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314B1 -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314B1
KR102178314B1 KR1020190122006A KR20190122006A KR102178314B1 KR 102178314 B1 KR102178314 B1 KR 102178314B1 KR 1020190122006 A KR1020190122006 A KR 1020190122006A KR 20190122006 A KR20190122006 A KR 20190122006A KR 102178314 B1 KR102178314 B1 KR 10217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intermediate member
cosmetic
st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Original Assignee
(주)미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금테크 filed Critical (주)미금테크
Priority to KR102019012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화장료가 내측으로 유동되어 상부에 형성된 화장료토출공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매개부재; 및 상기 매개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화장료토출공으로 토출된 화장료가 유동되어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로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내측으로 상기 매개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골에 상기 매개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뚜껑의 내측에서의 상기 화장료토출공의 위치가 변경되는 화장품 토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매개부재의 상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화장료토출공을 둘러싸면서 형성된 오링홈; 및 상기 오링홈에 삽입된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매개부재가 상기 뚜껑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오링이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화장품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A cosmetic vessel with increased sealing}
본 발명은 매개부재가 삽입된 뚜껑이 매개부재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뚜껑의 내측에서 매개부재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가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토출구의 개폐에 따라 매개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화장료토출공으로 유동되는 화장료가 외부로 토출되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화장품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료토출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화장료토출공으로 통해 유동된 화장료가 토출구 이외로 누출되지 않도록 화장료토출공을 둘러싼 형태의 오링홈을 구성시키고 이러한 오링홈에 장착된 오링이 뚜껑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화장품의 특성 및 용도에 따라서 그에 적합한 용기에 담아 판매되고, 특히 화장품 용기는 소비자들의 시선을 유도하고 화장품의 성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용기 외관의 형상과 모양은 미려하면서도 다양한 모양을 갖는다.
이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의 종류 및 화장품의 물질에 따라서 용기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분말 또는 액상 형태의 화장품이 담겨지는 화장품 용기는 일측이 배출구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배출구에 제공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하려면, 먼저 뚜껑을 열고서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할 만큼 인출하여 사용한 다음 뚜껑을 용기에 닫으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사용할 때마다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함으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며, 또한 뚜껑이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떨어지는 경우 용기에 담긴 화장품이 용기에서 다량 배출되어 화장품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9092호 발명이 개시된다.
종래기술은, 본 고안은 화장품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매개부재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이 비분리식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뚜껑이 매개부재의 화장료토출공을 개폐시켜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뚜껑이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시 부주의로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화장품이 쏟아져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뚜껑의 분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오랜 사용을 보장하고, 아울러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도 최소화되어 있어 용기의 제작비용 절감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뚜껑에 형성된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여전히 매개부재의 화장료토출공으로부터 화장료가 유동된 상태이고, 장시간이 지나면서 유동된 화장료가 뚜껑의 토출구가 아닌 뚜껑의 내측면과 매개부재의 외측면 사이로 아래방향으로 흘러 내려와 결국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뚜껑의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매개부재의 화장료토출공으로부터 유동된 화장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매개부재의 화장료토출공으로 유동된 화장료는 뚜껑의 토출구를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화장료토출공을 둘러싼 매개부재의 외측면과 뚜껑의 내측면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결국,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화장품 토출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뚜껑의 회전으로 뚜껑의 내측에서 매개부재의 화장료토출공이 상하로 이동되더라도, 화장료토출공을 둘러싼 매개부재의 외측면과 뚜껑의 내측면에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화장료토출공으로 유동된 화장료가 뚜껑의 토출구가 아닌 뚜껑의 내측면과 매개부재의 외측면 사이로 아래방향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구성된 화장품 토출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00);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화장료가 내측으로 유동되어 상부에 형성된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매개부재(200); 및 상기 매개부재(200)가 삽입되고, 상기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토출된 화장료가 유동되어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380)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뚜껑(300)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300)의 내측으로 상기 매개부재(200)가 삽입되어,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골(340)에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2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서의 상기 화장료토출공(280)의 위치가 변경되는 화장품 토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200)는, 상기 매개부재(200)의 상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화장료토출공(280)을 둘러싸면서 형성된 오링홈(260); 및 상기 오링홈(260)에 삽입된 오링(262)을 포함하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오링(262)이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부재(200)는 상기 오링홈(260)을 형성하는 상부돌출부(270) 및 하부돌출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돌출부(250)는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높이로 내측홈(3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내측홈(360)에서 상기 오링(262) 및 상기 하부돌출부(250)가 상하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돌출부(250)의 하단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으로의 연결은 연결부(252)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252)는 테이퍼진 형태이며, 상기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은 아래방향으로 테어퍼진 형태이되, 상기 뚜껑(300)의 내측방향으로 테어퍼진 형태이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내측홈(360)에서 상기 하부돌출부(250)가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링(262)이 상기 내측홈(360)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252)가 상기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서 상기 나사산(240)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톱퍼(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2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오링(262) 및 상기 하부돌출부(250)가 상기 내측홈(360)에서 상하이동되며,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스톱퍼(230)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오링(262)이 상기 내측홈(360)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252)가 상기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홈(360)에서 상기 하부돌출부(250)의 아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화장료토출공을 둘러싼 매개부재의 오링홈에 삽입된 오링과 뚜껑의 내측면의 밀착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매개부재의 화장료토출공으로 유동된 화장료가 매개부재의 외측면과 뚜껑의 내측면 사이로 유동되지 않고, 뚜껑의 토출구를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결국 화장품 토출용기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화장료가 의도하지 않게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의 회전으로 뚜껑의 내측에서 매개부재의 화장료토출공이 상하로 이동되더라도, 화장료토출공을 둘러싼 매개부재의 외측면과 뚜껑의 내측면에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매개부재가 위방향으로 이동되어 뚜껑의 토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그리고 매개부재가 아래방향으로 이동되어 뚜껑의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화장료토출공으로 유동된 화장료가 뚜껑의 토출구로만 토출되고 뚜껑의 토출구가 아닌 뚜껑의 내측면과 매개부재의 외측면 사이로 아래방향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구성되는 바, 화장품 토출용기를 안정적으로 휴대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뚜껑의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오링과 하부돌출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는 용기본체(100), 매개부재(200) 및 뚜껑(300)을 포함한다.
용기본체(100)의 내측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화장료가 수용된다.
매개부재(200)의 하부의 결합부(220)로 용기본체(100)의 상부가 삽입되면서 용기본체(100)와 매개부재(200)가 결합된다.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화장료가 매개부재(200)로 유동되고, 유동된 화장료가 매개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된 화장료토출공(280)으로 유동되어, 결국 뚜껑(300)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380)가 개방된 상태에서 토출구(380)로 토출된다.
매개부재(200)는 용기본체(100)에 결합되는 결합부(220), 일정한 높이로 결합부(220)에 연장된 상태의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240), 상부에서 돌출된 상부돌출부(270) 및 하부돌출부(250)로 형성된 오링홈(260), 오링홈(260)에 삽입된 오링(262), 오링홈(260)이 형성된 매개부재(200)의 외측면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형성된 화장료토출공(280), 화장료토출공(280)에 형성된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토출구삽입부(290)를 포함한다.
결합부(220)에 용기본체(100)의 상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매개부재(200)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상부가 결합부(22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매개부재(200)가 용기본체(100)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화장료가 매개부재(200)로 유동되는 과정 중 이러한 결합되는 부분에서 누출되지 않고 매개부재(200)의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결합이라면 어떠한 결합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매개부재(200)는 결합부(220)를 포함한 상태에서 결합부(220)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결합부(220)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은 수평 단면적으로 결합부(220)의 위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매개부재(200)의 상부에는 화장료토출공(280)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화장료가 용기본체(100)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유동되고, 결국, 소량의 화장료만이 토출되도록 수평 단면적이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토출공(280)으로 유동되어 토출된다. 화장료가 유동되는 매개부재(200)의 내측은 결합부(220)에서 시작하여 위로 갈수록 수평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수평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톱퍼(stopper)(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톱퍼(230)는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후술할 나사산(240)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스톱퍼(230)는 뚜껑(30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30)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뚜껑(300)이 회전되면서 결국 걸림돌기(330)가 이러한 스톱퍼(230)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되고,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의 아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스톱퍼(230)는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300)의 걸림돌기(330) 또한 이에 대응하여 뚜껑(300)의 내측면에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300)의 내측면이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뚜껑(300)의 나사골(340)을 따라 매개부재(200)의 나사산이 이동되고, 이에 따라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상하로 이동된다.
뚜껑(300)의 내측면이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뚜껑(300)의 걸림돌기(330)와 매개부재(200)의 스톱퍼(230)가 회전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상태에서는,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하강하거나 상승한다.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하강되면서 회전되는 뚜껑(300)의 걸림돌기(330)가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스톱퍼(230)에 접촉되자마자, 뚜껑(300)의 회전이 제한되며, 결국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의 하강이 제한된다. 매개부재(200)가 뚜껑(300)의 내측에서 상승하다가, 뚜껑(300)의 하단면이 결합부(220)의 상단면에 접촉되면서 뚜껑(300)의 회전이 제한되고, 매개부재(200)의 상승이 제한된다.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240)이 뚜껑(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골(3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뚜껑(300)이 회전되면 나사산(240)이 나사골(340)을 따라 이동되면서 나사산(24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데, 이에 따라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의 화장료토출공(280)이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이러한 나사산(240)은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서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서 이러한 나사산(2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톱퍼(230)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뚜껑(300)의 내측면에서 나사골(340)은 걸림돌기(330)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매개부재(200)의 상부에는 화장료가 토출되는 화장료토출공(28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단면적이 작아진 매개부재(200)의 상부로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매개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토출공(280)에서 토출구삽입부(29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구삽입부(290)는 화장료토출공(280)을 형성하는 매개부재(200)의 상부 내측면에 구성된 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된 상태로 화장료토출공(28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뚜껑(300)의 회전에 따라,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상하 이동되는데, 결국 매개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된 화장료토출공(280)이 상하 이동된다. 이에 따라, 화장료토출공(280)으로부터 돌출된 토출구삽입부(290)가 상하로 이동되는데, 위로 상승하는 경우 뚜껑(300)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280)에 삽입되어 토출구(280)를 폐쇄하고, 아래로 하강하는 경우 토출구(280)에서 추출되어 토출구(280)를 개방한다. 토출구(280)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토출된 화장료가 토출구(380)로 토출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화장료토출공(280)은 매개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매개부재(200)의 상부의 외측면에는 이러한 화장료토출공(280)을 둘러싸면서 오링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오링홈(260)에는 오링(262)이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매개부재(200)가 뚜껑(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러한 오링(262)이 뚜껑(3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매개부재(200)의 상부에는 이러한 오링홈(260)을 형성하는 상부돌출부(270) 및 하부돌출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돌출부(270)과 하부돌출부(250)가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됨에 따라 상부돌출부(270)와 하부돌출부(250) 사이에 오링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의 화장료토출공(280)의 상승으로 뚜껑(300)의 토출구(380)가 토출구삽입부(29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인 경우(도 3의 (a) 참조)에도, 하부돌출부(250) 및 오링(262)은 후술할 뚜껑(300)의 내측홈(260)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330)가 스톱퍼(230)에 걸리어 뚜껑(300)이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는 상태에서의 매개부재(200)의 위치(도 3의 (b) 참조)에서는, 상부돌출부(270), 오링(262) 및 하부돌출부(250)가 상술한 내측홈(360)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돌출부(250)는 하부돌출부(250)의 아래 부분에 해당되는 매개부재(200)의 외측면보다 돌출된 상태일 수 있으며, 하부돌출부(250)의 하단에서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으로의 연결은 연결부(252)로 이루어지되, 연결부(252)는 테이퍼진 형태일 수 있다.
후술할 뚜껑(30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은 아래방향으로 테어퍼진 형태이되, 뚜껑(300)의 내측방향으로 테어퍼진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매개부재(200)가 뚜껑(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내측홈(360)에서 하부돌출부(250)가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오링(262)이 내측홈(360)에 밀착됨과 동시에, 연결부(252)가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에 밀착될 수 있다(도 3의 (b) 참조). 밀폐력이 증대된다.
상부돌출부(270)의 상단면은 결국 매개부재(200)의 상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뚜껑(300)의 토출구(380)가 폐쇄된 상태(도 3의 (a) 참조)에서,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토출된 화장료가 잔존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뚜껑(300)의 상부의 내측면과 매개부재(200)의 상부 사이에 빈 공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부돌출부(270)의 상단면이 매개부재(200)의 상단면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뚜껑(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오링(262)이 바로 그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여, 뚜껑(300)의 토출구(380)가 토출구삽입부(29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토출된 화장료가 상술한 최소한의 공간에만 잔존하도록 하고, 뚜껑(200)의 내측면과 매개부재(200)의 외측면 사이로 흘러내려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뚜껑(300)의 내측에서 화장료토출공(280)의 상승으로 뚜껑(300)의 토출구(380)가 토출구삽입부(29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인 경우(도 3의 (a) 참조)에, 상부돌출부(270)는 상술한 뚜껑(300)의 내측홈(360)에 위치되지 않고, 이러한 내측홈(360) 위에 위치된 뚜껑(30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뚜껑(300)의 내측홈(360)은 뚜껑(30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파인 홈 형태인 바, 내측홈(36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이러한 내측홈(360)에 비하여 내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내측홈(360) 위에 위치된 뚜껑(300)의 내측면은 내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상태이고, 이러한 부분에 상부돌출부(270)가 위치된 상태인 바, 상부돌출부(270)가 뚜껑(30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도 3의 (a) 참조). 밀폐력이 증대된다.
뚜껑(300)의 내측으로 매개부재(200)가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매개부재(200) 전체가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매개부재(200) 중에서 결합부(220)를 제외한 나머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부분만이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매개부재(200)가 뚜껑(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비분리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뚜껑(300)의 하부에는 상술한 스톱퍼(230)에 대응되도록 걸림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뚜껑(30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330)보다 위에 나사골(340)이 형성되되, 양측에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나사산(24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 나사산(240)이 이러한 나사골(3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나사산(240)이 나사골(340)을 따라(또는 나사골(340)이 나사산(24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결국,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상하로 이동된다.
나사골(340) 위에 위치된 뚜껑(300)의 내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30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파인 홈 형태의 내측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홈(360)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되,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거리에 상응하는 일정한 높이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내측홈(360)에서 오링(262)과 하부돌출부(250)가 상하로 이동됨은 상술한 바와 같고, 상부돌출부(270)도 매개부재(200)가 아래로 하강됨에 따라 이러한 내측홈(360)에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은 테어퍼진 형태이되, 뚜껑(300)의 내측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아래로 하강되면서, 하부돌출부(250)의 연결부(252)가 이러한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에 밀착됨에 따라 밀폐력이 증대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뚜껑(300)의 상부에는 토출구(380)가 형성되어 있어, 매개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된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토출된 화장료가 토출구(380)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러한 토출구(380)는 토출구삽입부(290)가 위로 상승되면서 삽입된 상태로 폐쇄되거나 또는 토출구삽입부가 추출되어 개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에서의 (a)는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상승하여 화장료토출공(280)이 최대로 상승한 경우이고, 이에 따라 토출구삽입부(290)가 토출구(380)에 삽입되어 토출구(380)가 폐쇄된 상태이다.
이때, 오링(262)은 내측홈(360)의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이고, 상부돌출부(270)가 뚜껑(30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이다. 2접점에서 밀착된 상태인 바,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화장료가 토출된 상태라도 매개부재(200)의 외측면과 뚜껑(300)의 내측면 사이로 흘러 내려오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에서의 (b)는 매개부재(200)가 뚜껑(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하강하면서, 걸림돌기(330)가 스톱퍼(230)에 걸린 상태이다. 더 이상 뚜껑(300)의 내측에서 매개부재(200)가 하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오링(262)이 내측홈(360)에 밀착됨과 동시에 연결부(252)가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에 밀착되어, 내측홈(360)에서 하부돌출부(250)의 아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밀폐력을 증대시킨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200: 매개부재
220: 결합부 230: 스톱퍼 240: 나사산
250: 하부돌출부 252: 연결부
260: 오링홈 262: 오링
270: 상부돌출부 280: 화장료토출공 290: 토출구삽입부
300: 뚜껑
330: 걸림돌기 340: 나사골 360: 내측홈 362: 하단면
380: 토출구

Claims (5)

  1.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00);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화장료가 내측으로 유동되어 상부에 형성된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매개부재(200); 및 상기 매개부재(200)가 삽입되고, 상기 화장료토출공(280)으로 토출된 화장료가 유동되어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380)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뚜껑(300)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300)의 내측으로 상기 매개부재(200)가 삽입되어,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골(340)에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2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서의 상기 화장료토출공(280)의 위치가 변경되는 화장품 토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200)는,
    상기 매개부재(200)의 상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화장료토출공(280)을 둘러싸면서 형성된 오링홈(260); 및
    상기 오링홈(260)에 삽입된 오링(262)을 포함하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오링(262)이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화장품 토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200)는 상기 오링홈(260)을 형성하는 상부돌출부(270) 및 하부돌출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돌출부(250)는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인 화장품 토출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높이로 내측홈(3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내측홈(360)에서 상기 오링(262) 및 상기 하부돌출부(250)가 상하로 이동되는 화장품 토출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출부(250)의 하단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으로의 연결은 연결부(252)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252)는 테이퍼진 형태이며,
    상기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은 아래방향으로 테어퍼진 형태이되, 상기 뚜껑(300)의 내측방향으로 테어퍼진 형태이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내측홈(360)에서 상기 하부돌출부(250)가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링(262)이 상기 내측홈(360)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252)가 상기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에 밀착되는 화장품 토출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서 상기 나사산(240)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톱퍼(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2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개부재(200)가 상기 뚜껑(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매개부재(200)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30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오링(262) 및 상기 하부돌출부(250)가 상기 내측홈(360)에서 상하이동되며,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스톱퍼(230)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오링(262)이 상기 내측홈(360)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252)가 상기 내측홈(360)의 하단면(362)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홈(360)에서 상기 하부돌출부(250)의 아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화장품 토출용기.
KR1020190122006A 2019-10-02 2019-10-02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KR10217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006A KR102178314B1 (ko) 2019-10-02 2019-10-02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006A KR102178314B1 (ko) 2019-10-02 2019-10-02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314B1 true KR102178314B1 (ko) 2020-11-12

Family

ID=7339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006A KR102178314B1 (ko) 2019-10-02 2019-10-02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3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820A (ko) * 2004-12-27 2006-07-03 변영광 액상 화장품용기
KR20110002067U (ko) * 2009-08-24 2011-03-03 노병후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KR200469092Y1 (ko) * 2011-06-13 2013-09-23 (주)미금테크 화장품 토출용기
KR20200114578A (ko) *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삼화 색조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820A (ko) * 2004-12-27 2006-07-03 변영광 액상 화장품용기
KR20110002067U (ko) * 2009-08-24 2011-03-03 노병후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KR200469092Y1 (ko) * 2011-06-13 2013-09-23 (주)미금테크 화장품 토출용기
KR20200114578A (ko) *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삼화 색조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3594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вентилируемого выливания через удлиненное отверстие
US9380898B2 (en) Lid having collapsible straw for bottle
US20100140266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hinged lid
AU2008292545A1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MX2014010900A (es) Cierre de recipiente para vertido con venteo a traves de una abertura curva.
WO2014084264A1 (ja) 詰替え容器用栓体
JP2018062351A (ja) 詰め替え容器用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付き詰め替え容器
JP6501699B2 (ja) 注出容器
US7775400B2 (en) Rotatable, reclosable closure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JP6219088B2 (ja) 注出容器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CN110914168A (zh) 设置有双向鸭嘴阀的容器盖
US10948327B2 (en) Fitment or adapter for a fluid container
JP6100183B2 (ja) 二重容器用液漏れ防止キャップ
KR200485155Y1 (ko) 용기
JP6847518B2 (ja) 注出キャップ
KR20020026069A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WO2023108850A1 (zh) 一种出液容器
KR100526153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20230024659A (ko)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JP2004256151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46598Y1 (ko) 액체용기 뚜껑
KR200347208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20150012047A (ko) 액체 용기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