수)을 배출하는 경우 커버가 임의로 배출구를 닫지 않도록 구성되며, 나아가 배출구 폐쇄 상태에서 커버, 바디, 힌지가 가급적 한 덩이인 것과 같은 경계면을 유지하여 미감 향상 및 사용자 상해나 주변 기물 파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바디 배출구 둘레에 밀폐환턱을 도입하고, 이 밀폐환턱과 커버의 외곽 스커트가 엇물려 추가로 밀폐성이 확보되며, 또한 바디가 유체안내돌기와 연결되고 유체안내돌기 보다 낮은 경계턱을 가져 배출구 및 유체안내돌기 이외의 부위에 유체가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추가로 배출 정확성을 보강할 수 있고, 또한 유체안내돌기가 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두께가 차츰 감소하는 점감아치부로 구성되고, 나아가 배출구가 즉 힌지 반대측으로 편심되어 있어 생수 등 병에 담긴 유체 배출시 유체안내돌기 외에는 가급적 유체가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더욱 더 배출 정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캡어셈블리의 다양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캡어셈블리의 병 결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캡어셈블리(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특히 힌지(30)측을 타측 또는 우측으로 정한다)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의 바디(10) 및 커버(20) 결합상태(배출구(11) 폐쇄상태) 사시도, 도 2의 커버(20) 개방상태 사시도, 도 3의 병(B)에 결합된 캡어셈블리(A)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A), 구체적으로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 보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합성수지재 캡어셈블리는
배출구(11) 및 병(bottle)(B)결합부(15)를 갖는 바디(10)와, 배출구 개폐용 밀폐돌기(21)를 갖는 커버(20)와, 이 바디와 커버를 잇는 힌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는 외형상 내주면에 병결합부(15), 특히 암나사형 병결합부가 형성된 외원통(10A)과,
배출구(11)가 형성된 내원통(10B),
그리고 내외원통(10B,10A)이 하면에 돌출 형성된 상태로 연결하고 유체안내돌기(13)가 상면 일측에 형성된 상면판(10C)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원통(10B) 둘레에는 상면판과 내원통을 연결하는 보강리브(10r)(도 1 [B] 저면 관찰 사시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A]의 상면 관찰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원통(10B) 둘레에는 병(B)의 수나사형 결합부(B1)(도 3 참조)와 암나사형 병결합부(15)를 상호 결합하고 분리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요철부(10b)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20)를 들어 올려 개방하는 경우 활용되는 개방돌기(25a)의 저면에 대한 손가락 접촉면이 좀 더 확대되도록 하는 요입부(10a)가 일측면(좌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바디(10)의 일측 유체안내돌기(11)는 배출구(11)를 이격된 형태로 감싸며, 도 3에서와 같이 병(B) 결합상태에서 배출구 하면에 연장된 내원통(10B)은 배출구를 둘러싸는 형태여서 생수와 같은 유체형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배출구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바디(10)는 또 유체안내돌기와 연결된 낮은(유체안내돌기 보다 낮은) 경계턱(13A)(도 2 [A] 참조)을 갖고,
유체안내돌기(13)는 배출구(1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 경계턱(13A)도 배출구와 이격 형성되어 있어, 도 2 [A] 우측의 일점쇄선 타원 내 단면도와 같이, 상호 연결된 유체안내돌기와 경계턱이 형성하는 벽체 내측에는 단턱부(11B)가 형성되며, 이 단턱부는 배출구(11)의 진입부에서 안내 경사부(11C)를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합성수지재의 일체형 캡어셈블리(A)는 유체안내돌기(13), 구체적으로 상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두께가 차츰 감소하는 점감아치부(13a)(도 3 참조)를 갖는 유체안내돌기는 배출구(11)를 거쳐 병(B) 내에서 배출되는 생수 등의 유체가 캡어셈블리의 다른 곳으로 흐르거나 묻지 않고 정확하게 컵 등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유체의 배출 정확성은 경계턱(13A)으로 인하여 강화되는 바, 즉 유체안내돌기와 연결되고 유체안내돌기 보다 낮은 경계턱을 가져 배출구 및 유체안내돌기 이외의 부위에 유체가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추가로 배출 정확성을 보강하게 된다.
나아가 배출구(11)가 즉 힌지(30) 반대측으로 편심되어 있어 생수 등 병(B)에 담긴 유체 배출시 유체안내돌기 외의 부위에는 가급적 유체가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더욱 더 배출 정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이러한 유체의 배출 정확성은 상호 연결된 유체안내돌기(13) 및 경사부(11C) 외곽의 밀폐환턱(17)까지 일조하여, 바디(10)의 상면부 외의 부위에 유체가 침범하지 않도록 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병을 기울여 배출되는 유체의 곡선은 편심된 배출구(11) 및 유체안내돌기(13), 점감아치부(13a) 형상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바디(10)의 외원통(10A) 외곽에 떨어지게 된다(나아가 외원통은 아래로 갈수로 두께가 점감하고, 수직 내백과 평행한 것이 아니라 외경이 아래로 갈수록 감소되는 형태로 경사진 구조여서 배출되는 유체가 외원통 외벽을 오염시키기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20)는 상기 바디(10)의 배출구(11)에 내삽되어 엇물리는 밀폐돌기(21)를 갖고,
특히 이 밀폐돌기(21)는 힌지측이 더 길게 형성되어 경사단부(21A)를 갖는다.
이 밀폐돌기(21)가 바디(10)의 배출구(11)에 내삽됨으로 본 고안에 따른 캡어셈블리(A)는 배출 정확성 확보 외에 간이 밀폐성까지 확보할 수 있으며,
또 밀폐돌기의 경사단부(21A)로 인하여 일체형, 나아가 합성수지재 유연성 힌지(30)를 도입하여도 폐쇄시 경사단부 끝단부터 차츰 배출구에 엇물려 끼워지는 형태(면적이 큰 배출구에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경사단부를 결합하는 형태를 취함)여서 밀폐돌기가 정확하게 배출구에 결합된다.
이러한 경사단부(21a) 및 밀폐돌기(21)와 배출구(11) 정확하고 쉬운 결합은 또 배출구(11) 둘레의 경계턱(13A) 및 경사부(11C)가 일조한다.
또 바디의 배출구 닫힘 상태의 밀폐성은 커버의 밀폐돌기(21)의 외주면과 배출구(11)를 형성하는 바디의 내원통(10B)의 내주면이 밀착하고, 단순 구멍을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소정 구간 길이(예: 2~20m 내외)로 중첩된 상태로 밀착되게 되어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배출구(11) 둘레에는 연속적인 밀폐환턱(17)이 구비되고(특히 외곽 내측에), 이 밀폐환턱(17) 내에 유체안내돌기(13) 및 경계턱(13A)이 배열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게 커버(20)는 스커트(25)를 갖는데, 구체적으로 커버는 밀폐돌기(21) 둘레에 리세스(23)가 형성되고, 외곽에는 상기 바디의 밀폐환턱(17)을 엇물리는 형태로 수용하는 스커트(25)가 구비되어 있어 밀폐돌기(21) 및 내원통(10B)의 결합으로 인한 밀폐성 외에, 스커트(25)와 밀폐환턱(17)의 결합으로 인한 추가적인 밀폐성이 확보될 수 있다.
커버(20)의 하면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의 돔형 구조를 갖고, 외형도 살빼기 및 유려한 형상 확보를 인하여 돔형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바디의 밀폐환턱(17)과 상기 커버(20)의 스커트(25)의 접면에는 커버(20) 닫힘 상태 고정 스토퍼, 특히 상호 엇물리는 돌기형 스토퍼(17s,25s)가 형성(특히 일측 외면에)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스커트(25)의 일측에는 커버 개방시 활용되는 개방돌기(25)가 구비되어 있으며,
커버(20)를 들어 올려 개방하는 경우 활용되는 개방돌기(25a)의 저면에 대한 손가락 접촉면이 좀 더 확대되도록 하는 요입부(10a)가 일측면(좌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닫힘 상태의 안정성과 개방 동작의 편리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힌지(30), 특히 커버 및 바디와 일체형인 합성수지재 힌지는 상기 바디(10)와 커버(20)를 연결한다.
힌지의 위치는 바디의 유체안내돌기(13)의 대편에 해당하는 타측(우측)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힌지(30)는 또 커버와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상하접면에서(도 2 [B]의 상면 일점쇄선 타원 내 단면도에서와 같이 바디의 외원통(10A) 외벽과 커버의 스커트(25) 외벽을 있는 선인 "Y"축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커버와 바디를 연결하는 제1스윙축(31)(바디, 커버, 힌지의 사출 성형시 접히는 부위에 해당하는 합성수지의 살이 제1스윙축을 이룬다)과,
제1스윙축(31)과 어긋난 위치에서 커버와 바디를 연결하는 제2스윙축(33)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스윙축(31)은 커버(20)와 바디(10)가 결합된 상태의 좌우접면(도 2 [B]의 상면 일점쇄선 타원 내 단면도에서와 같이 바디의 외원통(10A)(또는 상면판(10C) 상단과 커버의 스커트(25) 하단을 있는 선인 "X"축에 해당함)과 동일선상에 배열되어 있고(바디(10)의 외원통(10A) 외벽에서 돌출된 삼각형 단면 형상의 돌출부(31A) 및 커버(20)의 스커트(25) 외벽에서 돌출된 삼각형 단면 형상의 돌출부(31A)로 인하여 제1스윙축(31)은 "X"축 선상에 배열되면서도 "Y"축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제2스윙축(33)은 바디(10)에 위치한 하부 제2-1스윙축(33A)과, 커버(20)에 위치한 상부 제2-2스윙축(33B)과, 제2-1스윙축 및 제2-2스윙축을 잇는 탄성편(33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스윙축을 구성하는 탄성편(33C)은 커버와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바디(외원통(10A) 외벽) 및 커버(스커트(25) 및 상외면 일부)와 동일 면을 구성하는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합성수지재의 일체형 캡어셈블리(A)는 바디(10)와 커버(20)를 연결하는 힌지(30)가 서로 힘 작용점이 다른 제1스윙축(31)과 제2스윙축(33)으로 구성하여 커버의 개폐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고, 특히 내용물(유체, 특히 생수)을 배출하는 경우 커버(20)가 임의로 배출구를 닫지 않도록 하여 사용편리성이 증대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배출구 폐쇄 상태에서 커버, 바디, 힌지가 가급적 한 덩이인 것과 같은 경계면을 유지하여 미감 향상 및 사용자 상해나 주변 기물 파손 문제가 없도록 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을 갖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캡어셈블리의 제조방법, 제원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캡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캡어셈블리 B: 병
10: 바디 11: 배출구
13: 유체안내돌기 15: 병결합부
17: 밀폐환턱
20: 커버 21: 밀폐돌기
23: 리세스 25: 스커트
30: 힌지 31,33: 스윙축

Claims (4)

  1. 배출구, 이 배출구 둘레의 일측에 구비된 유체안내돌기,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병결합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배출구에 내삽되어 엇물리는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바디와 커버를 연결하도록 유체안내돌기의 대편에 해당하는 타측에 배열된 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의 밀폐돌기는 힌지측이 더 길게 형성되어 경사단부를 갖고,
    상기 힌지는 커버와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상하접면에서 벗어나 커버와 바디를 연결하는 제1스윙축과, 제1스윙축과 어긋난 위치에서 커버와 바디를 연결하는 제2스윙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0)는 외형상
    내주면에 암나사형 병결합부(15)가 형성된 외원통(10A), 배출구(11)가 형성된 내원통(10B), 그리고 내외원통(10B,10A)이 하면에 돌출 형성된 상태로 연결하고 유체안내돌기(13)가 상면 일측에 형성된 상면판(10C)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원통(10B) 둘레에는 상면판과 내원통을 연결하는 보강리브(10r)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 하면에 연장된 내원통(10B)은 배출구를 둘러싸는 형태이고,

    상기 밀폐돌기의 경사단부(21A)로 인하여 폐쇄시 경사단부 끝단부터 차츰 배출구에 엇물려 끼워지는 형태로 밀폐돌기가 정확하게 배출구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밀폐돌기(21)의 외주면과 배출구(11)를 형성하는 바디의 내원통(10B)의 내주면이 밀착하여 바디의 배출구 닫힘 상태의 밀폐성이 확보되고,

    상기 바디(10)는 유체안내돌기와 연결되고 유체안내돌기 보다 낮은 경계턱(13A)를 갖고, 유체안내돌기 및 경계턱은 배출구와 이격 형성되어 있어 상호 연결된 유체안내돌기와 경계턱이 형성하는 벽체 내측에는 단턱부(11B)가 형성되며, 이 단턱부는 배출구(11)의 진입부에서 안내 경사부(11C)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11)는 힌지(30) 반대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서
    제1스윙축은 커버와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좌우접면과 동일선상에 배열되어 있고,
    제2스윙축은 바디에 위치한 하부 제2-1스윙축과, 커버에 위치한 상부 제2-2스윙축과, 제2-1스윙축 및 제2-2스윙축을 잇는 탄성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원통(10A) 둘레에는 병(B)의 수나사형 결합부(B1)와 암나사형 병결합부(15)를 상호 결합하고 분리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요철부(10b)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20)는 개방용 개방돌기(25a)를 갖고, 커버 닫힘 상태에서 개방돌기 하부의 외원통에는 요입부(10a)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돌기(13)는 상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두께가 차츰 감소하는 점감아치부(13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어셈블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배출구(11) 둘레에는 연속적인 밀폐환턱(17)이 구비되고, 이 밀폐환턱(17) 내에 유체안내돌기(13) 및 경계턱(13A)이 배열되어 있고, 커버(20)는 상기 바디의 밀폐환턱(17)과 엇물리는 스커트(2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어셈블리.
KR2020170004542U 2017-08-28 2017-08-28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KR200486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42U KR200486082Y1 (ko) 2017-08-28 2017-08-28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42U KR200486082Y1 (ko) 2017-08-28 2017-08-28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82Y1 true KR200486082Y1 (ko) 2018-05-14

Family

ID=6216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42U KR200486082Y1 (ko) 2017-08-28 2017-08-28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8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619A (ja) * 1995-05-26 1996-12-10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キャップ
KR20100007307U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619A (ja) * 1995-05-26 1996-12-10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キャップ
KR20100007307U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7876B2 (ja) ヒンジキャップ
US20130220967A1 (en) Safety Bottle Cap
EP0484528B1 (en) Metering
EP2447180A2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stopper
KR20100005468U (ko)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구조
KR200486082Y1 (ko)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KR200463135Y1 (ko) 스포이드형 용기
JP6710468B2 (ja) 吐出容器
KR20140022330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CN114555484A (zh) 容器盖及结合该容器盖的容器
JP6173892B2 (ja) 二重容器
KR200405397Y1 (ko)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JP3830741B2 (ja) クリーム状物等注出容器
KR20150003532U (ko) 기울이면 자동으로 개방이 되는 물병
KR101168492B1 (ko) 병마개
JP7044499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59770Y1 (ko) 용기뚜껑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RU21288U1 (ru) Крышка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77791Y1 (ko) 배출구의 공기차단변을 형성한 튜브용기
EP2263947A1 (en) Container with hermetic seal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CN215820507U (zh) 容器盖及液体容器
KR200425778Y1 (ko) 위조방지를 위한 뚜껑용 마개
JP7174556B2 (ja) 吐出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