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989A - 빨대 삽입용 커버 - Google Patents

빨대 삽입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989A
KR20130044989A KR1020110109394A KR20110109394A KR20130044989A KR 20130044989 A KR20130044989 A KR 20130044989A KR 1020110109394 A KR1020110109394 A KR 1020110109394A KR 20110109394 A KR20110109394 A KR 20110109394A KR 20130044989 A KR20130044989 A KR 20130044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raw
bottle
contain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850B1 (ko
Inventor
서진순
Original Assignee
서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순 filed Critical 서진순
Priority to KR102011010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8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4Caps or cap-like covers made of shrinkable material or formed in situ by dipping, e.g. using gelatine or cellul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 삽입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 또는 용기의 입구의 기밀을 유지하고, 빨대를 삽입하여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음료을 상기 빨대를 통해 음용하게 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빨대 삽입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빨대 삽입용 커버{Cover for inserting a straw}
본 발명은 빨대 삽입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 또는 용기의 입구의 기밀을 유지하고, 빨대를 삽입하여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음료을 상기 빨대를 통해 음용하게 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빨대 삽입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 또는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마시는 경우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를 막고 있는 마개 또는 포장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음료을 컵 또는 그릇 등에 덜어서 마시거나, 상기 병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직접 입을 댄 상태로 상기 음료를 마시게 된다.
한편,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 외부에서 전달되는 흔들림 또는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로 입을 대는 과정 등에서 상기 음료를 흘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가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제조되어 있어 유아의 경우에는 성인에 비해 자주 음료를 흘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 직접 입을 대지 않고 상기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빨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상기 유아는 빨대의 사용이 미숙하고, 또한, 상기 빨대가 고정되지 않아 상기 음료를 음용하는데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아의 경우에는 보호자가 상기 음료를 유아에게 먹여주거나, 젖병 등에 상기 음료를 옮겨주어야 했다.
또한,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에 일정량의 음료를 남긴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로 불순물이 유입되거나 외부의 냄새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특히,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를 냉장고에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고 내부의 냄새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자들은 빨대를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병 또는 용기의 입구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연령이 어린 유아가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상기 빨대를 통해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빨대 삽입용 커버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 또는 용기에 삽입된 빨대를 고정하며,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빨대 삽입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복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파손된 부분 또는 장시간 사용한 부분을 쉽게 교체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빨대 삽입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령이 어린 유아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빨대 삽입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빨대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한 빨대 삽입부를 포함하며, 병 또는 용기의 입구를 덮는 빨대 삽입용 커버로써, 상기 커버는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늘여서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를 삽입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빨대 삽입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빨대 삽입부의 삽입구는 1자 형태, X자 형태 및 십자 형태를 포함하는 찢어진 형태로서 평상 시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빨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구가 상기 빨대의 외측면을 지지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빨대 삽입부는 상기 삽입구를 둘러싸며,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보강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서 상기 커버가 이탈되지 않게 지지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의 단부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의 단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분리하여 교체가능하게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커버를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지지고정하는 제 1덮개부; 및 상기 제 1덮개부의 외측면을 덮고, 상기 제 1덮개부를 지지고정하는 제 2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덮개부 및 상기 제 2덮개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로 형성되어, 유아에게 무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에 의하면, 병 또는 용기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를 신축성이 있는 탄성재질로 구비하므로,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장착이 가능하며, 빨대를 삽입하여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상기 삽입된 빨대도 탄성에 의해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에 의하면, 빨대 삽입부에는 빨대를 삽입하는 삽입구 및 상기 삽입구의 주변에 두꺼운 두께로 보강수단이 형성되며, 또한, 덮개부는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빨대의 잦은 인출에도 상기 삽입구가 쉽게 손상되지 않고 높은 내구성을 가지게 되는 효과와, 특정 부분에 손상 또는 불순물이 묻은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를 분리하여 교체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에 의하면,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를 소재로 형성되므로, 유아에게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져 연령이 어린 유아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빨대 삽입용 커버를 병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십자 형태의 삽입구를 구비한 빨대 삽입용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빨대 삽입용 커버를 병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수단이 구비된 빨대 삽입용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빨대 삽입용 커버를 병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빨대 삽입용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빨대 삽입용 커버를 병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의 상,하부 두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덮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빨대 삽입용 커버를 병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100)는, 빨대(S)를 삽입시킬 수 있는 커버(10)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병(B) 또는 용기의 입구를 덮을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커버(10)가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빨대(S)가 삽입된 경우 상기 빨대(S)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고정하며, 덮개부(110) 및 빨대 삽입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10)는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사용하던 것으로, 종래의 마개(closure)를 뜻하며, 상기 마개는 뚜껑, 캡(cap), 덮개 또는 코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0)는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로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커버(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0)와 상기 덮개부(110)는 접착,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덮개부(110)와 상기 커버(1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밑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110)의 밑면으로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가 삽입되어,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 및 외측면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커버(10)의 외관에 따라서 다각기둥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병(10)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밀착되면서 상기 커버(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고정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덮개부(110)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탄력적으로 연장 또는 수축할 수 있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10)를 사용자가 잡아당겨서 일정 넓이로 늘인 상태에서,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를 삽입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덮개부(110)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가 입구의 형태 또는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부(110)를 이루는 탄성재질은 신축성을 갖고 이완 및 수축하는 소재들을 뜻하는데, 예컨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와 상기 커버(1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커버(10) 또한 상기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상기 덮개부(110) 하부(L)의 단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부(110)가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더 강한 탄성으로 수축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빨대 삽입부(120)는 상기 빨대(S)를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빨대(S)가 상기 커버(10)를 관통하여 상기 병(10)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빨대(S)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1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121)는 상기 커버(10)를 관통하는 일정 넓이의 구멍을 찢어진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빨대(S)가 상기 삽입구(121)를 통해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빨대 삽입부(12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탄력적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빨대 삽입부(120)를 상기 실리콘 또는 상기 고무 재질로 구비하여 상기 빨대(S)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구(121)가 연장되고, 상기 빨대(S)를 인출한 이후에는 수축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빨대 삽입부(121)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구(121)가 연장 또는 수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빨대들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구(121)는 상기 빨대(S)가 삽입된 경우 상기 빨대(S)의 외측면을 탄성으로 가압하게 되며, 상기 빨대(S)는 상기 삽입구(121)에 의해 지지고정되어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100)는, 실질적으로 연령이 어린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사용하게 하고자 한 것이므로, 상기 덮개부(110) 및 상기 빨대 삽입부(120)는 연령이 어린 유아에게 무해하도록 유해한 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은 실리콘 재질 또는 천연고무 재질로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커버(10)의 재질도 유해한 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은 실리콘 재질 또는 천연고무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십자 형태의 삽입구를 구비한 빨대 삽입용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빨대 삽입용 커버를 병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100)는, 상기 빨대 삽입부(120)의 삽입구(121)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빨대(S)가 삽입된 경우 상기 빨대(S)의 외측면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빨대 삽입부(120)의 삽입구(121)는, 평상 시에는 상기 삽입구(121)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빨대가 삽입된 경우에만 상기 삽입구(121)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음료가 수용된 병 또는 용기를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빨대 삽입부(120)의 삽입구(121)에서 상기 빨대를 제거하면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가 개방되지 않고 닫힌 상태를 갖게 된다.
즉,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 외부의 불순물이 유입되거나,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121)가 십자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빨대(S)가 삽입되면 상기 십자 형태(┼)의 삽입구(121) 일정부분이 벌어지면서 상기 빨대(S)의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빨대(S)를 더 효과적으로 지지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빨대 삽입부(120)가 탄성재질로 구비된 경우, 상기 십자 형태(┼)의 삽입구(121)는 탄성을 통해 상기 빨대를 더 효과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빨대 삽입부(120)의 삽입구(121)는 십자 형태 이외에도, 상기 빨대(S)가 삽입되는 경우 열리고 상기 빨대(S)를 제거하면 닫힐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삽입구(121)는 1자 형태 또는 X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빨대(S)가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기 빨대(S)를 제거한 경우에 일정한 수준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수단이 구비된 빨대 삽입용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빨대 삽입용 커버를 병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100)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병(B) 또는 용기에 사용되며 빨대(S)를 삽입한 후에는 상기 빨대(S)만 제거하여 재사용하게 되고, 상기 빨대 삽입부(120)의 삽입구(121)가 상기 빨대(S)의 잦은 인출로 인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구(121)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보강수단(122)을 더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수단(122)은 상기 빨대 삽입부(120)에 구비되고, 상기 빨대 삽입부(120)의 삽입구(12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환형으로 상기 삽입구(121)를 둘러싸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수단(122)의 두께는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수단(122)은 상기 삽입구(121) 주변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삽입구(121)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하는데, 특히, 상기 삽입구(121)의 일정 부분은 상기 빨대(S)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밀려나며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빨대(S)의 잦은 인출로 인해 상기 삽입구가 찢어지거나,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강수단(122)을 구비하여 내구성을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수단(122)은 상기 빨대 삽입부(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빨대 삽입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강수단(122)은 상기 삽입구(121)의 주변을 두껍게 하여 상기 삽입구(12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그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빨대 삽입용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빨대 삽입용 커버를 병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10)에는, 상기 커버(10)를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11)은 상기 덮개부(110)의 내측에 돌출형성된 것으로,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돌출부(B-1)에 걸려서 상기 덮개부(110)가 상기 커버(10)를 견고하게 지지고정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B-1)는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 주변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를 둘러싸면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나사산의 형태로 돌출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11)은 나사산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 형태의 돌출부(B-1)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11)은 상기 덮개부(110)의 하부의 내측에서 띠 또는 돌기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돌출부(B-1)와 상기 고정수단(111)이 서로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수단(111)을 상기 덮개부 하부의 내측에서 띠 형태로 돌출형성하여 구비하였다.
즉, 상기 고정수단(111)은 상기 커버(10) 및 상기 덮개부(110)에 어느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거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상기 덮개부(110)가 상기 커버(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의 상,하부 두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삽입용 커버(100)는, 덮개부(110)의 두께를 조절하여 상기 덮개부(110)의 신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는 하부(L)의 단부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110)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덮개부(110)가 쉽게 늘어날 수 있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10)의 하부(L)로 입구 크기가 큰 병 또는 용기도 수월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덮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10)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여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한 부분을 교체할 수 있게 구비되며, 제 1덮개부(112a) 및 제 2덮개부(11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덮개부(112a)는 상기 커버(10)를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지지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10)를 지지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 2덮개부(112b)는 상기 제 1덮개부(112a)를 지지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덮개부(112a)의 외측면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덮개부(112b)는 상기 제 1덮개부(112a)가 느슨하지 않게 조여서, 상기 제 1덮개부(110a)가 상기 병(B) 또는 상기 용기에서 떨어지지 않게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덮개부(112a) 및 상기 제 2덮개부(112b)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고정수단(111)이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덮개부(110)가 복수 개로 분리되더라도 상기 고정수단(111)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덮개부(112a) 및 상기 제 2덮개부(112b)에 각각 구비된 고정수단(111)을 띠 형태로 구비하였으나, 나사산 또는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덮개부(110a)와 상기 제 2덮개부(110b)는 서로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예컨대,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하도록 구비하거나, 접착결합하거나,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제 1덮개부(112a) 및 상기 제 2덮개부(112b)와 같이 두 개로 분리될 수도 있으나, 상기 덮개부(110)를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덮개부(110)를 분리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110)의 일정부분이 파손된 경우에 교체가능하게 한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10 : 덮개부 111 : 고정수단
112a : 제 1덮개부 112b : 제 2덮개부
120 : 빨대 삽입부 121 : 삽입구
122 : 보강수단

Claims (10)

  1. 빨대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한 빨대 삽입부를 포함하며, 병 또는 용기의 입구를 덮는 빨대 삽입용 커버로써,
    상기 커버는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늘여서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를 삽입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삽입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삽입부의 삽입구는 1자 형태, X자 형태 및 십자 형태를 포함하는 찢어진 형태로서 평상 시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빨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구가 상기 빨대의 외측면을 지지고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삽입부는 상기 삽입구를 둘러싸며,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보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서 상기 커버가 이탈되지 않게 지지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의 단부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의 단부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분리하여 교체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커버를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서 지지고정하는 제 1덮개부; 및
    상기 제 1덮개부의 외측면을 덮고, 상기 제 1덮개부를 지지고정하는 제 2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덮개부 및 상기 제 2덮개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로 형성되어, 유아에게 무해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용 커버.
KR1020110109394A 2011-10-25 2011-10-25 빨대 삽입용 커버 KR10128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94A KR101287850B1 (ko) 2011-10-25 2011-10-25 빨대 삽입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94A KR101287850B1 (ko) 2011-10-25 2011-10-25 빨대 삽입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89A true KR20130044989A (ko) 2013-05-03
KR101287850B1 KR101287850B1 (ko) 2013-07-18

Family

ID=4865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394A KR101287850B1 (ko) 2011-10-25 2011-10-25 빨대 삽입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82Y1 (ko) 2017-08-30 2018-10-19 이홍조 밀봉된 상태에서 빨대로 음용이 가능한 뚜껑
KR20200057213A (ko) 2018-11-16 2020-05-26 국대환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8494B2 (ja) * 2002-10-15 2005-11-24 ルナ化成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蓋及びその射出成形方法
KR200401843Y1 (ko) * 2005-06-14 2005-11-22 이은숙 탄력성 실리콘 밀폐 덮개
KR20100106817A (ko) * 2009-03-24 2010-10-04 고혜진 프리컵용 빨대 뚜껑
KR20100137828A (ko) * 2009-06-23 2010-12-31 송태성 빨대 고정용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850B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846B1 (ko) 다목적 친환경캡
US20170291762A1 (en) Waste deposition device for right and left hand use
KR101287850B1 (ko) 빨대 삽입용 커버
KR20180085878A (ko) 빨대구멍 병뚜껑
IES86803B2 (en) A container gripping aid
KR102093774B1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100940527B1 (ko)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TW201247486A (en) Liquid containing unit
US9821946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closure and integrated straw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GB2440933A (en) Feeding bottle for use in feeding liquid foodstuffs to an infant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KR100700039B1 (ko) 음료용 병
KR20180075948A (ko) 병의 속마개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1383482B1 (ko) 과자류 포장용기
KR101898906B1 (ko) 일회용 봉지 보조기
KR10160603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200472317Y1 (ko)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JP6774130B1 (ja) 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及びペットボトル
KR102129091B1 (ko) 스틱 일체형 라벨 음료 용기
KR20010007121A (ko) 스트로 지지구
US20080217283A1 (en) Beverage container spout cover, storage rack and method for use
KR20240038319A (ko) 빨대용 마개
KR20100011503U (ko) 음료병에 결합되는 체결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