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158B1 - 병의 속마개 - Google Patents

병의 속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158B1
KR101894158B1 KR1020160179937A KR20160179937A KR101894158B1 KR 101894158 B1 KR101894158 B1 KR 101894158B1 KR 1020160179937 A KR1020160179937 A KR 1020160179937A KR 20160179937 A KR20160179937 A KR 20160179937A KR 101894158 B1 KR101894158 B1 KR 10189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ottle
lid
mouthpiec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948A (ko
Inventor
고한덕
Original Assignee
고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한덕 filed Critical 고한덕
Priority to KR1020160179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1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에 담긴 내용물을 빨대로 음용하기 위해 병의 음용구에 끼워서 사용하는 속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속마개는, 외주면이 음용구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음용구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끼움부; 끼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마개판; 마개판에 빨대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개판 상에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빨대투입부; 및 마개판의 외주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병의 뚜껑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돌출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병의 속마개{INNER PLUG FOR BOTTLE}
본 발명은 병의 속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에 담긴 내용물을 빨대로 음용하기 위해 병의 음용구에 끼워서 사용하는 속마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페트병과 같은 일회용 병 제품은 뚜껑을 개봉하고 페트병의 주둥이(음용구)에 입을 대고 음용하거나 빨대를 꽂아서 음용한다.
하지만 페트병의 음용구에 입을 대고 페트병 내부의 내용물을 일부 음용하고 뚜껑을 닫아서 보관하게 되면, 입을 대고 음용한 음용구 부분에 세균이 급격히 증식되어 비위생적이고, 립스틱을 사용하는 여성의 경우에는 음용구 부분에 립스틱이 묻어서 지저분해진다.
또한 페트병의 음용구에 빨대를 꽂아서 들고 다니며 음용할 때는 페트병의 음용구가 빨대의 직경보다 현저하게 넓기 때문에 빨대가 페트병의 내부에서 이리저리 움직이고 보행에 따라 음용구로 내용물이 분출되기 쉬워 음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2502호 ‘빨대겸용 병마개’(2002년 07월 22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페트병의 뚜껑을 교체하거나 변형하지 아니하고, 페트병의 뚜껑을 개봉하고 음용구에 삽입한 후 빨대투입부에 빨대를 꽂아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속마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페트병의 음용구에 삽입하고 빨대투입부에 빨대를 꽂은 상태에서 페트병의 뚜껑을 닫아 재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속마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속마개는, 외주면이 상기 음용구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마개판; 상기 마개판에 빨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판 상에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빨대투입부; 및 상기 마개판의 외주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병의 뚜껑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는 상기 음용구에 삽입되는 방향의 하단 외경이 상단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판은 상기 빨대투입부를 중심으로 상기 음용구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빨대투입부는 상기 마개판 상에 타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빨대투입부의 최소 직경은, 상기 빨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빨대투입부의 최대 직경은, 상기 빨대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빨대의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판은 탄력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빨대투입부는 상기 마개판 상에 십자(十)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페트병의 뚜껑을 교체하거나 변형하지 아니하고, 페트병의 뚜껑을 개봉하고 음용구에 삽입한 후 빨대투입부에 빨대를 꽂아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속마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페트병의 음용구에 삽입하고 빨대투입부에 빨대를 꽂은 상태에서 페트병의 뚜껑을 닫아 재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속마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페트병의 재밀폐 시에 페트병의 음용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속마개의 돌출부에 기존의 페트병의 뚜껑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페트병의 변형 없이 사용 가능한 속마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속마개의 빨대투입부가 빨대를 꽂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타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빨대가 빨대투입부의 측면 마찰에 의해 고정되어 빨대를 꽂은 상태로 들고 다니며 음용하여도 내용물이 분출되지 않아 음용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속마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빨대투입부를 중심으로 마개판이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을 일부 음용하고 돌출부에 뚜껑을 밀폐하고 페트병을 눕혀서 보관해도 페트병을 세우면 빨대투입부로 흘러나온 내용물이 다시 빨대투입부를 통해 페트병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속마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가 병의 음용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가 병과 결합되는 과정을 셜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가 병의 음용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가 병의 음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빨대가 꽂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의 빨대투입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의 빨대투입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1)는 외주면이 병(50)의 음용구(51)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51)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끼움부(10); 상기 끼움부(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마개판(20); 상기 마개판(20)에 빨대(70, 도 3a에 도시됨)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판(20) 상에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빨대투입부(30); 및 상기 마개판(20)의 외주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병(50)의 뚜껑(60, 도 3a에 도시됨)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돌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병(50)의 음용구(5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속마개(1)가 음용구(51)에 삽입되는 병(50)은 다양한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고, 뚜껑(60)을 여닫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페트(PET)병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속마개(1)가 삽입될 수 있는 병(50)은 반드시 페트병(5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뚜껑(60)이 결합되는 유리병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속마개(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0)가 병(50)의 음용구(51)에 삽입되는데, 끼움부(10)보다 큰 외경을 갖는 돌출부(40)는 음용구(51)에 삽입되지 않고 노출된다. 돌출부(4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61)과 상호 대응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0)의 외주면은 음용구(51)의 외주면과 직경이 동일하고, 돌출부(40)의 수나사산(41)과 음용구(51)의 수나사산(52)이 형태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기존에 병(50)에 결합되어 있던 뚜껑(60)이 그대로 속마개(1)의 돌출부(40)에 결합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가 병과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가 병의 음용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속마개(1)는 끼움부(10)가 병(50)의 음용구(51)에 삽입되는 한편, 돌출부(40)가 뚜껑(60)과 결합한다.
끼움부(10)의 외경(D1)은 음용구(51)의 내경(D)과 동일(D1 = D)하게 구성되어, 끼움부(10)의 외주면이 음용구(51)의 내주면과 밀착됨에 따라 마찰력에 의해 끼움부(10)가 음용구(5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끼움부(10)의 외경(D1)을 음용구(51)의 내경(D)보다 크게(D1 > D) 구성하는 한편, 끼움부(10)의 재질을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의 탄력성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음용구(51)에 삽입 시에 끼움부(10)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음용구(51)에 끼움부(10)가 삽입 고정된 속마개(1)를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음용구(51)의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40)를 손으로 파지하고 힘을 가해 탈착할 수 있다. 이때, 끼움부(10)는 음용구(51)에 삽입되는 방향의 하단 외경(D2)을 상단 외경(D1)보다 작게(D1 > D2)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용구(51)의 내경(D)보다 작게(D > D2)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끼움부(10)의 외경이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짐에 따라, 끼움부(10)를 음용구(51)에 삽입할 때, 더욱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끼움부(10)의 외경이 단차를 갖으며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테이퍼진 형태로 원만하게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속마개(1)의 돌출부(40)는 뚜껑(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61)과 대응되는 수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어, 뚜껑(60)과 나사 결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존에 병(60)의 음용구(5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산(52)과 암나사산(61)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뚜껑(60)을 그대로 속마개(1)의 돌출부(40)와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60)의 내측 차단부(62)의 외주면이 속마개(1)의 돌출부(40)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속마개(1)의 마개판(20)은 빨대(70)가 관통하는 빨대투입부(30)를 중심으로 끼움부(10)가 음용구(5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속마개(1)를 음용구(51)에 삽입한 상태에서 병(50) 내부의 내용물을 일부 음용하고 난 후에 돌출부(40)에 뚜껑(60)을 결합 밀폐하여 병(50)을 눕혀서 보관하더라도, 병(50)을 세우면 빨대투입부(30)를 통해 흘러나와 마개판(20)에 고여 있던 내용물이 빨대투입부(20)를 통해 다시 병(5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마개판(10)이 깨끗해져서 뚜껑(60)을 개봉하고 재음용할 때 위생적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가 병의 음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빨대가 꽂혀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측단면에 대해 90도 방향의 측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속마개(1)의 빨대투입부(30)가 마개판(20) 상에서 타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원형의 빨대(70)가 빨대투입부(30)를 관통하여 꽂혀지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70)가 측면으로 납작하게 벌어지는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70)의 일측이 빨대투입부(30)에 가압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고정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빨대(70)의 길이가 병(50)의 높이보다 짧은 경우에, 빨대투입부(30)에 꽂혀있는 빨대(70)의 상단에 뚜껑(60)의 내측 천장(63)을 맞대고 눌러서 빨대(70)를 아래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 후 뚜껑(60)을 돌출부(40)에 결합하여 밀폐시킨다, 도 4b를 참조하면, 아래로 밀려 이동한 빨대(70)의 상부가 빨대투입부(20)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빨대(70)가 병(5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빠지지 않고, 뚜껑(60)을 개봉하면 빨대(70)의 상단이 돌출부(4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손으로 빨대(70)를 파지하여 집어 들어올리기 용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의 빨대투입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투입부(30)는 마개판(20) 상에 타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빨대투입부(30)의 최소 직경(d)은 빨대(70, 빗금친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빨대(70)의 직경이 6mm라고 가정하였을 때, 타원형 형상인 빨대투입부(30)의 최소 직경(d)은 빨대(70)의 직경인 6mm보다 작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빨대투입부(30)에 빨대(70)를 관통하여 꽂게 되면 빨대(70)의 직경보다 작은 빨대투입부(30)의 최소 직경(d)에 해당하는 부분이 빨대(70)의 외주면을 눌러 마찰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빨대(70)를 꽂은 상태로 들고 다니며 음용하여도 내용물이 쉽게 분출되지 않는다.
또한, 빨대투입부(30)의 최대 직경(d1)은 빨대(70)가 빨대투입부(30)를 관통한 상태에서, 빨대(70)의 관통된 부분의 최대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직경이 6mm인 원형의 빨대(70)가 빨대투입부(30)에 눌려서 관통한 부분의 최대 직경(d2)이 7mm라고 가정하였을 때, 타원형 형상인 빨대투입부(30)의 최대 직경(d1)은 빨대(70)의 최대 직경(d2)인 7mm보다 큰 8mm로 형성될 수 있다. 빨대투입부(30)의 통공의 면적이 빨대(70)의 통공의 면적보다 조금 넓게 형성됨에 따라, 빨대(70)를 빨대투입부(30)의 통공에 관통하여 삽입하기 용이하고, 빨대(70)가 꽂혀진 상태에서 빨대투입부(30) 좌우측의 여유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빨대(70)로 내용물을 음용하기가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속마개의 빨대투입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대투입부(30)는 마개판(20) 상에 십자(十)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개판(20)은 십자(十) 형태로 절개된 빨대투입부(30)가 하방으로 벌어지며 빨대(7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의 탄력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빨대투입부(30)의 사방으로 벌어진 부분이 빨대(70)의 측면을 가압하여 빨대투입부(30)에 밀착 고정되는 빨대(70)를 꽂은 상태로 들고 다니며 음용하여도 병(50) 내부의 내용물이 쉽게 분출되지 않아 음용하기가 용이하다.
종래의 페트병에서 뚜껑을 개봉하고 음용구에 본 발명에 따른 속마개를 끼운 후 빨대투입부에 빨대를 꽂아서 음용하는 것으로, 재밀폐할 때는 속마개의 돌출부에 뚜껑을 결합 밀폐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빨대의 끝부분을 납작하게 눌러서 타원형의 빨대투입부에 꽂으면 빨대가 빨대투입부에 밀착 고정되어 음용이 용이하고, 음용하고 남긴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뚜껑을 닫으면 돌출부가 두껑의 내측 차단부에 맞닿고 돌출부의 수나사산에 뚜껑의 내측 암나사산이 나사 결합하여 맞물려 밀폐된다.
빨대투입부가 빨대를 꽂을 정도의 타원형의 크기로 형성되어 빨대투입부에 빨대를 꽂은 상태로 들고 다니며 음용하여도 내용물이 쉽게 분출되지 않아 페트병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의 속마개는, 빨대를 꽂아서 음용하고 남긴 내용물을 보관할 때 빨대를 빼내지 않고도 뚜껑을 닫아서 재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빨대의 길이가 페트병의 높이보다 짧은 경우에, 빨대투입부에 꽂혀 있는 빨대의 상단에 뚜껑의 내측 천장을 맞대고 눌러서 빨대를 아래로 이동시킨 후 뚜껑을 돌출부에 돌려 닫아서 밀폐시킨다. 이때, 아래로 밀려 이동한 빨대의 상부가 빨대투입부에 밀착 고정되어 빨대가 페트병의 내부로 빠지지 않고, 뚜껑을 개봉하면 빨대의 상단이 돌출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어 손으로 빨대를 파지하여 집어 올리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속마개는, 마개판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용물을 입부 음용한 후에, 돌출부에 뚜껑을 결합 밀폐하고 페트병을 눕혀서 보관하더라도, 페트병을 세우면 빨대투입부를 통해 흘러나와 마개판에 고여 있던 내용물이 빨대투입부를 통해 다시 페트병 내부로 유입되어 마개판이 깨끗해져서 뚜껑을 개봉하고 재음용할 때 위생적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속마개
10 : 끼움부
20 : 마개판
30 : 빨대투입부
40 : 돌출부
41 : 수나사산
50 : 병
60 : 뚜껑
70 : 빨대

Claims (8)

  1. 병(50)의 음용구(51)에 삽입되는 속마개(1)로서,
    외주면이 상기 음용구(51)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51)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끼움부(10);
    상기 끼움부(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마개판(20);
    상기 마개판(20)에 빨대(7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판(20) 상에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빨대투입부(30); 및
    상기 마개판(20)의 외주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병(50)의 뚜껑(60)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돌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60)은 상기 음용구(5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산(52)과 암나사산(61)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40)의 외주면은 상기 음용구(51)의 외주면과 직경이 동일하며, 상기 돌출부(40)에 상기 뚜껑(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61)과 대응되는 수나사산(41)이 형성되면서 상기 돌출부(40)의 수나사산(41)과 상기 음용구(51)의 수나사산(52)이 형태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40)가 상기 음용구(51)에 결합될 수 있는 뚜껑(60)과 나사 결합하는 겻을 특징으로 하는, 속마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0)는 상기 음용구(51)에 삽입되는 방향의 하단 외경(D2)이 상단 외경(D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마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판(20)은 상기 빨대투입부(30)를 중심으로 상기 음용구(5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마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투입부(30)는 상기 마개판(20) 상에 타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마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빨대투입부(30)의 최소 직경(d)은, 상기 빨대(7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마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빨대투입부(30)의 최대 직경(d1)은, 상기 빨대(70)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빨대(70)의 최대 직경(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마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판(20)은 탄력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빨대투입부(30)는 상기 마개판(20) 상에 십자(十)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마개.
KR1020160179937A 2016-12-27 2016-12-27 병의 속마개 KR10189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937A KR101894158B1 (ko) 2016-12-27 2016-12-27 병의 속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937A KR101894158B1 (ko) 2016-12-27 2016-12-27 병의 속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948A KR20180075948A (ko) 2018-07-05
KR101894158B1 true KR101894158B1 (ko) 2018-08-31

Family

ID=6292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937A KR101894158B1 (ko) 2016-12-27 2016-12-27 병의 속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81B1 (ko) * 2019-05-10 2020-11-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병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02Y1 (ko) * 2002-04-20 2002-07-22 김태진 빨대겸용 병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02Y1 (ko) * 2002-04-20 2002-07-22 김태진 빨대겸용 병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948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9050C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with cork-type top sealing member
ES2621117T3 (es) Envase combinado de copa y botella de vino
US20140311940A1 (en) Closeable silicon container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KR20000048949A (ko) 삽입 형상을 가진 콘택트 렌즈 팩키지
KR101894158B1 (ko) 병의 속마개
KR101815414B1 (ko) 병의 속마개
US10196189B2 (en) Carbonated beverage closure
KR200483826Y1 (ko) 병뚜껑 개방수단이 구비된 소주잔
KR100526153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JP2016008059A (ja) キャップ
KR102072494B1 (ko) 밀봉용기
KR100700039B1 (ko) 음료용 병
US20160376068A1 (en) Silicone bottle cap with removable glass insert
KR200486133Y1 (ko) 원터치식 캔 뚜껑을 가지는 포장용기
KR200489121Y1 (ko) 식품 보관 용기
KR20130044989A (ko) 빨대 삽입용 커버
KR200347208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101321855B1 (ko) 액체용기
KR200481857Y1 (ko) 경사진 배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뚜껑
KR101905179B1 (ko) 오염방지부가 형성된 튜브용기
JP2005193942A (ja) 軟質樹脂による螺合方式密封機構
JP6746221B2 (ja) 付け替え容器
US20090159551A1 (en) Universal Adapter for Baby Nipple/Pacifier
CN104843304B (zh) 可自动关闭的托盘式不漏嘴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