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950A -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950A
KR20210107950A KR1020200022212A KR20200022212A KR20210107950A KR 20210107950 A KR20210107950 A KR 20210107950A KR 1020200022212 A KR1020200022212 A KR 1020200022212A KR 20200022212 A KR20200022212 A KR 20200022212A KR 20210107950 A KR20210107950 A KR 2021010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let
liquid
l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Priority to KR102020002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950A/ko
Publication of KR2021010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담긴 액상 내용물을 짜내지 않고 용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서 따르듯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용기 안에 들어 있는 액상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원통형 배출구가 중심부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덮개부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와 가까운 상기 배출구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비스듬히 기울일 때 상기 용기의 내부로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용기 안에 들어 있는 액상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작용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LID FOR LIQUID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액상소스나 액상양념 등과 같은 각종 액상 내용물을 짜내지 않고 용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서 액체를 따르듯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소스나 액상양념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각종 액상 내용물을 담는 용기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요한 양을 조절하여 직접 따르거나 용이하게 짜낼 수 있도록 주로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로 중공 성형(blow molding)을 통해 병 형태로 만들고 있다.
아울러 용기의 주둥이에는 내용물을 따르거나 짜낼 때 많은 양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보관 시에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또 사용상 부주의로 인해 넘어지더라도 내용물이 밖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뚜껑이 결합되어 있다.
최근에는 위생성, 보존성 향상 등의 이유로 액상 내용물을 고온 처리하는 관계상 용기를 유리나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있는 추세인데, 이 경우 용기를 짤 수가 없기 때문에 용기의 뚜껑에 내부로 공기를 통하게 하는 통기공을 형성하여 용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이면 내용물이 밖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의 일례로, 특허문헌 1에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은 용기 안에 들어 있는 액상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1) 및 용기 내로 바깥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에어유입구(12)가 형성된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와 결합하되, 상기 토출구(11)에 비해 직경이 더 큰 절취부(21)가 형성된 하부몸체(20) 및 상기 상부몸체(10)와 연결되되, 상기 상부몸체(10) 상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10) 상면의 노출을 차단하는 덮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토출구(11)로 용기에 담긴 액상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기를 일정한 기울기 이상으로 뒤집을 경우 에어유입구(12)를 통해서도 액상 내용물이 일부 배출되고, 이로 인해 에어유입구(12)의 끝부분에 액상 내용물이 뭉쳐지는 액 맺힘(ball-up) 현상이 일어나 차후 덮개(30)를 개방하여 액상 내용물을 배출 시 에어유입구(12)가 막히면서 액상 내용물이 꿀렁거리는 소리가 나고 용기 밖으로 원활하게 나오지 않는 데다 미관상 또는 위생상 보기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덮개(30)의 한쪽이 상부몸체(10)와 연결고리(3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 제1차단부(32)와 제2차단부(33)가 연결고리(3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토출구(11)와 에어유입구(12)를 동시에 개폐하는 구조여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제2차단부(33)가 변형 또는 파손되면서 에어유입구(12)의 완전한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기밀성을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20-2019-0001565 U(2019.06.25) KR20-2017-0001939 U(2017.06.02) KR20-0419676 Y1(2006.06.16) KR10-1476382 B1(2014.12.18) KR10-2012-0084878 A(2012.07.3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으로, 액상 내용물이 배출되는 구멍을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용기 안으로 자유롭게 유입되면서 유리병이나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액상소스나 액상양념 등과 같은 각종 액상 내용물을 눌러 짜내지 않고도 일정한 각도로 따르듯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유리병이나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액상 내용물을 압착해서 짜내지 않고 용기를 기울여서 액상 내용물을 따르듯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은 물론 종래기술의 문제점 내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용기 안에 들어 있는 액상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원통형 배출구가 중심부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덮개부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 중심부와 가까운 상기 배출구의 안쪽 가장자리에 매끄럽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를 비스듬히 기울일 때 상기 용기 안으로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액상 내용물이 빠지게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발생을 유도하는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공기방울이 상기 용기를 비스듬히 기울일 때 상기 용기 안에 생긴 빈 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액상 내용물을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는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용기를 비스듬히 기울이면 배출구와 리세스를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용기 안으로 자유롭게 유입되면서 용기에 담긴 액상소스나 액상양념 등과 같은 각종 액상 내용물을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밖으로 배출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 쪽에서 상기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고 넓이가 넓어지는 형태로 경사지면서 상기 액상 내용물의 배출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의 곡률이 크고, 후방의 곡률이 작게 만곡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액상 내용물이 한층 더 조용하고 수월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몸체부의 상부 테두리에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천장면에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배출구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플러그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하부 안쪽 테두리에 잠금턱이 형성됨으로써 덮개부를 원터치로 간편하고 기밀하게 개폐할 수 있고, 액상 내용물이 의도하지 않게 누출되거나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용기를 비스듬히 기울일 때 배출구와 리세스를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용기 안으로 자유롭게 유입되면서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유리병이나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 용기에 압력을 가하여 짜내지 않고도 그 안에 담긴 액상소스, 액상양념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각종 액상 내용물을 따라 내듯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즉, 배출구와 인접하여 매끄럽고 만곡진 형태로 형성된 리세스의 표면으로 인해 액상 내용물이 용기의 넓은 주둥이에서 좁은 배출구로 이동할 때 압력이 감소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공기방울이 만들어지고, 이 공기방울이 용기 안의 빈 공간으로 빠르게 상승 이동하여 터지면서 생기는 압력과 힘으로 액상 내용물을 배출구로 원활하게 밀어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을 분해하여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은 크게 몸체부(10), 덮개부(20), 연결부(30) 및 리세스(40)를 포함하고 있다.
몸체부(10)는 용기(C)의 주둥이 일부를 덮어씌우듯이 결합되어 있고, 상면에는 용기(C) 안에 들어 있는 액상 내용물(F)을 배출하기 위한 원통형 배출구(11)가 그 중심부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즉, 배출구(11)는 용기(C)를 40 내지 60 각도로 기울여 그 안에 들어 있는 액상 내용물(F)을 배출 시 몸체부(10)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흐름을 안내하고, 이와 더불어 용기(C)를 기울였다가 다시 세울 때 액상 내용물(F)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용기(C) 안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도록 유도하기 위해 몸체부(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구(11)의 개구부 상단은 덮개부(20)의 플러그(21)가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접촉하면서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휘어지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출구(11)의 개구부 상단 중 리세스(40)와 연결되는 부분은 2~3m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덮개부(20)의 플러그(21)가 삽입되는 상태 및 기밀하게 차단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물론 리세스(40) 안으로 공기의 유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의 안쪽 둘레를 따라 용기(C)와 견고하고 용이한 결합을 위해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10)의 상부 테두리에는 덮개부(20)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10)의 연결부(30)와 반대쪽 측면에는 덮개부(2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톱의 끝부분이 덮개부(20)의 개방손잡이(22) 아래로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손가락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10)의 천장면 가장자리에는 용기(C)의 상면, 즉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캡라이너(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몸체부(10)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하여 외형을 마치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용기(C)로는 몸체부(10)의 나사산(12)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조여서 결합하기 위해 그 주둥이 부분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내부에는 액상소스나 액상양념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각종 액상 내용물(F)을 일정 용량으로 담을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용기를 채용할 수 있다.
덮개부(20)는 연결부(30)에 의해 몸체부(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몸체부(10)에 대하여 연결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배출구(11)를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부(20)의 천장면에는 연결부(30)를 중심으로 회전 시 배출구(11)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출구(11)를 기밀하게 차단하는 플러그(21)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20)의 연결부(30)와 반대쪽 측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방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안쪽 테두리에는 덮개부(20)의 폐쇄 시 몸체부(10)의 잠금홈(13)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서 그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덮개부(20)는 사용자의 힘 등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그 잠금턱(23)이 몸체부(10)의 잠금홈(13)과 강제적으로 물려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같이 덮개부(20)가 몸체부(1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일 때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덮개부(20)의 바깥쪽 둘레는 몸체부(10)의 바깥쪽 둘레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20)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하여 외형을 마치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부(30)는 몸체부(10)에 대하여 덮개부(20)의 개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두께가 얇고, 자연스럽게 접고 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10)의 일측과 덮개부(20)의 일측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즉, 연결부(30)의 한쪽은 몸체부(10)에, 다른 한쪽은 덮개부(20)에 일체로 형성하여 덮개부(20)를 개폐 시 그 중심을 따라 구부리고 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40)는 용기(C)와 배출구(11)를 40 내지 60도 각도로 비스듬히 기울일 때 용기(C)의 내부로 배출구(11)를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용기(C) 안에 들어 있는 액상 내용물(F)이 빠지게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발생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리세스(40)는 몸체부(10)의 상면 중심부와 가까운 배출구(11)의 안쪽 가장자리에 마치 반타원형 딤플 형상으로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즉, 리세스(40)는 몸체부(10)의 상면 중심부 쪽에서 배출구(11) 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고 넓이가 넓어지는 형태로 경사지면서 액상 내용물(F)의 배출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의 곡률이 크고, 후방의 곡률이 작게 만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세스(40)는 몸체부(10)의 천장면과 배출구(11)의 한쪽 측면이 통하도록 그 각각의 바깥쪽으로 약간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을 용기(C)의 주둥이 부분에 고정한 상태로 비스듬히 기울일 때 배출구(11)와 리세스(40)를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용기 안으로 자유롭게 유입되면서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유도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배출구(11)와 인접하여 매끄럽고 만곡진 형태로 형성된 리세스(40)의 표면으로 인해 액상 내용물(F)이 용기(C)의 넓은 주둥이에서 좁은 배출구(11)로 이동할 때 압력이 감소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배출구(11)를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계속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내용물(F)이 자중에 의해 용기(C)의 주둥이 쪽으로 내려와서 순간적으로 그 빈 공간이 채워지면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하면서 공기방울이 만들어진다.
계속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방울이 용기(C) 안의 빈 공간, 즉 수면 쪽으로 상승하여 터지면서 생기는 압력과 힘으로 액상 내용물(F)을 배출구(11)로 밀어낸다.
즉, 용기(C)를 비스듬히 기울일 때 리세스(40)에 의해 형성된 비중이 낮은 공기방울이 부상력에 의하여 액상 내용물(F)을 뚫고 용기(C) 안의 위쪽에 생긴 빈 공간으로 빠르게 상승 이동하여 액상 내용물(F)을 배출구(11)로 밀어내는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도록 작용한다.
이처럼 용기(C) 바깥의 공기가 배출구(11)를 통하여 유입됨과 동시에 공기방울을 이루어 잇달아 상승하는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순환류와 압력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액상 내용물(F)이 펌핑 작용으로 배출구(11)로 쉽게 이동함으로써 유리병이나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 용기(C) 안에 들어 있는 액상소스나 액상양념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각종 액상 내용물(F)을 짜내지 않고도 따르듯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1)가 막히지 않아 용기(C)에서 액상 내용물(F)이 꿀렁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몸체부 11: 배출구
12: 나사산 13: 잠금홈
20: 덮개부 21: 플러그
22: 개방손잡이 23: 잠금턱
30: 연결부 40: 리세스(recess)

Claims (3)

  1.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용기 안에 들어 있는 액상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원통형 배출구가 중심부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덮개부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 중심부와 가까운 상기 배출구의 안쪽 가장자리에 매끄럽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를 비스듬히 기울일 때 상기 용기 안으로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액상 내용물이 빠지게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발생을 유도하는 리세스(recess);
    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공기방울이 상기 용기를 비스듬히 기울일 때 상기 용기 안에 생긴 빈 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액상 내용물을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는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 쪽에서 상기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고 넓이가 넓어지는 형태로 경사지면서 상기 액상 내용물의 배출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의 곡률이 크고, 후방의 곡률이 작게 만곡진 형상으로 형성된,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테두리에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천장면에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배출구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플러그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하부 안쪽 테두리에 상기 잠금홈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서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덮개부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턱이 형성된,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KR1020200022212A 2020-02-24 2020-02-24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KR20210107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212A KR20210107950A (ko) 2020-02-24 2020-02-24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212A KR20210107950A (ko) 2020-02-24 2020-02-24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950A true KR20210107950A (ko) 2021-09-02

Family

ID=7779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212A KR20210107950A (ko) 2020-02-24 2020-02-24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795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676Y1 (ko) 2006-03-31 2006-06-23 백승태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KR20120084878A (ko)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성림정공 액상 식품용 용기 캡
KR101476382B1 (ko) 2013-05-14 2014-12-24 (주)아이디플라텍 액상 식품 보관용기용 캡
KR20170001939U (ko) 2015-11-25 2017-06-02 박용만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20190001565U (ko) 2017-12-15 2019-06-25 씨제이제일제당 (주)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676Y1 (ko) 2006-03-31 2006-06-23 백승태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KR20120084878A (ko)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성림정공 액상 식품용 용기 캡
KR101476382B1 (ko) 2013-05-14 2014-12-24 (주)아이디플라텍 액상 식품 보관용기용 캡
KR20170001939U (ko) 2015-11-25 2017-06-02 박용만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20190001565U (ko) 2017-12-15 2019-06-25 씨제이제일제당 (주)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824B2 (en) Dispensing closure having a flow conduit with key-hole shape
US64881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
CA2509587A1 (en) Vented dispensing package
JP6291991B2 (ja) 注出口及びそれを有する押出し容器
JP6501699B2 (ja) 注出容器
KR20210107950A (ko) 액상식품 용기용 뚜껑
JP6219088B2 (ja) 注出容器
JP6775873B2 (ja) 注出容器
JP7432984B2 (ja) 吐出容器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JP3603110B2 (ja) 液体注出容器
JP7366505B2 (ja) 吐出容器
JP2006240634A (ja) 高粘度液体用容器のキャップ
US11731810B2 (en) Inverted dispensing container
JP7080749B2 (ja) 注出キャップ
JP2021155085A (ja) 液切れ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6632801B2 (ja) 小出し可能な複合液出しキャップ
JP2004210351A (ja) 液体注出容器
JP3603109B2 (ja) 液体注出容器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JP7080748B2 (ja) 注出キャップ
CN211894324U (zh) 折叠式瓶盖
JP4610962B2 (ja) 液注出容器
GB2457021A (en) Bleach Dispenser with Spill Proof Closure
KR200280845Y1 (ko)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