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297B1 -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297B1
KR101959297B1 KR1020170157970A KR20170157970A KR101959297B1 KR 101959297 B1 KR101959297 B1 KR 101959297B1 KR 1020170157970 A KR1020170157970 A KR 1020170157970A KR 20170157970 A KR20170157970 A KR 20170157970A KR 101959297 B1 KR101959297 B1 KR 101959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container body
strap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연기
Original Assignee
황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연기 filed Critical 황연기
Priority to KR1020170157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단의 개구부에 연통된 통형상의 용기 본체(10); 뚜껑 패널부(22)의 둘레부에서 하향 연장된 사이드 벽부(24)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아주는 뚜껑(20); 상기 뚜껑(20)의 측벽부에 구비된 오프닝 스트랩(124);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의 양단부 사이에 확보되어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닝 스페이스(124SP);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은 상기 사이드 벽부(24)를 따라 연장된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Airtight receptacle with reinforced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과 용기 본체 사이 결합 부분에서 용기 본체에 담긴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윤활유와 같은 제품은 공장에서 생산하여 용기에 담아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된장, 고추장, 김치, 젓갈류 등의 발효식품류 제품을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여 소비자들에게 판매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윤활유나 된장, 고추장 등의 제품을 판매 유통시키기 위해서 일정 체적의 플라스틱 용기 본체에 식품을 담고, 용기 본체의 상측 개구부는 뚜껑으로 닫아주게 된다. 통상적으로, 용기 본체에 된장, 고추장 등의 식품을 넣어서 뚜껑을 닫기 이전에 먼저 비닐 봉지에 먼저 식품을 담은 다음, 식품이 담긴 비닐 봉지 등을 용기 본체에 넣고 뚜껑을 닫아서 유통시키게 된다. 이때, 식품 용기 중에는 뚜껑 부분에 절취선에 의해 열림분리 띠를 구비하여, 상기 열림분리 띠를 절취선을 기준으로 뚜껑에서 떼어냄으로써 뚜껑을 열어줄 수 있는 구조의 식품 용기가 있다.
기존에는 밀봉 뚜껑의 사이드 벽부에 열림분리 띠를 구비하여, 열림분리 띠를 떼어낸 이후에만 용기 본체에서 뚜껑을 열 수 있는 구조의 식품 보관 용기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열림분리 띠을 뚜껑에서 떼어내기 이전에 뚜껑이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뚜껑의 밀봉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뚜껑의 열림분리 띠에 의한 밀봉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하면서도 뚜껑 밀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열림분리 띠의 구조는 보다 심플하게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에는 뚜껑의 개봉을 위한 열림분리 띠(이하, 편의상 오프닝 스트랩이라 함) 제거시 도구(수공구)가 필요하다. 뚜껑 개봉을 위한 오프닝 스트랩 제거시 도구를 이용해야 하므로 수작업이 어렵다.
또한, 뚜껑의 사이드 벽부에는 오프닝 스트랩을 잡고서 뜯어내기 위한 개방홀 형태의 절취 스타트부가 구비되는데, 뚜껑과 용기 본체의 형합시 절취 스타트부가 늘어짐에 의한 결합강도 약화와 백화현상이 발생한다. 뚜껑을 용기 본체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도록 고무망치로 두드려서 뚜껑과 용기 본체를 형합시키는데, 이러한 형합시에 오프닝 스트랩의 선단부에 구비된 절취 스타트부가 늘어지면서 결합강도 약화을 초래하고 이러한 절취 스타트부의 백화 현상이 생기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32658호(2015.06.24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513154호(2015.04.13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70678호(2002.03.2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과 용기 본체 사이 결합 부분에서 용기 본체에 담긴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누설 방지 강화 구조는 심플하게 구현한 새로운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단의 개구부에 연통된 통형상의 용기 본체; 뚜껑 패널부의 둘레부에서 하향 연장된 사이드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아주는 뚜껑; 뚜껑의 측벽부에 구비된 오프닝 스트랩; 상기 오프닝 스트랩의 양단부 사이에 확보되어 상기 오프닝 스트랩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닝 스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오프닝 스트랩은 상기 사이드 벽부를 따라 연장된 상부 절개 가이드선과 하부 절개 가이드선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프닝 스트랩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상향 연장 컷팅 가이드선 및 하향 연장 컷팅 가이드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향 연장 컷팅 가이드선 및 하향 연장 컷팅 가이드선은 상기 상부 절개 가이드선과 상기 하부 절개 가이드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프닝 스트랩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뚜껑의 상기 사이드 벽부에 구비된 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프닝 스트랩은 양단부에 인접한 외표면에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돌편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크로스 돌편은 곡선형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는 뚜껑의 개봉을 위한 오프닝 스트랩 제거시 도구(수공구)가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있고, 뚜껑 개봉을 위한 오프닝 스트랩 제거시 도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서 수작업이 쉬우며, 뚜껑과 용기 본체의 형합시 절취 스타트부가 늘어짐에 의한 결합강도 약화와 백화현상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주요부인 뚜껑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뚜껑의 저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뚜껑과 용기 본체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뚜껑을 용기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측면도
도 8은 도 5의 A-A선 종단면도
도 9는 도 5의 B-B선 종단면도
도 10은 도 4에서 뚜껑의 오프닝 스트랩을 절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오프닝 스트랩을 절취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C-C선 종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D-D선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주요부인 뚜껑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뚜껑을 용기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는 도 15의 뚜껑에서 오프닝 스트랩을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의 주요부인 뚜껑과 용기 본체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보조 연결편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보조 연결편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리키지 블로킹캡을 확대한 뚜껑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리키지 블로킹캡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뚜껑의 오프닝 스트랩의 일단부에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뚜껑을 용기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오프닝 스트랩을 뚜껑의 사이드 벽부에서 뜯어내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10) 외주면에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뚜껑(20)은 사이드 벽부(24)를 구비하고,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의 내부에 구비된 어퍼 걸림편과 로워 걸림편이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아래에 각각 걸려져서 밀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단의 개구부에 연통된 통형상의 용기 본체(10)와, 뚜껑 패널부(22)의 둘레부에서 하향 연장된 사이드 벽부(24)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아주는 뚜껑(20)과, 뚜껑(20)의 측벽부에 구비된 오프닝 스트랩(124)과,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의 양단부 사이에 확보되어 오프닝 스트랩(124)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닝 스페이스(124SP)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내부에 윤활유, 된장, 고추장 등의 보관 대상 제품(이하, 편의상 제품이라 함)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용기 본체(10)의 상부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용기 본체(1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다.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는 어퍼 걸림편(24)과 아웃터 걸림편(26)을 포함한다. 뚜껑(20)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어퍼 걸림편은 사이드 벽부(24)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복수개의 어퍼 걸림편 중에서 일부의 어퍼 걸림편은 오프닝 스트랩(124)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나머지 어퍼 걸림편은 사이드 벽부(24)의 어퍼 밴드부 내주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두 개의 어퍼 걸림편이 상기 어퍼 밴드부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나머지 어퍼 테투리편은 오프닝 스트랩(124)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을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서 뜯어내면 상기 어퍼 밴드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어퍼 걸림편들이 남아서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어퍼 록킹편(12) 아래에 걸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뚜껑(20)을 들어낼 때에는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에서 뚜껑(20)의 어퍼 밴드부에 구비된 어퍼 걸림편들이 위쪽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뚜껑(20)을 열어줄 수 있다. 반대로, 오프닝 스트랩(124)이 제거된 상태에서 뚜껑(20)을 닫을 때에는 뚜껑(20)을 용기 본체(10)의 개구부에서 아래로 눌러주면, 상기 어퍼 밴드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어퍼 걸림편들이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어퍼 록킹편(12)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다시 어퍼 록킹편(12) 아래에 걸려지므로, 상기 뚜껑(20)으로 용기 본체(10)의 상단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은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에 의해 형성된다.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를 따라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이 연장되고, 상기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이 상하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에 의해 오프닝 스트랩(1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에서 양단부에서 일정 폭으로 들어온 부분은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의 외표면에는 복수개의 크로스 돌편(124CP)이 구비된다. 상기 스타트 오프링 스트랩편(124SOP)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부 스타트 절개 가이드선(126SBL)과 하부 스타트 절개 가이드선(127SBL)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스타트 절개 가이드선(126SBL)과 하부 스타트 절개 가이드선(127SBL)은 사이드 벽부(24)의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절개선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보조 연결편(122SCP)에 의해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 연결된다.
상기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는 로워 밴드부(128)가 더 구비된다. 로워 밴드부(128)는 오프닝 스트랩(124)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을 형성하는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에서부터 사이드 벽부(24)의 하단부까지의 폭 영역이 로워 밴드부(128)가 된다. 상기 로워 밴드부(128)의 내주면에 로워 걸림편이 구비된다. 로워 걸림편은 로워 밴드부(128)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 연장된 폐루프형 돌기로 구성된다. 로워 밴드부(128)는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를 형성하고, 로워 밴드부(128) 내주면에 로워 걸림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로워 걸림편이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워 록킹편(14)의 아래에 걸려진다.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에는 복수개의 크로스 돌편(124CP)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크로스 돌편(124CP)은 오프닝 스트랩(124)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된다. 오프닝 스트랩(124)의 단부에서부터 일정 길이의 폭 영역이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이고,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의 외표면에 복수개의 크로스 돌편(124CP)이 구비된다. 즉, 오프닝 스트랩(124)은 양단부에 인접한 외표면에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돌편(124CP)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구조이다. 크로스 돌편(124CP)은 사이드 벽부(24)의 상하단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크로스 돌편(124CP)은 곡선형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측 개구부를 덮도록 뚜껑(20)을 용기 본체(10)에 결합한다. 보통 고무망치로 뚜껑(20)을 두드려서 뚜껑(20)을 용기 본체(10)의 상단 개구부를 막아주도록 결합한다. 그러면,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 안쪽면에 돌촐된 어퍼 걸림편(26)과 로워 걸림편이 각각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어퍼 록킹편(12)과 로워 록킹편(14) 아래에 각각 걸려져서 뚜껑(20)이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측 개구부를 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을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서 뜯어내서 상기 어퍼 밴드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어퍼 걸림편들만 남기고 오프닝 스트랩(124)에 있는 어퍼 걸림편들을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사이드 벽부(24)를 구성하는 어퍼 밴드부의 어퍼 걸림편들만이 남아서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어퍼 록킹편(12) 아래에 걸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20)을 위로 들어내는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 용기 본체(10)의 어퍼 록킹편(12)에서 뚜껑(20)의 어퍼 밴드부에 구비된 어퍼 걸림편들이 위쪽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뚜껑(20)을 열어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뚜껑(20)의 개봉을 위한 오프닝 스트랩(124) 제거시 도구(수공구)가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뚜껑(20) 개봉을 위한 오프닝 스트랩(124) 제거시 도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서 수작업이 쉽다.
또한,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는 오프닝 스트랩(124)을 잡고서 뜯어내기 위한 개방홀 형태의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절취 스타트부)이 구비되는데, 뚜껑(20)과 용기 본체(10)의 형합시 절취 스타트부가 늘어짐에 의한 결합강도 약화와 백화현상을 해결한다. 뚜껑(20)을 용기 본체(10)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도록 고무망치로 두드려서 뚜껑(20)과 용기 본체(10)를 형합시키는데, 이러한 형합시에 오프닝 스트랩(124)의 선단부에 구비된 절취 스타트부가 늘어지면서 결합강도 약화되는 경우가 방지되며, 이러한 절취 스타트부의 백화 현상도 방지된다.
고무망치로 뚜껑(20)을 두드려서 용기 본체(10)에 형합(결합)할 때에 절취 스타트부의 늘어짐과 백화현상이 심화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절취 스타트부의 단락(이탈) 발생도 방지된다.
특히, 상기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를 구성하는 로워 밴드부(128)의 간격에 의하여 벌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벌림 현상이라 함은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가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상기 로워 밴드부(128)의 간격으로 인하여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와 용기 본체(10)의 외주면 사이의 벌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의 상하단부 사이의 폭도 조절하여 구성함으로써 벌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더 도움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뚜껑(20)과 용기 본체(10)의 재질은 PP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PE 소재일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벌림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뚜껑(20)과 용기 본체(10) 사이의 벌림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또한, 상기 뚜껑(20)과 용기 본체(10) 사이의 결합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 본체(10)에 담긴 내용물(예를 들어, 윤활유 등의 액상 내용물)이 누설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 용기를 파레트에 적재시에 표면 돌출 모양이 없어서 제품 간의 충격(즉, 밀폐 용기 간의 충격)에 의한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오프닝 스트랩(124)은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은 오프닝 스트랩(124)의 양단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절개형 홈 형태로 구성된다.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은 사이드 벽부(24)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연통된다.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은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에 이어진다.
상기 사이드 벽부(24)의 안쪽면에서부터 바깥쪽면을 항하여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은 연통되고,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 및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이 오목한 홈 형태로 파여진 구조인데, 상기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이 사이드 벽부(24)의 안쪽면에서 바깥쪽 면을 향하여 관통된 절개형 홈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을 손으로 잡고 뜯어내기 시작할 때에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에 비하여 내표면에서 외표면으로 연통된 절개홈 형태의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 부분이 보다 더 쉽고 원활하게 용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므로,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을 보다 쉽게 뜯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은 양단부에 인접한 외표면에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돌편(124CP)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어서, 오프닝 스트랩(124)을 벗겨낼 때에 오프닝 스트랩(124)에 균일하게 구부러지므로 벗겨내는 작업이 보다 쉽다.
이때, 상기 크로스 돌편(124CP)이 곡선형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오프닝 스트랩(124)을 벗겨낼 때에 생기는 벤딩력(구부러지는 힘)을 분산시켜 줌으로써 오프닝 스트랩(124)의 파단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오프닝 스트랩(124)의 파단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함으로 인하여 뚜껑(20)과 용기 본체(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어퍼 스타트 절단선(126SL)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은 사이드 벽부(24)의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절개선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보조 연결편(122SCP)에 의해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을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서 뜯어내지 않고 취급할 때에는 보조 연결편(122SCP)이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이 사이드 벽부(24)에서 쉽게 뜯어지거나 들려지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본 발명의 밀폐 용기 취급시 제품 신뢰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는 한편,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을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서 뜯어내려고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의도적으로 일정한 힘을 주어 밖으로 당겨주면, 상기 보조 연결편(122SCP)이 원활하게 파단되므로,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을 뚜껑(20)의 사이드 벽부(24)에서 뜯어낼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이 보다 원활하게 뜯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키지 블로킹캡(220)을 더 포함한다. 리키지 블로킹캡(220)은 캡바디(222)와 그레이팅편(224)을 포함한다. 리키지 블로킹캡(220)은 가스 투과시트(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바디(222)는 단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캡바디(222)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각 하부홀(222LH)과 상부홀(222UH)이 구비된다. 캡바디(222)의 외주면에는 지지턱(222S)이 구비된다.
상기 그레이팅편(224)은 캡바디(222)에 내장된다. 캡바디(222)의 내주면에 그레이팅편(224)의 둘레부가 접합되어, 캡바디(222)의 내부에 그레이팅편(224)이 내장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그레이팅편(224)은 상하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통공(224H)을 구비한다. 통공(224H)은 그레이팅편(224)에 격자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스 투과시트(226)는 캡바디(222)에 내장된다. 그레이팅편(224)과 캡바디(222)의 상부홀(222UH) 사이에 가스 투과시트(226)가 배치된다. 가스 투과시트(226)가 그레이팅편(224)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리키지 블로킹캡(220)은 뚜껑(20)에 형성된 캡홀에 삽입된다. 상기 캡바디(222) 외주면의 지지턱(222S)이 뚜겅의 상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캡바디(222)가 뚜껑(20)에 접합됨으로써 뚜껑(20)에 리키지 블로킹캡(220)이 구비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지지턱(222S)이 뚜껑)20)의 캡홀 내주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리키지 블로킹캡(220)은 용기 본체에 담긴 내용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기 본체 내부에 생기는 가스를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용기 본체(10)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윤활유 등)의 일부가 리키지 블로킹캡(220) 쪽으로 흘러나오려 하여도 상기 캡바디(222)의 내부에 수막이 형성되므로 용기 본체에 담긴 내용물은 세어나오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그레이팅편(224)은 복수개의 격자형 통공(224H)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224H)마다 수막이 더 잘 형성되므로, 용기 본체에 담긴 내용물은 세어나오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가스 투과시트(226)를 다공이 있는 스펀지나 면과 같이 수분 흡수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편(224)의 통공(224H)으로 일부의 액상 내용물이 조금 올라오더라도 상기 가스 투과시트(226)가 조금의 액상 내용물도 흡수해 버리므로, 상기 용기 본체에서 리키지 블로킹캡(220)으로 내용물이 세어 나오는 것이 완전히 방지된다.
반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생긴 가스는 캡바디(222)의 하부홀(222LH)로 들어와서 그레이팅편(224)의 각각의 통공(224H)을 통과하고, 상기 가스 투과시트(226)를 통과하여 상기 캡바디(222)의 상부홀(222UH)을 통해서 용기 본체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 내부에 생긴 가스로 인하여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품질이 나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편(124SOP)을 오프닝 스페이스(124SP)를 기준으로 양쪽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124SOP)를 오프닝 스페이스(124SP)의 한쪽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124SOP)를 오프닝 스페이스(124SP)의 한쪽에만 구비된 실시예의 경우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124SOP)이 한 개만 구비된 것 이외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기능 내지 효과는 동일 유사하므로, 스타트 오프닝 스트랩(124SOP)를 오프닝 스페이스(124SP)의 한쪽에만 구비된 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용기 본체 12. 어퍼 록킹편
14. 로워 록킹편 20. 뚜껑
22. 뚜껑 패널부 24. 사이드 벽부
124. 오프닝 스트랩 124SP. 오프닝 스페이스
124CP. 크로스 돌편 126. 상부 절개 가이드선
126SL. 어퍼 스타트 절단선 127. 하부 절개 가이드선
127SL. 로워 스타트 절단선 128. 로워 밴드부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단의 개구부에 연통된 통형상의 용기 본체(10);
    뚜껑 패널부(22)의 둘레부에서 하향 연장된 사이드 벽부(24)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아주는 뚜껑(20);
    상기 뚜껑(20)의 측벽부에 구비된 오프닝 스트랩(124);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의 양단부 사이에 확보되어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닝 스페이스(124SP);
    상기 뚜껑(20)에 형성된 캡홀에 삽입된 리키지 블로킹캡(220);을 포함하며,
    상기 리키지 블로킹캡(220)은 캡바디(222)와 그레이팅편(224) 및 가스 투과시트(22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방지 기능을 보완한 밀폐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은 상기 사이드 벽부(24)를 따라 연장된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방지 기능을 보완한 밀폐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상향 연장 컷팅 가이드선 및 하향 연장 컷팅 가이드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방지 기능을 보완한 밀폐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향 연장 컷팅 가이드선 및 하향 연장 컷팅 가이드선은 상기 상부 절개 가이드선(126)과 상기 로워 스타트 절단선(127SL)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방지 기능을 보완한 밀폐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 스트랩(124)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뚜껑(20)의 상기 사이드 벽부(24)에 구비된 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방지 기능을 보완한 밀폐 용기.
KR1020170157970A 2017-11-24 2017-11-24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KR101959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970A KR101959297B1 (ko) 2017-11-24 2017-11-24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970A KR101959297B1 (ko) 2017-11-24 2017-11-24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297B1 true KR101959297B1 (ko) 2019-03-18

Family

ID=6594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970A KR101959297B1 (ko) 2017-11-24 2017-11-24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29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056U (ko) * 1997-06-16 1999-01-15 박재윤 포장용기
KR200270678Y1 (ko) 2001-12-28 2002-04-04 고려알파라인(주) 밀폐용기
KR200334768Y1 (ko) * 2003-08-27 2003-12-01 (주)새신프라코 밀폐 뚜껑을 갖춘 용기
KR200389439Y1 (ko) * 2005-04-15 2005-07-14 (주)조은식품 포장 용기
KR200425505Y1 (ko) * 2006-06-08 2006-09-13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KR101513154B1 (ko) 2013-07-30 2015-04-20 주식회사 피앤비 개폐 구조를 개선한 용기
JP5736704B2 (ja) * 2010-09-27 2015-06-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リシール性を有する密封容器
KR101532658B1 (ko) 2013-07-30 2015-07-01 주식회사 피앤비 밀봉 구조를 개선한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056U (ko) * 1997-06-16 1999-01-15 박재윤 포장용기
KR200270678Y1 (ko) 2001-12-28 2002-04-04 고려알파라인(주) 밀폐용기
KR200334768Y1 (ko) * 2003-08-27 2003-12-01 (주)새신프라코 밀폐 뚜껑을 갖춘 용기
KR200389439Y1 (ko) * 2005-04-15 2005-07-14 (주)조은식품 포장 용기
KR200425505Y1 (ko) * 2006-06-08 2006-09-13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JP5736704B2 (ja) * 2010-09-27 2015-06-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リシール性を有する密封容器
KR101513154B1 (ko) 2013-07-30 2015-04-20 주식회사 피앤비 개폐 구조를 개선한 용기
KR101532658B1 (ko) 2013-07-30 2015-07-01 주식회사 피앤비 밀봉 구조를 개선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149Y1 (ko) 비닐 내피가 구비된 이중 톤백
KR102110373B1 (ko)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KR101959297B1 (ko)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KR101959298B1 (ko) 누설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밀폐 용기
CN100584705C (zh) 包装和废物处理系统
US20120217242A1 (en) Vented trash receptacle
JP6052772B2 (ja) 分別廃棄用ヒンジキャップ
KR20090056033A (ko) 비닐봉투
KR20100045288A (ko) 튜브형 용기
JP3165984U (ja) らくらく詰め替え容器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102537389B1 (ko) 플라스틱 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한 핸들 결합구조
KR101988294B1 (ko)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JP5384000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513113B1 (ko) 누출 방지용 용기뚜껑
JP4596419B2 (ja) 封緘式キャップ
KR100870151B1 (ko) 저장용기용 개폐구.
KR200479343Y1 (ko) 분할 개봉이 가능한 이중 용기
KR20190000531U (ko) 다용도 용기
KR200466117Y1 (ko) 재활용이 가능한 캔
CN219155198U (zh) 一种洗衣液瓶盖
JP2013028368A (ja) 揮散容器
KR20160002482U (ko) 액체 용기용 뚜껑
KR200413958Y1 (ko) 종이 포장대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