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906B1 - 일회용 봉지 보조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봉지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906B1
KR101898906B1 KR1020160130877A KR20160130877A KR101898906B1 KR 101898906 B1 KR101898906 B1 KR 101898906B1 KR 1020160130877 A KR1020160130877 A KR 1020160130877A KR 20160130877 A KR20160130877 A KR 20160130877A KR 101898906 B1 KR101898906 B1 KR 101898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bag
main body
lid
screw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806A (ko
Inventor
유연호
황인성
이현주
김바다
이나래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9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봉지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회용 봉지 보조기는 수납 공간 내에 일회용 봉지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수납 공간과 통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테두리 부분을 넘어서 외부로 노출된 일회용 봉지를 상기 테두리 부분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 집개를 구비한 고정부, 그리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의 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회용 봉지 보조기{SUPPORTING APPLIANCE FOR DISPOSABLE BAG}
본 발명은 일회용 봉지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 등으로 만들어진 봉지를 물병과 같은 용기로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만들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봉지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병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물과 같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구비한 본체와 본체의 개방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을 구비한 뚜껑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병에 원하는 내용물을 담아 보관한 후, 필요할 경우, 본체에 결합된 뚜껑을 분해해 본체의 일부를 개방시켜 물 등을 이용해 본체 내부를 세척해 위생적으로 물병 사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아프리카 등과 같이 물이 부족한 지역은 식수로 사용할 물도 부족한 환경이므로, 물병과 같은 음식물의 용기를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없다.
따라서, 물병이나 물항아리와 같은 물을 담는 용기의 불결한 상태로 인해, 용기 내에 담겨 있는 물이 오염되거나 세균 번식으로 인해 질병 발생의 위험이 존재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11955(등록일자: 2012년 12월 07일, 발명의 명칭: 휴대용 물병)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에 내용물을 용이하게 담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회성 용기를 물병으로 사용한 후 다른 용기로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므로, 위생적인 용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봉지 보조기는 수납 공간 내에 일회용 봉지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수납 공간과 통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테두리 부분을 넘어서 외부로 노출된 일회용 봉지를 상기 테두리 부분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 집개를 구비한 고정부 및 상기 본체와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의 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 상단에는 나사(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는 나사(31)와 체결되는 나사(21)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부는 나사 결합되며, 상기 덮개부 상부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 상부면에는 상기 구멍을 닫고 개방하는 마개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삭제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세척이 필요 없는 일회용 봉지에 용이하게 물과 같은 내용물을 담아 물병과 같은 용기로 사용되므로, 휴대와 사용이 편리해진다.
또한, 별도의 세척 과정 없이 일회용 봉기의 교체만으로 위생적인 용기가 만들어지므로, 용기 세척을 위한 물 낭비가 방지되며, 용기 오염 현상을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지 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지 보조기를 이용하여 비닐 봉지를 이용하여 용기를 제작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지 보조기의 다른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지 보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지 보조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일회용 봉지 보조기는 비닐 봉지와 같은 일회용 봉지가 위치하는 본체(10), 본체(10) 위에 위치하여, 본체(10) 내에 위치한 일회용 봉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20) 그리고 고정부(20) 위에 위치하여 고정부(20)의 개방부를 막는 덮개부(3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상된 원기둥 형상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회용 봉지가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된 본체(10) 상부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일회용 봉지를 안착시키고 이때, 일회용 봉지의 개방부가 본체(10) 상단부 쪽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고정부(20)는 본체(10) 위에 본체(10)가 접하게 위치하여 본체(10) 내부에 위치한 일회용 봉지의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고정부(20)는 자신과 접하는 본체(10)의 부분, 즉 상단부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가운데 부분에는 빈 공간을 갖고 있고 이 빈 공간은 본체(10)에 형성된 수납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20)는 본체(10) 상부의 가장자리부 즉, 테두리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일회용 봉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집개(21)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부(20) 상부의 외측면에는 덮개부(30)와 결합되는 나사(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20)의 고정 집개(21)는 본체(10)의 대응되는 테두리 부분에 고정되어, 테두리 부분을 덮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일회용 봉지의 위치를 고정시켜, 본체(10)의 수납 공간 내에 위치한 일회용 봉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킨다.
덮개부(30)는 고정부(20)와 결합되어 고정부(20)에 형성된 개방구, 즉 공간을 덮는다.
이러한 덮개부(30)는 내측면부에는 고정부(20)에 형성된 나사(21)와 체결되는 나사(31)를 구비하고, 상부면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32)가 위치한다.
이때, 고정부(20)의 나사(21)와 덮개부(30)의 나사(31)는 암나사 수나사와 같이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대응 구조로 되어 있어 나사 결합을 통해 덮개부(30)는 고정부(20)와 결합된다.
마개(3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어, 마개(32)가 개방 상태이면 마개(32) 하부에 형성된 구멍(33)이 노출되고 닫힘 상태이면 구멍(33)은 마개(32)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개(32)를 개방하여 빨대 등을 이용하여 본체(10) 내의 일회용 봉지 내에 담겨 있는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고, 내용물을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개(32)를 덮어 일회용 봉지의 오염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의 덮개부(3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부(30))에는 구멍(33)에 삽입되어 있는 빨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32)는 생략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일회용 봉지 보조기에 의해, 도 2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일회용 봉지(40)가 위치하고, 고정부(20)의 고정 집개(21)에 의해 본체(10) 테두리 부분을 넘어서 외부로 노출된 일회용 봉지(40)의 일부는 본체(10)의 해당 테두리 부분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모양을 지탱할 수 있는 지지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일회용 봉지(40)는 고정 집개(21)에 의한 버팀으로 본체(10)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덮개부(3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본체(10) 내부에 위치한 일회용 봉지(10) 속으로 물 등과 같은 원하는 내용물을 채우게 된다.
내용물이 채워지면, 사용자는 덮개부(30)를 고정부(20)와 체결시킨 후 마개(32)를 덮는데, 이런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일회용 봉지(40) 속에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고도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10)에 의해 일회용 봉지(40)가 보호되므로, 내용물이 채워진 일회용 봉지(40)가 터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방지되며, 마개(32)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일회용 봉지(40) 속에 채워진 내용물을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섭취하게 된다.
도 3은 일회용 봉지 보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덮개부(30)는 고정부(20a)와 체결되는 대신 본체(10a)와 체결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에 도시한 일회용 봉지 보조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체(10a)의 외측면의 상단부에는 덮개부(30)의 나사(31)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나사(11)가 형성되어 있고, 대신 고정부(20a)에는 덮개부(30)와 결합되는 나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덮개부(30) 내부에 고정부(20a)가 내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덮개부(30)의 내부 지름은 고정부(20a)의 외부 지름보다 크다.
도 3의 경우, 덮개부(30)가 고정부(20a)를 내장한 상태에서 본체(10a)와 결합되므로 고정부(20a)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와 비교할 때, 고정 집개(21)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본체의 부분으로 먼지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이 일회용 봉지(40) 속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어 좀 더 위생적으로 일회용 봉지(40) 내에 내용물을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10a: 본체 20, 20a: 고정부
30, 30a: 덮개부 11, 22, 31: 나사
21: 고정 집개 32: 뚜껑

Claims (2)

  1. 수납 공간 내에 일회용 봉지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수납 공간과 통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테두리 부분을 넘어서 외부로 노출된 일회용 봉지를 상기 테두리 부분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 집게를 구비한 고정부 및
    상기 본체와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의 공간을 덮는 덮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 상단에는 나사(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는 나사(31)와 체결되는 나사(21)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부는 나사 결합되며, 상기 덮개부 상부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 상부면에는 상기 구멍을 닫고 개방하는 마개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봉지 보조기.
  2. 삭제
KR1020160130877A 2016-10-10 2016-10-10 일회용 봉지 보조기 KR10189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77A KR101898906B1 (ko) 2016-10-10 2016-10-10 일회용 봉지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77A KR101898906B1 (ko) 2016-10-10 2016-10-10 일회용 봉지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06A KR20180039806A (ko) 2018-04-19
KR101898906B1 true KR101898906B1 (ko) 2018-11-01

Family

ID=6208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877A KR101898906B1 (ko) 2016-10-10 2016-10-10 일회용 봉지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9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767Y1 (ko) * 2004-04-26 2004-07-08 정보근 물통
KR101211955B1 (ko) 2011-07-12 2012-12-13 김광석 휴대용 물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767Y1 (ko) * 2004-04-26 2004-07-08 정보근 물통
KR101211955B1 (ko) 2011-07-12 2012-12-13 김광석 휴대용 물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06A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06087A1 (en) Container with a mountable scoop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101898906B1 (ko) 일회용 봉지 보조기
KR101949516B1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KR20100008478U (ko) 수저 살균소독기
KR101260230B1 (ko) 원터치캡이 구비된 튜브용기
US6904627B2 (en) Soap container apparatus
KR101287850B1 (ko) 빨대 삽입용 커버
KR101125822B1 (ko)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DK200900211U3 (da) Drikkesystem
JP3134085U (ja) コップ
GB2440933A (en) Feeding bottle for use in feeding liquid foodstuffs to an infant
KR200326459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200326387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101416617B1 (ko)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
KR101004131B1 (ko) 음용 용기용 컵
KR101930833B1 (ko) 도구 고정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JP5554967B2 (ja) 飲料用容器のキャップ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180075948A (ko) 병의 속마개
KR20110102664A (ko)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KR860003627Y1 (ko) 위생용 캡을 부착할 수 있는 젖병마개
KR20120003824U (ko) 폐 껌 수거통을 구비한 껌 용기
KR200434626Y1 (ko) 휴대가 간편한 음료 용기의 덮개
KR200171247Y1 (ko) 캔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