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39U -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39U
KR20170001939U KR2020150007672U KR20150007672U KR20170001939U KR 20170001939 U KR20170001939 U KR 20170001939U KR 2020150007672 U KR2020150007672 U KR 2020150007672U KR 20150007672 U KR20150007672 U KR 20150007672U KR 20170001939 U KR20170001939 U KR 201700019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liquid food
wa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만
Original Assignee
박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만 filed Critical 박용만
Priority to KR2020150007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939U/ko
Publication of KR20170001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부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을 형성한 구성을 통해 조리용 액상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와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워지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조리용 액상 식품을 수용한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액상 식품이 용기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도록 개방된 공간을 형성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공간을 밀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덮개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용기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교체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은 몸체부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을 형성한 구성을 통해 조리용 액상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와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워지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RECYCLABLE CAP FOR LIQUID FOOD KEEPING}
본 고안은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에 관한 고안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을 형성한 구성을 통해 조리용 액상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와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워지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장, 참기름, 식용유 등의 조리용 액상 식품은 주방에서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시에 필요에 따라 양을 조절하면서 반복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액상 식품은 여러가지 형태의 액상 식품 보관용 용기와 뚜껑의 결합에 의해 보관되는데, 상기와 같이 그 사용주기가 필요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반복 사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 또한 상기 뚜껑을 개방하고 용기를 일정각도 기울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조리용 액상 식품 보관용 용기와 이에 결합되는 뚜껑은 식수, 음료 등을 수용하는 일반적인 액체용기 및 뚜껑보다 액체의 유출이 상대적으로 잦을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예컨대, 밀폐 강조형 액상 식품 보관용기 뚜껑에 관한 기술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1993-0000733호에는 "누유 방지마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누유 방지마개의 뚜껑(22)은 밀폐용 덮개(24)가 몸체(25)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분리 구성되고, 격벽(23)내부로는 링 형상으로 된 손가락끼움구를 갖는 개봉부재(도시 생략)가 접속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개봉부재의 둘레면은 외부의 힘이 가해졌을 때 떨어지기 쉽게 절취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처음 사용할 시에는 상기 몸체(25)에 결합된 덮개(24)를 열고, 이어서 손가락끼움구에 손가락을 넣고 강제로 상방으로 끌어 당기면 개봉부재 둘레의 절취부가 떨어져 나가게 되어 개봉부재가 이탈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용기(21)를 기울여 내용물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5)의 내부에는 내용물의 누유 방지를 위해서 외벽(26)과 내벽(27) 사이에 패킹부재(28)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21)와 밀착하게 고정함으로써, 기존의 용기에 비해 누유방지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기술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액상 식품 보관용기의 뚜껑(22)에 있어서는, 상기 뚜껑(22)을 열고자 할 때 덮개(24)와 몸체(25)가 외형적으로 일체화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은 좋을지 모르나, 특히 바쁘게 움직여야 하는 조리시간에 용기(21)의 덮개(24)를 몸체(25)로부터 열고 닫아야 하는 반복작업이 결코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조리중에 실수로 용기(21)가 넘어 지거나 혹은 용기(21)를 눕혀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에, 비록 뚜껑(22)의 덮개(24)가 닫혀 있고 내부에 패킹부재(28)가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는 않지만, 상기 내용물이 몸체(25)나 덮개(24)의 저부[덮개(24)를 닫았을 때는 덮개(24)의 천정부]의 각 벽에 묻거나 스며들어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제조공정시에, 상기 몸체(25)와 용기(21)가 기계나 손의 압력에 의해 일회적으로 결합되면 분리가 어려운 구조로서,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1993-0000733호 "누유 방지마개"(1993.01.20.)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부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을 형성한 구성을 통해 조리용 액상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와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워지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리용 액상 식품을 수용한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액상 식품이 용기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도록 개방된 공간을 형성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공간을 밀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덮개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용기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교체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몸체부는, 외부둘레를 이루는 외벽; 상기 외벽의 상부가 밀봉되도록 형성한 밀봉부; 상기 밀봉부의 중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취선을 형성한 절취부; 상기 절취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부가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도록 하여 개봉구를 형성하는 개봉부재; 상기 절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밀봉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개봉부재에 의해 형성된 개봉구에서 토출되는 액상 식품이 상기 용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벽; 상기 제1 가이드벽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밀봉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덮개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를 형성한 결합벽; 및 상기 용기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외벽의 내부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교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교체수단은, 상기 몸체의 외벽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용기의 개구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 가이드벽은, 상단이 외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절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밀봉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용기와의 결합시에, 상기 용기의 개구 내면과 밀착하여,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액상 식품이 상기 개봉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개봉구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상기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시에, 상기 결합돌기와 치합되도록 상기 덮개의 내부둘레를 따라 형성한 걸림턱;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시에, 상기 제1 가이드벽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유출 방지벽; 및 상기 덮개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반대측에 돌출 형성한 개방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은 몸체부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을 형성한 구성을 통해 조리용 액상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와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워지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돌기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덮개부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벽과 덮개부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벽이 서로 맞물려 밀착하는 구성을 통해 액상 식품의 유출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부의 하부에 용기의 개구와 밀착되는 별도의 가이드벽을 부가적으로 형성하여 액상 식품의 유출 방지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액상 식품의 토출 방향을 보다 바람직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이 용기에 결합 및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이 용기에 결합 및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100, 이하, '뚜껑'이라 함.)은 용기(A)의 상부에 결합되어, 조리를 하지 않을 시에, 간장, 참기름, 식용유 등의 조리용 액상 식품이 공지의 액상 식품 보관용 용기(A)에 수용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A)의 개구(도면부호 미표시)를 밀폐하는 것으로서, 몸체부(110), 덮개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조리용 액상 식품의 수용 및 보관이 가능한 다양한 공지의 용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뚜껑(100)의 하부를 이루며 전체적인 구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A)의 상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A)의 상부를 천공하여 형성한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액상 식품이 용기(A)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도록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재질은 유연성을 갖도록 연질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부(110)의 형상을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 또한, 도면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110)는 본 고안에 따르면, 외벽(111), 밀봉부(112), 절취부(113), 개봉부재(114), 제1 가이드벽(115), 결합벽(116) 및 교체수단(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벽(111)은 몸체부(110)의 외부둘레를 이루는 구성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될 교체수단(117)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A)의 개구 외면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때, 상기 외벽(111)은 용기(A)의 개구 외면과 밀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면서 둘레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상기 외벽(111)의 규격은 상기 용기(A)의 다양한 개구 규격에 비례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관련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밀봉부(112)는 용기(A) 내에 수용된 액상 식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막으로서, 상기 외벽(111)의 개방된 상부가 밀봉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밀봉부(112)는 후술될 절취부(113)의 용이한 절취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구성보다 특히 더 두께가 얇으면서도 보다 연질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취부(113)는 후술될 개봉부재(114)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밀봉부(112)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뜯어져 분리되기 쉽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밀봉부(112)의 중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취선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절취부(113)의 절취선은 상기 개봉부재(114)에 가해지는 외력의 전달이 각이 진 어느 한 꼭지점에 집중되도록 하여 힘 전달의 효율성을 배가시키기 위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개봉부재(114)는 절취부(113)가 뜯어지기 위한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절취부(113)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느 한 꼭지점)에 연결되어, 외력, 즉,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부(113)가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절취선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봉구(113a)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개봉부재(114)는 더욱 효율적인 힘의 전달을 위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끼움구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은 조리시에 상기 용기(A)의 몸체를 임의의 각도로 기울이게 되면서, 상기 용기(A) 내에 수용된 액상 식품이 상기 개봉부재(114)에 의해 형성된 개봉구(113a)를 통해 토출될 경우, 상기 액상 식품이 용기(A)에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절취부(113)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밀봉부(112)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은 후술될 결합벽(116)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상기 용기(A)를 기울였다가 다시 세울시에, 상기 액상 식품이 제1 가이드벽(115)의 외부 범위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개봉구(113a)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은 상단이 외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휘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후술될 덮개부(120)의 유출 방지벽(122)이 보다 부드럽게 접촉하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벽(116)은 후술될 덮개부(120)가 몸체부(110)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밀봉부(112)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덮개부(12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116a)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체수단(117)은 몸체부(110)의 외벽(111)이 상기 용기(A)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몸체(110)의 외벽(111) 내면에 내부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교체수단(117)은 용기(A)의 개구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가 이러한 교체수단(117)을 통해 상기 용기(A)와의 자유로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몸체부(110)는 용기(A) 내에 수용된 액상 식품의 토출 방향이 보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되도록 제2 가이드벽(11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벽(118)은 전술한 제1 가이드벽(115)과 반대방향, 즉, 상기 밀봉부(112)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A)와의 결합시에, 상기 용기(A)의 개구 내면과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벽(118)은 액상 식품이 음식의 조리를 위해 토출될 경우, 상기 개봉부재(114)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개봉구(113a)로 바람직하게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은 물론, 상기 교체수단(117)으로 향할 수 있는 액상 식품의 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액상 식품이 용기(A)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까지 수행하게 된다.
상기 덮개부(120)는 몸체부(110)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공간을 밀폐하고, 필요시(조리시)에는 상기 몸체부(110)와 분리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상기 액상 식품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걸림턱(121), 유출 방지벽(122) 및 개방돌기(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20)의 둘레 크기는 상기 몸체부(110) 외벽(111)의 둘레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덮개부(120)가 몸체부(110)에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몸체부(110)와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121)은 몸체부(110)의 결합벽(116)과 결합되기 위해 돌출된 턱으로서, 상기 몸체부(110)와의 결합시에, 상기 결합벽(116)에 형성된 결합돌기(116a)와 치합되도록 상기 덮개부(120)의 둘레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121)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116a)와 강제적으로 맞물리는 결합방식을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 방지벽(122)은 덮개부(1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110)와의 결합시에,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출 방지벽(1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굴곡진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의 상단과 먼저 접촉하게 되고,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의 내면과 서로 맞물려 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출 방지벽(122)은 액상 식품의 유출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용기(A)에 결합된 뚜껑(100)이 덮개부(120)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A)의 유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유출 방지벽(122)과 제1 가이드벽(115)이 상호 밀착된 구성을 통해 상기 액상 식품이 유출될 수 있는 공간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방돌기(123)는 덮개부(120)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돌기로서, 상기 덮개부(120)의 둘레 외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연결부(130)가 형성된 반대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방돌기(123)의 형태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상기 개방돌기(123)를 손가락 또는 손톱과 접촉시켜 상부 방향으로 당겨주게 됨으로써, 상기 덮개부(12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덮개부(120)의 밀폐 및 개방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과 덮개부(120)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30)를 형성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게재된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은 몸체부 내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을 형성한 구성을 통해 조리용 액상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와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워지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덮개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돌기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덮개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벽과 덮개부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벽이 서로 맞물려 밀착하는 구성을 통해 액상 식품의 유출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몸체부의 하부에 용기의 개구와 밀착되는 별도의 가이드벽을 부가적으로 형성하여 액상 식품의 유출 방지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액상 식품의 토출 방향을 보다 바람직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A : 액상 식품 보관용 용기 100 :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110 : 몸체부 111 : 외벽
112 : 밀봉부 113 : 절취부
113a : 개봉구 114 : 개봉부재
115 : 제1 가이드벽 116 : 결합벽
116a : 결합돌기 117 : 교체수단
118 : 제2 가이드벽 120 : 덮개부
121 : 걸림턱 122 : 유출 방지벽
123 : 개방돌기 130 : 연결부

Claims (6)

  1. 조리용 액상 식품을 수용한 용기(A)에 결합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A)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액상 식품이 용기(A)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도록 개방된 공간을 형성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공간을 밀폐하는 덮개부(12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과 덮개부(12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10)는 용기(A)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교체수단(1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외부둘레를 이루는 외벽(111);
    상기 외벽(111)의 상부가 밀봉되도록 형성한 밀봉부(112);
    상기 밀봉부(112)의 중심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취선을 형성한 절취부(113);
    상기 절취부(113)의 일측에 연결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부(113)가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도록 하여 개봉구(113a)를 형성하는 개봉부재(114);
    상기 절취부(113)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밀봉부(112)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개봉부재(114)에 의해 형성된 개봉구(113a)에서 토출되는 액상 식품이 상기 용기(A)에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벽(115);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밀봉부(112)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덮개(12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116a)를 형성한 결합벽(116); 및
    상기 용기(A)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외벽(111)의 내부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교체수단(1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수단(117)은,
    상기 몸체(110)의 외벽(111)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용기(A)의 개구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은,
    상단이 외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절취부(113)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밀봉부(112)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용기(A)와의 결합시에, 상기 용기(A)의 개구 내면과 밀착하여, 상기 용기(A) 내에 수용된 액상 식품이 상기 개봉부재(114)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개봉구(113a)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상기 용기(A)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벽(1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와의 결합시에, 상기 결합돌기(116a)와 치합되도록 상기 덮개부(120)의 내부둘레를 따라 형성한 걸림턱(121);
    상기 몸체부(110)와의 결합시에, 상기 제1 가이드벽(115)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유출 방지벽(122); 및
    상기 덮개부(120)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부(130)가 형성된 반대측에 돌출 형성한 개방돌기(1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2020150007672U 2015-11-25 2015-11-25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201700019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72U KR20170001939U (ko) 2015-11-25 2015-11-25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72U KR20170001939U (ko) 2015-11-25 2015-11-25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39U true KR20170001939U (ko) 2017-06-02

Family

ID=5909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72U KR20170001939U (ko) 2015-11-25 2015-11-25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530A1 (ko) * 2017-12-15 2019-06-20 씨제이제일제당(주)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KR20210107950A (ko)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530A1 (ko) * 2017-12-15 2019-06-20 씨제이제일제당(주)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KR20210107950A (ko)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3056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101485171B1 (ko) 빨대삽입밸브를 구비하는 빨대컵
CN102307791A (zh) 用于容器的封闭装置
CN107249996A (zh) 具有按钮开口的容器
MX2009004698A (es) Recipiente y cierre de plastico y sistema y metodo de elaboracion de los mismos.
JP6859778B2 (ja) キャップの封止構造
JP2007176577A (ja) 注出キャップ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US10800582B2 (en) Beverage can lid
JP3215464U (ja) 蓋付容器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513113B1 (ko) 누출 방지용 용기뚜껑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KR200425775Y1 (ko) 병마개
JP571197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容器
JP7091051B2 (ja) 食品容器用キャップ
JP6250441B2 (ja) バルブ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容器
KR200471450Y1 (ko) 절약형 용기
CN210540546U (zh) 防漏饮料杯
KR200236154Y1 (ko)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KR100307580B1 (ko) 플라스틱 용기 마개
KR20100054964A (ko) 고속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CN104787460A (zh) 托盘式不漏嘴盖
KR20120089162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