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294B1 -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294B1
KR101988294B1 KR1020170073704A KR20170073704A KR101988294B1 KR 101988294 B1 KR101988294 B1 KR 101988294B1 KR 1020170073704 A KR1020170073704 A KR 1020170073704A KR 20170073704 A KR20170073704 A KR 20170073704A KR 101988294 B1 KR101988294 B1 KR 101988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tainer body
lid
seal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559A (ko
Inventor
황연기
Original Assignee
황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연기 filed Critical 황연기
Priority to KR102017007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2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단이 개구부에 연통된 통형상의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어퍼 록킹편(12); 상기 어퍼 록킹편(12)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워 록킹편(14); 상기 어퍼 록킹편(12)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세퍼레이션 돌편(16);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뚜껑 패널(21)(20a)에 테두리부(20PS)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20PS)의 내부에는 상기 어퍼 록킹편(12)과 상기 로워 록킹편(14) 및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이 수용되는 실링부 포밍 챔버가 구비된 뚜껑(20);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안쪽면과 상기 테두리부(20PS)의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이너 실링부(32);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과 상기 테두리부(20PS)의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아웃터 실링부(33);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기 어퍼 록킹편(12)과 상기 로워 록킹편(14) 및 상기 뚜껑(20)의 상기 테두리부(20PS)의 외측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Airtight receptacle with multiple sealing part}
본 발명은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봉부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밀봉 신뢰성을 높인 새로운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윤활유와 같은 제품은 공장에서 생산하여 용기에 담아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된장, 고추장, 김치, 젓갈류 등의 발효식품류 제품을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여 소비자들에게 판매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윤활유나 된장, 고추장 등의 제품을 판매 유통시키기 위해서 일정 체적의 플라스틱 용기 본체에 식품을 담고, 용기 본체의 상측 개구부는 뚜껑으로 닫아주게 된다. 통상적으로, 용기 본체에 된장, 고추장 등의 식품을 넣어서 뚜껑을 닫기 이전에 먼저 비닐 봉지에 먼저 식품을 담은 다음, 식품이 담긴 비닐 봉지 등을 용기 본체에 넣고 뚜껑을 닫아서 유통시키게 된다. 이때, 식품 용기 중에는 뚜껑 부분에 절취선에 의해 절취 테두리편을 구비하여, 상기 절취 테두리편을 절취선을 기준으로 뚜껑에서 떼어냄으로써 뚜껑을 열어줄 수 있는 구조의 식품 용기가 있다.
기존에는 밀봉 뚜껑에 절취 테두리편을 구비하여, 절취 테두리편을 떼어낸 이후에만 용기 본체에서 뚜껑을 열 수 있는 구조의 식품 보관 용기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절취 테두리편을 뚜껑에서 떼어내기 이전에 뚜껑이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뚜껑의 밀봉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뚜껑의 절취 테두리편에 의한 밀봉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하면서도 뚜껑 밀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절취 테두리편의 구조는 보다 심플하게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기존에는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를 밀봉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하여도 밀봉 구조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가 불가피하다는데에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32658호(2015.06.24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513154호(2015.04.13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70678호(2002.03.2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켓 밀봉부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밀봉 신뢰성을 높이면서도 복수개의 포켓 밀봉부의 구조는 심플하게 구현한 새로운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단이 개구부에 연통된 통형상의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어퍼 록킹편; 상기 어퍼 록킹편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워 록킹편; 상기 어퍼 록킹편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세퍼레이션 돌편;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뚜껑 패널(20a)에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에는 상기 어퍼 록킹편과 상기 로워 록킹편 및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이 수용되는 실링부 포밍 챔버가 구비된 뚜껑;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의 안쪽면과 상기 테두리부의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이너 실링부;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의 바깥면과 상기 테두리부의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아웃터 실링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어퍼 록킹편과 상기 로워 록킹편 및 상기 뚜껑의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로워 아웃터 실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뚜껑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측 개구부를 덮는 뚜껑 패널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향으로 연장된 이너 테두리편; 상기 이너 테두리부의 상단부에 내측단이 이어진 어퍼 테두리편; 상기 어퍼 테두리편의 외측단에 상단부가 이어지며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아웃터 테두리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너 테두리편의 안쪽면 일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의 안쪽면과 상기 이너 테두리편의 나머지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이너 실링부로 형성되고,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의 바깥면과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의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아웃터 실링부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 록킹편과 상기 로워 록킹편 및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의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로워 아웃터 실링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의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의 안쪽면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어퍼 록킹편 아래면에 걸려진 어퍼 걸림턱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로워 록킹편 아래면에 걸려지는 로워 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의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은 절취 가이드선을 기준으로 위쪽의 연결 아웃터 테두리편과 아래쪽의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의 안쪽면에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로워 록킹편 아래에 걸려지는 상기 로워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의 바깥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상기 뚜껑의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 안쪽면에 밀착된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과 상기 뚜껑의 상기 어퍼 테두리편 사이에 애드 실링부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의 안쪽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상기 뚜껑의 상기 이너 테두리편 안쪽면에 밀착된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의 바깥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상기 뚜껑의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 안쪽면에 밀착된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 상기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과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뚜껑의 상기 어퍼 테두리편 안쪽면에 밀착된 상향 세퍼레이션 돌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향 세퍼레이션 돌편을 기준으로 상기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의 상면과 상기 어퍼 테두리편의 안쪽면 사이와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의 상면과 상기 어퍼 테두리편의 안쪽면 사이에 각각 내측 애드 실링부와 외측 애드 실링부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뚜껑의 상기 이너 테두리편의 안쪽면 사이에 확보된 보조 실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를 덮도록 뚜껑을 용기 본체에 결합하면, 상기 이너 실링부와 아웃터 실링부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뚜껑의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을 뚜껑에서 떼어내기 이전에 뚜껑이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뚜껑으로 용기 본체를 밀봉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주요부인 용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뚜껑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반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반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반단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반단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반단면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10) 외주면에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과 세퍼레이션 돌편(16)이 구비되고, 용기 본체(10)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뚜껑(20)은 테두리부(20PS)를 구비하고, 뚜껑(20)의 테두리부(20PS)의 내부와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및 세퍼레이션 돌편(16) 사이에는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가 확보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어퍼 록킹편(12), 이러한 어퍼 록킹편(12)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워 록킹편(14)과, 상기 어퍼 록킹편(12)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세퍼레이션 돌편(16)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10)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 패널(21)(20a)에 테두리부(20PS)가 구비되고, 상기 테두리부(20PS)의 내부에는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및 세퍼레이션 돌편(16)이 수용되는 실링부 포밍 챔버가 구비된 뚜껑(20)과,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안쪽면과 테두리부(20PS)의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이너 실링부(32)와,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과 상기 테두리부(20PS)의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아웃터 실링부(33)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및 뚜껑(20)의 테두리부(20PS)의 외측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내부에 윤활유, 된장, 고추장 등의 보관 대상 제품(이하, 편의상 제품이라 함)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용기 본체(10)의 상부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용기 본체(1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다.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과 세퍼레이션 돌편(16)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20)의 테두리부(20PS)는 이너 테두리편(22)과 어퍼 테두리편(24)과 아웃터 테두리편(26)를 포함한다. 뚜껑(20)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 테두리편(22)은 뚜껑 패널(21)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향으로 연장된다. 뚜껑 패널(21)은 용기의 상단 개방부를 위에서 막아주는 부분으로서, 뚜껑 패널(21)의 둘레부에 이너 테두리편(22)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향 연장된다. 뚜껑 패널(21)이 수평 방향이라 가정하면, 이너 테두리편(22)은 뚜껑 패널(21)에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이너 테두리편(22)은 뚜껑 패널(21)의 둘레부에 하단부가 연결된 하부 이너 테두리편(22)과, 뚜껑 패널(21)의 중심부에서 바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상향 경사지며 하단부가 하부 이너 테두리편(22)의 상단부에 연결된 중간 이너 테두리편(22)과, 상기 중간 이너 테두리편(22)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부 이너 테두리편(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테두리편(24)의 내측단은 이너 테두리편(22)의 상단부에 이어진다. 상기 상부 이너 테두리편(22)의 상단부에 어퍼 테두리편(24)의 내측단이 연결된다. 어퍼 테두리편(24)은 뚜껑 패널(21)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뚜껑 패널(21)이 수평 방향이면 어퍼 테두리편(24)도 수평 방향이다. 어퍼 테두리편(24)은 이너 테두리편(2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다. 어퍼 테두리편(24)은 뚜껑 패널(21)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뚜껑(20)의 옆에서 볼 때에 이너 테두리편(2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어퍼 테두리편(24)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상단부는 어퍼 테두리편(24)의 외측단에 이어진다. 아웃터 테두리편(26)은 용기 본체(1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아웃터 테두리편(26)은 이너 테두리편(22)과 마주하도록 하향 연장된 구조이다.
상기 이너 테두리편(22)의 안쪽면 일부가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안쪽면과 이너 테두리편(22)의 나머지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이너 실링부(32)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단부측 개구부에 인접한 내주면이 하측 콘택트 내주면과 경사형 내주면과 세퍼레이션 돌편(16) 내주면을 포함하는데, 상기 뚜껑(20)의 이너 테두리편(22)을 구성하는 하측 이너 테두리편(22)의 바깥면 일부가 상기 용기 본체(10)의 하측 콘택트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측 이너 테두리편(22)의 바깥면이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내주면 일부에 밀착되고, 상기 뚜껑(20)의 중간 이너 테두리편(22)과 용기 본체(10)의 경사형 내주면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너 실링부(32)가 형성된다. 즉, 뚜껑(20)의 중간 이너 테두리편(22)과 용기 본체(10)의 경사형 내주면 사이의 이격된 부분이 이너 실링부(32)가 된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과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아웃터 실링부(33)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 록킹편(12)은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다. 용기 본체(10)의 상하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어퍼 록킹편(12)이 돌출되어 있다.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어퍼 록킹편(12)이 밖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는 구조이다. 상기 어퍼 록킹편(12)의 위쪽 부분이 세퍼레이션 돌편(16)이라 할 수 있는데,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은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어퍼 록킹편(12)의 외측단은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을 바라보고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과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아웃터 실링부(33)가 된다. 정확하게는,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과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및 어퍼 록킹편(12)의 상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아웃터 실링부(33)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어퍼 록킹편(12)의 외측단이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어퍼 록킹편(12)의 외측단이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 안쪽면에 밀착되면 상기 아웃터 실링부(33)가 외기와 차단된 실링 공간부로 보다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및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로 형성된다.
상기 로워 록킹편(14)도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워 록킹편(14)은 어퍼 록킹편(12)의 아래에 구비된다. 용기 본체(10)의 상하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로워 록킹편(14)이 돌출되어 있다.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로워 록킹편(14)이 밖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는 구조이다. 이때, 로워 록킹편(14)의 내측단과 외측단 사이의 거리는 어퍼 록킹편(12)의 내측단과 외측단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은 용기 본체(10)의 외주면 중에서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아래쪽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로워 록킹편(14)의 외측단은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을 바라보고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 아래의 외주면과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및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에 이격된 실링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실링 공간부가 로워 아웃터 실링부(34)가 된다. 정확하게는,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 아래쪽 외주면과 어퍼 록킹편(12)의 저면과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아웃터 실링부(33)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로워 록킹편(14)의 외측단도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로워 록킹편(14)의 외측단이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 안쪽면에 밀착되면 상기 로워 아웃터 실링부(34)가 외기와 차단된 실링 공간부로 보다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에는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 아래면에 걸려지는 어퍼 걸림턱(28)과 상기 용기 본체(10)의 로워 록킹편(14) 아래면에 걸려지는 로워 걸림턱(29)이 더 구비된다.
상기 어퍼 걸림턱(28)은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의 아래면에 걸려지는 어퍼 걸림면과, 상기 어퍼 걸림면에 이어짐과 동시에 아웃터 테두리편(26)의 하단부쪽으로 갈수록 뚜껑(20)패널의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진 어퍼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로워 걸림턱(29)은 용기 본체(10)의 로워 록킹편(14)의 아래면에 걸려지는 로워 걸림면과, 상기 로워 걸림면에 이어짐과 동시에 아웃터 테두리편(26)의 하단부쪽으로 갈수록 뚜껑(20)패널의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진 로워 가이드면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20)의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26)은 절취 가이드선(27)을 기준으로 위쪽의 연결 아웃터 테두리편(26A)과 아래쪽의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의 안쪽면에 용기 본체(10)의 로워 록킹편(14) 아래에 걸려지는 로워 걸림턱(29)이 구비된다. 상기 절취 가이드선(27)은 다른 부분보다 내외표면 사이의 두께가 더 얇게 구성되어, 상기 절취 가이드선(27)을 절취하여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을 뚜껑(20)에서 떼어내면 상기 어퍼 걸림턱(28)은 연결 아웃터 테두리편(26A)의 안쪽면에 남아서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 아래에 걸려져 있고, 로워 걸림턱(29)은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과 함께 용기 본체(10)에서 제거된다. 즉,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이 용기 본체(10)에서 벗겨지면, 로워 걸림턱(29)이 용기 본체(10)의 로워 록킹편(14)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측 개구부를 덮도록 뚜껑(20)(20)을 용기 본체(10)에 결합하면,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 안쪽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어퍼 걸림턱(28)과 로워 걸림턱(29)이 각각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아래에 각각 걸려져서 뚜껑(20)이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측 개구부를 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이너 테두리편(22)의 안쪽면 일부가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안쪽면과 이너 테두리편(22)의 나머지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이너 실링부(32)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과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아웃터 실링부(33)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및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10)를 덮도록 뚜껑(20)을 용기 본체(10)에 결합하면, 상기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가 형성되므로, 상기 뚜껑(20)의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을 뚜껑(20)에서 떼어내기 이전에 뚜껑(20)이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뚜껑(20)으로 용기 본체(10)를 밀봉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기존에는 용기 본체(10)와 뚜껑(20) 사이를 밀봉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하여도 밀봉 구조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가 불가피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뚜껑(20)을 용기 본체(10)에 결합하면 상기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로 이루어진 멀티 실링부가 형성되므로, 밀봉 구조가 만족스러워서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패킹과 같은 별도의 실링재를 쓰지 않고서도 뚜껑(20)만 용기 본체(10)에 결합하면 상기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가 에어 실링부로 형성되므로, 밀봉 구조가 만족스럽고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와 뚜껑(20) 사이의 결합된 부분으로 외부의 공기가 드나들려고 하여도 상기 이너 실링부(32)가 1차로 에어 실링부 작용을 하고, 아웃터 실링부(33)가 2차로 에어 실링부 작용을 하고, 로워 아웃터 실링부(34)가 3차로 에어 실링부 작용을 하게 되므로, 밀봉 구조가 만족스럽고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별도의 패킹과 같은 실링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 본체(10)를 뚜껑(20)으로 덮어주면 상기와 같은 멀티 실링부가 형성되므로, 기존에 비하여 뚜껑(20)으로 용기 본체(10)를 견고하게 밀봉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가 보다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에서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상기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20)을 용기 본체(10)에서 열었다가 다시 용기 본체(10)에 뚜껑(20)을 결합하면, 상기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뚜껑(20)을 아무리 많은 횟수로 용기 본체(10)에서 열고 닫아도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선단부가 용기 본체(10)의 세퍼레이션 돌편(16)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기단부가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외주면에 이어져서 용기 본체(10)의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용기 본체(10)가 상하 방향이라 하면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외측단이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 안쪽면에 밀착된다. 상기 용기 본체(10)에 구비된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과 상기 뚜껑(20)의 어퍼 테두리편(24) 사이에 애드 실링부(118)가 확보된다. 즉, 뚜껑(20)의 어퍼 테두리편(24)과 이너 테두리편(22)과 아웃터 테두리편(26)이 이어지는 부분의 안쪽면과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상면 사이에 애드 실링부(118)가 확보된 구조이다. 애드 실링부(118)도 에어 실링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뚜껑(20)만 용기 본체(10)에 결합하면 상기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에 더하여 애드 실링부(118)가 더 형성되므로,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와 같이 세 개의 에어 실링부가 형성된 것에 비하여 한 개의 에어 실링부가 추가(즉, 애드 실링부(118)가 추가)되어 네 개의 에어 실링부가 형성되므로,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세 개의 에어 실링부에 더하여 추가로 하나 더 에어 실링부를 형성하므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비하여 밀봉 기능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에서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상기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와 로워 아웃터 실링부(34) 및 애드 실링부(118)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3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10)는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과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과 상향 세퍼레이션 돌편(2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은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안쪽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뚜껑(20)의 이너 테두리편(22) 안쪽면에 밀착된다.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의 기단부가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안쪽면에 연결되어 용기 본체(10)의 중심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의 선단부가 뚜껑(20)의 이너 테두리편(22)의 안쪽면에 밀착된다.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은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 안쪽면에 밀착된다.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기단부가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용기 본체(1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선단부가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에 밀착된다.
상기 상향 세퍼레이션 돌편(216)은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과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뚜껑(20)의 어퍼 테두리편(24) 안쪽면에 밀착된다.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과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상면은 서로 이어져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과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상면 중간 부분에 상향 세퍼에이션 돌편의 하단부가 이어져 있고, 상향 세퍼레이션 돌편(216)의 상단부가 상기 뚜껑(20)의 어퍼 테두리편(24) 안쪽면(저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10)의 상향 세퍼레이션 돌편(216)을 기준으로 상기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의 상면과 어퍼 테두리편(24)의 안쪽면 사이와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상면과 어퍼 테두리편(24)의 안쪽면 사이에 각각 내즉 애드 실링부(218)와 외즉 애드 실링부(219)가 더 확보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에 더하여 내즉 애드 실링부(218)와 외즉 애드 실링부(219)가 더 확보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에 비하여 에어 실링부가 한 개 더 확보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에어 실링부가 네 개이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에어 실링부가 다섯 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제2실시예에 비하여 한 개의 에어 실링부가 더 확보되므로, 뚜껑(20)과 용기 본체(10)의 결합 부분 사이의 밀봉 구조를 제2실시예에 비하여 더 높이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비하여 제3실시예에서 밀봉 기능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뚜껑(20)과 용기 본체(10) 사이의 밀봉 구조가 더 높아지는 만큼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10)의 내외부로 드나드는 경우를 방지하는 기능이 그만큼 더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4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주면과 뚜껑(20)의 이너 테두리편(22)의 안쪽면 사이에 확보된 보조 실링부(2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바깥 방향으로 오목 돌편(222)을 구비하여, 상기 오목 돌편(222)과 뚜껑(20)의 이너 테두리부(20PS) 안쪽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인 보조 실링부(224)가 더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에서 용기 본체(1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오목 돌편(222)이 구비되어, 상기 오목 돌편(222)의 안쪽면이 뚜껑(20)의 이너 테두리편(22)의 안쪽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상기 보조 실링부(224)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와 로워 아웃터 실링부(34)와 내즉 애드 실링부(218) 및 외즉 애드 실링부(219)에 더하여 보조 실링부(224)가 더 확보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에 비하여 에어 실링부가 한 개 더 확보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에어 실링부가 다섯 개이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에어 실링부가 여섯 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제3실시예에 비하여 한 개의 에어 실링부가 더 확보되므로, 뚜껑(20)과 용기 본체(10)의 결합 부분 사이의 밀봉 구조를 제3실시예에 비하여 더 높이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비하여 제4실시예에서 밀봉 기능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뚜껑(20)과 용기 본체(10) 사이의 밀봉 구조가 더 높아지는 만큼 취급이나 유통 또는 사용 중에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10)의 내외부로 드나드는 경우를 방지하는 기능이 그만큼 더 높아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가 에어 실링부 구조를 가장 많이 확보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10)의 내외부로 드나드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구조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통형상의 용기 본체(10) 외주면에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과 세퍼레이션 돌편(16)이 구비되고, 용기 본체(10)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뚜껑(20)은 이너 테두리편(22)과 아웃터 테두리편(26)을 구비하고,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에서 용기 본체(1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오목 돌편(222)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뚜껑(20)의 테두리부(20PS)의 내부와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및 세퍼레이션 돌편(16) 사이에는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 및 로워 아웃터 실링부(34)가 확보되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주면과 뚜껑(20)의 이너 테두리편(22)의 안쪽면 사이에 확보된 보조 실링부(224)가 확보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이너 실링부(32)와 아웃터 실링부(33)와 로워 아웃터 실링부(34) 및 보조 실링부(224)에 의해 네 개의 에어 실링부가 확보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네 개의 에어 실링부가 확보된 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뚜껑(20)의 어퍼 걸림턱(28)은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의 아래면에 걸려지는 어퍼 걸림면과, 상기 어퍼 걸림면에 이어짐과 동시에 아웃터 테두리편(26)의 하단부쪽으로 갈수록 뚜껑(20)패널의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진 어퍼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뚜껑(20)의 로워 걸림턱(29)은 용기 본체(10)의 로워 록킹편(14)의 아래면에 걸려지는 로워 걸림면과, 상기 로워 걸림면에 이어짐과 동시에 아웃터 테두리편(26)의 하단부쪽으로 갈수록 뚜껑(20)패널의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진 로워 가이드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을 용기 본체(10) 위에서 눌러서 용기 본체(10)에 결합할 때, 상기 뚜껑(20)의 어퍼 걸림턱(28)의 어퍼 가이드면이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아래로 타고 내려가서 어퍼 걸림턱(28)의 어퍼 걸림면이 상기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 저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뚜껑(20)의 로워 걸림턱(29)의 로워 가이드면이 용기 본체(10)의 로워 록킹편(14)에 접촉된 상태에서 아래로 타고 내려가서 로워 걸림턱(29)의 로워 걸림면이 상기 용기 본체(10)의 로워 록킹편(14) 저면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뚜껑(20)의 어퍼 걸림편과 로워 걸림편을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에 보다 쉽게 걸려지도록 결합할 수 있고, 뚜껑(20)이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측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한 상태에서는 뚜껑(20)이 용기 본체(10)의 개방부에서 위로 벗겨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에서 용기 본체(1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오목 돌편(222)이 구비되어, 상기 오목 돌편(222)의 안쪽면이 뚜껑(20)의 이너 테두리편(22)의 안쪽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보조 실링부(224)가 형성되도록 하므로, 상기 보조 실링부(224)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용기 본체 12. 어퍼 록킹편
14. 로워 록킹편 16. 세퍼레이션 돌편
20. 뚜껑 20PS. 테두리부
21. 뚜껑 패널 22. 이너 테두리편
24. 어퍼 테두리편 26. 아웃터 테두리편
26A. 연결 아웃터 테두리편 26B.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
27. 절취 가이드선 28. 어퍼 걸림턱
29. 로워 걸림턱 32. 이너 실링부
33. 아웃터 실링부 34. 로워 아웃터 실링부
116.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 117.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
118. 애드 실링부 216. 상향 세퍼레이션 돌편
218. 내측 애드 실링부 219. 외측 애드 실링부
222. 오목 돌편 224. 보조 실링부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단이 개구부에 연통된 통형상의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어퍼 록킹편(12);
    상기 어퍼 록킹편(12)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워 록킹편(14);
    상기 어퍼 록킹편(12)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세퍼레이션 돌편(16);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뚜껑 패널(21)에 테두리부(20PS)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20PS)의 내부에는 상기 어퍼 록킹편(12)과 상기 로워 록킹편(14) 및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이 수용되는 실링부 포밍 챔버가 구비된 뚜껑(20);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안쪽면과 상기 테두리부(20PS)의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이너 실링부(32);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과 상기 테두리부(20PS)의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아웃터 실링부(33);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기 어퍼 록킹편(12)과 상기 로워 록킹편(14) 및 상기 뚜껑(20)의 상기 테두리부(20PS)의 외측 안쪽면 사이에 실링 공간으로 확보된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10)는 내향 세퍼레이션 돌편(117)과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과 상향 세퍼레이션 돌편(21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의 외측단이 상기 뚜껑(20)의 아웃터 테두리편(26) 안쪽면에 밀착되고, 상기 용기 본체(10)에 구비된 상기 외향 세퍼레이션 돌편(116)과 상기 뚜껑(20)의 어퍼 테두리편(24) 사이에 애드 실링부(118)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상기 테두리부(20PS)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측 개구부를 덮는 뚜껑 패널(21)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향으로 연장된 이너 테두리편(22);
    상기 이너 테두리편(22)의 상단부에 내측단이 이어진 어퍼 테두리편(24);
    상기 어퍼 테두리편(24)의 외측단에 상단부가 이어지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아웃터 테두리편(2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너 테두리편(22)의 안쪽면 일부가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의 안쪽면과 상기 이너 테두리편(22)의 나머지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이너 실링부(32)로 형성되고,
    상기 세퍼레이션 돌편(16)의 바깥면과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아웃터 실링부(33)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 록킹편(12)과 상기 로워 록킹편(14) 및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로워 아웃터 실링부(3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26)의 안쪽면에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기 어퍼 록킹편(12) 아래면에 걸려진 어퍼 걸림턱(28)과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기 로워 록킹편(14) 아래면에 걸려지는 로워 걸림턱(2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상기 아웃터 테두리편(26)은 절취 가이드선(27)을 기준으로 위쪽의 연결 아웃터 테두리편(26A)과 아래쪽의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취 아웃터 테두리편(26B)의 안쪽면에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기 로워 록킹편(14) 아래에 걸려지는 상기 로워 걸림턱(2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KR1020170073704A 2017-06-13 2017-06-13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KR10198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04A KR101988294B1 (ko) 2017-06-13 2017-06-13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04A KR101988294B1 (ko) 2017-06-13 2017-06-13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59A KR20180135559A (ko) 2018-12-21
KR101988294B1 true KR101988294B1 (ko) 2019-09-30

Family

ID=6496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704A KR101988294B1 (ko) 2017-06-13 2017-06-13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2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22B1 (ko) * 2013-10-29 2014-06-09 정상래 무패킹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678Y1 (ko) 2001-12-28 2002-04-04 고려알파라인(주) 밀폐용기
KR101513154B1 (ko) 2013-07-30 2015-04-20 주식회사 피앤비 개폐 구조를 개선한 용기
KR101532658B1 (ko) 2013-07-30 2015-07-01 주식회사 피앤비 밀봉 구조를 개선한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22B1 (ko) * 2013-10-29 2014-06-09 정상래 무패킹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59A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9902S1 (en) Round lid for a storage container
KR102086520B1 (ko) 병 뚜껑
JP5086465B2 (ja) 容器用キャップ
US20170245610A1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an integrated cup
RU2018115686A (ru)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печатывания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вставку
USD870507S1 (en) Storage container lid
US20130160265A1 (en) Container/lid assembly
MX2011002483A (es) Contenedor con dos tapas opuestas.
WO2005002977A3 (en) Sto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sleeve
CN210213173U (zh) 显窃启瓶箱
KR20150000857A (ko) 과일 용기
KR101988294B1 (ko)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KR101358360B1 (ko) 일회용 밀폐용기
US3237800A (en) Closure for coin feeding
KR20190053053A (ko) 일회용 종이용기
USD903402S1 (en) Container lid
US20120043326A1 (en)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KR101959297B1 (ko)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KR101959298B1 (ko) 누설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밀폐 용기
KR102537389B1 (ko) 플라스틱 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한 핸들 결합구조
KR200489145Y1 (ko) 파우치형 팩
KR20180106779A (ko) 이종의 식품을 함께 제공하는 식품용기
KR20190000531U (ko) 다용도 용기
KR200467289Y1 (ko) 용기캡
KR200471450Y1 (ko) 절약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