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737A - 빨대가 내장된 컵 - Google Patents

빨대가 내장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737A
KR20130137737A KR1020120061218A KR20120061218A KR20130137737A KR 20130137737 A KR20130137737 A KR 20130137737A KR 1020120061218 A KR1020120061218 A KR 1020120061218A KR 20120061218 A KR20120061218 A KR 20120061218A KR 20130137737 A KR20130137737 A KR 2013013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ainer
cup
bever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102012006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737A/ko
Publication of KR2013013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은 밑면 및 측면이 밀폐되어 음료수를 내부에 담는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컵은 상기 용기의 일부분에 배치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뚜껑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컵은 상기 뚜껑부와 일체형이며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의 상기 밑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빨대와,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에 배치되며 부력추를 구비하는 내부 빨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상기 부력추가 발생시키는 힘을 받아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외부로 노출된다.

Description

빨대가 내장된 컵{Cup with straw thereinside}
본 발명은 빨대가 내장된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빨대 및 내부 빨대가 내장되고 포장의 개봉시에 상기 내부 빨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음료수는 컵 형태의 용기 속에 저장된 채로 유통되고 있다. 음료수를 구입한 소비자는 음료수가 내장된 용기 상단의 뚜껑을 돌리거나 잡아당겨 용기를 개봉한 후에 음료수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배출시켜 섭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용기는 뚜껑 주변이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유통되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뚜껑 주변의 용기에 묻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소비자가 음료수와 이물질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 위생상 좋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료수 섭취시에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빨대를 주입하여, 빨대를 사용하여 음료수를 마시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소비자가 빨대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는 음료 용기 외부에 빨대가 부착되어 판매시 제공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소비자가 음료수의 구매시마다 용기에 빨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챙겨야 하고, 음료수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빨대가 용기로부터 탈착될 가능성이 있어서 빨대를 구비함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음료수의 소비자가 용기 내의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하기 위한 빨대 내장형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빨대가 내장된 컵이 개시된다. 상기 빨대가 내장된 컵은 밑면 및 측면이 밀폐되어 음료수를 내부에 담는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컵은 상기 용기의 일부분에 배치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뚜껑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컵은 상기 뚜껑부와 일체형이며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의 상기 밑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빨대와,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에 배치되며 부력추를 구비하는 내부 빨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상기 부력추가 발생시키는 힘을 받아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외부로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빨대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빨대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상기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통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부력추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용기와 탈착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밀봉 도구가 부착되는 상기 개구와 인접한 상기 뚜껑부의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용기 외부 방향으로 2 mm 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빨대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빨대가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부 빨대의 하단부의 상면과 걸리도록 하여 상기 내부 빨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걸림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빨대가 내장된 컵이 개시된다. 상기 빨대가 내장된 컵은 밑면 및 측면이 밀폐되어 음료수를 내부에 담는 용기와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뚜껑부를 포함한다. 상기 빨대가 내장된 컵은 또한, 상기 뚜껑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의 상기 밑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빨대,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료수와의 사이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주머니, 및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주머니의 상부에 배치되는 내부 빨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상기 부력에 의해 상기 공기 주머니가 발생시키는 힘을 받아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외부로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빨대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하단부, 및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의 경계 상에 상기 단면적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 빨대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상기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제1 통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부 빨대의 하단부의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단면적이 확장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에 상기 음료수와 소통하기 위한 제2 통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용기와 탈착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밀봉 도구가 부착되는 상기 개구와 인접한 상기 뚜껑부의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용기 외부 방향으로 2 mm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빨대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 빨대의 중심축 방향으로 라운딩 처리가 되어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외부 빨대 내부에 내부 빨대를 배치함으로써,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내부 빨대가 외부 빨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용기 외부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외부 빨대는 뚜껑부과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함으로써, 외부 빨대 및 내부 빨대로 이루어지는 빨대 구조물이 용기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빨대의 상단부이면서, 상기 밀봉 도구가 부착되는 개구 주변의 뚜껑부의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용기 외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봉 도구 제거시 이물질이 상기 용기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내부 빨대는 부력추를 구비함으로써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보다 용이하게 상기 용기 외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외부 빨대와 내부 빨대 사이에 공기 주머니를 배치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가 음료수에 대하여 부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빨대를 상기 용기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내부 빨대의 하부에는 걸림대 또는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부 빨대가 상기 외부 빨대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부 빨대의 하단부에 상기 걸림대 또는 걸림부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내부 빨대 전체가 상기 용기 밖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내부 빨대가 과도한 길이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자가 상기 내부 빨대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의 구성요소들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의 구성요소들이 결합한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의 구성요소들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빨대가 용기 내에 밀봉된 상태의 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b)는 빨대가 개봉된 상태의 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빨대가 내장된 컵(100)은 용기(110), 용기(1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개구(122)를 구비하는 뚜껑부(120), 뚜껑부(120)와 일체형이며 개구로부터 용기(110)의 밑면에 이르도록 배치되는 외부 빨대(130), 외부 빨대(1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로 개봉되는 내부 빨대(140)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110)는 밑면 및 측면이 밀폐되어 음료수를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용기(110)의 상면은 뚜껑부(12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뚜껑부(120)는 상기 음료수를 담고 있는 용기(110)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110)와 탈착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즉, 뚜껑부(120)와 용기(110)와의 접촉면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서, 뚜껑부(120)의 일부분이 용기(110)의 상면 외측 테두리와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뚜껑부(120)의 일부분은 용기(1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구조이고, 뚜껑부(120)의 일부분과 용기(11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 홈을 따라, 뚜껑부(120)을 돌려 용기(110)를 개봉하거나 밀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뚜껑부(120)의 일부분은 용기(1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구조이고, 뚜껑부(120)의 일부분과 용기(110)의 측면이 접착되어 결합을 이룰 수도 있다.
뚜껑부(120)는 개구(122)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122) 내부에는 뚜껑부(120)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외부 빨대(130)가 배치될 수 있다. 개구(122)는 개구(122) 주변의 뚜껑부(120)의 일부분이 용기(110)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약 2 mm의 높이로 뚜껑부(120) 주변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빨대(130)는 뚜껑부(120)와 연결되는 상단부(132) 및 용기(110)의 밑면과 대면하는 하단부(134)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빨대(130)의 하단부(134)는 상단부(132)보다 단면적이 넓다. 외부 빨대(130)는 내부에 내부 빨대(140)를 수용할 수 있으며, 밀봉 도구(150)가 제거될 때 내부 빨대(140)가 뚜껑부(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외부 빨대(130)의 상단부(132) 및 하단부(13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용기(110) 내에 담기는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통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 빨대(140)는 도 1의 (a)와 같이, 밀봉 도구(150)에 의해 용기(110)가 외부와 밀폐된 상태에서는 외부 빨대(130) 내부에 존재하고, 도 1의 (b)와 같이, 밀봉 도구(150)가 제거되면 외부 빨대(13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개구(122)를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내부 빨대(140)는 외부 빨대(130)와 길이가 같거나 또는 짧을 수 있다. 소비자는 외부로 노출된 내부 빨대(140)를 통하여, 용기(110) 내의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다.
내부 빨대(140)는 용기(110)에 담긴 음료수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빨대(140)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서, 일 예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스티커(150)가 용기(110)로부터 분리될 때, 내부 빨대(140)는 상기 음료수보다 낮은 비중에 기인하는 부력에 의하여 외부 빨대(114)를 따라 이동하여 뚜껑부(12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서, 내부 빨대(140)는 부력추(16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밀봉 도구(150)가 제거되면, 내부 빨대(140)는 부력추(160)가 발생하는 힘을 받아 보다 용이하게 개구(12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부력추(160)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빨대(140)의 측면에 부착된다. 부력추(160)는 용기(110) 내부의 음료수에 대하여 부력을 추가적으로 발생시켜, 밀봉 도구(150)가 제거될 때, 내부 빨대(140)와 함께 외부 빨대(130)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내부 빨대(140)의 측면에는 걸림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대(170)는 내부 빨대(1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대(170)는 내부 빨대(140)가 외부 빨대(130)의 내부를 이동할 때 외부 빨대(130)의 하단부(134)의 상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빨대(14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작용할 수 있어, 내부 빨대(140) 전체가 용기(110) 밖으로 배출되거나, 내부 빨대(140)가 과도한 길이로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비자가 내부 빨대(140)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의 구성요소들의 분해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외부 빨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내부 빨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외부 빨대(130)는 뚜껑부(120)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개구부(122) 부근에 존재하는 뚜껑부(120)의 일부분(124)은 뚜껑부(120)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용기(110)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뚜껑부(120)의 일부분(124)은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약 2 mm의 높이를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밀봉 도구(150)가 제거될 때, 뚜껑부(120)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용기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빨대(130)의 상단부(132) 및 하단부(134)의 측면에는 용기(110) 내부의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통로부(136, 138)가 위치할 수 있다. 소비자는 밀봉 도구가 제거된 후에 외부로 노출된 내부 빨대(140)를 이용하여, 통로부(136, 138)를 통해 용기(110)로부터 외부 빨대(130) 내부로 유입되는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내부 빨대(140)는 외부 빨대(130)와 길이가 같거나 또는 짧을 수 있다. 내부 빨대(140)는 측면에 부착되는 부력추(160) 및 걸림대(170)를 구비할 수 있다. 부력추(160)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여, 용기(110) 내부의 음료수에 대하여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부력추(160)는 일 예로서, 단추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빨대(140)에 용이하게 부착된 상태로, 외부 빨대(1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공지의 다양한 형태를 포괄할 수 있다.
걸림대(170)는 내부 빨대(140)가 외부 빨대(130)의 내부를 이동할 때 외부 빨대(130)의 하단부(134)의 상면(133)과 걸리도록 하여 내부 빨대(1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용기(110)는 밑면 및 측면이 밀폐되어 음료수를 내부에 담을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 다양한 공지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용기(110)의 상부는 뚜껑부(120)와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그 접촉면의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서, 뚜껑부(120)의 일부분이 용기(110)의 상면 외측 테두리와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뚜껑부(120)의 일부분은 용기(1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구조이고, 뚜껑부(120)의 일부분과 용기(11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 홈을 따라, 뚜껑부(120)을 돌려 용기(110)를 개봉하거나 밀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뚜껑부(120)의 일부분은 용기(1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구조이고, 뚜껑부(120)의 일부분과 용기(110)의 측면이 접착되어 결합을 이룰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의 구성요소들이 결합한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 (b) 및 (c)에 각각 도시된, 외부 빨대(130), 내부 빨대(140), 뚜껑부(120) 및 용기(11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밀봉 도구가 제거된 상태에서, 내부 빨대(14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기(110) 내부에 음료수가 담긴 상태에서, 뚜껑부(120)를 용기(110)와 결합하고, 내부 빨대(140)를 외부 빨대(130)의 내부로 배치시키고 밀봉 도구를 외부 빨대(130) 상부의 개구에 부착시킴으로써,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개봉 상태의 빨대가 내장된 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빨대가 용기 내에 밀봉된 상태의 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빨대가 개봉된 상태의 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빨대가 내장된 컵(200)은 음료수를 담는 용기(210), 용기(2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개구(222)를 구비하는 뚜껑부(220), 뚜껑부(220)와 일체형이며 개구(222)로부터 용기(210)의 밑면에 이르도록 배치되는 외부 빨대(230), 외부 빨대(2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료수와의 사이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주머니(260), 외부 빨대(230)의 내부에서 공기 주머니(260)의 상부에 배치되는 내부 빨대(140)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210)는 밑면 및 측면이 밀폐되어 음료수를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용기(210)의 상면은 뚜껑부(220)가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뚜껑부(220)는 상기 음료수를 담고 있는 용기(210)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210)와 다양한 방법으로 탈착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뚜껑부(220)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뚜껑부(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빨대(230)는 뚜껑부(220)와 연결되는 상단부(232) 및 용기(210)의 밑면과 대면하는 하단부(234)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빨대(230)의 하단부(234)는 상단부(232)보다 단면적이 넓다. 외부 빨대(230)는 내부에 내부 빨대(240)를 수용할 수 있으며, 밀봉 도구(250)가 제거될 때 내부 빨대(240)가 뚜껑부(2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외부 빨대(230)의 상단부(232) 및 하단부(23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용기(210) 내에 담기는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제1 통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 빨대(230)의 상단부(232)와 하단부(234)의 경계 상에는 상단부(232)와 하단부(234)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233)이 위치할 수 있다.
외부 빨대(230)의 내부에서 용기(210)의 밑면 및 내부 빨대(240) 사이에는 공기 주머니(2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 주머니(260)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장치를 의미한다. 공기 주머니(260)는 일 예로서, 내부에 공기를 채운 구 또는 다양한 형태의 입체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용기(210)에 담기는 음료수와의 사이에서 용기(210)의 표면 쪽으로 뜨도록 작용하는 부력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공지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 주머니(260)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 예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내부 빨대(240)는 도 4의 (a)와 같이, 밀봉 도구(250)에 의해 용기(210)가 외부와 밀폐된 상태에서는 외부 빨대(230) 내부에 존재하고, 도 4의 (b)와 같이, 밀봉 도구(250)가 제거되면 하부의 공기 주머니(260)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부력을 받아 외부 빨대(23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개구(222)를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소비자는 외부로 노출된 내부 빨대(240)를 통하여, 용기(210) 내의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다.
밀봉 도구(250)는 뚜껑부의 개구(222) 상에 배치되어, 용기(210) 내의 음료수를 외부 환경과 격리시켜 밀봉하며, 내부 빨대(240)가 개구(222)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밀봉 도구(250)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제1 실시 예에서의 밀봉 도구(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내부 빨대(240)는 외부 빨대(230)의 내부를 이동할 때, 외부 빨대(230)의 하단부(232)의 걸림턱(233)에 걸리도록 하부의 단면적이 확장되어 형성된 걸림부(2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빨대(140)가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어, 내부 빨대(140) 전체가 용기(110) 밖으로 배출되거나 내부 빨대(140)가 과도한 길이로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빨대(240)는 또한, 용기(210) 내에 담기는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제2 통로부(248)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 빨대(140)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서, 일 예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빨대가 내장된 컵의 구성요소들의 분해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외부 빨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내부 빨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외부 빨대(230)는 뚜껑부(220)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개구부(222) 부근에 존재하는 뚜껑부(220)의 일부분(224)은 뚜껑부(220)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용기(210)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뚜껑부(220)의 일부분(224)은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약 2 mm의 높이를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밀봉 도구(250)가 제거될 때, 뚜껑부(220)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용기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빨대(230)의 상단부(232) 및 하단부(234)의 측면에는 용기(210) 내부의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제1 통로부(236, 238)가 위치할 수 있다. 소비자는 밀봉 도구가 제거된 후에 외부로 노출된 내부 빨대(240)의 제2 통로부(248)을 이용하여, 외부 빨대(230)의 제1 통로부(136, 138)를 통해 용기(210)로부터 외부 빨대(230) 내부로 유입되는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내부 빨대(240)는 외부 빨대(230)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내부 빨대(240)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통로부(248)를 통해, 외부 빨대(230) 내부에 유입된 음료수와 서로 소통할 수 있다. 내부 빨대(240)의 하부에는 걸림부(242)가 형성된다. 걸림부(242)는 내부 빨대(240)의 하부의 단면적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42)는 내부 빨대(240)가 외부 빨대(230) 내부를 이동할 때, 외부 빨대(230)의 하단부(232)의 걸림턱(233)에 걸리도록 작용할 수 있다.
도 5의 (b)를 다시 참조하면, 공기 주머니(260)가 개시된다. 공기 주머니(260)는 외부 빨대(230)의 내부에서 용기(210)의 밑면과 내부 빨대(2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수와의 관계에서 부력을 발생시킨다. 공기 주머니(260)는 외부 빨대(230) 내부에서 뚜껑부(220)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고 있으며, 밀봉 도구(250)가 제거될 때, 내부 빨대(240)를 개구(222) 외부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르는 외부 빨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르는 내부 빨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의 (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르는 구성요소들의 결합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르는 외부 빨대(330)는 하단부(234) 중 용기(210)의 밑면과 대면하는 일단부가 외부 빨대(330)의 중심축 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운딩 처리된 외부 빨대(330)의 밑면에는 개구(3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빨대(330)의 하단부(234) 중 일단부가 단면적이 감소된 라운딩부(339)로 구성되고, 밑면에 개구(335)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6의 (b)에 도시되는 내부 빨대(240)의 구성 및 공기 주머니(260)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내부 빨대(240) 및 공기 주머니(26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빨대(330)의 라운딩부(339)는 외부 빨대(33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주머니(260)가 외부 빨대(330)의 일단부에서 용기(210) 내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라운딩부(339)를 적용함으로써, 외부 빨대(330)가 용기(210)의 밑면과 반드시 접촉하지 않는 경우라도, 공기 주머니(260)가 외부 빨대(330) 내부에서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빨대(330)가 용기(210)의 밑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개구(335)를 통해 용기(210) 내부의 음료수가 외부 빨대(330) 내부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는 빨대를 내장하는 컵은 외부 빨대 내부에 내부 빨대를 배치함으로써,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내부 빨대가 외부 빨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용기 외부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외부 빨대는 뚜껑부과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함으로써, 외부 빨대 및 내부 빨대로 이루어지는 빨대 구조물이 용기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빨대의 상단부이면서, 상기 밀봉 도구가 부착되는 개구 주변의 뚜껑부의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용기 외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봉 도구 제거시 이물질이 상기 용기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내부 빨대는 부력추를 구비함으로써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보다 용이하게 상기 용기 외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외부 빨대와 내부 빨대 사이에 공기 주머니를 배치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가 음료수에 대하여 부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빨대를 상기 용기 외부로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다.
내부 빨대의 하부에는 걸림대 또는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부 빨대가 상기 외부 빨대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부 빨대의 하단부에 상기 걸림대 또는 걸림부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내부 빨대 전체가 상기 용기 밖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내부 빨대가 과도한 길이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자가 상기 내부 빨대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빨대가 내장된 컵, 110: 용기, 120: 뚜껑부, 122: 개구, 130: 외부 빨대, 132: 외부 빨대의 상단부, 133: 외부 빨대의 하단부의 상면, 134: 외부 빨대의 하단부, 136, 138: 통로부, 140: 내부 빨대, 150: 밀봉 도구, 160: 부력추, 170: 걸림대.
200: 빨대가 내장된 컵, 210: 용기, 220: 뚜껑부, 222: 개구, 230: 외부 빨대, 232: 외부 빨대의 상단부, 233: 걸림턱, 234: 외부 빨대의 하단부, 236, 238: 제1 통로부, 240: 내부 빨대, 242: 걸림부, 248: 제2 통로부, 250: 밀봉 도구, 260: 공기 주머니,
330: 외부 빨대, 335: 개구, 339: 라운딩부.

Claims (10)

  1. 빨대가 내장된 컵에 있어서,
    밑면 및 측면이 밀폐되어 음료수를 내부에 담는 용기;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의 상기 밑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빨대; 및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상기 음료수와의 비중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힘을 받아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빨대가 내장된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빨대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빨대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상기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통로부를 구비하는,
    빨대가 내장된 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빨대의 측면에 부착되는 부력추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부력추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는,
    빨대가 내장된 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용기와 탈착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밀봉 도구가 부착되는 상기 개구와 인접한 상기 뚜껑부의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용기 외부 방향으로 2 mm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빨대가 내장된 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빨대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빨대가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부 빨대의 하단부의 상면과 걸리도록 하여 상기 내부 빨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걸림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빨대가 내장된 컵.
  6. 빨대가 내장된 컵에 있어서,
    밑면 및 측면이 밀폐되어 음료수를 내부에 담는 용기;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의 상기 밑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빨대;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료수와의 사이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주머니; 및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주머니의 상부에 배치되는 내부 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밀봉 도구가 제거될 때 상기 부력에 의해 상기 공기 주머니가 발생시키는 힘을 받아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빨대가 내장된 컵.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빨대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하단부; 및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의 경계 상에 상기 단면적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빨대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상기 음료수와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제1 통로부를 구비하는,
    빨대가 내장된 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외부 빨대의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부 빨대의 하단부의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단면적이 확장된 걸림부를 포함하며,
    측면에 상기 음료수와 소통하기 위한 제2 통로부를 구비하는,
    빨대가 내장된 컵.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용기와 탈착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밀봉 도구가 부착되는 상기 개구와 인접한 상기 뚜껑부의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용기 외부 방향으로 2 mm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빨대가 내장된 컵.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빨대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 빨대의 중심축방향으로 라운딩 처리가 되어 단면적이 감소하는,
    빨대가 내장된 컵.
KR1020120061218A 2012-06-08 2012-06-08 빨대가 내장된 컵 KR20130137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18A KR20130137737A (ko) 2012-06-08 2012-06-08 빨대가 내장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18A KR20130137737A (ko) 2012-06-08 2012-06-08 빨대가 내장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737A true KR20130137737A (ko) 2013-12-18

Family

ID=4998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18A KR20130137737A (ko) 2012-06-08 2012-06-08 빨대가 내장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7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79B1 (ko) 2018-10-15 2019-06-25 공석준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KR20200029320A (ko) 2018-09-10 2020-03-18 최원철 테이크아웃 컵
KR102656202B1 (ko) * 2022-11-24 2024-04-08 박태룡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320A (ko) 2018-09-10 2020-03-18 최원철 테이크아웃 컵
KR101992679B1 (ko) 2018-10-15 2019-06-25 공석준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KR102656202B1 (ko) * 2022-11-24 2024-04-08 박태룡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6744B (zh) 具有测量勺的容器封盖
ES2597968T3 (es) Aparato dispensador que tiene una sobretapa y una cuchara y método de dispensación
US20100021089A1 (en)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US8474665B2 (en)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US10016079B2 (en) Container and container lid
CN106458352A (zh) 用于柔性容器的配件
WO2015045025A1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KR20130137737A (ko) 빨대가 내장된 컵
RU2467937C2 (ru) Упаковочная емкость, прежде всего емкость баночного типа
JP5827174B2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US8141740B2 (en) Portable container
JP4939599B2 (ja) 飲料パッケージ容器
KR101697555B1 (ko)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090056748A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JP2014043277A (ja) 飲み物用カップ蓋および飲み物用カップ
JP2004099177A (ja) 飲用物包装用パウチ
JP2005138901A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ボトル
KR100834522B1 (ko) 장류 포장용기
JP4999481B2 (ja) ストロー兼備容器
KR102127914B1 (ko) 착탈식 토출유닛을 포함하는 포장용 팩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KR200474542Y1 (ko)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WO2005097612A1 (en) Drinking cup
KR102323991B1 (ko) 화장품 용기
KR101078950B1 (ko) 개선된 마개구조를 갖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