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555B1 -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555B1
KR101697555B1 KR1020150145380A KR20150145380A KR101697555B1 KR 101697555 B1 KR101697555 B1 KR 101697555B1 KR 1020150145380 A KR1020150145380 A KR 1020150145380A KR 20150145380 A KR20150145380 A KR 20150145380A KR 101697555 B1 KR101697555 B1 KR 101697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ents
outlet
inner cap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영
Original Assignee
이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영 filed Critical 이현영
Priority to KR102015014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마개 중에서도 포장용기에 내장한 내용물을 토출(吐出)시키는 용기 주둥이(스파우트, spout)를 포함하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포장용기에 보관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밀폐하여 막는 스파우트 마개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내캡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하되,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기능을 조절하여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를 개시한다.
본원발명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에 따르면, 입술로 밀어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고, 자동으로 밀폐하도록 할 수 있어 한 손으로도 포장용기를 개폐하면 음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SPOUT CAP WITH AUTOMATIC SEAL AND PACKAGE THEREWITH}
본원발명은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마개 중에서도 포장용기에 내장한 내용물을 토출(吐出)시키는 용기 주둥이(스파우트, spout)를 포함하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모든 종류의 포장용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마개'라는 용어와 팩 등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인 '스파우트(spout)'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원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이나 그릇 따위에서 일반적으로 좁고 길쭉하게 나와 담긴 내용물을 밖으로 나오게 하는 부분인 주둥이에 적용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나 용기 또는 시트상 재료의 3변을 밀봉한 튜브형 포장재인 파우치(pouch)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 개폐'가 가능한 스파우트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스파우트 마개'는 내용물이 분출되는 주둥이 또는 그 주둥이와 마개를 포함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리필용 포장용기는 식, 음료나 주방 세제, 세탁용 세제, 섬유유연제, 모발용 샴푸와 린스 등의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이다. 합성수지 용기로 제작되기도 하고 혹은 비닐 팩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본원발명의 주요 관심의 대상은 식음료를 담는 포장용기이다. 포장용기에 담긴 식음료가 새지 않게 하면서도 쉽게 포장용기에 담긴 식음료를 토출시켜 마실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식음료 보관용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음료(食飮料)는 마실 수 있는 음료수를 의미하는데, '음용수(마실 수 있는 물)'와 '사람이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든 마실 거리'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주류(酒類)를 보관할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의 내용물이더라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리필용기는 그 자체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리필용기에 별도의 바디를 접착 또는 용착하고, 바디에 마개를 결합시킨 후, 마개를 개폐함으로써 리필용기 내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스파우트 캡 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스파우트 캡은 비닐재질의 파우치 용기에 접착면이 일체로 접착되어진 스파우트를 밀폐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부정사용을 방지하도록 결합 사용되는 것으로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가 실용신안등록 제20-0421860호(2006. 07. 20.)(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몸체로부터 마개를 완전히 분리하여 이탈시킨 연후에야 비로소 리필용기 내의 내용물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개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혹은 이로 인해 마개의 분실 우려가 생길 수 있어 경우에 따라 위생성이 좋지 못할 수도 있으며, 단순 개폐 방식의 식상함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구매 의욕을 불러일으키기에는 다소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00987(2007. 10. 16.)의 몸체와 내캡의 일체형 리필용기를 발명하였다.
하지만 일체형 마개의 특성상 뚜껑 부분의 마개에 내용물 토출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있고, 이 구멍으로 사용하지 않았을 시에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하여 내캡을 개방할 시에 손을 이용하여 개방함으로써 위생성이 떨어지며, 내캡의 경우 파우치 몸체와 분리되지 않지만, 내캡을 보호하는 외캡의 경우 파우치의 몸체와 분리되어 여전히 분실의 위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보다 위생성을 높이기 위하여, 음용을 위하여 입을 대는 내캡에 손을 대지 않고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가 제기되었다.
덧붙여, 여전히 분실의 위험이 있는 외캡의 체결방식에도 추가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 위조방지 스커트뿐만 아니라 외캡에 의하여 내용물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강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00987 (2007. 10. 1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1860호 (2006. 07. 20.)
본원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용물을 토출하거나 음용을 할 시에 내캡에 손을 대지 않고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포장용기와 내용물 토출구를 밀실하게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외캡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캡으로 내캡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포장용기에 보관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밀폐하여 막는 스파우트 마개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내캡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하되,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기능을 조절하여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포장용기에는 내용물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내용물토출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몸체 내측에 형성되는 돌출밀폐구가 상기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의 상단이 상기 몸체 내측의 밀폐부에 밀착되어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고, 상기 돌출밀폐구의 하단은 최초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위조방지테가 위조방지테절취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를 상기 내용물토출구에 결합할 시에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에 위치하는 위조방지테걸림환돌기에 상기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위조방지테걸림돌기가 걸림으로써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최초 개봉 시 위조방지테절취부가 절단되며, 상기 몸체와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내캡을 덮는 외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캡은 상기 내캡의 일측면에 외캡연결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캡연결부는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을 덮으면서 접어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외캡에 돌출되어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끼움 결합하는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서 상기 외캡의 중심부 쪽으로 확인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확인절개선은 인장에 의하여 절개되어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가 탈락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을 약하게 형성한 것이어서, 최초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가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끼워진 후 상기 외캡을 열면서,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가 탈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캡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하여 완만하게 내측으로 들어가는 곡선형의 외캡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캡(20)의 내측 면에는 외캡내벽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캡내벽홈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외측 면에는 몸체외벽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캡내벽홈과 상기 몸체외벽돌기는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을 덮으면서 상기 몸체에 결합될 때 작용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외캡을 밀어 열 때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캡은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이루는 내용물유출구벽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을 둘러싸는 구조인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고, 상기 내캡에는 내용물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때에 상기 내캡의 내용물배출구멍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캡은 원형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음용자가 입술로 밀어 상기 몸체 쪽으로 밀어지면서 상기 내용물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음용자가 입술을 떼면 상기 복원되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캡은 내용물유출구의 내측으로 유출구밀폐내캡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는 하부 끝단이 막혀있되, 외주가 확장되어 유출구걸림밀폐턱을 형성하되,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은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걸림으로써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배출구멍은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몸체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에 상기 내용물유출구벽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캡을 아래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와 상기 내용물유출구벽 사이에 상기 내용물유출구벽의 위쪽으로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내캡을 입술로 미는 경우 상기 내캡은 아래로 내려가지고,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도 상기 몸체의 내측 면에서 이격이 되어, 상기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은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과 상기 몸체의 내측 면과의 사이로 빠져나와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에 형성된 상기 내용물배출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캡은 상기 몸체와 바깥 둘레가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 둘레에는 내캡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둘레는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내캡끼움홈에 끼워지는 내캡외주끼움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몸체의 내캡끼움홈에 상기 내캡의 내캡외주끼움부가 끼워져 상기 몸체와 상기 내캡이 결합되고, 상기 내캡의 중앙부에는 유출구밀폐내캡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용물유출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에 결합할 때, 상기 내캡을 아래로 눌러서 위로 올라오려는 복원력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이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내측 면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와 결합할 시에;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은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내경보다 커서 강제적으로 일부 눌려져야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지나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유출구하단턱에 안착되며, 상기 내캡의 형태는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이 상기 유출구하단턱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내캡의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이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지나도록 강제로 통과시켜서, 상기 힘을 제거하면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과 상기 유출구하단턱이 밀착하게 되어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밀실하게 하고, 외부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술한 스파우트 마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등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외캡의 열림 방지 수단에 의하여 내캡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위생 관리에 효과적이다. 또한 외캡의 만곡부에 의하여 상기 외캡을 쉽게 열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포장용기의 내용물 토출구와 스파우트 마개 몸체를 밀실하게 막을 수 있으며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에 따르면, 입술로 밀어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고, 자동으로 밀폐하도록 할 수 있어 한 손으로도 포장용기를 개폐하면 음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주둥이가 형성된 병 형상의 포장용기에 본원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가 결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로서 파우치(pouch)에 본원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가 결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원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가 포장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된 것을 보인 것으로서, 도 3은 분해조립도, 도 4는 분해조립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몸체에 내캡을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도 5는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에 강제로 끼우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6은 상기 몸체에 상기 내캡을 강제로 끼운 후를 보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외캡으로 내캡을 덮은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비스듬하게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음용 시에 내캡 상태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외캡의 외부에 외캡만곡부가 없는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주둥이가 형성된 병 형상의 포장용기에 본원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가 결합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원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로서 파우치(pouch)에 본원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가 결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40, 주둥이)에 결합되는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는 내캡(30) 및 외캡(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캡(20)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이 파우치에 적용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토출구(40)와 상기 몸체(1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스파우트 몸체(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원발명을 내용물토출구(40)가 형성된 포장용기에 적용되는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로 설명하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앞에서 언급한 파우치 이외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원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가 포장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된 것을 보인 것이으로서, 도 3은 분해조립도, 도 4는 분해조립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은 자동 밀폐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조절하고 음용자의 입술을 대고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캡(30); 상기 내캡(30)의 위생을 위하여 상기 내캡(30)이 밀폐되도록 체결되거나, 상기 내캡(30)을 노출시킬 수 있는 외캡(20)과;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40)와 결합되면서 상기 내캡(30)과 상기 외캡(20)과도 결합되는 몸체(10)로 구성된 자동 밀폐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 밀폐 스파우트의 몸체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비닐 팩에 의한 파우치 또는 합성수지 포장용기 등의 토출구 자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파우치 스파우트 자체가 몸체(50)이다.)
본원발명은 기존 포장용기의 스파우트를 제대로 막거나, 마개를 제대로 닫지 않으면 내용물이 새어 나올 가능성이 있어 위생상의 문제가 있었는바, 이를 개선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수밀성이 우수한 스파우트를 개시한다. 이에 더하여 내용물의 출입구 및 음용을 위하여 구성된 상기 내캡(30)에 직접적으로 손을 대지 않고 음용을 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인 음용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외캡(20) 및 내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와 상기 내캡(30)은 필수적인 것고, 상개 외캡(20)은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는 포장용기에 내장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내용물유출구(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이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와 결합하여 상기 내용물유출구(11)로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거나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조절하는 내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캡(30)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내캡(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기 내용물유출구(11)의 기능을 조절(내용물유출구의 개폐)할 수 있는데, 상기 내용물유출구(11)를 통하여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는 때에는 상기 내캡(30)에 형성된 내용물배출구멍(31)을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내캡(30)은 원형(原形)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용자의 입술에 직접 닿는 곳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재에 따라 상대적으로 경질이거나 연질일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적절한 탄성 회복력을 가질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재질에 의하여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탄성에 의하여 자동으로 밀폐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내캡(3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구조이므로,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형태의 변형이 발생하도록 한 후, 상기 외부의 힘을 제거하면 원상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탄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내용물유출구(11)를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내캡(30)은 기본적으로 상기 몸체(10)의 내용물유출구(11)를 이루는 내용물유출구벽(11a)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을 둘러싸는 구조이다. 상기 내캡(30)의 내용물유출구(1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유출구밀폐내캡부(30a)는 그 하부 끝단이 막혀있되, 외주가 확장되어 유출구걸림밀폐턱(35)을 형성하여 상기 내용물유출구(11)를 막는다.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은 상기 몸체(10)의 내측에서 걸림으로써 상기 내용물유출구(11)를 밀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캡(30)은 상기 내용물유출구벽(11a)을 위에서 감싸 상기 내용물유출구벽(11a)을 끼우는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내캡(30)이 상기 몸체(10)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32)에 상기 내용물유출구벽(11a)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캡(30)을 아래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32)와 상기 내용물유출구벽(11a) 사이에 상기 내용물유출구벽(11a)의 위쪽으로 유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내캡(20)을 입술로 미는 경우 상기 내캡(20)은 아래로(몸체 쪽으로) 내려가지고,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도 상기 몸체(10)의 내측에서 이격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은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과 상기 몸체(10)의 내측 면과의 사이로 빠져나와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에 형성된 상기 내용물배출구멍(31)을 통하여 배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캡(30)은 상기 몸체(10)와 바깥 둘레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 둘레에는 내캡끼움홈(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둘레는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내캡끼움홈(15)에 끼워지는 내캡외주끼움부(34)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10)의 내캡끼움홈(15)에 상기 내캡(30)의 내캡외주끼움부(34)가 끼워져 상기 몸체(10)와 상기 내캡(30)이 결합되고, 상기 내캡의 중앙부에는 상술한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내용물유출구(11)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것이다.
상기 내캡외주끼움부(34)와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를 연결하는 부위는 탄성 작용을 하는 내캡탄성부(33)이다. 상기 내캡(30)을 음용자가 입술 등으로 미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는 포장용기 방향으로 밀리면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이 나올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지만, 상기 내캡외주끼움부(34)는 뒤로 밀리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음용자가 입술 등을 떼는 경우 상기 내캡탄성부(33)의 작용으로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는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렇게 원위치로 복원하는 내캡탄성부(33)는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의 끝단에 확장되어 형성된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을 위쪽으로 당겨서(결과적으로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에 인력(텐션)이 작용), 상기 내용물유출구(11)는 다시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애초 상기 내캡(30)을 상기 몸체(10)에 결합할 때, 아래로 눌러서 위로 올라오려는 복원력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이 상기 내용물유출구(11)의 내측 면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도 5 참조)
상기 몸체(10)의 내측에는 스파우트내측나사산(12)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40)에 돌출되어 있는 나사산에 회전 결합되어 포장용기와 나사 결합을 한다. 이때 상기 몸체(10) 내측의 돌출밀폐구(13)가 상기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40)에 삽입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40)의 상단이 몸체 내측의 밀폐부(14)에 밀착되어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는다.
이는 기존 발명들이 몸체와 토출구 상단이 면 접촉하여 결합함으로써 내용물이 새어 나오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돌출밀폐구(13)가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40)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일차적으로 밀실하게 하고, 이후 상기 돌출밀폐구(13)의 외측 상단에 위치한 밀폐부에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40) 상단이 접하게 됨으로써 2차적으로 내용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막는다. 이때, 상기 돌출밀폐구(13)는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40)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돌출밀폐구(13)가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40)에 삽입될 때 강제로 끼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밀폐구(13)의 하단은 최초 결합의 용이함을 위하여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파우트내측나사산(12)과 상기 내용물토출구(40)의 나사산이 모두 돌출되어 형성되어 맞물리는 구조는 일반적으로 나사 결합하는 뚜껑인 요철구조의 결합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이며, 회전운동 시 헛돌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위치한 위조방지테(16)는 상기 몸체(10)를 상기 내용물토출구(40)에 결합할 시에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40)에 위치하는 위조방지테걸림환돌기(41)에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위치하는 위조방지테걸림돌기(16a)가 걸림으로써 결합되며, 최초 개봉 시 위조방지테절취부(16b)가 절단되며 상기 몸체(10)와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40)를 분리 할 수 있다.
상기 위조방지테(16)는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40)의 상면에 위치하는 내용물 보호패드(미도시)의 제거를 위하여 최초 상기 내용물토출구(40)와 상기 몸체(10)를 분리할 시에 사용되며, 상기 위조방지테(16)의 개방여부로 내용물의 위조 및 안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와 내용물토출구(40)를 분리하는 과정은 내용물 토출을 위하여 최초 개방 시에만 사용되며, 이후 2차, 3차 내용물 토출 시에는 상기 몸체(10)와 상기 내용물토출구(40)를 회전 개방하지 않고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내캡(30)을 작동시킴으로써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캡(20)은 상기 자동밀폐스파우트 몸체(10)에 부착되어 있다. 이는 선택적인 것이다. 상기 외캡(20)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6 내지 도 9로 후술한다.
도 5 및 도 6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몸체에 내캡을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도 5는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에 강제로 끼우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6은 상기 몸체에 상기 내캡을 강제로 끼운 후를 보인 것이다.
도 5의 화살표는 내캡을 눌러 끼우는 것을 보이기 위한 강제끼움 방향 화살표(f)이다. 도 6의 화살표들은 상기 내캡(30)과 상기 몸체(10)가 밀착되어 상기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이 새지 않음을 내용물 방향 화살표(w)로 표시한 한 것과 상기 내캡(30)이 위 방향으로 인장력 방향 화살표(t)로 작용함을 보인 것이다.
상기 내캡(30)은 상기 내캡외주끼움부(34)가 상기 몸체(10)의 내캡끼움홈(15)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이 상기 몸체(10)의 내용물유출구(11)에 강제 삽입 밀착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10)의 내용물유출구(11)를 막는다.
상기 내캡(30)을 상기 몸체(10)와 결합할 시에 상기 내캡외주끼움부(34)를 상기 내캡끼움홈(15)에 끼우면,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의 위치는 상기 몸체(10)의 내용물유출구(11)의 유출구하단턱(11b)을 경과하지 못 한 상태이다.
이는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이 상기 내용물유출구(11)의 내경보다 커서 강제적으로 일부 눌려져야 상기 내용물유출구(11)를 지나 상기 유출구하단턱(11b)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고, 또 다른 이유는 상기 내캡(30)의 원래 형태가 상기 내캡끼움홈(15)에 상기 내캡외주끼움부(34)가 끼워졌을 때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은 상기 유출구하단턱(11b)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의 강제끼움 방향 화살표(f)를 따라 힘을 가하여 상기 내캡(30)의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이 상기 내용물유출구(11)를 지나도록 강제로 통과시키면, 도 6과 같이 다시 원형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상기 인장력 방향 화살표(t)를 따라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에 인장력(텐션)이 작용하고,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과 상기 유출구하단턱(11a)은 밀착하게 되어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밀실하게 하고, 도 6의 내용물 방향 화살표(w)와 같이 외부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게 된다.
정리건대, 상기 내캡(30)을 상기 몸체(10)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눌러 주어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이 상기 내용물유출구(11)의 유출구하단턱(11b)에 걸리도록 하여 결합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내캡(30)은 원형이 변형되어 눌려지고 걸린 상태가 되므로, 상기 내캡탄성부(33) 등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과 상기 내용물유출구(11)의 유출구하단턱(11b)이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에(즉, 상기 내캡(30)을 입술 등으로 누르지 않는 경우에)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내캡(30)을 상기 몸체(10)와 결합 시에 상기 몸체(10)의 내용물유출구벽(11a)은 상기 내캡(30)의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32a)에 위치하는데, 상기 내용물유출구벽(11a)의 상단면과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32)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내캡(30)이 음용자의 입술 등으로 눌러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32)는 음용을 위하여 내캡을 눌러줄 때에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적정선까지 상기 내캡(30)이 하강하고 멈출 수 있게 도와준다. 이는 상기 내캡탄성부(33)가 과도한 압력으로 인하여 크게 변형되는 것을 막는 기능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캡(30)을 상기 몸체(10)에 결합한 후, 상기 외캡(20)을 씌워주면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외캡으로 내캡을 덮은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비스듬하게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캡(30)은 사용자의 입술 등이 닿는 곳이므로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원발명은 이를 덮는 별개의 외캡(20)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외캡(20)은 상기 내캡(30)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이다.
기존 마개나 스파우트의 경우 추가적인 외캡을 완전히 분리시킨 후 별도로 내캡을 손이나 이빨 등으로 작동시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외캡을 분리하여 별도로 관리하여야 했다.
또한, 이를 개선하여 외캡을 분리하지 않고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도 손으로 뚜껑을 잡고 회전하거나 밀어 올려 개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양손 모두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일 때 스파우트를 통하여 음료수를 마시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손으로 직접 잡고 개봉함으로써 위생상의 문제도 발생하였다. 무엇보다도 외캡이 분리된 적이 있는지, 즉 제품을 구매하는 단계에서 제품 생산 후 외캡이 열린 적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내캡(30)은 입술이 닿는 부분이므로 사용자가 음용하기 전까지는 상기 외캡(20)이 열리지 않고 보관되는 것이 위생상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에 의한 본 실시 예의 상기 외캡(20)은 상기 내캡(30)의 일측면에 외캡연결부(22)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캡을 개봉하여 음용을 할 시에 외캡을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분실의 위험도 없다.
상기 외캡연결부(22)는 상기 외캡(20)이 상기 내캡(30)을 덮으면서 접어지는 형태이다. 도 6은 상기 외캡연결부(22)가 펴진 상태이고, 도 7 및 도 8은 상기 외캡연결부(22)가 접어진 상태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캡(30)이 상기 몸체(10)와 결합되고, 최초로 상기 외캡(20)이 상기 내캡(30)을 덮는 경우, 이후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하기 전에는 쉽게 상기 외캡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위생상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상기 외캡(20)의 일정 부분에 돌출되어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외캡열림방지걸림부(23a)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하는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캡(20)의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23)는 상기 외캡(20)이 상기 내캡(30)을 덮으면서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23a)에 끼워진다. 한편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23a)에서 상기 외캡(20)의 중심부 쪽에는 확인절개선(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인장에 의하여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23a)가 탈락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을 약하게(두께가 얇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23)가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23a)에 끼워진 후 소비자가 이를 구매하고, 상기 외캡(20)을 열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캡에서 탈락하게 된다. 즉, 상기 외캡(20)으로부터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23)가 떨어져 나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외캡(20)이 처음으로 개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음용 시에 내캡 상태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후 반복된 사용을 하면서, 상기 외캡(20)을 상기 몸체(10)에 안정적으로 매번 덮기 위해서 상기 외캡(20)의 내측 면에는 외캡내벽홈(2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10)의 외측 면에는 몸체외벽돌기(24a)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구조가 된다. 상기 외캡내벽홈(24)과 상기 몸체외벽돌기(24a)는 상기 외캡(20)이 상기 내캡(30)을 덮으면서 상기 몸체(10)에 결합될 때 작용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외캡(20)을 밀어 열 때에는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외캡(20)을 용이하게 열기 위하여 상기 외캡(20)의 외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밀기 편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외캡(20)의 외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하여 완만하게 내측으로 들어가는 곡선형의 외캡만곡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캡만곡부(彎曲部)는 활 모양으로 안쪽으로 굽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해당 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밀어 쉽게 상기 외캡(20)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외캡의 외부에 외캡만곡부가 없는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도 상술한 내캡의 기술적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하 상기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이 밖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실제 음용 시에는 포장용기를 기울여서 내용물이 토출구 방향으로 모이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편의상 도 9는 다른 도면과 마찬가지로 위를 향하도록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하면 상기 내캡(30)의 내용물배출구멍(31)을 통하여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데(도 9의 파선 화살표는 내용물의 흐름을 보임), 상기 내용물배출구멍(31)은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과 상기 유출구하단턱(11b)이 밀착되어 있어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못한다. 이는 앞에서 도 5 내지 도 8로 설명한 바와 같다.
음용을 위하여 사용자가 입술을 댈 시 상기 내캡(30)이 음용자 누름 방향 화살표(u) 쪽으로 눌러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과 상기 유출구하단턱(11a) 사이에 틈이 생기며, 상기 내용물배출구멍(31)을 통하여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생김으로 인해서 내용물을 토출 할 수 있다. 입술 등으로 눌러주고 있으므로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와 상기 내용물유출구벽(11a)은 밀착되어 상기 내용물배출구멍(31) 이외로 내용물이 새어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면상 이들 간의 이격은 편의상 도시된 것이며,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30a)와 상기 내용물유출구벽(11a)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캡(30)은 미사용 시에 상기 내캡탄성부(33)의 복원력(텐션) 작용으로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과 상기 유출구하단턱(11b)이 밀착되어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못하게 하는 구조이다. 종래의 것들과 달리 별도의 조작 없이 밀실이 유지되므로 '자동' 개폐가 가능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경우 사용자의 입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내용물토출구(40)를 통해 나오는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배출구멍(31)을 경유하여 사용자가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다. 상기 내캡(30)의 위생을 위하여 상기 내캡(30)을 덮고 있는 상기 외캡(20)의 경우도 한손으로 밀어 올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한 손으로 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용을 위하여 양손 모두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원발명을 기존 스파우트 캡을 포함하여 기타 여러 가지 음용을 위한 물품들과 비교한다. 기존에는 음용을 위하여 개봉할 시 파우치나 용기의 몸체를 한손으로 잡고 내용물의 토출을 막는 내캡을 개봉하거나, 외캡을 개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분리한 내캡 혹은 외캡을 음용하는 동안 따로 보관해야 하고, 분실의 위험이 있었다.
반면에, 본원발명의 경우 한손으로 포장용기 또는 파우치를 잡고, 해당 손의 손가락으로 상기 외캡(20)을 밀어 개봉할 수 있으며, 상기 외캡(20)이 상기 외캡연결부(22)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에 연결되어 있어 분실의 위험이 없다.
상기 포장용기 또는 파우치를 입 방향으로 기울인 후 입술로 상기 내캡(20)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내용물유출구(11)를 개방하는 방법이면서, 사용자가 입을 떼면 자동으로 다시 밀폐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이 직접 닿는 부위에 손이 닿을 필요가 없어 위생적이다.
스포츠 활동 중 또는 자전거를 탈 때, 운전할 때 등 양손을 모두 사용하지 못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몸체
11: 내용물유출구
11a: 내용물유출구벽
11b: 유출구하단턱
12: 스파우트내측나사산
13: 돌출밀폐구
14: 밀폐부
15: 내캡끼움홈
16: 위조방지테
16a: 위조방지테걸림돌기
16b: 위조방지테절취부
20: 외캡
20a: 확인절개선
21: 외캡만곡부
22: 외캡연결부
23: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
23a: 외캡열림방지걸림부
24: 외캡내벽홈
24a:몸체외벽돌기
30: 내캡
30a: 유출구밀폐내캡부
31: 내용물배출구멍
32: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
33: 내캡탄성부
34: 내캡외주끼움부
35: 유출구걸림밀폐턱
40: 내용물 토출구
41: 위조방지테걸림환돌기
50: 몸체
f: 강제 끼움 방향 화살표
w: 내용물 방향 화살표
t: 인장력 방향 화살표
u: 음용자 누름 방향 화살표

Claims (21)

  1. 포장용기에 보관하는 내용물을 밀폐하여 막는 스파우트 마개에 있어서,
    몸체(10)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내캡(3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유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캡은 상기 몸체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내측으로 유출구밀폐내캡부(30a)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는 하부 끝단이 막혀있되, 외주가 확장되어 유출구걸림밀폐턱(35)을 형성하며,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은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걸림으로써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밀폐되되,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은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내경보다 커서 강제적으로 일부 눌려져야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지나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유출구하단턱(11b)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에는 내용물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내용물토출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측에 형성되는 돌출밀폐구가 상기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의 상단이 상기 몸체 내측의 밀폐부에 밀착되어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고,
    상기 돌출밀폐구의 하단은 최초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위조방지테가 위조방지테절취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를 상기 내용물토출구에 결합할 시에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에 위치하는 위조방지테걸림환돌기에 상기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위조방지테걸림돌기가 걸림으로써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최초 개봉 시 위조방지테절취부가 절단되며, 상기 몸체와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을 덮는 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상기 내캡의 일측면에 외캡연결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캡연결부는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을 덮으면서 접어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외캡에 돌출되어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끼움 결합하는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서 상기 외캡의 중심부 쪽으로 확인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확인절개선은 인장에 의하여 절개되어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가 탈락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을 약하게 형성한 것이어서,
    최초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가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끼워진 후 상기 외캡을 열면서,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가 탈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하여 완만하게 내측으로 들어가는 곡선형의 외캡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의 내측 면에는 외캡내벽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캡내벽홈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외측 면에는 몸체외벽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내벽홈과 상기 몸체외벽돌기는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을 덮으면서 상기 몸체에 결합될 때 작용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외캡을 밀어 열 때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이루는 내용물유출구벽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을 둘러싸는 구조인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고,
    상기 내캡에는 내용물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때에 상기 내캡의 내용물배출구멍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원형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음용자가 입술로 밀어 상기 몸체 쪽으로 밀어지면서 상기 내용물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음용자가 입술을 떼면 상기 복원되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4. 삭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배출구멍은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몸체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에 상기 내용물유출구벽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캡을 아래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와 상기 내용물유출구벽 사이에 상기 내용물유출구벽의 위쪽으로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내캡을 입술로 미는 경우 상기 내캡은 아래로 내려가지고,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도 상기 몸체의 내측 면에서 이격이 되어,
    상기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은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과 상기 몸체의 내측 면과의 사이로 빠져나와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에 형성된 상기 내용물배출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몸체와 바깥 둘레가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 둘레에는 내캡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둘레는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내캡끼움홈에 끼워지는 내캡외주끼움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캡끼움홈에 상기 내캡의 내캡외주끼움부가 끼워져 상기 몸체와 상기 내캡이 결합되고, 상기 내캡의 중앙부에는 유출구밀폐내캡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용물유출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에 결합할 때, 상기 내캡을 아래로 눌러서 위로 올라오려는 복원력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이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내측 면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19. 삭제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내캡의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이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지나도록 강제로 통과시켜서,
    상기 힘을 제거하면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과 상기 유출구하단턱이 밀착하게 되어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밀실하게 하고, 외부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21. 제1 항에 의한 스파우트 마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KR1020150145380A 2015-10-19 2015-10-19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10169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80A KR101697555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80A KR101697555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555B1 true KR101697555B1 (ko) 2017-01-18

Family

ID=5799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380A KR101697555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3687A (zh) * 2018-12-10 2019-02-19 四川省宜宾普拉斯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可自动回弹展示物的新型包装
KR20190091170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US11059633B2 (en) 2019-10-31 2021-07-13 Cheer Pack North America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4589A (ja) * 2002-10-29 2006-02-09 スマートシール エーエス 減圧下で作動する飲用容器用の弁を開く力を最大にする装置
KR200421860Y1 (ko) 2006-05-01 2006-07-20 김상순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KR20070100987A (ko) 2006-04-10 2007-10-16 이현영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JP2008502552A (ja) * 2004-06-12 2008-01-31 ロ・ヘクウォン 容器栓
KR100951526B1 (ko) * 2007-10-25 2010-04-08 이충강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JP2014015242A (ja) * 2012-07-10 2014-01-30 Toppan Printing Co Ltd 打栓口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4589A (ja) * 2002-10-29 2006-02-09 スマートシール エーエス 減圧下で作動する飲用容器用の弁を開く力を最大にする装置
JP2008502552A (ja) * 2004-06-12 2008-01-31 ロ・ヘクウォン 容器栓
KR20070100987A (ko) 2006-04-10 2007-10-16 이현영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KR200421860Y1 (ko) 2006-05-01 2006-07-20 김상순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KR100951526B1 (ko) * 2007-10-25 2010-04-08 이충강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JP2014015242A (ja) * 2012-07-10 2014-01-30 Toppan Printing Co Ltd 打栓口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70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KR102025944B1 (ko) 2018-01-26 2019-09-26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CN109353687A (zh) * 2018-12-10 2019-02-19 四川省宜宾普拉斯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可自动回弹展示物的新型包装
CN109353687B (zh) * 2018-12-10 2024-01-23 四川省宜宾普拉斯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可自动回弹展示物的新型包装
US11059633B2 (en) 2019-10-31 2021-07-13 Cheer Pack North America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2235T3 (es) Medio de inviolabilidad para un cierre y un cierre inviolable.
EP1065150A1 (en) Aseptic closure for containers of liquids
CN105246378A (zh) 饮用容器和盖组件
FR2612495A1 (fr) Emballage verseur de securite
CA2952565C (en) Closure with storage chamber
KR101697555B1 (ko)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JP2018538208A (ja)
PL202671B1 (pl) Zespół zamykający
MX2010004472A (es) Tapa de liberacion de concentrado.
US8857665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condary internal dispensing chamber
WO2007006937A1 (fr) Dispositif d’ouverture et de fermeture d’un bouchon
KR101163626B1 (ko)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101961226B1 (ko)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JP2003231544A (ja) 小出し用閉鎖体及びこれを含むパッケージ
JP5671381B2 (ja) 容器
KR200450908Y1 (ko) 자연향 추출물이 저장되는 음료 용기 뚜껑
EP2559631B1 (en) Sealing device for bottles and containers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KR20130137737A (ko) 빨대가 내장된 컵
KR101392957B1 (ko) 저장부를 갖는 용기 뚜껑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101600042B1 (ko)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0141303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KR200489145Y1 (ko) 파우치형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