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505Y1 -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 Google Patents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505Y1
KR200425505Y1 KR2020060015347U KR20060015347U KR200425505Y1 KR 200425505 Y1 KR200425505 Y1 KR 200425505Y1 KR 2020060015347 U KR2020060015347 U KR 2020060015347U KR 20060015347 U KR20060015347 U KR 20060015347U KR 200425505 Y1 KR200425505 Y1 KR 200425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afety
separation
packaging contain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권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15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6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bayonet cams, i.e. removed by first pushing axially to disengage the cams and then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의 인위적인 분리 방지를 통한 내용물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포장용기(1)의 주입구(2)를 밀폐하기 위하여 목부(3)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걸림 턱(4)(5)(6)에 다단으로 강제 압입 결합되는 안전 뚜껑(10)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제1 걸림 홈(4)에 걸림되는 제1 걸림 턱(21)이 대응 내주 면으로 형성된 뚜껑 본체(20)와; 상기 뚜껑 본체(20)에 대하여 상부 벽(31)의 가장자리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32)이 분리수단(33)에 의해 절취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 상기 뚜껑 본체(20)와 상기 측벽(32)의 분리 경계선으로 형성된 연결편(34)에 의해 일방으로 개폐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의 내주 면으로는 상기 목부(3)의 제2 걸림 홈(5)에 걸림되는 제2 걸림 턱(35)이 구비되고, 또 상기 상부 벽(31)의 중앙 하부로는 상기 측벽(32)과 함께 상기 주입구(2)의 개구 상단을 밀폐하기 위한 지지 단관(36)이 구비되어 진 개폐뚜껑(30); 및 상기 뚜껑 본체(20)의 하부로 다수의 연결 웨브(41)에 의해 절취 가능하게 연결지지 되고, 또 하단부 내측으로는 상기 목부(3)의 제3 걸림 턱(6)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도록 내측 상향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걸림 테(42)가 구비된 안전 밴드(40)를 포함한 구성이다.
포장용기, 안전 캡, 안전 뚜껑, 위 변조방지

Description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A safe cap for package bott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뚜껑이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취부의 다른 예를 보인 안전 뚜껑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띠가 일부 절취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 뚜껑의 개폐 상태를 보인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포장 용기 2: 주입구
3: 목부 4,5,6: 제1 내지 제3 걸림 턱
10: 안전 뚜껑 20: 뚜껑 본체
21: 제1 걸림 턱 30: 개폐 뚜껑
31: 상부 벽 32: 측 벽
33: 분리수단 34: 연결편
35: 제2 걸림 턱 36: 지지단관
37: 돌출편 40: 안전밴드
41: 연결 웨브 42: 걸림 테
331: 분리 띠 331a,331b: 절취선
331c: 분리편 332: 절취부
332a: 절취선 332b: 연결웨브
333,341: 절제공간
본 고안은 알약과 같은 내용물을 담아 포장하는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 뚜껑의 인위적인 분리 방지를 통한 내용물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있는 포장 용기의 안전 캡은, 캡을 내 외 캡으로 조립 형성하여 어린이들이 캡을 용기 본체로부터 쉽게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과, 캡의 분리나 개방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의 위 변조 상태를 소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의 캡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 제안되고 있는 안전 캡 들은, 개방 안전성에 따른 이점은 있으나, 용기 본체와의 결합력이 매우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점은 캡이 통상적으로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외력의 작용시 용기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용기 본체에 결합된 캡의 걸림 부위에 열을 가하는 경우 해당부위가 이완되어 지면서 결합력을 쉽게 상실하게 되고, 또 이러한 외부 요인에 의해 캡은 용기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지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력의 문제로 인해 종래 안전 캡의 구조에 따르면, 포장용기 내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바꿔치기가 유통 과정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현실이다. 예를 들어, 제약회사에서는 정상적으로 고가의 정품 약이 포장용기에 포장되어서 출하되는데, 이것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불법적으로 저가의 모조품 약으로 바꿔치기 되어져서 시중에 유통되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물의 불법 변경은 소비자로 하여금 포장물의 신뢰도를 크게 저하시키게 되고, 또 내용물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는 현저한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력에 의해 포장 용기로부터 뚜껑이 쉽게 분리되거나, 또 분리되는 경우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이 유통 과정에서 내용물의 불법적인 변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포장되는 포장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기 위하여 목부의 외주 면으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걸림 턱에 강제 압입 방식으로 결합되는 안전 뚜껑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제1 걸림 홈에 걸림되는 제1 걸림 턱이 대응 내주 면으로 돌출 형성된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에 대하여 상부 벽의 가장자리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이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 상기 뚜껑 본체와 상기 측벽의 분리 경계선으로 형성된 연결편에 의해 일방으로 개폐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며, 측벽의 내주면 단부로는 상기 목부의 제2걸림 홈에 걸림되는 제2걸림 턱이 구비되고, 또 상기 상부 벽의 중앙 하부로는 상기 측벽과 함께 상기 주입구의 내주면을 밀폐하기 위한 지지 단관이 구비되어 진 개폐뚜껑; 및 상기 뚜껑 본체의 하부로 다수의 연결 웨브로 절취 가능하게 연결지지 되고, 하단부 내측으로는 상기 목부의 제3 걸림 턱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도록 상향 내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걸림 테가 구비된 안전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에 대해 안전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뚜껑(10)은, 포장용기(1)의 주입구(2)를 밀폐하기 위하여 목부(3)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걸림 홈(4)(5)(6)에 대해 강제 압입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진다.
이러한 안전 뚜껑(10)은 뚜껑 본체(20)와, 개폐 뚜껑(30) 및 안전밴드(40)로 구성된다.
뚜껑 본체(20)는, 상기 목부(3)의 제1 걸림 홈(4)에 걸림되는 제1 걸림 턱(21)이 대응 내주 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개폐 뚜껑(30)은, 상기 뚜껑 본체(20)에 대하여 상부 벽(31)의 가장자리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32)이 분리수단(33)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 상기 뚜껑 본체(20)와 상기 측벽(32)의 분리 경계선으로 형성된 연결편(34)의 힌지 작용에 의해 일방으로 개폐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측벽(32)의 내주면 단부로는 개폐 조작시 상기 목부(3)의 제2 걸림 홈(5)에 걸림되는 제2 걸림 턱(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벽(31)의 중앙 하부로는 상기 측벽(32)과 함께 상기 포장용기(1)의 주입구(2)의 내주면을 밀폐하기 위한 지지 단관(36)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뚜껑 본체(20)에 대해 연결편(34)을 중심으로 개폐 뚜껑(30)을 일방으로 개폐 조작하기 위하여 사전에 절취되는 분리수단(33)은, 상기 뚜껑 본체(20)와 개폐 뚜껑(30)의 분리 경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절취선(331a)(331b)으로 절취 가능하게 일정 구간 형성되어 진 일정 폭의 분리 띠(331)와, 상기 분리 띠(331)가 형성되어 진 나머지 구간에 형성되어 지는 절취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절취부(332)는 상기 분리 띠(331)의 제1 절취선(331a)과 연장 선상에 형성되고, 또 연결편(34)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진다.
상기 분리 띠(331)의 제1 및 제2 절취선(331a)(331b)은 해당 부분의 단면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는 얇게 형성되어 있어 외력을 가하는 경우 쉽게 절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취부(33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띠(331)의 제1 및 제2 절취선(331a)(331b)과 같은 형태의 절취선(332a)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절취선(332a)은 제1 및 제2 절취선(331a)(331b)과 같이 얇게 형성되어 진 구성이다.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 웨브(332b)가 일정한 간격으로 절취 가능하게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분리 띠(331)로는 분리 편(3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리 편(331c)은 상기 분리 띠(331)의 최초 분리 단부에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분리 편(331c)은 손으로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상기 분리 띠(331)의 외 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분리 띠(331)의 시작 및 마지막 지점에도 분리 절취가 용이하도록 일정한 절제 공간(33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 뚜껑 본체(20)에 대하여 개폐 뚜껑(30)이 열고 닫힐 때 힌지 작용을 하는 연결편(34)은 절취부(332)의 절취 조작이 용이하도록 이의 양측으로 상기 절취부(332)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절제 공간(3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뚜껑(30)의 측 벽(32)으로는, 특히, 개방 조작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돌출편(37)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37)은 연결편(34)과는 정 반대 쪽 위치의 개폐 뚜껑(30)에 형성되어 있다.
안전 밴드(40)는, 상기 뚜껑 본체(20)의 하부로 다수의 연결 웨브(41)로 절취 가능하게 연결지지 된다. 그리고, 그 하단 내측으로는 상기 포장용기(1)의 목부(3)에 형성된 제3 걸림 턱(6)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도록 내측 상향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걸림 테(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뚜껑(10)이 포장용기(1)의 목부(3)에 결합된 상태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우선, 도 1과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전 뚜껑(10)을 내용물이 저장된 포장용기(1)의 주입구(2)를 밀폐하기 위하여 목부(3)의 상부에서 강제로 압입하여 준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목부(3)에 대한 안전 뚜껑(10)의 조립은 기계적인 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안전 뚜껑(10)은 강제 압입에 의해 포장용기(1)의 목부(3)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눌려져 결합되는 바, 이 과정에서 목부(3)의 주입구(2)는 개폐 뚜껑(30)의 측벽(32)과 지지 단관(36)에 의해 밀폐 결합되어 지고, 또 목부(3)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걸림 홈(4)(5)(6)에 대해, 상기 뚜껑 본체(20)의 제1 걸림 턱(21)과 개폐뚜껑(30)의 제2 걸림 턱(35) 및 안전밴드(40)의 걸림 테(42)가 상호 다단으로 걸려지면서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목부(3)의 주입구(2)의 개구 상단은 개폐뚜껑(30)의 상부 벽(31)과 측벽(32) 및 지지 단관(36)에 의해 밀폐되어 지고, 또, 안전 뚜껑(10)은 목부(3)의 각 걸림 홈(4,5,6)에 각각 제1 및 제2 걸림 턱(21,35)과 걸림 테(42)가 다단으로 탄성 결합되어 지기 때문에 항상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결합력의 유지로 인해 설령 외력을 가하더라도, 안전 뚜껑(10)은 포장용기(1)의 목부(3)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즉, 뚜껑 본체(20)의 제1 걸림 턱(21)과 안전밴드(40)의 걸림 테(42)가 해당 걸림 홈(4)(6)에 각각 순차적으로 걸림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열을 가하거나 외력을 작용시키더라도 이들 모두를 분리 조작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매우 어렵다 할 것이다. 특히 안전밴드(40)의 경우 걸림 테(42)가 상향 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해당 걸림 홈(6)에 탄성적으로 걸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무리하게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칫 뚜껑 본체(20)에 대해 안전밴드(40)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 웨브(41)가 절취되어 짐에 따라 어느 모로 보나 종래에 비해 안전 뚜껑(10)을 포장용기(10)로부터 쉽게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안전 뚜껑(10)을 포장 용기(2)로부터 인위적으로 분리 시키는 것이 불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포장용기(10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불법적으로 교체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포장용기(1)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분리수단(33)의 분리 띠(331)가 일차적으로 일부 절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포장용기(1)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개폐 뚜껑(30)을 뚜껑 본체(20)로 부터 열고 닫아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과 같이 절취 되기 전에 있는 분리 수단(33)의 분리 띠(331)를 1차적으로 제거하여 한다. 이러한 분리 띠(331)의 제거는 분리 시작점에 구비된 분리 편(331c)을 손으로 잡고 외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도 4와 같이 양 절취선(331a)(331b)이 서서히 절취되어 지고, 분리 마지막 지점까지 완전히 잡아당겨 줌으로써 상기 분리 띠(331)는 뚜껑 본체(20)와 개폐 뚜껑(30)으로부터 일부 구간에서 완전히 분리 제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폐 뚜껑(30)으로 형성된 돌출 편(37)을 상부로 강하게 밀어 올리면, 이 돌출편(37)을 밀어 올리는 힘에 의해 일부 구간에 남아 있는 절취부(332), 예컨대 도 1에서 절취 선(332a)이나 도 4에서 연결 웨브(332b)가 힌지 작용을 하는 연결편(34)을 제외하고 재차 강제로 절취되어 진다.
따라서, 개폐 뚜껑(30)은 상기한 분리수단(33)의 절취 작업에 의해 그 일 측으로 구비된 연결편(34)을 중심으로 열고 닫히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또 연결편(34)에 의해 개폐뚜껑(30)은 반복적인 개폐 동작에 의해서도 뚜껑 본체(20)로부터 분리되거나 분실될 염려가 전혀 없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 뚜껑(30)의 폐방 또는 개방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포장용기(1)의 주입구(2)에 열고 닫히는 개폐 뚜껑(30)은 일부 구간에서 분리 띠(331)가 제거된 상태이지만, 개폐 뚜껑(30)의 개방 전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그 측벽(32)으로 형성된 제2걸림 턱(35)이 목부(3)의 제2 걸림 홈(5)에 상호 걸림 및 해제 조작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사용에 따른 개폐 뚜껑(30)의 개폐 조작이 안정적이고, 또 내용물의 불 사용시에는 임의적인 개방이 방지된다. 그리고 지지 단관(36)이 주입구(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항상 열고 닫히기 때문에 일정한 밀폐력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포장용기의 목부에 대해 다단의 걸림력으로 단단히 결합되어 지기 때문에 강한 걸림력의 유지로 인해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안전 뚜껑의 인위적인 제거가 불가능하게 되고, 또 상기한 이유로 인해 내용물의 인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현저한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 개폐 뚜껑의 개폐 조작에 의해서도, 뚜껑 본체와 안전밴드는 각 걸림 홈에 걸림 턱 및 걸림 테가 이중으로 상호 걸림 조작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용기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개폐 뚜껑이 연결편에 의해 뚜껑 본체에 항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망실 우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내용물이 저장되는 포장용기(1)의 주입구(2)를 밀폐하기 위하여 목부(3)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걸림 턱(4)(5)(6)에 다단으로 강제 압입 결합되는 안전 뚜껑(10)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제1 걸림 홈(4)에 걸림되는 제1 걸림 턱(21)이 대응 내주 면으로 형성된 뚜껑 본체(20)와;
    상기 뚜껑 본체(20)에 대하여 상부 벽(31)의 가장자리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32)이 분리수단(33)에 의해 절취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 상기 뚜껑 본체(20)와 상기 측벽(32)의 분리 경계선으로 형성된 연결편(34)에 의해 일방으로 개폐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의 내주 면으로는 상기 목부(3)의 제2 걸림홈(5)에 걸림되는 제2 걸림 턱(35)이 구비되고, 또 상기 상부 벽(31)의 중앙 하부로는 상기 측벽(32)과 함께 상기 주입구(2)의 개구 상단을 밀폐하기 위한 지지 단관(36)이 구비되어 진 개폐뚜껑(30); 및
    상기 뚜껑 본체(20)의 하부로 다수의 연결 웨브(41)에 의해 절취 가능하게 연결지지 되고, 또 하단부 내측으로는 상기 목부(3)의 제3 걸림 턱(6)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도록 내측 상향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걸림 테(42)가 구비된 안전 밴드(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20)에 대해 연결편(34)을 중심으로 개폐 뚜 껑(30)을 일방으로 개폐 조작하기 위하여 사전에 절취되는 분리수단(33)은, 상기 뚜껑 본체(20)와 개폐 뚜껑(30)의 분리 경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절취선(331a)(331b)으로 절취 가능하게 일정 구간 형성되어 진 일정 폭의 분리 띠(331)와, 상기 분리 띠(331)가 형성되어 진 나머지 구간에 형성되어 지는 절취부(332)를 포함하되, 상기 절취부(332)는 상기 분리띠(331)의 제1 절취선(331a)과 연장 선상에 형성되고, 또 연결편(34)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진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332)는, 상기 분리 띠(331)의 제1 및 제2 절취선(331a)(331b)과 같은 형태의 절취선(332a) 형태이거나, 또는 다수의 연결 웨브(332b)가 일정한 간격으로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띠(331)를 제거하는 제1 및 제2 절취선(331a)(331b) 및 절취선(332a)은 해당 부분의 단면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외력을 가하는 경우 쉽게 절취되도록 얇게 형성되어진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띠(331)의 시작 및 마지막 지점과, 연결편(34)의 양 쪽으로는 상기 분리 띠(331) 및 절취부(332)의 분리 절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정한 절제 공간(333)(341)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6. 제2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띠(331)로는 손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분리 편(331c)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KR2020060015347U 2006-06-08 2006-06-08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KR200425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47U KR200425505Y1 (ko) 2006-06-08 2006-06-08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47U KR200425505Y1 (ko) 2006-06-08 2006-06-08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505Y1 true KR200425505Y1 (ko) 2006-09-13

Family

ID=4177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347U KR200425505Y1 (ko) 2006-06-08 2006-06-08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50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63B1 (ko) * 2018-11-21 2019-02-01 이흥관 절취띠의 분리에 의해 개봉되는 용기
KR101959297B1 (ko) * 2017-11-24 2019-03-18 황연기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KR101959298B1 (ko) * 2017-11-24 2019-03-18 황연기 누설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밀폐 용기
KR20190035118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아이팩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뚜껑
KR102563913B1 (ko) 2023-01-06 2023-08-10 서정민 고온고압 공기배출용 포장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118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아이팩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뚜껑
KR102030349B1 (ko) * 2017-09-26 2019-10-11 주식회사 아이팩 개봉 여부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뚜껑
KR101959297B1 (ko) * 2017-11-24 2019-03-18 황연기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KR101959298B1 (ko) * 2017-11-24 2019-03-18 황연기 누설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밀폐 용기
KR101945163B1 (ko) * 2018-11-21 2019-02-01 이흥관 절취띠의 분리에 의해 개봉되는 용기
WO2020105946A1 (ko) * 2018-11-21 2020-05-28 이흥관 절취띠의 분리에 의해 개봉되는 용기
KR102563913B1 (ko) 2023-01-06 2023-08-10 서정민 고온고압 공기배출용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61029B (zh) 显窃启塑料食品容器
JP4818269B2 (ja) 不正開封を表示する取出し口付き密封体
EP2576376B1 (en) Reclosable container
US20210403206A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US10494161B2 (en) Tamper evident container
CA2864951C (en) Closure for packaging
KR200425505Y1 (ko)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US11273962B2 (en) Tamper-evident closure
JPH04505439A (ja) タンパー防止再閉止蓋
JP2009529464A (ja) 容器用閉鎖装置
JP2010506809A (ja) ケーブルタイを備えた容器クロージャ
SG176742A1 (en) Packaging container
US10343824B2 (en) Tamper evident container
US20180079568A1 (en) Plastic packaging with tamper evidence
JP4401467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659865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7357926B2 (ja) 分別可能な打栓式ヒンジキャップ
JP2007261606A (ja) 不正開封防止ヒンジキャップ
JP5268793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7330010A (ja) 容器および容器用天蓋
JP3012002U (ja) 容器および容器用天蓋
EP3360816B1 (en) Assembly with replaceable tamper-evident seal, replaceable tamper-evident seal and method for using such an assembly
KR100440910B1 (ko) 포장용 용기의 개구부 개폐 장치
GB2353027A (en) Security container
KR20080107746A (ko) 드럼통용 봉인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