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92Y1 - 화장품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092Y1
KR200469092Y1 KR2020110005209U KR20110005209U KR200469092Y1 KR 200469092 Y1 KR200469092 Y1 KR 200469092Y1 KR 2020110005209 U KR2020110005209 U KR 2020110005209U KR 20110005209 U KR20110005209 U KR 20110005209U KR 200469092 Y1 KR200469092 Y1 KR 200469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discharge
intermediate member
contain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747U (ko
Inventor
김현동
원재현
Original Assignee
(주)미금테크
원재현
김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967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909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금테크, 원재현, 김현동 filed Critical (주)미금테크
Priority to KR2020110005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09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0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4Devices for retaining in ope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9Reversible caps or lids, e.g. with threads on one side and a plug o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이 담긴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를 개폐시키고, 토출부(23)가 형성된 매개부재(20)와, 상기 매개부재(20)의 토출부(23)를 개폐시켜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하는 뚜껑(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매개부재(20)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30)이 비분리 식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뚜껑(30)의 개폐 시 뚜껑이 매개부재(20)의 토출부(23)를 개폐시켜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뚜껑(30)이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 시 부주의로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화장품이 쏟아져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뚜껑(30)의 분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오랜 사용을 보장하고,아울러 화장품 용기(V)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도 최소화되어 있어 용기의 제작비용 절감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 토출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토출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매개부재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이 비분리 식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뚜껑의 개폐 시 뚜껑이 매개부재의 토출부를 개폐시켜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뚜껑이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 시 부주의로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화장품이 쏟아져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뚜껑의 분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오랜 사용을 보장하고, 아울러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도 최소화되어 있어 용기의 제작비용 절감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화장품의 특성 및 용도에 따라서 그에 적합한 용기에 담아 판매되고, 특히 화장품 용기는 소비자들의 시선을 유도하고 화장품의 성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용기 외관의 형상과 모양은 미려하면서도 다양한 모양을 갖는다.
이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의 종류 및 화장품의 물질에 따라서 용기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분말 또는 액상 형태의 화장품이 담겨지는 화장품 용기는 일측이 배출구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배출구에 제공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하려면, 먼저 뚜껑을 열고서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할 만큼 인출하여 사용한 다음 뚜껑을 용기에 닫으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사용할 때마다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함으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또한 뚜껑이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떨어지는 경우 용기에 담긴 화장품이 용기에서 다량 배출되어 화장품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개부재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이 비분리 식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뚜껑의 개폐 시 뚜껑이 매개부재의 토출부를 개폐시켜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뚜껑이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 시 부주의로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화장품이 쏟아져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뚜껑의 분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오랜 사용을 보장하고,
아울러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도 최소화되어 있어 용기의 제작비용 절감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는 화장품이 담기는 수용부와,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결합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와, 상기 대응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와 연통되어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매개부재; 및 상기 매개부재의 연결부에 대응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대응연결부와, 상기 대응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매개부재의 토출부의 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를 포함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토출부의 상부 외측면에는 환형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내측면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개방 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상기 뚜껑이 상기 매개부재로부터 비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단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매개부재의 토출부는 상기 용기본체와 연통된 토출공과, 상기 토출공의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이 닫히는 경우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어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의 하단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의 입구에 삽입되되,
상기 토출부의 내측면과 외접하고, 상기 삽입부재의 외측면과 내접하도록 형성된 환형의 개폐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매개부재 또는 상기 뚜껑, 또는 이들 모두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결합부 하부 또는 상기 매개부재의 연결부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걸림부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걸림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는 매개부재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이 비분리 식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뚜껑의 개폐 시 뚜껑이 매개부재의 토출부를 개폐시켜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뚜껑이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 시 부주의로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화장품이 쏟아져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뚜껑의 분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오랜 사용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도 최소화되어 있어 용기의 제작비용 절감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화장품을 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와 매개부재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용기를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확대도,
도 3은 보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는
화장품이 담긴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를 개폐시키고, 토출부(23)가 형성된 매개부재(20)와, 상기 매개부재(20)의 토출부(23)를 개폐시켜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하는 뚜껑(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에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원통형의 형태로 상단부는 개구되고, 하단부는 막힌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화장품이 담기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화장품을 담기 위한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부 부분에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3)가 형성되어 매개부재(20)에 형성된 대응결합부(21)에 의하여 상기 용기본체(10)와 매개부재(20)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에서, 상기 매개부재(20)는
상기 용기본체(10)와 결합되고, 뚜껑(30)의 개폐에 의하여 화장품을 토출시키거나 또는 화장품의 배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매개부재(2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결합부(13)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21)와,
상기 대응결합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와 연통되어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토출부(23)와,
상기 토출부(23)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매개부재(20)의 상부 부분의 형상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 부분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매개부재(20)의 상부 부분은 토출부(23)를 구성하고, 하부 부분은 대응결합부(21)를 형성하게 된다.
우선 상기 대응결합부(21)는 그 내측면에 상기 결합부(13)에 대응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3)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와 매개부재(2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상기 매개부재(20)를 용기본체(10)에서 분리하여 화장품을 전부 소모한 경우 화장품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매개부재(20)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와 연통되어 화장품을 토출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토출부(23)는 상기 용기본체(10)와 연통된 토출공(23a)과,
상기 토출공(23a)의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지지부재(23b)와,
상기 지지부재(23b)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재(2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토출공(23a)은 상기 매개부재(20)의 상부 부분이 중공형태로 이루어져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3b)와 삽입부재(23c)는 뚜껑(30)이 개폐되는 경우 상기 토출공(23a)의 입구를 열어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토출공(23a)의 입구를 막아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23b)는 토출공(23a)의 입구, 즉 공간상에 상기 삽입부재(23c)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토출공(23a)의 상단부 내측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재(23c)는 상기 지지부재(23b)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30)이 닫히는 경우 상기 삽입부재(23c)는 뚜껑(30)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출구(35)에 삽입되어 토출구(35)를 막아 화장품이 토출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품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게 되며,
반대로 뚜껑(30)이 열리는 경우 상기 삽입부재(23c)는 뚜껑(30)의 토출구(35)에서 배출되어 상기 매개부재(20)의 토출공(23a)과 뚜껑(30)의 토출구(35)가 연통되어 화장품이 토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3b)는 상기 삽입부재(23c)를 지지하는 역할과, 이에 부수하여 상기 토출공(23a) 입구의 공간상의 면적을 줄여 화장품의 토출 시 너무 많은 양의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겸하게 된다.
특히 상기 토출부(23)의 상부 외측면에는 환형의 걸림돌기(27)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돌기(27)는 하기할 뚜껑(30)의 걸림단턱(37)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설명하는 것이 그 기능성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뚜껑(30)의 걸림단턱(37)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토출용기에서, 상기 뚜껑(30)은
상기 매개부재(20)의 토출부(23)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부(23)를 개폐시켜 화장품을 토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뚜껑(30)은 상기 매개부재(20)의 연결부(2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대응연결부(31)와,
상기 대응연결부(31)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부(33)와,
상기 개폐부(33)의 상부에 형성되어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매개부재(20)의 연결부(25)는 상기 토출부(23)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25a)이 형성되며,
상기 대응연결부(31)는 상기 뚜껑(30)의 하부 내측면 상기 연결부(25)의 나사산(25a)에 대응하는 나사산(31a)이 형성되어 상기 매개부재(20)에서 상기 뚜껑(30)을 개폐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33)는 상기 토출구(35)의 하단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23)의 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부(23)의 입구를 열고 닫게 되는데,
상기 개폐부(33)는 환형의 개폐돌기(33a)로 상기 뚜껑(30)이 매개부재(20)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돌기(33a)는 상기 토출부(23)의 내측면과 외접하고, 상기 삽입부재(23c)의 외측면과 내접하여 상기 토출부(23)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30)을 여는 경우 상기 개폐돌기(33a)는 상기 토출부(23)의 내측면과 상기 삽입부재(23c)의 외측면에서 분리되어 상기 토출부(23)를 개방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토출부(23)를 통하여 화장품이 토출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토출구(35)는 상기 뚜껑(30)의 상단부 형성된 상기 뚜껑(3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토출부(23)의 토출공(23a)과 연통되어 화장품을 토출시키게 되고,
반대로 상기 뚜껑(30)이 닫히는 경우 상기 삽입부재(23c)가 삽입되며, 이때 상기 토출구(35)와 상기 토출공(23a)은 소통이 차단되어 뚜껑(30)이 닫힌 상태에서 화장품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뚜껑(30)의 내측면 상부, 즉 상기 대응연결부(31)와 상기 개폐부(33)의 사이에는 상기 매개부재(20)의 걸림돌기(27)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걸림단턱(37)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뚜껑(30)을 개방하여 화장품을 토출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27)의 하면부에 상기 걸린단턱(37)의 상면부가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뚜껑(30)이 상기 매개부재(2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종래와 같이 뚜껑을 완전히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기가 사용하는 중에 쓰러지거나 또는 떨어지는 경우 용기에 담긴 화장품이 용기에서 다량 배출되어 화장품을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용기에서 분리된 뚜껑을 분실하게 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매개부재(20)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30)이 매개부재(20)를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매개부재(20)의 걸림돌기(27)의 하면부에 상기 뚜껑(30)의 걸림단턱(37) 상면부가 걸려 상기 뚜껑이 걸림 지점에서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상기 매개부재에서 상기 뚜껑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매개부재(20) 또는 상기 뚜껑(30), 또는 이들 모두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걸림부(29)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결합부(13) 하부 또는 상기 매개부재(20)의 연결부(25)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걸림부(29)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걸림부(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9)는 완경사부(29a)와, 상기 완경사부(29a)의 정점에 연결된 급경사부(29b)로 이루어진 경사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대응걸림부(15) 역시 완경사부(15a)와 급경사부(15b)로 이루어진 경사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매개부재(20)로 상기 용기본체(10)를 닫거나, 또는 상기 뚜껑(30)으로 상기 매개부재(20)를 닫는 경우에는 상기 각 걸림부(29)(15)의 완경사부(29a)(15a)들 끼리 상호 맞대응하고,
여는 경우에는 상기 각 걸림부(29)(15)의 급경사부(29b)(15b)들 끼리 상호 맞대응하여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10)에 상기 매개부재(20)를 닫거나, 또는 뚜껑(30)으로 상기 매개부재(20)를 닫는 동작은 상기 각 걸림부(29)의 완경사부(29a)가 상기 각 대응걸림부(15)의 완경사부(15a)를 타고 이동함으로 동작이 수월하고,
반대로 이들을 여는 경우에는 상기 각 걸림부(29)의 급경사부(29b)가 상기 각 대응걸림부(15)의 급경사부(15b)를 타고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닫는 동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어렵게 된다.
즉 상기 걸림부(29)와 대응걸림부(15)는 각 구성을 닫는 것이 수월하고, 이때 각 경사부가 상호 맞대응하여 걸림으로써 스토퍼 역할을 하고,
반대로 각 구성을 여는 동작을 어렵게 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기에 일정한 강도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저절로 풀리지 않도록 하여 용기의 안정적이 사용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 2에는 상기 걸림부(29)는 상기 매개부재(20)에만 형성되고, 상기 대응걸림부(15)는 상기 용기본체(10)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다만 상기 걸림부와 대응걸림부는 상기 뚜껑의 내측 하단부와 상기 매개부재의 연결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그 기능 및 작용 역시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토출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분말이나, 액상 형태의 화장품이나, 또는 화장품 이외에 용기에 일정 양의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형태의 다양한 분야로 전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토출용기는 플라스틱이나 이와 유사한 재질의 하드케이스나, 또는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튜브 형태와 같은 케이스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화장품 토출용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V : 토출용기 또는 용기
10 : 용기본체 11 : 수용부
13 : 결합부 15 : 대응걸림부
20 : 매개부재 21 : 대응결합부
23 : 토출부 23a : 토출공
23b : 지지부재 23c : 삽입부재
25 : 연결부 25a : 연결부의 나사산
27 : 걸림돌기 29 : 걸림부
30 : 뚜껑 31 : 대응연결부
31a : 대응연결부의 나사산 33 : 개폐부
33a : 개폐돌기 35 : 토출구
37 : 걸림단턱

Claims (4)

  1. 화장품이 담기는 수용부(11)와,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3)를 포함하는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10)의 결합부(13)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21)와,
    상기 대응결합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와 연통되어 화장품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토출부(23)와,
    상기 토출부(23)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25a)이 형성된 연결부(25)를 포함하는 매개부재(20); 및
    상기 매개부재(20)의 연결부(25)에 대응하고, 내측면에 나사산(31a)이 형성된 대응연결부(31)와,
    상기 대응연결부(3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매개부재(20)의 토출부(23)의 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33)와,
    상기 개폐부(33)의 상부에 형성되고,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35)를 포함하는 뚜껑(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부(23)의 상부 외측면에는 환형의 걸림돌기(27)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의 내측면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의 개방 시 상기 걸림돌기(27)에 걸려 상기 뚜껑(30)이 상기 매개부재(20)로부터 비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단턱(3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매개부재(20) 또는 상기 뚜껑(30), 또는 이들 모두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걸림부(29)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결합부(13) 하부 또는 상기 매개부재(20)의 연결부(25)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걸림부(29)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걸림부(1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토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20)의 토출부(23)는
    상기 용기본체(10)와 연통된 토출공(23a)과,
    상기 토출공(23a)의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지지부재(23b)와,
    상기 지지부재(23b)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이 닫히는 경우 상기 뚜껑(30)의 토출구(35)에 삽입되어 토출구(35)를 폐쇄시키는 삽입부재(2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토출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33)는 상기 토출구(35)의 하단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23)의 입구에 삽입되되,
    상기 토출부(23)의 내측면과 외접하고, 상기 삽입부재(23c)의 외측면과 내접하도록 형성된 환형의 개폐돌기(33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토출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20) 또는 상기 뚜껑(30), 또는 이들 모두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걸림부(29)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결합부(13) 하부 또는 상기 매개부재(20)의 연결부(25)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걸림부(29)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걸림부(15)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29)는 완경사부와, 상기 완경사부의 정점에 연결된 급경사부로 이루어진 경사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대응걸림부(15) 역시 완경사부와 급경사부로 이루어진 경사부가 연속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매개부재(20)로 상기 용기본체(10)를 닫거나, 또는 상기 뚜껑(30)으로 상기 매개부재(20)를 닫는 경우에는 상기 각 걸림부(29)의 완경사부들 끼리 상호 맞대응하고,
    여는 경우에는 상기 각 걸림부(29)의 급경사부들 끼리 상호 맞대응하여 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용기본체(10)에 상기 매개부재(20)를 닫거나, 또는 뚜껑(30)으로 상기 매개부재(20)를 닫는 동작은 상기 각 걸림부(29)의 완경사부가 상기 각 대응걸림부(15)의 완경사부를 타고 이동함으로써 동작이 수월하고,
    반대로 이들을 여는 경우에는 상기 각 걸림부(29)의 급경사부가 상기 각 대응걸림부(15)의 급경사부를 타고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닫는 동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어렵게 되어, 상기 걸림부(29)와 대응걸림부(15)는 각 구성을 닫는 것이 수월하고, 이때 각 경사부가 상호 맞대응하여 걸림으로써 스토퍼 역할을 하고, 반대로 각 구성을 여는 동작을 어렵게 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기(V)에 일정한 강도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저절로 풀리지 않도록 하여 용기의 안정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토출용기.
KR2020110005209U 2011-06-13 2011-06-13 화장품 토출용기 KR200469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09U KR200469092Y1 (ko) 2011-06-13 2011-06-13 화장품 토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09U KR200469092Y1 (ko) 2011-06-13 2011-06-13 화장품 토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47U KR20120008747U (ko) 2012-12-24
KR200469092Y1 true KR200469092Y1 (ko) 2013-09-23

Family

ID=5139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209U KR200469092Y1 (ko) 2011-06-13 2011-06-13 화장품 토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0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14B1 (ko) * 2019-10-02 2020-11-12 (주)미금테크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193B1 (ko) * 2016-04-07 2017-12-12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선택 성분 추가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313Y1 (ko) * 2000-06-30 2000-12-01 주식회사옥시 세제용기 뚜껑의 개폐구조
KR200256780Y1 (ko) 2001-08-28 2001-12-24 주식회사 테크노.티 마개를 이탈하지 않고 주둥이를 개방하는 음료용기
KR200384803Y1 (ko) * 2005-02-15 2005-05-19 주식회사 두산 개방이 용이한 용기 뚜껑
KR100526153B1 (ko) 2004-01-19 2005-11-03 장대규 액체 용기용 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313Y1 (ko) * 2000-06-30 2000-12-01 주식회사옥시 세제용기 뚜껑의 개폐구조
KR200256780Y1 (ko) 2001-08-28 2001-12-24 주식회사 테크노.티 마개를 이탈하지 않고 주둥이를 개방하는 음료용기
KR100526153B1 (ko) 2004-01-19 2005-11-03 장대규 액체 용기용 마개
KR200384803Y1 (ko) * 2005-02-15 2005-05-19 주식회사 두산 개방이 용이한 용기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14B1 (ko) * 2019-10-02 2020-11-12 (주)미금테크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47U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2467C2 (ru) Удерживаемая в руке смесительная емкость
US8261943B2 (en) Spray bottle with refill cartridge
US20110290805A1 (en) Versatile Partitioned Container
AU2008292545B2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EP1780141A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KR101798133B1 (ko) 리필 화장품 용기
KR200469092Y1 (ko) 화장품 토출용기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JP6486147B2 (ja) 吐出容器
US20150353260A1 (en) Multi-chamber container
EP2463211A1 (en) Container for delivering a fragile or sensitive product
JP4840568B2 (ja) キャップ
US9409696B2 (en) Multi-chamber container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KR20200073610A (ko) 유체용기용 밸브유닛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CN109803897A (zh) 在其两个基本互相相对的端部处可打开以及可重新封闭的容器
KR200275711Y1 (ko) 액체 보관용 용기 구조
JP3224232U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0398439Y1 (ko) 일회용 유출구
JP2007022607A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含む容器
KR101606341B1 (ko)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900008230Y1 (ko) 액상내용물의 정량주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24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419

Effective date: 2019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