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208Y1 - 액체 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208Y1
KR200347208Y1 KR20-2004-0001477U KR20040001477U KR200347208Y1 KR 200347208 Y1 KR200347208 Y1 KR 200347208Y1 KR 20040001477 U KR20040001477 U KR 20040001477U KR 200347208 Y1 KR200347208 Y1 KR 200347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stopper
upper body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덕
Original Assignee
유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덕 filed Critical 유희덕
Priority to KR20-2004-0001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밀봉하기 위한 밀폐막(210)이 접합된 용기부(200)에 조립되어 개폐가 가능한 마개(100)에 있어서, 개구부 중앙에 다수의 지지레그(111)에 의해 탭부(112)가 고정되며, 개구부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113)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상부몸체부(110)와; 상기 상부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200)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하부몸체부(120)와; 상단에 상기 탭부(112)와 계합되는 배출홀(130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레그(111)가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홈(131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110)의 개구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실린더 형상의 가이드로드(131)와, 상기 걸림턱(113)에 걸리도록 제2걸림턱(133)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개폐로드(132)로 이루어진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부몸체부(120)에 결합되는 덮개부(140)로 구성되어, 최초 사용 시에 용기로부터 마개를 분리하여 밀폐막을 개봉할 필요없이 밀폐막을 개봉할 수 있는 액체 용기의 마개에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 액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용기용 마개{Stopper for liquid containers}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한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용기류는 나사식으로 마개가 구비되어 내용물을 보관한다. 한편, 유통과정 중에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목적으로 용기의 개구부에는 밀폐막이 밀착 고정되며, 이 용기의 개구부에 나사식의 마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용기는 최초에 마개를 용기로부터 분리한 후에 밀폐막을 제거하며, 다시 마개를 용기에 체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용기는 최초 사용 시에 마개를 제거한 후에 용기에 부착된 밀폐막을 제거해야 하므로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하며, 또한 용기에서 마개를 분리해야 하므로 마개의 분실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35867호(2001.06.14)에는 최초 사용 시에 마개를 용기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용기의 개구부에 밀착된 밀폐막을 제거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구조에 관하여 "음료용기용 캡 구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음료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의 등록실용공보 제235867호에 첨부된 도면 중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의 음료 용기의 캡 구조는 용기마우스(10),개폐로드(20), 용기캡(30), 및 마우스 홀딩부(40)로 구성된다.
용기 마우스(10)는 음료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마우스 홀딩부(40)에 결합된 부재로서, 상기 개폐로드(20)가 내장된다. 용기 마우스(10)는 마우스 바디(11)와, 이 마우스 바디(11)의 상하를 관통하는 마우스 홀과, 이 마우스 홀의 내측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마우스 실린더(12)와, 이 마우스 실린더(12)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 홀(13)로 이루어진다.
개폐로드(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음료 용기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개폐로드(20)는 용기 마우스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 헤드(21)와, 이 로드헤드(21)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모양의 로드실린더(22)와, 상기 로드헤드(21)의 상단면과 로드실린더(22)의 하단면을 관통하는 음료 통과홀(23)과, 상기 로드실린더(22)의 하단에서 상호 대향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커넥팅 리브(24) 및 이 커넥팅 리브(24)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걸림턱(25)으로 이루어진다. 걸림턱(25)은 개폐로드의 상한점을 제한하며, 밀폐막(41)을 개봉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캡(30)은 용기마우스(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용기캡(30)은 개폐로드(20) 및 용기마우스(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우스홀딩부(40)는 음료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부분으로, 용기마우스(10)와 직접 결합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홀딩부(40)에는 합성수재 또는 은박지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막(41)이 구비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 용기의 캡 구조는 최초 사용 시에 용기캡을 제거한 후에 개폐로드(20)를 누르게 되면, 걸림턱(25)이 밀폐막(41)을 뚫게 된다. 이때, 마우스실린더(12)의 실린더 홀(13)은 개폐로드(20)의 로드실린더(22)의 외주면에 의해 막혀, 음료 용기 내부의 음료수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로드(20)를 잡아 당겨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마우스실린더(12)의 실린더 홀(13)과 개폐로드(20)의 음료 통과홀(23)이 도통되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음료가 용기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 용기의 캡 구조는 제작이 극히 어려우며, 음료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음료 용기의 캡은 용기마우스, 개폐로드 등의 단품들이 각각 수지로 사출 성형한 후에 조립되어 제작이 되나, 상기의 캡 구조에 있어 용기마우스의 제작이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용기마우스(10)는 마우스 실린더(12)의 원주 방향으로 실린더 홀(13)이 형성되어야 하나, 이와 같이 마우스 실린더(12)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실린더 홀(13)이 형성된 사출물의 제작은 극히 어려우며, 따라서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의 음료 내용물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개폐로드(20)의 하단에서 배출된 음료 내용물이 개폐로드(20)의 측면에 형성된실린더 홀(13)을 따라 유입되어 개폐로드(20)의 안쪽에 형성된 음료 통과홀(23)을 통해 배출되어야 하므로, 음료 내용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걸림턱(25)이 음료 내용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음료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최초 사용 시에 용기로부터 마개를 분리하여 밀폐막을 개봉할 필요없이 밀폐막을 개봉할 수 있는 액체 용기의 마개에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액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액체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음료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몸체부만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종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개 110 : 상부몸체부
111 : 지지레그 112 : 탭부
113 : 걸림턱 120 : 하부몸체부
130 : 개폐부재 130a : 배출홀
131 : 가이드로드 132 : 개폐로드
133 : 제2걸림턱 140 : 덮개부
이러한 본 고안의 액체 용기용 마개는 내용물을 밀봉하기 위한 밀폐막이 접합된 용기부에 조립되어 개폐가 가능한 마개에 있어서, 개구부 중앙에 다수의 지지레그에 의해 탭부가 고정되며, 개구부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상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하부몸체부와; 상단에 상기 탭부와 계합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레그가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의 개구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실린더 형상의 가이드로드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개폐로드로 이루어진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로써 달성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액체 용기용 마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몸체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종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체 용기용 마개(100)는 상부몸체부(110)와, 하부몸체부(120)와, 개폐부재(130)와, 덮개부(140)로 구성된다.
상부몸체부(110)는 개구부 중앙에 다수의 지지레그(111)에 의해 탭부(112)가 고정되며, 개구부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113)이 돌출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몸체부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지지레그(111)의 개수는 탭부(112)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화함으로써, 상부몸체부(110)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 내용물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탭부(112)를 중심으로 두 개의 지지레그(111)가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부(112)의 하면은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114)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부몸체부(11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흐르는 액체 내용물의 흐름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부몸체부(120)는 상부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의 개구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개폐부재(130)는 상단에 탭부(112)와 계합되도록 배출홀(130a)이 형성되며, 상부몸체부(110)의 개구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실린더 형상의 가이드로드(131)와, 상부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개폐로드(132)로 구성된다.
가이드로드(131)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131a)이 형성되어, 상부몸체부(110)의 개구부 내측으로 삽입 시에 상기 지지레그(111)가 홈(131a)을 따라 삽입된다.
한편, 가이드로드(131)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치 형상을 가짐으로써, 밀폐막(41)의 개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개폐로드(132)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2걸림턱(133)이 돌출 형성되며, 제2걸림턱(133)의 상단에는 제3걸림턱(134)이 형성된다.
개폐로드(132)의 개방 위치에서 제2걸림턱(133)은 상부몸체부(110)의 걸림턱(113)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개폐로드(132)는 개방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한, 개폐로드(132)의 닫힘 위치에서는 제3걸림턱(134)이 상부몸체부(110)의 걸림턱(113)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개폐로드(132)는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덮개부(140)는 하부몸체부(120)에 결합되어, 개폐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액체 용기용 마개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최초에 미개봉 상태의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용기부(200)의 개구부에는 밀폐막(210)이 부착되어 용기는 밀봉된 상태이며, 개폐부재(130)는 상단에 위치한다.
한편, 하부몸체부(120)에 결합된 덮개부(140)는 개폐부재(1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유통 또는 휴대 과정에서 다른 물건과 접촉하거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개폐부재(130)가 내려가서 밀폐막(210)이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밀폐막이 개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덮개부를 제거한 후에 개폐부재(130)를 누르게 되면, 가이드로드(131)가 내려가면서 가이드로드(131)의 하단에 형성된 치가 밀폐막(210)을 관통하여 개봉한다. 이때, 개폐부재(130)의 위치는 마개가 닫혀 용기 내용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도 9는 마개를 열어 용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개폐부재(130)를 위로 잡아당기게 되면, 탭부(112)와 가이드로드(13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개폐부재(130) 상단에 형성된 배출홀(130a)을 통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용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탭부(112)의 하측 면에 형성된 안내돌기(114)는 가이드로드(131)의 중앙 공간을 따라 배출되는 용기 내용물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용기 내용물의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개폐로드(132)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제2걸림턱(133)은 상부몸체부(110)의 개구부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턱(113)에 걸리게 되며, 개폐부재(130)는 상단의 마개 개방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액체 용기용 마개는 최초 사용 시에 용기로부터 마개를 분리하여 밀폐막을 개봉할 필요없이 밀폐막을 개봉할 수 있는 액체 용기의 마개에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 액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내용물을 밀봉하기 위한 밀폐막이 접합된 용기부에 조립되어 개폐가 가능한 마개에 있어서,
    개구부 중앙에 다수의 지지레그에 의해 탭부가 고정되며, 개구부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상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하부몸체부와;
    상단에 상기 탭부와 계합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레그가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의 개구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실린더 형상의 가이드로드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개폐로드로 이루어진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부의 하면은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의 하단부는 다수의 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마개.
KR20-2004-0001477U 2004-01-19 2004-01-19 액체 용기용 마개 KR200347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77U KR200347208Y1 (ko) 2004-01-19 2004-01-19 액체 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77U KR200347208Y1 (ko) 2004-01-19 2004-01-19 액체 용기용 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745A Division KR100526153B1 (ko) 2004-01-19 2004-01-19 액체 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208Y1 true KR200347208Y1 (ko) 2004-04-08

Family

ID=4942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477U KR200347208Y1 (ko) 2004-01-19 2004-01-19 액체 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2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92545A1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KR102386380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0391436Y1 (ko)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100526153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100799504B1 (ko) 포장용 안전용기
KR200347208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JPH07223662A (ja) キャップ
JPH0211314Y2 (ko)
KR101894158B1 (ko) 병의 속마개
KR200411164Y1 (ko) 컵 덮개
KR200385377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KR200286407Y1 (ko) 패트병 뚜껑
KR200383177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JPS5916245Y2 (ja) 果実酒用広口壜
KR200277791Y1 (ko) 배출구의 공기차단변을 형성한 튜브용기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JP7289685B2 (ja) キャップ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KR101433252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0579442B1 (ko)
JPH0223569Y2 (ko)
JP2550710Y2 (ja) 2液混合容器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200413210Y1 (ko) 접착제 용기 안전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