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617B1 -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 - Google Patents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617B1
KR101416617B1 KR1020140003767A KR20140003767A KR101416617B1 KR 101416617 B1 KR101416617 B1 KR 101416617B1 KR 1020140003767 A KR1020140003767 A KR 1020140003767A KR 20140003767 A KR20140003767 A KR 20140003767A KR 101416617 B1 KR101416617 B1 KR 10141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ottle
locking groove
closing
lock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14000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 B65D41/3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having tear-off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테두리부에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잠금부; 상기 제1잠금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 테두리부에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부; 및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사이에 형성되며, 테두리부를 따라 수평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복수 개가 형성되는 제3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병 주둥이와, 이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잠금부가 끼워지도록 내측 테두리부 상부에 형성되는 제1잠금홈; 상기 제2잠금부가 끼워지도록 내측 테두리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2잠금홈; 및 상기 제3잠금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1잠금홈과 상기 제2잠금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3잠금홈;을 포함하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을 개폐시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고, 4단계 밀폐에 의해 내용물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손으로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어 모든 종류의 병(재질 무관)에 적용할 수 있는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THE NECK OF A BOTTLE & BOTTLE CAP FOR CLOSING AND OPENING THE SAME}
본 발명은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을 개폐시 손을 보호할 수 있고, 4단계 밀폐에 의해 내용물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손으로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어 모든 종류의 병(재질 무관)에 적용할 수 있는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마개는 병따개 등으로 개방하는 구조이거나, 병 주둥이와 상호 나선형의 암수 구조로 되어 있어 정(역)회전시켜 병 주둥이를 개폐시키는 구조이다.
특허 등록번호 제10-1015747호에도 나선형의 암수 구조로 형성된 병 주둥이 및 병마개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이러한 병 주둥이 및 병마개는 편리성, 밀폐성 및 사용자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즉, 병따개가 있어야 개방이 가능하거나, 손으로 개방하는 구조의 경우 자칫 손에 상처를 입을 수도 있으며, 종래의 병마개의 경우 밀폐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 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 밀폐력을 향상시킨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병 주둥이는, 상부 테두리부에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잠금부; 상기 제1잠금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 테두리부에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부; 및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사이에 형성되며, 테두리부를 따라 수평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복수 개가 형성되는 제3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 주둥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는, 상기 제1잠금부가 끼워지도록 내측 테두리부 상부에 형성되는 제1잠금홈; 상기 제2잠금부가 끼워지도록 내측 테두리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2잠금홈; 및 상기 제3잠금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1잠금홈과 상기 제2잠금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3잠금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잠금홈, 제2잠금홈, 제3잠금홈 및 진공상태유지부의 4중 밀폐단계를 통해 내용물의 보관성이 우수해지고, 밀폐력이 향상된다.
또한, 진공상태유지부의 내측 상부로 형성된 홈으로 인하여 소정의 충격에도 병이 깨지지 않고 내용물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밀폐력의 향상으로 녹이나 부식 및 습기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병마개가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제품의 개폐시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알림표시부를 통해 내용물의 광고 및 홍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거부를 이용하여 병마개를 병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분해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분해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거부를 탈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100)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200)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100)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200)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분해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100)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200)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100)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200)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분해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병 주둥이(100)는 병의 상부 테두리부에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잠금부(110); 및 제1잠금부(110)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 테두리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잠금부(110) 및 제2잠금부(120)는 폐쇄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잠금부(110)와 제2잠금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테두리부를 따라 수평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복수 개가 형성되는 제3잠금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잠금부(13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면 개수에 제한은 두지 않으나, 제1잠금부(110) 및 제2잠금부(120)와 동일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부에서 봤을때 사방(좌우상하)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인 병 주둥이(100)는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 병 주둥이를 사용하는 병이라면 재질과 상관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병 주둥이(100)를 개폐시키는 본 발명인 병마개(200)는 병 주둥이(100)에 탈착되는 것으로, 제1잠금부(110)가 끼워지도록 내부 측면 테두리부 상부에 형성되는 제1잠금홈(210); 및 제2잠금부(120)가 끼워지도록 내측 측면 테두리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2잠금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3잠금부(130)가 끼워지도록 제1잠금홈(210)과 제2잠금홈(220) 사이에 형성되는 제3잠금홈(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3잠금홈(230)은 제3잠금부(130)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또한, 병 주둥이(100)의 내측 상부 테두리부에 밀착되고, 하부에서 상부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진공상태유지부(24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제1잠금홈(210)이 제1잠금부(110)에 밀착 체결되면서 병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해주며, 제2잠금홈(220) 또한 제2잠금부(120)에 밀착 체결되면서 병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해준다.
또한, 제3잠금홈(230)이 제3잠금부(130)에 체결되면서 병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해 줄 뿐만 아니라, 하기에 설명할 탈거부(260)를 분리시 병마개(200)로부터 탈거부를 포함한 제2잠금홈(220)을 분리한 상태에서 병마개(200)가 병 주둥이(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등 이중안전풀림장치 역할을 한다.
진공상태유지부(240)도 병 주둥이(100) 내측 상부를 밀폐시키며, 병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병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 충격으로부터 병을 보호한다.
한편, 병마개(200)의 상부 내측에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알림표시부(250)가 더 포함된다.
알림표시부(250)에는 제작단계에서 병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과 관련된 광고 또는 홍보 이미지나 설명서 등의 글을 인쇄한 표지 등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병마개(200)는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색상을 넣어 병마개(200)를 제작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실리콘 재질은 반투명한 재질이므로 알림표시부(250)에 표지를 삽입함으로써 병 내부로 빛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여 빛에 노출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 주둥이(100)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200)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거부(260)를 탈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잠금홈(220) 및 제3잠금홈(230) 사이에는 병마개(20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외측에서 파지하여 뜯어낼 수 있는 탈거부(260)가 더 포함된다.
탈거부(260)는 외측에서 파지하여 소정의 힘을 가하면 병마개(200)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탈거부(260)의 형상 및 구조 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탈거부(260)를 뜯어내면 제2잠금홈(220)도 병마개(200)로부터 분리되며, 병 주둥이(100)는 제1잠금홈(210), 제3잠금홈(230) 및 진공상태유지부(240)에 의해 체결 및 지지된다.
또한, 제1잠금홈(210)과 제1잠금부(110) 및 제2잠금홈(220)과 제2잠금부(120)로만 구성할 수도 있으나, 탈거부(260)의 분리시 제1잠금홈(210)과 제1잠금부(110) 및 진공상태유지부(240)에 의해 병을 밀폐 및 체결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제3잠금부(130) 및 제3잠금홈(230)을 더 구비함으로써, 잠금상태를 좀더 견고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병 주둥이 110 : 제1잠금부
120 : 제2잠금부 130 : 제3잠금부
200 : 병마개 210 : 제1잠금홈
220 : 제2잠금홈 230 : 제3잠금홈
240 : 진공상태유지부 250 : 알림표시부
260 : 탈거부

Claims (9)

  1. 상부 테두리부에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잠금부;
    상기 제1잠금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 테두리부에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부; 및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사이에 형성되며, 테두리부를 따라 수평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복수 개가 형성되는 제3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병 주둥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잠금부는,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주둥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의 병 주둥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잠금부가 끼워지도록 내측 테두리부 상부에 형성되는 제1잠금홈;
    상기 제2잠금부가 끼워지도록 내측 테두리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2잠금홈; 및
    상기 제3잠금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1잠금홈과 상기 제2잠금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3잠금홈;을 더 포함하는 병마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병 주둥이의 내측 테두리부에 밀착되고, 하부에서 상부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진공상태유지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7. 제4항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알림표시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홈 및 상기 제3잠금홈 사이에는 상기 병마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외측에서 파지하여 뜯어낼 수 있는 탈거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9. 제4항에 있어서,
    재질이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1020140003767A 2014-01-13 2014-01-13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 KR10141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767A KR101416617B1 (ko) 2014-01-13 2014-01-13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767A KR101416617B1 (ko) 2014-01-13 2014-01-13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617B1 true KR101416617B1 (ko) 2014-07-08

Family

ID=5174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767A KR101416617B1 (ko) 2014-01-13 2014-01-13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3413A (zh) * 2015-12-31 2018-08-28 Hsil有限公司 用于瓶子的具有可容易移除的安全凸耳的闭合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760U (ko) * 1998-02-09 1999-09-15 이선휘 다수의 지지력 긴요홈을 형성한 합성수지 용기 목의 구조
KR200207846Y1 (ko) 2000-07-13 2000-12-15 주식회사화남 플라스틱 병마개
KR20080001621U (ko) * 2006-12-04 2008-06-10 편준범 분말형태 인스턴트 희석 음료 펌프방식 투입 병뚜껑
JP2008531196A (ja) 2005-03-01 2008-08-14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通気孔付きマスカラワイパ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760U (ko) * 1998-02-09 1999-09-15 이선휘 다수의 지지력 긴요홈을 형성한 합성수지 용기 목의 구조
KR200207846Y1 (ko) 2000-07-13 2000-12-15 주식회사화남 플라스틱 병마개
JP2008531196A (ja) 2005-03-01 2008-08-14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通気孔付きマスカラワイパー
KR20080001621U (ko) * 2006-12-04 2008-06-10 편준범 분말형태 인스턴트 희석 음료 펌프방식 투입 병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3413A (zh) * 2015-12-31 2018-08-28 Hsil有限公司 用于瓶子的具有可容易移除的安全凸耳的闭合装置
CN108463413B (zh) * 2015-12-31 2020-10-16 Hsil有限公司 用于瓶子的具有可容易移除的安全凸耳的闭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7567B1 (en) Closing device for bottles with easily removable security tab
EP1632439B1 (en) Cap of container
US9889976B2 (en) Child resistant dispenser
US10926923B2 (en) Closure device with opening indicator
RU2717900C2 (ru) Крышка с защитой от вскрытия детьми для контейнера
US9102447B2 (en) Push-pull closure for a drink container
CA3059507C (en) Cap for drink bottle or similar recipient
US20160130050A1 (en) Child Resistant Tube
US20180000231A1 (en) Spill proof container to hold dental appliances
KR101416617B1 (ko) 병 주둥이 및 이를 개폐시키는 병마개
JP2006341924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容器
KR102025944B1 (ko)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JP2017119538A (ja) 蓋の保持と不正開栓防止リングを外せる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
JP2006264735A (ja) 液だれ防止中栓付きキャップ
JP2013129430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2009051555A (ja) ボトルキャップ
WO2020138262A1 (ja) 水筒用蓋体
KR101552510B1 (ko) 연결밴드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마개 개폐 구조
WO2016012954A1 (en) Anti-tampering single-piece closure for bottles
ES2369585T3 (es) Tapa de plástico para un recipiente abierto en la parte superior.
KR20100004811U (ko) 실링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86245Y1 (ko) 반지 케이스
JP6028058B2 (ja) 封緘機能付き容器
KR200434626Y1 (ko) 휴대가 간편한 음료 용기의 덮개
KR200273095Y1 (ko) 포장용기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