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70Y1 -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70Y1
KR200459770Y1 KR2020100000377U KR20100000377U KR200459770Y1 KR 200459770 Y1 KR200459770 Y1 KR 200459770Y1 KR 2020100000377 U KR2020100000377 U KR 2020100000377U KR 20100000377 U KR20100000377 U KR 20100000377U KR 200459770 Y1 KR200459770 Y1 KR 200459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nnecting member
extens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234U (ko
Inventor
김윤하
Original Assignee
김윤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하 filed Critical 김윤하
Priority to KR2020100000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7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와 뚜껑을 일체로 형성하여 뚜껑의 분실 염려가 없고 일단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경우 뚜껑의 간섭을 확실하게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병, 튜브, 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와 이 배출구와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이 용기 측과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의 중간연결부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외부 일측엔 정지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뚜껑과 일체로 성형되는 상부연결구와 상기 배출구와 일체로 성형되는 하부연결구가 중간연결구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상부연결구는 상기 중간연결구와 서로 결합되는 부위보다 더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정지돌기는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부가 상부에 얹혀질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엔 끝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용기뚜껑{A vessel cap}
본 고안은 포장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와 뚜껑을 일체로 형성하여 뚜껑의 분실 염려가 없고 일단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경우 뚜껑의 간섭을 확실하게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뚜껑은 용기와 뚜껑을 분리하여 구성한 형태와 용기와 뚜껑을 일체로 구성한 형태로 대별된다.
그 중 용기와 뚜껑을 분리하여 구성한 형태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5301호의 "천공돌기를 구비한 튜브용기 뚜껑"이 알려져 있는데, 이 경우엔 용기와 뚜껑이 분리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 중 또는 사용 후에 부주의로 인하여 뚜껑을 분실할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기와 뚜껑을 일체로 구성한 형태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0201671호의 "포장용기 뚜껑"이 알려져 있는데, 이 경우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특히 뚜껑을 열고 용기의 내부로부터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뚜껑이 움직이면서 그 위치가 내용물의 인출에 방해가 되는 위치에 있게 되어 다른 한 손으로 뚜껑을 잡고 간섭을 받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상태를 유지하고나서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시켜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점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20-0201671,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20-0205301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와 뚜껑을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 중 분실의 위험이 없고, 뚜껑을 일단 열게 되면 용기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인출되는 경우 뚜껑의 간섭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뚜껑의 개폐기능과 함께 밀폐기능도 우수한 용기뚜껑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병, 튜브, 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와 이 배출구와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이 용기 측과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의 중간연결부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외부 일측엔 정지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뚜껑과 일체로 성형되는 상부연결구와 상기 배출구와 일체로 성형되는 하부연결구가 중간연결구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상부연결구는 상기 중간연결구와 서로 결합되는 부위보다 더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정지돌기는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부가 상부에 얹혀질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엔 끝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삭제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와 뚜껑을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 구성하여 사용 중 뚜껑의 분실 위험이 없고, 뚜껑을 일단 열게 되면 뚜껑의 위치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정지돌기에 얹혀져 내용물의 배출경로로부터 이탈되어 용기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인출되는 경우 뚜껑의 간섭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며, 뚜껑과 배출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뚜껑의 개폐기능과 함께 밀폐기능도 우수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결합 전 상태 일부 절결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로부터 뚜껑이 배출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병, 튜브, 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용기(1)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와 이 배출구(3)와 결합되는 뚜껑(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5)이 용기 측과 연결부재(7)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고, 이들 용기(1), 배출구(3), 뚜껑(5) 및 연결부재(7)는 신축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3)의 외부 일측엔 정지돌기(30)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7)는 상기 뚜껑(5)과 일체로 성형되는 상부연결구(70)와 상기 배출구(3)와 일체로 성형되는 하부연결구(72)가 중간연결구(74)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 설치된다.
상기 정지돌기(30)는 상기 연결부재(7)의 연장부(76)가 상부에 얹혀질 수 있도록 이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게 되며, 상기 중간연결구(74)는 상부연결구(70) 및 연장부(76)가 손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연결구(70)나 하부연결부(72) 보다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구(70)는 상기 중간연결구(74)와 서로 결합되는 부위보다 더 연장되는 연장부(76)를 갖도록 하고 상기 뚜껑(5)을 열게 되면 상기 연장부(76)가 상기 정지돌기(30)의 상부에 얹혀져 상기 뚜껑(5)이 소정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용기(1)의 내부로부터 내용물이 배출구(3)를 거쳐 외부로 인출 또는 배출되는 경우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연장부(76)엔 끝에 경사부(76a)를 형성하여 연장부(76)이 정지돌기(30)의 상부로 움직여 얹혀질 때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엔 내측으로 기밀유지부(32)를 갖는 걸림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5)엔 만곡돌부(50)와 기밀유지부(52) 및 상부 스토퍼(54)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구(3) 내측으로 뚜껑(5)이 끼워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3)의 기밀유지부(32)를 뚜껑(5)의 만곡돌부(50)가 강제로 통과하면서 순간적으로 팽창하였다가 다시 수축하면서 걸림부(34)엔 만곡돌부(50)가 서로 걸어 맞춤된 상태에서 상호간 기밀유지부(32,52)가 서로 맞닿아 기밀유지가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54)에 걸려 뚜껑(5)이 배출구(3) 내측으로 더 이상 끼워지지 않게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본 고안인 용기뚜껑을 채택하는 경우, 뚜껑(5)을 배출구(3)로부터 분리하여 열게 되면, 뚜껑(5)의 만곡돌부(50)가 배출구(3)의 걸림부(34)로부터 빠져나와 기밀유지부(32)를 팽창시켜 이를 만곡돌부(50)가 빠져나와 손쉽게 분리되고 뚜껑(5)이 열리게 되며, 이와 함께 연결부재(7) 중 상부연결부(70)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 잘 굽혀지는 중간연결구(74)를 중심으로 뒤로 제쳐지면서 연장부(76)는 상향으로 경사부(76a)를 경유 보다 용이하게 움직이게 되어 연장부(76)의 끝부분은 정지돌기(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소정의 위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1)를 한 손으로 잡고 용기(1)의 내용물을 배출구(3)를 통하여 외부로 필요한 만큼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뚜껑(5)은 배출구(3)의 연장 방향과는 달리 내용물의 배출방향과는 무관하게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뚜껑(5)을 다른 손으로 잡고 있지 않더라도 뚜껑(5)의 간섭이 전혀 없이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진 다음 뚜껑(5)을 다시 닫고자 하는 경우엔 뚜껑(5)을 배출구(3)의 내측으로 끼워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가압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배출구(3)의 기밀유지부(32)를 뚜껑(5)의 만곡돌부(50)가 강제로 통과하면서 순간적으로 팽창하였다가 다시 수축하면서 걸림부(34)엔 만곡돌부(50)가 서로 걸어 맞춤된 상태에서 상호간 기밀유지부(32,52)가 서로 맞닿아 기밀유지가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54)에 걸려 뚜껑(5)이 배출구(3) 내측으로 더 이상 끼워지지 않으면서 뚜껑(5)과 배출구(3) 상호간 기밀유지가 되면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1)와 뚜껑(5)을 연결부재(7)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 구성하여 사용 중 뚜껑(5)의 분실 위험이 없고, 뚜껑(5)을 일단 열게 되면 뚜껑(5)의 위치가 연결부재(7)에 의하여 정지돌기(30)에 얹혀져 내용물의 배출구(3)로부터 이탈되어 용기(1)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인출되는 경우 뚜껑(5)의 간섭을 배제시킬 수 있어 편리하며, 뚜껑(5)과 배출구(3)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뚜껑(5)의 개폐기능과 함께 밀폐기능도 함께 유지하여 다양한 용기 제조분야에서 산업적으로 활용이 용이하다.
1: 용기, 3: 배출구,
5: 뚜껑, 7: 연결부재,
30: 정지돌기, 32, 52: 기밀유지부,
34: 걸림부, 50: 만곡돌부,
54: 스토퍼, 70: 상부연결구,
72: 하부연결구, 74: 중간연결구,
76: 연장부

Claims (3)

  1. 병, 튜브, 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용기(1)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와 이 배출구(3)와 결합되는 뚜껑(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5)이 용기 측과 연결부재(7)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7)의 중간연결부(74)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의 외부 일측엔 정지돌기(30)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7)는 상기 뚜껑(5)과 일체로 성형되는 상부연결구(70)와 상기 배출구(3)와 일체로 성형되는 하부연결구(72)가 중간연결구(74)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상부연결구(70)는 상기 중간연결구(74)와 서로 결합되는 부위보다 더 연장되는 연장부(76)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정지돌기(30)는 상기 연결부재(7)의 연장부(76)가 상부에 얹혀질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76)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76)엔 끝에 경사부(76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0377U 2010-01-14 2010-01-14 용기뚜껑 KR200459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377U KR200459770Y1 (ko) 2010-01-14 2010-01-14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377U KR200459770Y1 (ko) 2010-01-14 2010-01-14 용기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34U KR20110007234U (ko) 2011-07-20
KR200459770Y1 true KR200459770Y1 (ko) 2012-04-13

Family

ID=4559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377U KR200459770Y1 (ko) 2010-01-14 2010-01-14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084A1 (en) * 2021-12-30 2023-07-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Neck and cap for a food pack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928B1 (ko) * 2017-03-07 2020-12-28 성보연 개방상태 유지기능을 갖는 용기마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7860U (ko) * 1975-04-12 1976-10-15
JPS61110549U (ko) * 1984-12-25 1986-07-12
JPH09240711A (ja) * 1996-03-08 1997-09-16 Takao Kato 蓋の開放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7860U (ko) * 1975-04-12 1976-10-15
JPS61110549U (ko) * 1984-12-25 1986-07-12
JPH09240711A (ja) * 1996-03-08 1997-09-16 Takao Kato 蓋の開放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084A1 (en) * 2021-12-30 2023-07-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Neck and cap for a food package
WO2023126526A1 (en) * 2021-12-30 2023-07-0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Neck and cap for a food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34U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166B1 (en) Dispensing closure with child resistant feature
US20140263436A1 (en) Container
KR101121860B1 (ko)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US11155390B2 (en) Coupled structure between pouring spout of refill container and pouring unit of packaging container
KR200476920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KR200459770Y1 (ko) 용기뚜껑
CN209834434U (zh) 便携收纳盒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140002817U (ko) 용기
CN107108077B (zh) 收容糊状物的容器
JP3938869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7315426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912661B2 (ja) 合成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
KR200441597Y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US10035628B2 (en) Spout, package with spou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77016Y1 (ko) 캔 용기용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JP7424610B2 (ja) 包装袋装置
KR101379394B1 (ko) 소형 식품저장용기
KR20130001110U (ko)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JP4790434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86082Y1 (ko)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KR20120128738A (ko) 내용물 배출용 병뚜껑의 구부 주위 밀폐구조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