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962B1 -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962B1
KR101876962B1 KR1020180058998A KR20180058998A KR101876962B1 KR 101876962 B1 KR101876962 B1 KR 101876962B1 KR 1020180058998 A KR1020180058998 A KR 1020180058998A KR 20180058998 A KR20180058998 A KR 20180058998A KR 101876962 B1 KR101876962 B1 KR 10187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inge cap
inlet
contain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몰드
Priority to KR102018005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의 입구에 개봉막을 일체로 형성하고, 힌지 캡의 저면에 절취핀을 형성하여 힌지 캡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절취핀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봉막의 일부분을 절취하도록 하여 내부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고, 힌지 캡의 하단 테두리에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브릿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제거해야만 힌지 캡이 하강되도록 하며, 용기 본체의 입구 외측과 입구와 결합되는 힌지 캡의 내측의 결합턱에 각각 스토퍼를 형성하여 힌지 캡의 절취핀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봉막의 일부분을 절취하면 스토퍼가 상호 결합되어 힌지 캡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내용물의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PACKING CONTAINER FOR TAMPER-EVIDENT}
본 발명은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의 입구에 개봉막을 일체로 형성하고, 힌지 캡의 저면에 절취핀을 형성하여 힌지 캡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절취핀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봉막의 일부분을 절취하도록 하여 내부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고, 힌지 캡의 하단 테두리에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브릿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제거해야만 힌지 캡이 하강되도록 하며, 용기 본체의 입구 외측과 입구와 결합되는 힌지 캡의 내측의 결합턱에 각각 스토퍼를 형성하여 힌지 캡의 절취핀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봉막의 일부분을 절취하면 스토퍼가 상호 결합되어 힌지 캡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내용물의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가 담기는 포장 용기에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수단이 구비되며, 이에 부가하여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흡입수단으로서 포장 용기의 마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용기에 끼워질 수 있게 저면에 결합부(22)가 형성된 본체(20), 본체(20)에 연결부(30)로 연결된 덮개(40), 덮개(40)에 다수의 절취편(47)으로 연결된 손잡이부(4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마개(10)는 덮개(40)를 닫은 상태에서 본체(20)를 액체용기에 끼워 설치하게 되며, 내용물의 원활한 유출을 위해 공기를 유입시키고자 할 경우 덮개(40)를 열 때 손잡이부(46)를 들어올려 절취편(47)이 끊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6)를 잡아당기면 덮개(40)가 본체(20)에서 분리되어 공기가 포장 용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절취편(47)이 끊어졌는지 여부를 보고 마개(10)의 개봉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덮개(40)가 본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즉 절취편(47)이 끊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부(30)만 잡아당겨 덮개(40)를 본체(2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마개(10)를 통해 내용물을 위조할 수 있었으며, 마개(10)가 포장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포장 용기를 다층으로 적층시 포장 용기가 기울어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조 방지 포장 용기가 개발되었고, 일례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893호인 액체용기의 용기마개가 게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용기의 용기마개(100)는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절취홈(211)이 형성되고 절취홈의 내측에는 상향 돌출되는 당김고리(213)가 형성된 절취부(212)가 형성되는 밀봉판(210)과, 상기 밀봉판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용기 유입구의 내측에 삽입되는 측벽(220)과, 상기 측벽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용기 유입구의 상면에 지지되는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내부마개(200); 및 상기 내부마개의 결합부와 접힘연결부(340)로 연결되고, 일면에는 상기 측벽 내측에 결합되는 밀폐돌부(310)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320)가 형성되는 외부마개(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힘연결부와 연결되는 결합부 일측에는 위조방지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위조 방지 포장 용기 역시 마개만을 포장 용기에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위조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7335호인 위조방지용 용기마개가 게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조방지용 용기마개는 용기(10)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 입구(12)에 체결되고 개구되게 형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면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운동시키면 본체(2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되는 푸시부재(30)와, 상기 본체(2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푸시부재(30)의 내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20)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푸시부재(30)를 하강시키는 커버부재(40)와,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푸시부재(30)의 하강되면서 밀어주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어 용기(10) 내부로 삽입되는 위조방지 확인용 볼(50)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는 위조방지용 볼(5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60)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6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고정부(62)와, 상기 고정부(62)의 상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조방지용 볼(50)이 안착되는 볼 안착부(6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62)의 하단에는 그 외측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탄성지지부(60)를 용기입구(12)에서 분리시킬 수 없도록 하는 지지리브(68)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위조방지용 용기마개 역시 본체와 탄성지지부가 용기에서 분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새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위조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893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73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의 입구에 개봉막을 일체로 형성하고, 힌지 캡의 저면에 절취핀을 형성하여 힌지 캡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절취핀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봉막의 일부분을 절취하도록 하여 내부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내용물의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 캡의 하단 테두리에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브릿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제거해야만 힌지 캡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2중으로 용기 본체의 내용물의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입구 외측과 입구와 결합되는 힌지 캡의 내측의 결합턱에 각각 스토퍼를 형성하여 힌지 캡의 절취핀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봉막의 일부분을 절취하면 스토퍼가 상호 결합되어 힌지 캡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3중으로 용기 본체의 내용물의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합성수지 재질로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도록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입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입구의 외측에 제 1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입구 상면에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개방막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용기 본체와; 합성수지 재질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중앙부에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결합되도록 제 2나사산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저면에 절취핀이 돌출 형성되는 캡 본체와, 원통형의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배출구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배출구와 결합되도록 밀폐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캡 본체와 힌지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힌지 캡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캡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취핀이 하강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막을 부분 절취하여 내용물이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상기 힌지 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입구에 형성된 제 1나사산의 하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삼각 형태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힌지 캡의 캡 본체는 상기 제 1스토퍼와 체결되어 상기 힌지 캡이 역회전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턱에 형성된 제 2나사산의 하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사각 형태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2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힌지 캡의 캡 본체는 하단 테두리에 템퍼에비던트 밴드가 브릿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제거해야만 상기 힌지 캡이 하강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힌지 캡의 캡 본체는 상기 체결턱과 절취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캡의 하강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밀착되어 상기 힌지 캡의 하강을 저지시키는 제 3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입구에 개봉막을 일체로 형성하고, 힌지 캡의 저면에 절취핀을 형성하여 힌지 캡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절취핀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봉막의 일부분을 절취하도록 하여 내부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힌지 캡의 하단 테두리에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브릿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제거해야만 힌지 캡이 하강되도록 하며, 용기 본체의 입구 외측과 입구와 결합되는 힌지 캡의 내측의 결합턱에 각각 스토퍼를 형성하여 힌지 캡의 절취핀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봉막의 일부분을 절취하면 스토퍼가 상호 결합되어 힌지 캡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내용물의 위조가 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흡입수단으로서 포장 용기의 마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액체용기의 용기마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위조방지용 용기마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의 제 1, 2스토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A-A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의 제 1, 2스토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200)는, 용기 본체(210)와, 힌지 캡(2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용기 본체(210)는 합성수지 재질로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도록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입구(211)가 돌출 형성되며, 입구(211)의 외측에 제 1나사산(211a)이 구비되고, 입구(211) 상면에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개방막(213)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210)는 입구(211)에 형성된 제 1나사산(211a)의 하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삼각 형태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스토퍼(211b)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힌지 캡(220)은 캡 본체(221)와, 커버(223)로 구성된다.
캡 본체(221)는 합성수지 재질로 용기 본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중앙부에 용기 본체(210)의 입구(211)와 결합되도록 제 2나사산(221b)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체결턱(221a)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배출구(221c)가 돌출 형성되며, 배출구(221c)의 저면에 반원통의 칼날 형태의 절취핀(221d)이 돌출 형성되어 캡 본체(22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절취핀(221d)을 하강시키면, 절취핀(221d)이 용기 본체(210)의 개방막(213)을 부분 절취하여 내용물이 용기 본체(210)의 입구(211)와 배출구(221c)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캡 본체(221)는 제 1스토퍼(211b)와 체결되어 힌지 캡(220)이 역회전되어 용기 본체(2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턱(221a)에 형성된 제 2나사산(221b)의 하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사각 형태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2스토퍼(221e)가 더 구비된다.
또, 캡 본체(221)는 하단 테두리에 템퍼에비던트 밴드(225)가 브릿지(225a)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템퍼에비던트 밴드(225)를 제거해야만 힌지 캡(220)이 하강되도록 하고, 체결턱(221a)과 절취핀(221d) 사이에 제 3스토퍼(221f)가 설치되어 힌지 캡(220)의 하강시 용기 본체(210)의 입구(211)와 밀착되어 힌지 캡(220)의 하강을 저지시킨다.
이어서, 커버(223)는 원통형의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구(221c)를 밀폐시키도록 배출구(221c)와 결합되도록 밀폐턱(223a)이 돌출 형성되어 캡 본체(221)와 힌지 결합된다.
한편, 힌지 캡(220)은 캡 본체(221)와 커버(223)에는 커버(223)를 용이하게 개방시키도록 라운드 형태의 손가락 홈(22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캡 본체(221)의 커버(223)가 캡 본체(221)에 고정 및 해제되도록 배출구(221c)와, 커버(223)의 밀폐턱(223a)이 후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의 사용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0)에 힌지 캡(2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9과 같이 템퍼에비던트 밴드(225)를 제거한다. 이때, 템퍼에비던트 밴드(225)는 캡 본체(221)와 브릿지(225a)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쉽게 절취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221)를 잡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본체(210)의 입구(211)에 구비된 제 1나사산(211a)을 따라 체결턱(221a)이 하강되고, 이로 인해 캡 본체(221)가 하강하게 된다.
캡 본체(221)가 하강하면, 절취핀(221d)이 하강되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0)의 개방막(213)을 부분 절취한다.
계속해서, 캡 본체(221)를 하강시키면, 제 3스토퍼(221f)가 용기 본체(210)의 입구(211)와 밀착되면서 더 이상의 하강을 저지시킨다.
이와 동시에 용기 본체(210)의 제 1스토퍼(211b)와 캡 본체(221)의 제 2스토퍼(221e)가 상호 결합되어 힌지 캡(220)이 역회전되어 용기 본체(2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힌지 캡(220)의 손가락 홈(227)에 손가락을 넣고, 커버(223)를 열어 밀폐턱(223a)과 배출구(221c)와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용기 본체(210)를 가압하거나 거꾸로 들면, 용기 본체(210)의 내용물이 입구(211)와 캡 본체(221)의 배출구(221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후 커버(223)를 닫아 배출구(221c)에 밀폐턱(223a)을 후크 결합시켜 커버(223)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10 : 용기 본체 211 : 입구
213 : 개방막 220 : 힌지 캡
221 : 캡 본체 221d : 절취핀
223 : 커버 225 : 템퍼에비던트 밴드

Claims (5)

  1. 합성수지 재질로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도록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입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입구의 외측에 제 1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입구 상면에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개방막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용기 본체와;
    합성수지 재질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중앙부에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결합되도록 제 2나사산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저면에 절취핀이 돌출 형성되는 캡 본체와, 원통형의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배출구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배출구와 결합되도록 밀폐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캡 본체와 힌지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힌지 캡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캡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취핀이 하강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막을 부분 절취하여 내용물이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상기 힌지 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 캡의 캡 본체는,
    상기 체결턱과 절취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캡의 하강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밀착되어 상기 힌지 캡의 하강을 저지시키는 제 3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입구에 형성된 제 1나사산의 하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삼각 형태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캡의 캡 본체는,
    상기 제 1스토퍼와 체결되어 상기 힌지 캡이 역회전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턱에 형성된 제 2나사산의 하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사각 형태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2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캡의 캡 본체는,
    하단 테두리에 템퍼에비던트 밴드가 브릿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템퍼에비던트 밴드를 제거해야만 상기 힌지 캡이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5. 삭제
KR1020180058998A 2018-05-24 2018-05-24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KR10187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98A KR101876962B1 (ko) 2018-05-24 2018-05-24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98A KR101876962B1 (ko) 2018-05-24 2018-05-24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962B1 true KR101876962B1 (ko) 2018-07-11

Family

ID=6291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998A KR101876962B1 (ko) 2018-05-24 2018-05-24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305A (zh) * 2019-04-04 2019-06-07 海盐明盛塑业有限公司 一种饮料用塑料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3440U (ja) * 1981-08-28 1983-03-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元栓保証キヤツプ
JPH07330009A (ja) * 1994-06-08 1995-12-19 Nifco Inc キャップ
KR20040053708A (ko) * 2002-12-17 2004-06-24 노희권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실링 처리된 뚜껑의 커팅 장치
KR100814483B1 (ko) * 2002-02-22 2008-03-17 노희권 씰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KR100884823B1 (ko) * 2007-09-06 2009-02-20 (주)경진 위조방지용 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3440U (ja) * 1981-08-28 1983-03-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元栓保証キヤツプ
JPH07330009A (ja) * 1994-06-08 1995-12-19 Nifco Inc キャップ
KR100814483B1 (ko) * 2002-02-22 2008-03-17 노희권 씰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KR20040053708A (ko) * 2002-12-17 2004-06-24 노희권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실링 처리된 뚜껑의 커팅 장치
KR100884823B1 (ko) * 2007-09-06 2009-02-20 (주)경진 위조방지용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305A (zh) * 2019-04-04 2019-06-07 海盐明盛塑业有限公司 一种饮料用塑料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109B1 (ko) 개봉 표시 디스펜싱 클로저
EP1086024B1 (en) Closure with dual hinge means
KR100445578B1 (ko) 힌지식캡
AU2006276269B2 (en)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750987B1 (en) Tamper-evident closure
KR20150127098A (ko) 일체성 보증 부재를 가진 플라스틱 클로져
KR101876962B1 (ko)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US11820557B2 (en) Tethered plastic stopper
EP2114788A1 (en) A closure
KR102388913B1 (ko) 원터치 캡
US11059633B2 (en)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JP4034391B2 (ja) 分別機能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WO1979000722A1 (en) Container with side wall,cover and tearing device produced as a unit
KR20010102200A (ko) 스토퍼를 가진 용기 뚜껑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RU53279U1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с укупорочным колпачком
JP2004131157A (ja) 口栓、及び口栓付き収容体
KR100622627B1 (ko) 용기의 마개
JP2005047567A (ja) キャップ
KR20039609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JP4393092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200383177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JP2002059956A (ja) 容 器
KR100307580B1 (ko) 플라스틱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