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364U -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364U
KR20130000364U KR2020110006167U KR20110006167U KR20130000364U KR 20130000364 U KR20130000364 U KR 20130000364U KR 2020110006167 U KR2020110006167 U KR 2020110006167U KR 20110006167 U KR20110006167 U KR 20110006167U KR 20130000364 U KR20130000364 U KR 201300003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crew thread
liquid
insertion groove
liqui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봉
Original Assignee
정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봉 filed Critical 정태봉
Priority to KR2020110006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364U/ko
Publication of KR201300003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8Threaded or like closure members secured by rotation; Bus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저장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액체 저장용 마개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원형의 액체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액체 저장 용기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1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측벽부와, 상기 액체배출구 둘레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 내벽면에 패킹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액체배출부로 구성된 하부마개와; 장축의 길이는 상기 원판부의 직경에 대응되고, 단축의 길이는 상기 원판부의 직경에 비해 짧게 형성된 타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타원판부와, 상기 타원판부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측벽부와, 상기 타원판부의 중앙 저부에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부로 구성된 상부마개와; 상기 상부마개의 타원판부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마개의 원판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나사산과 제3나사산이 끝까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의 하단이 삽입되는 걸림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삽입홈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형성부재와; 상기 하부마개의 패킹삽입홈에 삽입되어 있고, 제2나사산과 제3나사산이 끝까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마개의 밀폐부 하단과 밀착되도록 구성된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용기와 결합되는 직경이 큰 하부마개의 상부 중앙에 하부마개의 하부측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액체배출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컵 등에 액체를 따를 때 액체배출부를 컵에 지지한 채 따를 수 있도록 하여 무거운 내용물을 힘들이지 않고 소량 따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CAP FOR LIQUOR BOTTLE}
본 고안은 음료나 술 등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다량의 액체를 보관하면서 배출시에는 소량을 배출하도록 하고, 마개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한,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에 관한 기술로, 특허문헌 1의 도 1에는 보조마개의 내주면에 요홈부와 돌출공을 형성하여 작은 구멍을 통해 주류용기 내부의 주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과실주 용기용 마개의 과실주 인출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640호)가 출원된 바 있다.
위와 같은 용기의 경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소량씩 배출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용기의 입구가 큰 경우에는 작은 작에 따라 마시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구가 큰 용기의 입구 크기에 맞추어 성형할 경우 결국 내용물이 용기의 입구를 통해 잔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용기의 입구가 크기 때문에 잔으로 일정하게 배출되지 않고 밖으로 흘러 버리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크기가 큰 인삼을 원형 그대로 내부에 삽입해야 하는 과일주 용기의 경우 그 입구가 커야 하는데 이러한 용기에 위와 같은 보조 병마개 등을 설치할 경우 잔에 액체를 따를 시 넓은 입구로 인해 액체가 잔 외로 새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컸다.
또한, 위와 같이 인삼이 보관되는 주류 용기의 경우 그 크기가 매우 커 내부에 내용물이 가득 찬 경우 무게가 무거워 술을 따르는 사람이 술을 따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마개를 쉽게 파지하여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특허문헌 2의 도 1에는 용기의 마개 측면 상단 양쪽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으로 쥐고서 마개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마개 측면으로 손잡이가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 다수 개의 용기를 인접하여 저장할 때 손잡이에 의해 서로 인접시켜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점, 돌출된 손잡이에 의한 부상의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625호)를 출원하였다.
상기 기술에는 3페이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부피가 큰 내용물을 내부에 저장하기 쉽도록 마개본체를 구비하고, 마개본체의 상부에 주마개를 구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한편, 주마개 내측으로 보조마개를 설치하여 액체를 따라 마실 때 소량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특허문헌 3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 부분이 지나치게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이 부분에 오염물질이 협착하고 유해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량 또는 대형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한편, 개폐가 용이하고, 내부 액체의 배출이 용이한 마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0378640 (2005.03.04) KR 10-2007-0068966 (2007.07.02) KR 20-0438625 (2008.02.18)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와 결합되는 직경이 큰 하부마개의 상부 중앙에 하부마개의 하부측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액체배출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컵 등에 액체를 따를 때 액체배출부를 컵에 지지한 채 따를 수 있도록 하여 무거운 내용물을 힘들이지 않고 소량 따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상부마개는 단축의 길이가 하부마개보다 직경을 작게 한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마개를 손으로 쉽게 파지한 채 회전시켜 여닫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상부마개의 저부에 제3나사산이 구비된 원통형의 밀폐부를 형성하고, 하부마개의 상부에 제2나사산이 구비된 액체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마개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제2나사산과 제3나사산이 맞물려 돌아가면서 액체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상부마개의 저부에 걸림돌기를 설치하고, 하부마개의 상부에 삽입홈형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제2나사산과 제3나사산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기 하단이 걸림돌기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이탈방지부에 걸리도록 하거나, 이탈방지부를 통과하면서 찰칵하는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밀폐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복잡한 다중 구조를 가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액체 저장용 마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원형의 액체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액체 저장 용기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1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측벽부와, 상기 액체배출구 둘레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 내벽면에 패킹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액체배출부로 구성된 하부마개와; 장축의 길이는 상기 원판부의 직경에 대응되고, 단축의 길이는 상기 원판부의 직경에 비해 짧게 형성된 타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타원판부와, 상기 타원판부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측벽부와, 상기 타원판부의 중앙 저부에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부로 구성된 상부마개와; 상기 상부마개의 타원판부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마개의 원판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나사산과 제3나사산이 끝까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의 하단이 삽입되는 걸림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삽입홈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형성부재와; 상기 하부마개의 패킹삽입홈에 삽입되어 있고, 제2나사산과 제3나사산이 끝까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마개의 밀폐부 하단과 밀착되도록 구성된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액체배출부는 상부로 갈수록 입구의 크기가 커지도록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걸림돌기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용기와 결합되는 직경이 큰 하부마개의 상부 중앙에 하부마개의 하부측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액체배출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컵 등에 액체를 따를 때 액체배출부를 컵에 지지한 채 따를 수 있도록 하여 무거운 내용물을 힘들이지 않고 소량 따를 수 있게 된다.
또, 상부마개는 단축의 길이가 하부마개보다 직경을 작게 한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마개를 손으로 쉽게 파지한 채 회전시켜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마개의 저부에 제3나사산이 구비된 원통형의 밀폐부를 형성하고, 하부마개의 상부에 제2나사산이 구비된 액체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마개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제2나사산과 제3나사산이 맞물려 돌아가면서 액체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부마개의 저부에 걸림돌기를 설치하고, 하부마개의 상부에 삽입홈형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제2나사산과 제3나사산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기 하단이 걸림돌기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이탈방지부에 걸리도록 하거나, 이탈방지부를 통과하면서 찰칵하는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밀폐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복잡한 다중 구조를 가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를 이용하여 컵에 액체를 따를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는 크게 하부마개(10), 상부마개(20), 걸림돌기(30), 삽입홈형성부재(40), 패킹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마개(10)는 원판부(11), 하부측벽부(12), 액체배출부(13)로 이루어져 있다.
원판부(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원형의 액체배출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측벽부(12)는 상기 원판부(11)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액체 저장 용기(1)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1나사산(12a)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배출부(13)는 상기 액체배출구(11a) 둘레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13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하측 내벽면에는 패킹삽입홈(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마개(10)는 원판부(11) 둘레에 비해 직경이 작은 액체배출부(13)가 중앙에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컵 등에 액체를 따를 때 액체배출부(13)를 컵에 지지한 채 따를 수 있도록 하여 무거운 내용물을 힘들이지 않게 되고, 아울러, 액체배출구(11a)는 원판부(1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컵에 소량의 액체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액체배출부(13)는 상부로 갈수록 입구의 크기가 커지도록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컵 등에 액체배출부(13)를 지지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부마개(20)는 타원판부(21), 상부측벽부(22) 및 밀폐부(23)로 구성되어 있다.
타원판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의 길이가 원판부(11)의 직경에 대응되고, 단축의 길이는 원판부(11) 직경에 비해 짧게 형성된 타원형의 판 형상을 취한다.
상부측벽부(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판부(21)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부(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원판부(21)의 중앙 저부에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13a)과 나사결합되는 제3나사산(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부마개(20)의 타원판부(21)를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상부마개(20)를 손으로 쉽게 파지한 채 회전시켜 여닫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는 다량의 액체 및 내부에 크기가 큰 인삼 등을 저장하는 용기(1)의 경우 통상적으로 입구가 크고 이로 인해 마개 역시 크기가 커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처럼 마개가 크고 원형인 경우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마개(20)의 단축 부분을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나머지손가락으로 쉽게 쥐어 파지가 용이해지고 이로 인해 힘을 주어 마개를 회전시켜 개폐시키기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
걸림돌기(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마개(20)의 타원판부(21) 저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적게는 한 개에서 많게는 4개까지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걸림돌기(30)는 플랙시블한 유동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연질의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홈형성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마개(10)의 원판부(11)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마개(10)의 액체배출부(13)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나사산(13a)과 상부마개(20)의 밀폐부(23)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나사산(23a)이 완벽히 끝까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마개(20) 저부의 걸림돌기(30) 하부 선단이 삽입되도록 걸림돌기삽입홈(41)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걸림돌기삽입홈(41)의 일측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제2나사산(13a)과 제3나사산(23a)이 완벽히 체결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42)에 걸림돌기(30)가 걸려 더이상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상부마개(20)와 하부마개(10)가 완전히 결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걸림돌기(30) 하단이 걸림돌기삽입홈(41)에 끼워지는 것으로도 이러한 완전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돌기(30)를 연성 합성수지 재질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할 경우 단순히 걸림돌기(30)가 이탈방지부(42)에 걸리는 느낌 외에도 이탈방지부(42)를 통과할 때 소리가 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완전히 밀폐가 이루어졌음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완전 밀폐를 위한 복잡한 다중 구조를 가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이 외부로 새나가지 않게 되는 효과도 갖게 된다.
패킹부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마개(10)의 패킹삽입홈(13b)에 삽입되어 있고, 제2나사산(13a)과 제3나사산(23a)이 끝까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마개(20)의 밀폐부(23) 하단과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패킹부재(50)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입구가 큰 용기(1) 즉, 입구의 크기가 원판부(1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용기(1)의 내부에 인삼 등의 크기가 큰 내용물과 술 등을 투입한다.
그런 다음 하부마개(10)의 제1나사산(12a)이 용기(1) 입구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부마개(20)의 제3나사산(23a)과 하부마개(10) 액체배출부(13)의 제2나사산(13a)이 결합되록 하여 용기(1) 내부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부마개(20)는 타원판부(21)의 단축 부분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어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힘이 덜 들게 되며, 제2나사산(13a)과 제3나사산(23a)이 완전히 결합되게 되면 걸림돌기(30)가 걸림돌기삽입홈(41)에 삽입되거나, 이탈방지부(42)에 의해 걸리거나, 이탈방지부(42)를 통과하면서 소리를 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완전히 결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용기(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배출할 때 상부마개(20)를 결합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분리한 다음 액체배출부(13)를 컵에 지탱한 채 기울여 액체를 배출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판부(11)에 비해 직경이 작은 액체배출부(13)가 상향 돌출되어 있고, 더 나아가 깔데기 모양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되어 있어 액체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보다 편리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는 내용물로 액체 뿐만 아니라 인삼, 더덕 등과 같은 부피가 큰 내용물이 수용되는 입구가 큰 과실주 용기에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액체 저장 용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 : 용기 10 : 하부마개
11 : 원판부 11a : 액체배출구
12 : 하부측벽부 12a : 제1나사산
13 : 액체배출부 13a : 제2나사산
13b : 패킹삽입홈 20 : 상부마개
21 : 타원판부 22 : 상부측벽부
23 : 밀폐부 23a : 제3나사산
30 : 걸림돌기 40 : 삽입홈형성부재
41 : 걸림돌기삽입홈 42 : 이탈방지부
50 : 패킹부재

Claims (3)

  1.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원형의 액체배출구(11a)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11)와, 상기 원판부(11)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액체 저장 용기(1)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1나사산(12a)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측벽부(12)와, 상기 액체배출구(11a) 둘레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제2나사산(13a)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 내벽면에 패킹삽입홈(13b)이 형성되어 있는 액체배출부(13)로 구성된 하부마개(10)와;
    장축의 길이는 상기 원판부(11)의 직경에 대응되고, 단축의 길이는 상기 원판부(11)의 직경에 비해 짧게 형성된 타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타원판부(21)와, 상기 타원판부(21)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측벽부(22)와, 상기 타원판부(21)의 중앙 저부에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13a)과 나사결합되는 제3나사산(23a)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부(23)로 구성된 상부마개(20)와;
    상기 상부마개(20)의 타원판부(21)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0)와;
    상기 하부마개(10)의 원판부(11)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나사산(13a)과 제3나사산(23a)이 끝까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30)의 하단이 삽입되는 걸림돌기삽입홈(41)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삽입홈(41)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42)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형성부재(40)와;
    상기 하부마개(10)의 패킹삽입홈(13b)에 삽입되어 있고, 제2나사산(13a)과 제3나사산(23a)이 끝까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마개(20)의 밀폐부(23) 하단과 밀착되도록 구성된 패킹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배출부(13)는 상부로 갈수록 입구의 크기가 커지도록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용 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30)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KR2020110006167U 2011-07-06 2011-07-06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KR201300003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67U KR20130000364U (ko) 2011-07-06 2011-07-06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67U KR20130000364U (ko) 2011-07-06 2011-07-06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64U true KR20130000364U (ko) 2013-01-16

Family

ID=5242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167U KR20130000364U (ko) 2011-07-06 2011-07-06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36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KR102050965B1 (ko) 텀블러
EP2744720B1 (en) Holder for a liquid
US20180305197A1 (en) Plastic liquid container and dispensing system
JP2013147284A (ja) 容量可変容器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KR20130000364U (ko)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KR100823398B1 (ko) 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
AU2021403890A1 (en) A drinks container
KR101873833B1 (ko) 분리 가능한 물병
JP3201923U (ja) 逆止弁付き飲み口体
KR20080000223U (ko) 티 캡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200478362Y1 (ko) 포장용기 뚜껑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1421649B1 (ko) 분리형 물병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20130044989A (ko) 빨대 삽입용 커버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KR200438625Y1 (ko)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JP3097232U (ja) ボトル容器
KR200350442Y1 (ko) 페트병
JP3102231U (ja) ペットボトルのキャップ型注出装置
KR200460290Y1 (ko) 식품 용기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