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987A -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987A
KR20070100987A KR1020060032154A KR20060032154A KR20070100987A KR 20070100987 A KR20070100987 A KR 20070100987A KR 1020060032154 A KR1020060032154 A KR 1020060032154A KR 20060032154 A KR20060032154 A KR 20060032154A KR 20070100987 A KR20070100987 A KR 20070100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losing
cap
opening
out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674B1 (ko
Inventor
이현영
Original Assignee
이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영 filed Critical 이현영
Priority to KR102006003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67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0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팩으로 된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로서 식, 음료나 주방세제, 또는 세탁용 섬유 유연제등, 리필용기의 팩에 용착하여 사용하는 바디와 마개로서, 종래에는 바디에서 마개를 완전하게 이탈시킨 뒤에야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바디와 마개는 바디에서 마개를 이탈시키지 않아도 상부로 마개를 돌려주면 개폐구멍(200)이 열리도록 하여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발명의 구성은 마개(1)와 바디(2)를 결합하여 마개를 상부로 돌리면 올라가면서 개폐구멍이 열리고, 하부로 돌리면 개폐구멍이 막히도록 하여 마개를 완전히 이탈시키지 않아도 용기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특징의 리필용기의 마개이다.
이를 위하여 마개(1)의 상단 중앙부에 개폐구멍(200)을 두고 개폐구멍(200)의 내측에 유출구밀폐부(70)와 상면부에 긴요환홈(60)을 형성 하였으며 내측면부에 1차밀폐환돌기(71)와 밀폐환홈(72)과 2차밀폐환돌기(73)와 마개상하작동긴요돌기(74)를 형성하였고, 하측부에 위조방지 스커트(61)와 스커트(61) 내측에 걸림환돌기(63)를 형성하여 마개의 상부와 하부를 절취연결부(62)로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바디(2)에 접착부(100)와 스커트받침부(42)와 스커트걸림환테(41)와 긴요홈(21)과 나사산(22)과 밀폐부(30)와 밀폐환돌기(13)를 두고 상부에 밀폐부봉(10)과 밀폐부봉지지살(12)을 형성하여 바디의 몸체에 연결한 것으로서, 마개(1)와 바디(2)를 결합하면 도1과 같이 조립되며. 외캡(3)의 내측에 로렛트(82)와 하측부에 외캡걸림환 돌기(81)를 형성하여 마개(1)의 상부에 도8과 같이 조립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때에, 마개를 상부로 돌리면 바디(2)의 나사산(22)밑의 긴요홈(21)에 걸려있는 캡상하작동긴요돌기(74)가 긴요홈(21)을 타고 올라가며 개폐구멍이 열리고, 아래로 돌리면 닫히도록 한 특징의 장점이 있다.
마개(1), 바디(2), 외캡(3), 밀폐부봉(10), 내용물유출구(11), 밀폐부봉연결지지살(12), 밀폐환돌기(13), 긴요홈(21), 나사산(22), 밀폐부(30), 스커트걸림환테(41), 스커트받침부(42), 긴요돌기(43), 긴요환홈(60), 스커트(61), 절취연결부(62), 걸림환돌기(63), 로렛트부(66), 유출구밀폐부(70), 1차밀폐환돌기(71), 밀폐환홈(72), 2차밀폐환돌기(73), 캡상하작동긴요돌기(74), 외캡걸림환돌기(81), 외캡로렛트(82), 접착부(100), 개폐구멍(200), 용기마개부(300), 용기마개나사산(301).

Description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디의 설명을 돕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디의 설명을 돕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외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외캡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의 패트병 용기마개 단면도
본 발명은 합성수지 용기나, 비닐팩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식, 음료나 주방세제, 세탁용세제, 섬유유연제, 모발용 샴푸와 린스 등의 리필용기에 접착, 또는 용착하여 사용하는 바디와 마개로서, 바디에서 마개를 완전히 이탈시킨 후에야 용기안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종래의 기술로는 본인 의 실용신안등록 제205308호를 현재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어려움을 해결토록 하였으며, 소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새로운 기능으로 위생성을 확보하고, 디자인의 변화로서 품질을 높이고, 생산성 향상과 소비자의 편리성으로 시장을 확보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디와 마개와 외캡을 형성하여 조립하면 마개를 완전히 이탈시키지 않고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디와 마개의 조립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마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마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디의 설명을 돕기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디의 설명을 돕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외캡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외캡의 조립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패트병 용기나 유리병 용기의 사용 할 수 있는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마개와 바디를 결합하기 위하여 마개(1)는 상단 중앙에 개폐구멍(200)을 두고 개폐구멍(200) 내측에 유출구밀폐부(70)와 상면부에 긴요환홈(60)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1차밀폐환돌기(71)와 밀폐환홈(72)과 2차밀폐환돌기(73)와 캡상하작동긴요돌기(74)를 형성하였으며, 하측부에 스커트(61)를 두고 절취연결부(62)를 형성하여 상부마개에 연결하고 스커트(61) 내측에 걸림환돌기(63)를 둔 것이며, 도 2에서와 같이 바디(2)를 형성하였는바, 바디(2)의 하측부에 접착부(100)를 두어 리필용기에 접착 또는, 용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바디의 외측 상면부에 밀폐부봉(10)과 밀폐환돌기(13)를 형성하고, 밀폐환돌기(13)는 밀폐환홈(72)에, 밀폐부봉(10)은 유출구밀폐부(70)에 맞도록 하여 밀폐되도록 하였으며 이때에, 마개상면부에 형성한 긴요환홈(60)은 유출구밀폐부(70)의 탄력적인 밀폐를 이루도록 한 것이며, 밀폐부봉연결지지살(12)로서 밀폐환돌기(13)와 밀폐부봉(10)을 연결하여 내용물유출구(11)를 형성하여 용기안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중앙부외측에 나사산(22)과 긴요홈(21)을 형성하여 마개(1)의 캡상하작동긴요돌기(74)가 긴요홈(21)에 맞도록 하여 마개를 돌리면 상, 하 작동 시에 홈을 타고 올라가고 내려가고 하도록 한 것으로서, 마개를 상측으로 돌리면 1차밀폐환돌기(71)와 유출구밀폐부(70)가 상승하며 내용물유출구(11)와 개폐구멍(200)이 열리게 되며 마개의 캡상하작동긴요돌기(74)는 바디의 긴요홈(21)과 나사산(22)에 걸려 더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개폐구멍을 막을 때에는 하측으로 마개를 돌리면 막히도록 한 것이며, 스커트걸림환테(41)와 스커트받침부(42)를 형성하여 마개 스커트(61)부 의 걸림환돌기(63)가 스커트걸림환테(41)에걸리도록 하여 위,변조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소비자의 위생을 위하여 마개(1)위에 외캡(3)을 씌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외캡의 내측면에 외캡로렛트(82)를 하측부에 외캡걸림환돌기(81)를 형성하여 외캡걸림환돌기(81)는 바디(2)의 스커트받침부(42)에 걸리도록 한 것임과, 마개(1)의 로렛트부(66)와 외캡(3)의 외캡로렛트(81)에공간을 두어 외캡(3)의 옆면을 압박하여 돌리면 마개(1)의 로렛트부(66)와 외캡(3)의 외캡로렛트(82)가 톱니바퀴처럼 맞도록 하여 외캡을 압박하여 잡고 돌리면 마개는 상부로 올라가며 외캡의 외캡걸림환돌기(81)가 스커트받침부(42)에서 벗겨지며 마개가 열리게 되도록 한 것이며, 외캡을 압박하지 않고 돌리면 헛 돌게하여 어린이들의 안전성을 확보한 특징의 제품이며,
제품의 조립은 바디위에 마개를 올려놓고 상부에서 압압하여 마개를 결합하고 마개위에 외캡을 올려 압압하면 제품이 조립되어 지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내용으로부터 자명하듯이, 본 고안의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는 마개를 이탈시키지 않고도 용기안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리성과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안전캡의 기능으로 어린아이들의 안전을 확보하였고, 품질의 향상과 세계 시장 경쟁력에 우월성을 나타낼 수 있는 특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마개를 완전히 이탈시키지 않고도 용기안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마개로서 마개(1)의 상부 중앙에 개폐구멍(200)을 두고 개폐구멍(200) 내측에 유출구밀폐부(70)와 상면부에 긴요환홈(60)을 두고 내측면에 1차밀폐환돌기(71)와 밀폐환홈(72)과 2차밀폐환돌기(73)와 캡상하작동긴요돌기(74)를 형성한 것이며, 바디(2)에 밀폐부봉(10)과 밀폐환돌기(13)를 두고 밀폐부봉연결지지살(12)을 형성하여 연결 한 것과, 나사산(22)과 긴요홈(21)을 형성하여 바디(2)의 나사산(22)과 긴요홈(21)에 마개(1)의 캡상하작동긴요돌기(74)가 결합하여 일체화 되도록 한 것과, 마개(1)의 외측면부에 로렛트부(66)와 외캡(3)의 내측면부에 외캡로렛트(82)를 형성하여 공간을 두고 외캡(3)을 압박하여 돌리면 로렛트부(66,82)가 톱니바퀴처럼 맞도록 하였으며, 외캡을 돌리면 마개를 이탈시키지 않고 개폐구멍이 열려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2. 청구항1에 있어서 바디(1)의 접착부를 병으로 된 용기에 맞도록 마개부(300)를 형성한 용기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KR1020060032154A 2006-04-10 2006-04-10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KR100777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154A KR100777674B1 (ko) 2006-04-10 2006-04-10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154A KR100777674B1 (ko) 2006-04-10 2006-04-10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987A true KR20070100987A (ko) 2007-10-16
KR100777674B1 KR100777674B1 (ko) 2007-11-21

Family

ID=3881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154A KR100777674B1 (ko) 2006-04-10 2006-04-10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6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6965A1 (en) * 2007-06-01 2008-12-04 Hyun-Young Lee Structure for joining body and cap to the vessel
KR101600042B1 (ko) 2015-07-15 2016-03-04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101697555B1 (ko) 2015-10-19 2017-01-18 이현영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WO2017010662A1 (ko) * 2015-07-15 2017-01-19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170009694A (ko) 2015-12-24 2017-01-25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170048290A (ko) 2017-04-23 2017-05-08 이현영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12A (ko) 2002-03-15 2002-04-17 이정민 M형 파우치의 스파우트 접착부 구조
KR100516003B1 (ko) * 2003-07-14 2005-09-21 이현영 내용물의 향기를 맡을 수 있는 마개의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6965A1 (en) * 2007-06-01 2008-12-04 Hyun-Young Lee Structure for joining body and cap to the vessel
KR101600042B1 (ko) 2015-07-15 2016-03-04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WO2017010662A1 (ko) * 2015-07-15 2017-01-19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101697555B1 (ko) 2015-10-19 2017-01-18 이현영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170009694A (ko) 2015-12-24 2017-01-25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170048290A (ko) 2017-04-23 2017-05-08 이현영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674B1 (ko)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463B1 (en) Aseptic closure for containers of liquids
KR20070100987A (ko)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JP2012503575A (ja) ボトルキャップ
US20070095864A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CN101342966A (zh) 带有添加物供应结构的瓶盖
KR20120008410U (ko) 화장품 용기
JP3626411B2 (ja) 飲料容器
KR20090056748A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KR101697555B1 (ko)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CN209225705U (zh) 用于环保回收的快拆盖
JP4001364B2 (ja) 注出容器
EP0909718A1 (en) Aseptic cap for containers of liquids
WO2008146965A1 (en) Structure for joining body and cap to the vessel
KR20080000223U (ko) 티 캡
CN211282088U (zh) 一种大包装饮用水按压式瓶盖
US20110049172A1 (en) Seal for beverage can/bottle providing hygiene and confidence in hygiene
US3593879A (en) Childproof cover for a dispensing can
KR100516003B1 (ko) 내용물의 향기를 맡을 수 있는 마개의 구조.
CN219097486U (zh) 一种开盖即饮式饮料瓶盖及饮料瓶
JP571197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容器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101421649B1 (ko) 분리형 물병
CN211282089U (zh) 一种大包装饮用水按压式瓶盖
CN210493624U (zh) 一种带直饮嘴的水杯
CN211970051U (zh) 咖啡饮料机用纸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