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40B1 - 안전캡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안전캡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540B1
KR101812540B1 KR1020160173998A KR20160173998A KR101812540B1 KR 101812540 B1 KR101812540 B1 KR 101812540B1 KR 1020160173998 A KR1020160173998 A KR 1020160173998A KR 20160173998 A KR20160173998 A KR 20160173998A KR 101812540 B1 KR101812540 B1 KR 10181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eal
latching
guarantee seal
guaran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주)중앙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플라텍 filed Critical (주)중앙플라텍
Priority to KR102016017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40B1/ko
Priority to US15/816,619 priority patent/US11014715B2/en
Priority to PCT/KR2017/014920 priority patent/WO2018117563A1/ko
Priority to CN201780078676.4A priority patent/CN11008800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용기 본체에 융착되어지는 바디에 대해 캡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파우치(pouch) 용기용 스파우트(spou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캡에 적용되어지면서 개봉시 개런티 시일이 정확하게 절단되면서 절단된 상태가 외부캡의 외부로 노출가능토록 하여 개봉의 정확성과 확인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하기 위하여 개런티 시일과 바디의 걸림돌기의 결합이 걸림돌기가 개런티 시일의 상측으로 위치되어지면서 개린티 시일에 구비된 복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캡 스파우트{Safety cap spout}
본 발명은 파우치용기 본체에 융착되어지는 바디에 대해 캡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파우치(pouch) 용기용 스파우트(spou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캡에 적용되어지면서 개봉시 개런티 시일이 정확하게 절단되면서 절단된 상태가 외부캡의 외부로 노출가능토록 하여 개봉의 정확성과 확인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하는 것이다.
통상의 파우치 용기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밀봉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스파우트가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스파우트는 파우치 용기의 상단의 일정유치에 내입되어져 융착되는 융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융착부의 상측으로는 노출되게 주둥이부(straw)의 상단에 유출공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유출공을 밀폐하기 위하여 통상 나선방식으로 주둥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캡이 결합되는 바디의 유출공은 용도(고온 또는 저온 살균용)에 따라 알루미늄 소재의 박막으로 접착 밀봉하거나, 또는 캡의 내부로 리브에 의한 밀봉수단을 구비하여 유출공을 단속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캡의 하단에는 내용물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런티 시일(일명:스커트라고도 함)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 바디와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을 하게 되면 개런티 시일이 파손되면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런티 시일의 작동구조는 바디에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캡의 하단에 위치되는 개런티 시일에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개런티 시일은 캡의 직하방에 연약부로 연결되어 이격되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캡을 개봉을 하면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걸림에 의하여 연약부가 파손되면서 개런티 시일이 캡과 분리되어짐으로 위변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캡의 단점은 바디의 유출공을 막아주기 위하여 캡의 상단이 막힘되어지고, 이로 인하여 유아들이 사고 또는 부주의로 삼키게 될 경우에 기도를 막게 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고나 부주의로 삼키게 될 경우에도 기도를 막지 않는 안전캡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캡은 기도를 막지 않는 대신에 개런티 시일이 내부캡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성형이 불가능하고, 반듯이 캡의 하방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이격된 상태에서만 성형이 가능하다는 성형상의 문제점과 또한 이렇게 성형된 상태에서 개런티 시일이 외부캡으로 가려지게 되면서 파손된 상태에서도 쉽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위변조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도를 막지 않기 위하여 바디의 유출공을 막아주게 되는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의 외측으로 탭에 의하여 통기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탭을 감싸게 되는 환형벽부를 구성하는 외부캡이 구비되어짐으로 이로 인하여 기도를 막게 되는 문제점은 해소하였으나 개런티 시일이 내부캡의 하단에 위치되어짐으로 개런티 실이 보이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과 개런티 시일이 내부캡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성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알려진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용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안전캡이, 특히 유동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면, 개런티 시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개런티 시일은 상기 파우치용기와 캡이 나사식 풀림의 결과로서 파괴되는 연약부를 구비하여, 상기 파우치용 용기가 사전에 개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때때로 사용자 들은 안전캡을 구성하는 외부캡에 의하여 개런티 시일이 가려지게 되면서 개런티 시일의 실제 상태를 그다지 알아채지 못한다.
만일 개런티 시일이 파손된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용자라고 하여도 파우치용 용기를 종종 뒤집어 상기 개런트 시일의 외관을 주의깊게 검사해야만이 확인이 가능하게 되기 대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개런티 시일의 파손된 상태가 단지 랜덤하게 또는 우발적으로 실행하게 되는 사용자들에게는 즉각적으로 보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런티 시일이 외부로 즉각적으로 노출되어 보이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캡의 하단에 외측으로 이격되어지면서 위치되어지는 개런티 시일이 노출되어질 수 있게 외부캡의 환형벽부를 짧게 형성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에는 제품의 디자인이 불량하여 실질적인 제품의 디자인으로는 적합치 아니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런티 시일이 외부캡의 하단에 많이 노출되지 않게 위치된 상태에서 파우치를 개봉할 경우에는 개런티 시일이 파손되면서 접힘이나 늘어짐에 의하여 하방으로 노출토록 함으로서 손쉽게 확인이 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개런티 시일이 내부캡의 직하방에 성형상의 문제로 위치되지 못하게 되면서 내부캡의 외측으로 이격되면서 하방에 위치되어짐으로 개런티 시일의 걸림홈에 바디의 유출공이 구비되는 주둥이부의 하단에 위치되어지는 걸림돌기의 걸림방식이 개런티 시일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면서 이루어지거나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면서 이루어지게 됨으로 이럴 경우에 개런티 시일이 연약부로 연결되어지는 점을 감안하면 지지력이 약하게 되면서 정확한 걸림에 의한 터짐이 발생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 지지를 위한 보강살을 추가로 구비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파손된 개런티 시일의 일정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지를 위한 보강살을 구비하고자 할 경우에 금형이나 사출성형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됨은 물론 사출물의 흐름성이 나빠 생산성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불량률이 높아 실질적인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캡을 구성하는 환형벽부의 하부림을 밸리와 피크를 구비하는 파형으로 절개토록 하여 개런티 시일이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것도 결국 외부캡의 변형된 형태가 디자인을 해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실질적인 사용에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과 관련한 문제점인 걸림된 상태에서의 파손의 정확성과 파손된 개런티 시일의 일정부분이 정확하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유도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개런티 시일과 바디의 걸림돌기의 결합이 걸림돌기가 개런티 시일의 상측으로 위치되어지면서 개린티 시일에 구비된 복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짐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캡과 바디의 조립시 걸림돌기가 개런티 실의 상면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가압하여 걸림홈에 걸림되어지고, 걸림된 상태에서 개봉을 위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토록 하면 상기 개런티 시일의 상면이 걸림홈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점진적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걸림돌기가 상면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나사식으로 조임되어 걸림홈에 걸림되어지면 걸림홈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런티 시일이 상향경사지면서 형성되는 걸림단에 의하여 개봉시 정확한 파손은 물론 개런티 시일이 정확하게 파손되어지면서 하방으로 향하게 되어 정확하게 노출됨으로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결합과 개봉시 개런티 시일의 파손도 용이하면서 정확하게 파손되어지면서 파손된 개런티 시일은 하방으로 노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안전캡의 내부캡의 하단에 개런티 실이 장착된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개런티 실이 탭에 장착된 확대상태도
도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개런티 실의 상면으로 바디의 걸림돌기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내입되어 걸림단과 밀착되어진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걸림단이 구비된 개런티 실의 파손되는 부위의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개봉시 개런티 실이 파손되어 노출되어진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바디에 구비된 걸림돌기의 일 실시 예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걸림돌기가 개런티 실의 상면에 위치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비틀림된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캡과 바디가 조립된 상태에서 걸림돌기가 개런티 실의 걸림홈에 내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스파우트를 도시한 일 실시 예
도11은 종래의 안전캡을 도시한 일 실시 예
이하 첨부된 일 실시 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과일 쥬스 및 여러 음료와 같은 특히 아동용 액체 파우치 용기(100)에 대해, 파우치 용기(100)에 융착된 바디(40)의 주둥이부(41)에 나사식으로 조임과 풀림되어질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진 캡(1)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캡(1)은 중앙 축선(X)을 따라서 형성되는 관형 몸체로 이루어진 내부캡(10)과 상기 내부캡(10)의 외벽과 탭(30)으로 환형벽부(21)의 내벽과 연결되어지는 외부캡(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30)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사이로는 통기공(2)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즉 환형 벽부(11)는 내부캡(1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면서 탭(30)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이격과 탭(30)의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지는 이격 간격에 의한 통기공(2)의 형성은 공기의 통과를 의한 통로 개방에 의하여 예를 들면, 아동들이 사고로 캡(1)을 삼킬 경우에 기도를 막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질식 사고를 방지하도록 야기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내부캡(1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상이고 그리고 내측면에 가요성 파우치용기(100)에 융착되어진 바디(40)의 주둥이부(straw)(41)에 형성되는 나사산(45)과의 나사식 결합을 위해 나사산부(11)가 형성된다.
상기의 내부캡(10)은 바디(40)의 유출공(42)의 밀봉을 위하여 상면은 폐쇄되어지고 상면의 이면에는 밀폐를 위하여 리브(43)가 형성되어진다.
더욱이, 내부캡(10)의 하단에는 파우치 용기(100)와 융착되어진 바디(40)로부터 캡(1)이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풀릴 때 파괴되는데 적당한 개런티 시일(50)을 포함한다.
상기 개런티 시일(50)은 내부캡(10)의 하단에 위치되어지는데 사출성형을 위하여 내부캡(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게 직하방의 외측에 위치되어지면서 연약부(51)로 연결되어 각각의 절취부(52)가 구비되어지고, 본 발명에서의 개런티 시일의 하부림(53)은 연결되어지고, 상부림(54)은 일정간격으로 걸림단(56)을 갖게 절개되어진 걸림홈(55)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걸림홈(55)은 탭(30)이 3개일 경우에는 가능하면 3개로 형성되어짐이 좋고 만일 탭(30)이 4개일 경우에는 4개 또는 2개로 이루어짐이 좋다.
또한 걸림홈(55)이 형성되는 위치는 개런티 시일(50)이 탭(30)의 하단에 상부림(54)이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연약부(51)는 가능하면 탭(30)과 연결된 부분에 근접되게 위치되어지고, 따라서 걸림홈(55)은 탭과 탭사이에 위치되어지는 절취부(52)와 걸림홈(55)으로 구획되어진 상태에서 중앙부분보다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짐으로서 파손이 용이하면서 절취부(52)의 노출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걸림홈(55)은 걸림단(56)에 연약부(51)가 연장될 경우에 상향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연약부(51)의 절취가 더욱더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걸림홈(55)에 바디(40)의 걸림돌기(44)가 걸림된 상태에서 캡(1)이 나사식으로 풀릴 경우에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걸림단(56)에 의하여 가압력이 그대로 전달되어지면서 절단이 용이토록 되기 때문이고, 개런티 시일(50)의 연약부(51)가 캡(1)이 나사식으로 풀릴 경우에 파손되어지면서 파손된 절취부(52)는 걸림돌기(44)에 밀려나면서 개런티 시일(50)이 외부캡(20)의 하방으로 노출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런티 시일(50)의 걸림홈(55)에 맞물림되어지는 바디(40)의 걸림돌기(44)는 파우지용기(100)에 융착되어지는 융착부(49)와 그 상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걸림후렌지(48)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둥이부(41)는 내부캡(10)의 나사산부와 결합되어지면서 잠금될 경우에 바디의 걸림후렌지(48)의 상면에는 돌출되게 구비되는 걸림돌기(44)가 개런티 시일(50)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슬라이딩되어지고 이때 상면에서 슬라이딩되어질 수 있도록 개런티 시일의 상면에는 비틀림부(57)가 구비되어짐으로서 걸림돌기(44)가 개런티 시일의 상면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서 걸림홈(55)과 순간적으로 결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44)는 캡(1)이 바디(40)와 나사식으로 조입될 경우에 개런티 시일(50)의 상면의 비틀림부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직립축(45)과 그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어지는 걸림후크(46)가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걸림후크(46)는 걸림홈(55)에 정확하게 걸림되어질 수 있도록 개런티 시일의 상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55)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비틀림되면서 상향되어지게 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향되어짐을 위하여 살두께를 점차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다.
즉 3개의 걸림홈(55)이 구비될 경우에 각각의 걸림홈(55)이 형성된 전단 즉 걸림단(56)쪽으로 개런티 시일의 상면이 비틀림되면서 걸림돌기의 걸림후크(46)가 가압되어질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비틀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나사식으로 조임시 걸림돌기의 걸림후크가 개런티 시일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계속회전토록 하면 상면을 가압하면서 회전되다가 걸림홈에 정확하게 안착되면서 걸림후크가 걸림홈에 안착되면서 걸림단에 걸림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봉을 위하여 나사를 풀면 걸림홈이 구비된 개런티 시일의 전단으로는 상향경사지게 되면서 걸림단이 구비되어지고 걸림단의 직후방으로는 탭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향경사진 연약부가 구비되어져 있어 걸림단에 가압력이 발생되면 연약부가 손쉽고 정확하게 파손되면서 파손된 개런티 시일의 일단 즉 절취부가 걸림후크에 의하여 밀리나게 되면서 파손된 개런티 시일이 하방으로 늘어지게 되어 외부캡의 하방으로 노출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외부캡(20)의 환형벽부(21)는 상기 중앙 축선(X) 주위에서, 예를 들면, 내부캡(10)을 연속적으로 환형으로 둘러싸면서 외측에서 뻗어있고, 바람직하게는 환형 벽부(21)는 캡(1)의 파지부로서, 달리 말하자면 캡(1)을 파우치 용기(100)로부터 나사식으로 풀르거나 상기 파우치 용기(100)에 상기 캡(1)을 나사식 결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기 위한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벽부(21)는 개런티 시일(50)이 위치되는 지점에서 상부 쪽으로 테이퍼진 캡-형상을 갖는 것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환형 벽부(21)의 하부림은 일정한 폭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 굴곡지면서 일정간격이 이격되어져 개구되어짐으로서 아이들이 부주의에 또는 사고로 캡(1)을 삼킬 경우에 정방향이 아닐 경우에도 기도를 막지 않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형벽부의 굴곡은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만일 기도를 막지 않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환형벽부에 일정간격으로 개구부를 형성토록 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캡 2:통기공
10:내부캡
20:외부캡
30:탭
40:바디
50:개런티 시일
100:파우치용기

Claims (6)

  1. 상부가 막힘되어진 내부캡(10)과 내부캡을 감싸면서 상부림과 하부림을 갖는 외부캡(20)이 탭(30)으로 연결되어 통기공(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내부캡의 하단에는 개런티 시일(50)이 탭에 연결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개런티 시일은 탭에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쳐 연약부(51)를 포함하는 걸림홈(55)이 구비되면서 걸림홈이 구비되어진 부분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져 걸림돌기(44)의 걸림후크(46)가 상면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걸림홈에 내입되는 걸림돌기의 걸림후크는 내부캡과 결합되는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개런티 시일의 상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걸림홈에 걸림되어지는 안전캡 스파우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나사풀림방향으로는 걸림단(56)이 구비되어 걸림후크가 연약부를 정확하게 파손토록 하는 안전캡 스파우트.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중앙에서 우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림(53)은 연결되고 상부림(54)은 걸림단이 구비된 후방으로 연약부로 이루어져 연약부 후단이 탭(30에 연결되어지는 안전캡 스파우트.
KR1020160173998A 2016-12-19 2016-12-19 안전캡 스파우트 KR10181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98A KR101812540B1 (ko) 2016-12-19 2016-12-19 안전캡 스파우트
US15/816,619 US11014715B2 (en) 2016-12-19 2017-11-17 Safety cap spout
PCT/KR2017/014920 WO2018117563A1 (ko) 2016-12-19 2017-12-18 개봉의 정확성과 확인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안전캡 스파우트
CN201780078676.4A CN110088008B (zh) 2016-12-19 2017-12-18 一种提供开封时的准确性及检查的方便性的安全盖喷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98A KR101812540B1 (ko) 2016-12-19 2016-12-19 안전캡 스파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540B1 true KR101812540B1 (ko) 2017-12-27

Family

ID=6093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98A KR101812540B1 (ko) 2016-12-19 2016-12-19 안전캡 스파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5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96Y1 (ko) * 2018-03-09 2019-05-15 김상순 양면 쐐기형 스파우트 장치
KR20190091170A (ko)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KR20230134227A (ko) 2022-03-14 2023-09-21 (주) 성림 분리 배출이 용이한 안전 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107A (ja) 2014-01-21 2015-07-30 日本キム株式会社 注出具、及びそのような注出具によって構成される割り栓
KR101676299B1 (ko) * 2016-03-17 2016-11-15 (주) 오성프라스틱 파우치용 스파우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107A (ja) 2014-01-21 2015-07-30 日本キム株式会社 注出具、及びそのような注出具によって構成される割り栓
KR101676299B1 (ko) * 2016-03-17 2016-11-15 (주) 오성프라스틱 파우치용 스파우트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70A (ko)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KR102025944B1 (ko) * 2018-01-26 2019-09-26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KR200489196Y1 (ko) * 2018-03-09 2019-05-15 김상순 양면 쐐기형 스파우트 장치
KR20230134227A (ko) 2022-03-14 2023-09-21 (주) 성림 분리 배출이 용이한 안전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4715B2 (en) Safety cap spout
KR101812540B1 (ko) 안전캡 스파우트
EP3059182A1 (en) Dispensing closure, container with a dispensing clos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ensing closure
GB2512620A (en) Tamper Evident Child Resistant Flip-Top Closure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893108B1 (ko) 개봉의 정확성과 확인이 용이한 안전캡
KR101947010B1 (ko) 스파우트 안전캡
JP4316706B2 (ja) 加熱殺菌乃至滅菌方法
JP6682140B2 (ja) 不正開封防止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6998737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14101125A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2004217242A (ja) 注出口体
JP2020142836A (ja) キャップ
JP4533530B2 (ja) 分別廃棄可能な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7409813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7037915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
JP4079637B2 (ja) 油含有物用容器
JP2004217250A (ja) 複合容器蓋
JP2019172289A (ja) 容器
JP2005329957A (ja) 液剤容器
JP7005267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
JPWO2018025593A1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4966734B2 (ja) 注出筒付き蓋
JP3841968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AU2005202455A1 (en) A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