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944B1 -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 Google Patents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944B1
KR102025944B1 KR1020180010279A KR20180010279A KR102025944B1 KR 102025944 B1 KR102025944 B1 KR 102025944B1 KR 1020180010279 A KR1020180010279 A KR 1020180010279A KR 20180010279 A KR20180010279 A KR 20180010279A KR 102025944 B1 KR102025944 B1 KR 102025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cap
flange
open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170A (ko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Priority to KR102018001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9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우트(Spout)에 결합되는 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캡 하단에 플렌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의 상면과 측벽 일부를 절개하여 개런티 시일(Guarantee Seal)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A spout cap}
본 발명은 스파우트(Spout)에 결합되는 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캡 하단에 형성된 플렌지의 상면과 측벽 일부를 절개하여 개런티 시일화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작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의 확인이 용이한 스파우트 캡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파우치 용기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밀봉하기 위한 본체 상부에 주둥이부가 형성된 스파우트가 융착되어 있고, 상기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에는 유출공을 밀폐하기 위하여 캡이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캡의 하단에는 내용물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런티 시일(일명:스커트라고도 함)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 스파우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을 하게 되면 개런티 시일이 파손되면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에 돌출테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테에 톱니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캡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편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편 하단에는 내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띠 형상의 개런티 시일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캡이 주둥이부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방향에 위치한 개런티 시일이 주둥이부의 돌출테에 걸림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이 나사방식 방식으로 풀려 개방될 때에는, 하방에 위치한 개런티 시일이 돌출테의 톱니에 걸려 그 움직임이 제동되면서 중간에 위치한 분리편이 끊어짐으로써,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에 남겨진 개런티 시일을 보고 위변조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런티 시일은, 내측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개런티 시일의 크기는 스파우트의 돌출테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분리편을 중심으로 개린티 시일이 상하방향으로 그리고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고 있어야 하고,
이로 인해 금형 상의 문제로 성형이 어렵고, 특히 가열 및 사출 성형시 공차 문제로 개방시 헛 돌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런티 시일과 캡 사이에 형성된 분리편의 갯수를 최소화하거나 혹은 분리편의 이격된 공간을 크게 함으로써 일부 헛 돌게 되는 개런티 시일을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는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캡을 스파우트에 체결할 때 상기 분리편이 쉽게 파손되어 버리기 때문에 불량처리될 확률이 높아지게 되고, 이격된 공간에 의해 기밀성이 떨어져 내측으로 이물질이 들어갈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외측으로 복수의 탭을 형성한 후 이에 의해 연결된 외부캡을 가지는 안전캡을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외부캡에 의해 개런티 시일이 일부 가려지면서 금형이 좌우방향으로 빠지지 않아 성형이 어렵고,
특히 상기 개런티 시일을 형성하더라도 외부캡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기 때문에 개봉시 파손된 시일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KR 20-0466300 Y1 KR 10-1812540 B1 KR 10-1264585 B1 KR 10-1416043 B1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반캡이나 안전캡에 모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체결시 개런티 시일(Guarantee Seal)이 터짐되어 않도록 하면서 상하방향으로 금형이 분리되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개봉될 때에는 파손된 개런티 시일의 확인이 용이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스파우트의 주둥이부가 체결되는 내부캡 하단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플렌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의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플렌지의 측벽 일부를 절개한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캡의 플렌지가 개봉 여부의 확인을 할 수 있는 개런티 시일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렌지의 상면과 측벽 일부를 절개하여 개런티 시일화함으로써, 스파우트에 일반캡이나 안전캡 중 어느 하나를 체결시켜 범용성 있게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금형이 분리되면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플렌지의 측벽이 지지되어 보다 더 안전하게 스파우트에 체결되어 불량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봉시 플렌지의 측벽이 내측으로 접힘/말림된 상태로 개구부 안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측벽에 개구부만큼 절단된 공간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렌지의 측벽이 말림/접힘되면서 변형되기 때문에, 그 끝단이 절단된 공간 밖으로 노출되더라도 변형된 부분을 통해 용이하게 개봉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와 캡이 장착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파우트와 캡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3은 분리된 스파우트와 캡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와 캡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개봉된 캡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캡의 장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스파우트와 안전캡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8은 도 6의 안전캡의 절개도 및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와 안전캡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개봉된 안전캡의 저면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종래 캡과 안전캡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반 캡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상기 일반 캡 외측에 외부캡이 형성된 안전캡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과일 쥬스나 액체 음료 혹은 죽이나 유아식과 같는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파우치 용기(60)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용기(60)에 스파우트(40)의 바디(41)가 융착되어 상방향으로 주둥이부(42)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주둥이부(42)에는 나사방식으로 캡(1)이 조임되거나 풀림되는 것이다.
이때 캡(1)은, 하부는 오픈되어 있고, 상단은 막혀 있으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 몸체를 가진 내부캡(10)을 기본으로 하여, 하단에 절곡된 플렌지(50)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렌지(50)는, 내부캡(10)이 스파우트(40)의 주둥이부(42)에 체결되면서, 상면(51)의 하단이 바디(41)의 받침면(45)과 밀착되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특히 상기 플렌지(50)의 상면(51) 일부를 절개하여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53)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플렌지(50)의 측벽(52) 하단을 일부를 절개시켜 연약부(54)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렌지(50)의 측벽(52)을 개런티 시일(Guarantee Seal)화한 것이다.
이때 절개된 플렌지(50)의 측벽(52) 하단에는, 개봉시 스파우트(40)의 걸림편(46)이 내입되어, 상기 플렌지(50)의 측벽(52)을 잡아당기면서 혹은 밀어내면서 절단되게 할 수도 있지만,
상기 플렌지(50)의 측벽(52) 안쪽에, 경사면(55b)과 돌출면(55a)의 일측이 서로 만나 그 첨단이 내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걸림부(55)를 형성하여, 개봉시 상기 걸림부(55)가 스파우트(40)의 걸림편(46)에 걸려 측벽(52)의 연약부(54)가 끊어지면서 절단된 부위가 내측으로 접힘되거나 말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플렌지(50)의 측벽(52)에는, 경사면(55b)의 타측단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접힘홈(56)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접힘홈(56)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개구부(53)가 끝나는 부위 하단에 세로방향으로 절첩홈(57)을 형성함으로써,
개봉시 상기 플렌지(50)의 걸림부(55)가 스파우트(40)의 걸림편(46)에 걸리면서 절단된 측벽(52)의 끝단이 접힘홈(56)을 따라 내측으로 접힘되도록 하고, 이때 접힘된 상기 측벽(52)이 다시 절첩홈(57)을 따라 내측으로 접힘되거나 말림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플렌지(50) 측벽(52)에 개구부(53)만큼 절단된 공간(58)이 뷰잉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캡(1)이 완전히 스파우트(40)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절단된 측벽(52)의 끝단이, 플렌지(50)와 스파우트(40) 사이의 이격된 공간 안쪽에 계속해서 접힘/말림된 상태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측벽(52)이 개구부만큼 접힘/말림되면서 형성된 절단된 공간(58)이, 아무런 방해 없이 용이하게 뷰잉(Viewing)되면서 개봉 사실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캡(1)이 계속 회전하여 분리되게 되면, 상기 플렌지(50)의 측벽(52)이, 반복적으로 걸림편(46)에 걸려 절첩홈(57)과 접힘홈(56)을 따라 내측으로 말려지거나 접힘되면서 변형되게 되고,
이때 절단된 공간(58) 밖으로 측벽의 끝단이 노출되더라도, 변형된 부위를 통해 개봉 사실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캡(1)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캡(10) 외측에 복수의 탭(30)에 의해 연장되면서 그 끝단에 환형벽부(21)로 감싸여진 외부캡(20)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캡(10)과 외부캡(20) 사이에 복수 개의 통기공(22)을 형성한 안전캡(2)일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통기공(22)은 내부캡(10)과 외부캡(2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유통되는 통로로써, 호기심 많은 저 연령의 미 취약 아동이 안접캡(2)을 삼키더라도 통기공에 의해 기도가 막혀 질식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40)는, 파우치 용기(60)가 융착되는 바디(41)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후렌지(44)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걸림후렌지(44)의 상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주둥이부(4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주둥이부(42)에는 나사산(43)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의 걸림 후렌지(44)는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하고, 상기 걸림후렌지(44) 상단에는 주둥이부(41)를 중심으로 상기 플렌지(5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내부캡(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외측으로 확장된 받침편(45)을 형성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받침편(45)은 캡(1)이 체결될 때 걸림후렌지(44)의 받침편(45)이 플렌지(50)의 상면(51) 하단에 밀착되면서 폐쇄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체결시 상기 플렌지(50)의 상면(51)에 형성된 안착홈(59) 안쪽으로 내입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걸림후렌지(44)과 받침편(45) 사이 공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걸림편(46)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렌지(50)의 상면(51)과 측벽(52) 일부를 절개하여 개런티 시일화함으로써,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에 일반캡이나 안전캡에 모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금형이 분리되면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파우트(40)에 캡(1)을 체결할 때, 상기 플렌지(50)에 의해 지지되면서 개런티 시일화한 측벽(52)이 파손되지 않아 안전하게 체결되고,
특히 안전캡(1) 개봉시 플렌지(50)의 측벽(52)이 스파우트(50)의 걸림편(46)에 걸려 접힘되면서 완전히 캡이 분리될 때까지 개구부(53)만큼 절단된 공간(58)을 유지함으로써, 개봉된 사실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설혹 절단된 측벽(52)의 끝단이 절단된 공간(58) 밖으로 노출되더라도 접힘/말림되면서 변형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개봉된 사실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캡 2:안전캡
10:내부캡 20:외부캡
21:환형벽부 22:통기공
30:탭:
40:스파우트
41:바디 42:주둥이부
43:나사산 44:걸림후렌지
45:받침면 46:걸림편
50:플렌지
51:상면 52:측벽
53:개구부 54:연약부
55:걸림부 55a:돌출면
55b:경사면 56:접힘홈
57:절첩홈 58:절단된 공간
59:안착홈 60:파우치용기

Claims (5)

  1. 스파우트(40)의 바디(41) 위로 돌출된 주둥이부(42)에 나사식으로 조임되거나 풀림되는 캡(1)은,
    하부는 오픈되어 있고, 상단은 막혀 있으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 몸체를 가진 내부캡(10)을 기본으로 하여, 하단 테두리에 체결시 스파우트(40)의 주둥이부(42)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하향 절곡된 플렌지(50)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50)에는, 상면(51)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부(53)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플렌지(50)의 측벽(52) 일부를 절개하여 연약부(54)를 형성하되,
    상기 플렌지(50)의 측벽(52) 안쪽에는, 개구부(53)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경사면(55b)과 돌출면(55a)의 일측이 서로 만나 그 첨단이 내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걸림부(55)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55b)의 타측단에는 세로 방향으로 접힘홈(56)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접힘홈(56)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개구부(53)가 끝나는 부위 하단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절첩홈(57)을 형성하여,
    개봉시 상기 플렌지(50)의 걸림부(55)가 스파우트(40)의 걸림편(46)에 걸리면서 절단된 측벽(52)의 끝단이 접힘홈(56)을 따라 내측으로 접힘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접힘된 상기 측벽(52)은 다시 절첩홈(57)을 따라 내측으로 접힘되거나 말림되면서 상기 플렌지(50) 측벽(52)에 개구부(53)만큼 절단된 공간(5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캡.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40)는 파우치 용기(60)가 융착되는 바디(41)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후렌지(44)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후렌지(44)의 상단에는 돌출된 주둥이부(42)에 나사산(43)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후렌지(44) 상단에는 주둥이부(41)를 중심으로 상기 플렌지(5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내부캡(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외측으로 확장된 받침편(45)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45)과 걸림후렌지(44) 사이의 공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걸림편(46)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부캡(10) 외측으로 복수의 탭(30)이 형성되고, 상기 탭(30)은 환형벽부(21)로 이루어진 외부캡(20)에 의해 감싸여지면서 내부캡(10)과 외부캡(20) 사이에 복수의 통기공(22)이 형성된 안전캡(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캡.
KR1020180010279A 2018-01-26 2018-01-26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KR102025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79A KR102025944B1 (ko) 2018-01-26 2018-01-26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79A KR102025944B1 (ko) 2018-01-26 2018-01-26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70A KR20190091170A (ko) 2019-08-05
KR102025944B1 true KR102025944B1 (ko) 2019-09-26

Family

ID=6761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79A KR102025944B1 (ko) 2018-01-26 2018-01-26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620A (ko) 2021-04-01 2022-10-11 이정주 세면대 설치기구 및 그를 이용한 세면대 설치방법
KR102657074B1 (ko) * 2022-03-14 2024-04-12 (주) 성림 분리 배출이 용이한 안전 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55B1 (ko) 2015-10-19 2017-01-18 이현영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101812540B1 (ko) * 2016-12-19 2017-12-27 (주)중앙플라텍 안전캡 스파우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808B1 (ko) * 2000-05-30 2004-05-17 서욱배 용기뚜껑
KR200466300Y1 (ko) 2010-12-10 2013-04-12 주식회사중앙플라텍 파우치 마개
KR101264585B1 (ko) 2011-11-07 2013-05-15 정지곤 스파우트 캡 체결구조
KR101416043B1 (ko) 2012-12-11 2014-07-08 김상순 어린이 음료 용기용 보호캡
KR101899326B1 (ko) * 2015-11-30 2018-09-17 성보연 용기마개 조립체
KR101961226B1 (ko) * 2017-04-23 2019-03-22 이현영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55B1 (ko) 2015-10-19 2017-01-18 이현영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101812540B1 (ko) * 2016-12-19 2017-12-27 (주)중앙플라텍 안전캡 스파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70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4715B2 (en) Safety cap spout
US20180086510A1 (en) Stopper for containers
US10562678B2 (en) Bottle cap and fitment assembly and method
US20130081364A1 (en) Container Assembly
KR102556158B1 (ko) 무결성 보장 요소를 갖는 플라스틱 마개
US20130214012A1 (en) Push-pull closure for a drink container
KR102025944B1 (ko)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US20150231036A1 (en) Infant bottle assembly having a vented nipple
RU2254275C2 (ru) Вы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со встроенным вы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JP6723021B2 (ja) 容器蓋
JP2016141412A (ja) 二重容器
EP3433179B1 (en) Container and lid with audible and tactile feedback
US4890768A (en) Self draining container
KR102542756B1 (ko)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GB2512620A (en) Tamper Evident Child Resistant Flip-Top Closure
JP2019051959A (ja) 容器蓋
KR101947010B1 (ko) 스파우트 안전캡
KR101812540B1 (ko) 안전캡 스파우트
KR100799504B1 (ko) 포장용 안전용기
KR101893108B1 (ko) 개봉의 정확성과 확인이 용이한 안전캡
KR101614461B1 (ko) 음료용기용 마개
JP6377977B2 (ja) 紙製容器用の注出装置
JP5271650B2 (ja) 飲料容器用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7044499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552510B1 (ko) 연결밴드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마개 개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