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97Y1 - 식품 보관용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97Y1
KR200478597Y1 KR2020140003168U KR20140003168U KR200478597Y1 KR 200478597 Y1 KR200478597 Y1 KR 200478597Y1 KR 2020140003168 U KR2020140003168 U KR 2020140003168U KR 20140003168 U KR20140003168 U KR 20140003168U KR 200478597 Y1 KR200478597 Y1 KR 200478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rib
main
main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955U (ko
Inventor
정영국
Original Assignee
금명산업주식회사
정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명산업주식회사, 정영국 filed Critical 금명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3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9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7Flexible or deformable
    • B65D2543/00379Flexible or deformable hinged or articulated, i.e. made of two or more part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42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utside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 시 위 아래로 안전하게 쌓아 올릴 수 있고, 사용 시 뚜껑 전체 또는 일부만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식품 보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단면보다 상단면이 넓게 형성되면서 상하부와 측면에 제1,2,3 리브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부를 끼워 적층할 수 있도록 하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절개된 주 뚜껑; 및 상기 주 뚜껑의 절개된 부분에서 상기 주 뚜껑과 함께 상기 본체를 덮어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부를 올려 끼울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주 뚜껑으로부터 별도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호 결합력을 더욱 보강하고 보조 뚜껑을 통해 식품을 조금 씩 덜어낼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식품 보관용 용기{Container for keeping food}
본 고안은 보관 시 위 아래로 안전하게 쌓아 올릴 수 있고, 사용 시 뚜껑 전체 또는 일부만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식품 보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를 살펴보면 식품을 담는 본체와 본체의 상단을 닫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본체와 뚜껑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어 수분의 출입을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관용 용기는 위 아래로 안전하게 쌓아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뚜껑에 상기 본체의 바닥이 끼워지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식품 보관용 용기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48451호가 제공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우선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의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밀폐용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밀폐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 테두리에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리브가 끼워지도록 결합용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끼움을 통해 적층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식품 보관용 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상호 결합력이 약하다. 즉, 본체에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는 내부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식품이 담긴 용기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자칫 상기 뚜껑만 잡는다면 상기 뚜껑으로부터 본체가 쉽게 분리되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하로 적층된 용기와 용기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다. 즉, 음식이 담긴 다수개의 용기를 상하로 적층한 상태에서 상부의 용기를 들어올리면 하부의 용기가 쉽게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그만큼 상하 용기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다는 증거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용기를 적층하여 보관하는 중 상부 용기에 외부의 작은 힘이 미치더라도 쉽게 밀려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세째, 상기 용기는 뚜껑을 완전히 열어야만 본체에 담긴 식품을 덜어낼 수 있다. 즉, 식품으로서 고추 가루, 깨소금 등의 조미료나 멸치, 새우 등의 부재 등은 대부분 많은 량을 저장해 놓고 조금씩 덜어서 사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뚜껑을 완전히 열어야만 상기 식품을 덜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식품을 덜어내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량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조미료와 같은 경우 조금씩 덜어내는 양 조절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용기의 상하 적층 시 결합력과 각 용기의 본체와 뚜껑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하고, 상기 뚜껑의 일부를 개폐하여 본체에 담긴 음식을 편리하게 덜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식품 보관용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식품 보관용 용기는 하단면보다 상단면이 넓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리브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리브를 포함하는 상기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 리브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 리브가 끼워지는 제1 트랙과 상기 제3 리브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요입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 리브가 끼워지는 제2 트랙과 상기 제3 리브의 하단이 끼워지는 제2 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 모서리 부분을 사각 형태로 절개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된 테두리를 따라 요입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 상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주 뚜껑; 및 상기 주 뚜껑의 절개된 부분을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상기 주 뚜껑의 제1,2 트랙, 제1,2 홈 및 수용공간을 연장 형성하되, 상기 단차에 대응하는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상에는 상기 결합구를 관통하여 하단이 열압착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보조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 뚜껑과 상기 보조 뚜껑의 일측 테두리에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주 뚜껑과 보조 뚜껑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상단면은 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뚜껑은 걸림턱 상의 절곡되는 부분 상측에 'V' 형태로 절곡홈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뚜껑은 상하 이중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주 뚜껑의 절개된 부분에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내측 보조 뚜껑과 상기 하부를 밀폐 커버하는 상측 보조 뚜껑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 뚜껑의 절개된 부분에는 상기 단차가 형성된 두께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 상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조 뚜껑의 하부는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여 상기 걸림턱의 두께로 요입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식품 보관용 용기는 하단면보다 상단면이 넓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리브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리브를 포함하는 상기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 리브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 리브가 끼워지는 제1 트랙과 상기 제3 리브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요입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 리브가 끼워지는 제2 트랙과 상기 제3 리브의 하단이 끼워지는 제2 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요입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가 형성된 영역 중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구간 상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 상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구가 형성된 주 뚜껑; 및 상기 주 뚜껑의 단차가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는 상태로 개폐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상기 결합구를 관통하여 하단이 열압착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보조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식품 보관용 용기에 의하면 상호 결합력을 더욱 보강함으로써, 사용중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보조 뚜껑을 통해 식품을 조금 씩 덜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식품 보관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식품 보관용 용기의 보조 뚜껑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식품 보관용 용기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식품 보관용 용기의 일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식품 보관용 용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보조 뚜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식품 보관용 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식품 보관용 용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고안의 식품 보관용 용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면보다 상단면이 넓게 형성되면서 상하부와 측면에 제1,2,3 리브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부를 끼워 적층할 수 있도록 하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절개된 주 뚜껑(200) 및 상기 주 뚜껑의 절개된 부분에서 상기 주 뚜껑과 함께 상기 본체를 덮어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부를 올려 끼울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주 뚜껑으로부터 별도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 뚜껑(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을 위해 하단면보다 상단면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리브(1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리브(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리브(110, 120)를 포함하는 상기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 리브(130)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3 리브(130)는 이후에 설명하는 주 뚜껑(200)과 보조 뚜껑(200')의 제1,2 홈(220, 250)에 끼워져 상하 적층 시 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강도를 보강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며 미려감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주 뚜껑(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를 끼워 적층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일측 모서리 부분을 절개 형성한다. 즉, 상기 주 뚜껑(200)은 하부 테두리에 상기 제1 리브(110)가 끼워지는 제1 트랙(210)과 상기 제3 리브(130)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1 홈(22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요입된 수용공간(230)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230)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 리브(120)가 끼워지는 제2 트랙(240)과 상기 제3 리브(130)의 하단이 끼워지는 제2 홈(250)이 형성되는 하편, 일측 모서리 부분을 사각 형태로 절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된 테두리를 따라 요입된 단차(260)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260) 상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구(270)가 형성되다. 여기서 상기 주 뚜껑(200)의 제1 트랙(210) 및 제1 홈(220)은 도면에서 표시되지 않았으나, 고안의 내용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뚜껑(200')의 제1 트랙(210) 및 제1 홈(22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것이므로 이를 통해 예측 가능하다.
상기 보조 뚜껑(200')은 상기 주 뚜껑(200)의 절개된 부분에서 상기 주 뚜껑(200)과 함께 상기 본체(100)를 덮어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를 올려 끼울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주 뚜껑(200)으로부터 별도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 뚜껑(200')은 상기 주 뚜껑(200)의 절개된 부분을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상기 주 뚜껑(200)의 제1,2 트랙(210, 240), 제1,2(220, 250) 홈 및 수용공간(230)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뚜껑(200')은 상기 주 뚜껑(200)의 단차에 대응하여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26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60') 상에는 상기 결합구(270)를 관통하여 하단이 열압착 고정되는 결합돌기(27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용기를 상하로 적층 시 본체(100)의 하부가 상기 수용공간(230)에 1차로 끼워진 후, 다시 상기 본체(100)의 제 2리브(120)와 제3 리브(130)의 하단이 상기 제2 트랙(240)과 제2 홈(250)에 2차로 끼워지기 때문에 그만큼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상기 주 뚜껑(200) 및 보조 뚜껑(200')을 덮어 밀폐시 상기 본체(100)의 제 1리브(110)와 제3 리브(130)의 상단이 상기 제1 트랙(210)과 제1 홈(220)에 끼워지기 때문에 그만큼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주 뚜껑(200)과 별도로 개폐 가능한 보조 뚜껑(200')을 구비함으로써 저장된 식품을 필요한 만큼 덜어내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주 뚜껑(200)과 상기 보조 뚜껑(200')의 일측 테두리에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280, 28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280, 280')는 주 뚜껑(200)이나 보조 뚜껑(200')의 개폐를 더욱 편리하게 도와준다.
또한, 상기 주 뚜껑(200)과 보조 뚜껑(20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상단면은 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면(290, 29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용기를 상하로 적층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흘러내리거나 자체의 결로가 흘러내리는 경우 상기 경사면(290, 290')에 의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상기 본체(100) 하부와 상기 주 뚜껑(200) 및 보조 뚜껑(200')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식품의 국물이 흘러내렸을 때 주 뚜껑(200)과 보조 뚜껑(200') 사이의 틈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뚜껑(200')은 개폐를 위해 상하로 절곡되는 부분 상측에 'V' 형태로 절곡홈(300)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에 절곡홈(30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조 뚜껑(200')의 개폐가 편리하면서 개폐 시 절곡홈(300)이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즉, 상기 절곡홈(300)이 하부로 형성된 경우 상기 보조 뚜껑(200')을 개폐시 완전히 접힐 수 있어서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뚜껑(200')은 상하 이중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주 뚜껑(200)의 절개된 부분에 다수개의 구멍(310)이 관통 형성된 내측 보조 뚜껑(200a')과 상기 하부를 밀폐 커버하는 상측 보조 뚜껑(200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식품을 완전히 부어 내기 위해서는 주 뚜껑(200)을 열고, 일부를 덜어내기 위해서는 상기 주 뚜껑(20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 보조 뚜껑(200a')과 상측 보조 뚜껑(200b')을 모두 열고, 덜어내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측 보조 뚜껑(200a')을 닫은 상태로 상측 보조 뚜껑(200b')만 열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뚜껑(200)의 절개된 부분에는 상기 단차가 형성된 두께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20) 상에는 다수개의 구멍(310)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조 뚜껑(200')의 하부는 상기 연장부(320)와 대응하여 상기 걸림턱의 두께로 요입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식품을 완전히 부어 내기 위해서는 주 뚜껑(200)을 열고, 일부를 덜어내면서 덜어내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 뚜껑(200')을 열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면보다 상단면이 넓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리브(1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리브(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리브를 포함하는 상기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 리브(130)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 리브가 끼워지는 제1 트랙(210)과 상기 제3 리브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1 홈(22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요입된 수용공간(230)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 리브(120)가 끼워지는 제2 트랙(240)과 상기 제3 리브(130)의 하단이 끼워지는 제2 홈(2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요입된 단차(260)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가 형성된 영역 중 상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구간 상에는 다수개의 구멍(310)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260) 상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구(270)가 형성된 주 뚜껑(300) 및 상기 주 뚜껑의 단차가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는 상태로 개폐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상기 결합구(270)를 관통하여 하단이 열압착 고정되는 결합돌기(270')가 형성된 보조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보조 뚜껑의 기능이 상기 본체를 직접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주 뚜껑의 일측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주요 목적과 기능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식품을 완전히 부어 내기 위해서는 주 뚜껑(200)을 열고, 일부를 덜어내면서 덜어내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 뚜껑(200')을 열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상호 결합력을 더욱 보강함으로써, 사용중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보토 뚜껑을 이용하여 식품을 덜어내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100: 본체 110: 제1 리브
120: 제2 리브 130: 제3 리브
200: 주 뚜껑 200': 보조 뚜껑
200a': 내측 보조 뚜껑 200b': 상측 보조 뚜껑
210: 제1 트랙 220: 제2 홈
230: 수용공간 240: 제2 트랙
250: 제2 홈 260: 단차
260': 걸림턱 270: 결합구
270': 결합돌기 280, 280': 손잡이
290, 290': 경사면 300: 절곡홈
310: 구멍 320: 연장부

Claims (7)

  1. 하단면보다 상단면이 넓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리브(1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리브(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리브를 포함하는 상기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 리브(130)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 리브가 끼워지는 제1 트랙(210)과 상기 제3 리브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1 홈(22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요입된 수용공간(230)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 리브가 끼워지는 제2 트랙(240)과 상기 제3 리브의 하단이 끼워지는 제2 홈(2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 모서리 부분을 사각 형태로 절개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된 테두리를 따라 요입된 단차(260)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 상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구(270)가 형성되는 주 뚜껑(200); 및
    상기 주 뚜껑의 절개된 부분을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상기 주 뚜껑의 제1,2 트랙, 제1,2 홈 및 수용공간을 연장 형성하되, 상기 단차에 대응하는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26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상에는 상기 결합구를 관통하여 하단이 열압착 고정되는 결합돌기(270')가 형성된 보조 뚜껑(200');을 포함하고,
    상기 주 뚜껑의 절개된 부분에는 상기 단차가 형성된 두께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 상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조 뚜껑의 하부는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여 상기 걸림턱의 두께로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뚜껑과 상기 보조 뚜껑의 일측 테두리에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280, 280')가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뚜껑과 보조 뚜껑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상단면은 외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면(290, 29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뚜껑은 걸림턱 상의 절곡되는 부분 상측에 'V' 형태로 절곡홈(3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
  5. 삭제
  6. 삭제
  7. 하단면보다 상단면이 넓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리브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리브를 포함하는 상기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 리브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 리브가 끼워지는 제1 트랙과 상기 제3 리브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요입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 리브가 끼워지는 제2 트랙과 상기 제3 리브의 하단이 끼워지는 제2 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요입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가 형성된 영역 중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구간 상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 상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구가 형성된 주 뚜껑; 및
    상기 주 뚜껑의 단차가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는 상태로 개폐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상기 결합구를 관통하여 하단이 열압착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보조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용기.
KR2020140003168U 2014-04-21 2014-04-21 식품 보관용 용기 KR200478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168U KR200478597Y1 (ko) 2014-04-21 2014-04-21 식품 보관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168U KR200478597Y1 (ko) 2014-04-21 2014-04-21 식품 보관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55U KR20150003955U (ko) 2015-10-29
KR200478597Y1 true KR200478597Y1 (ko) 2015-11-02

Family

ID=5443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168U KR200478597Y1 (ko) 2014-04-21 2014-04-21 식품 보관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352B1 (ko) * 2016-07-14 2018-08-17 이재전 전자제품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55U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446B2 (en) Tamper evident thermoformed plastic clamshell container
US8418329B2 (en) Urn with latch
US11072463B2 (en) Modular container assembly
KR102044036B1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KR200442003Y1 (ko) 다단적층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KR200478597Y1 (ko) 식품 보관용 용기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1357136B1 (ko) 결합력유지와 분리의 용이성을 갖는 다단적층밀폐용기.
US20150274382A1 (en) Containing Box Structure
JP3200813U (ja) 食品包装用容器
KR200445185Y1 (ko)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JP2017007670A (ja) 易開封性容器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KR200433746Y1 (ko) 원터치식 밀폐 용기
KR20040081086A (ko) 음식물 보관용기
TWM593981U (zh) 置物籃之改良結構(七)
TWM485220U (zh) 收納盒之結構改良(三)
KR200385400Y1 (ko) 밀폐 용기
JP7100352B2 (ja) 収納容器
JP2019050798A5 (ko)
KR200430030Y1 (ko) 밀폐 용기
KR101988294B1 (ko)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KR101310509B1 (ko) 전자소자용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