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320A - 테이크아웃 컵 - Google Patents

테이크아웃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320A
KR20200029320A KR1020180108018A KR20180108018A KR20200029320A KR 20200029320 A KR20200029320 A KR 20200029320A KR 1020180108018 A KR1020180108018 A KR 1020180108018A KR 20180108018 A KR20180108018 A KR 20180108018A KR 20200029320 A KR20200029320 A KR 2020002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take
cover
present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철
Original Assignee
최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철 filed Critical 최원철
Priority to KR102018010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320A/ko
Publication of KR2020002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플랜지(14)로부터 떨어진 높이에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20)가 형성된 컵(10); 및 상기 그루브(20)에 밀착하여 수납되고, 커버 보디(40)의 가장자리가 곡면을 갖고 상측 방향으로 구부려져 에지(42)가 형성되며, 상기 에지(42)의 한쪽에 아웃렛(44)이 형성된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크아웃 컵{Takeout Cup}
본 발명은 마시는 물, 음료 등을 담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테이크아웃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마시는 물 또는 음료를 담아 마실 수 있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2종 이상의 마시는 물 또는 음료, 얼음, 과일 조각, 조각 형태 곡물 등을 넣어 함께 마실 수 있다.
또한, 컵은 커버를 갖출 수 있고, 커버는 컵이 흔들릴 때 음료가 넘쳐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커버를 갖춘 컵은, 컵의 플랜지를 감싸 덮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컵의 커버는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단면 형상이 복잡하여 금형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원자재 사용량이 많을 수 있으며,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 종래에 알려진 테이크아웃 컵은, 종이 재질의 컵과 합성수지 재질의 컵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따뜻한 음료일 때 종이 재질의 컵에 담고, 차가운 음료일 때 합성수지 재질의 컵에 담는다. 컵의 재질이 어느 경우이든 컵을 쥐는 힘을 적절하여야 하고, 컵을 쥐는 힘이 너무 약하면 컵을 놓칠 수 있고, 컵을 쥐는 힘이 너무 강하면 컵이 찌그러지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에 알려진 테이크아웃 컵에 얼음이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는데, 컵에서 커버를 벗겨내고 음료를 마시면, 얼음이 음료 위로 뜨므로 컵을 기울여 마실 때 얼음이 코 또는 입술에 닿아 불편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종래에 알려진 테이크아웃 컵은, 컵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에서 커버의 일부를 제거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테이크아웃 컵은 컵과 커버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그러한 틈으로 음료가 새어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틈새는 컵을 쥐는 힘으로 발생할 수 있고, 예컨대 컵이 일그러진 상태에서 커버는 원형을 유지하는 경우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종래에 알려진 테이크아웃 컵은, 컵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에서 커버의 일부를 제거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는데, 이러면 음료가 배출되는 유속이 느려서 소비자가 더위 갈증을 해소할 때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KR 10-2013-0137737 A KR 10-1140050 B1 KR 20-0282526 Y1 KR 20-0421585 Y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컵과 커버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테이크아웃 컵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에 음료를 담은 후에 커버를 닫고, 음료를 마실 때 커버를 벗겨내지 않고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테이크아웃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을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공하더라도 컵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얼음 등이 떠 있는 음료를 마실 때 얼음이 코 또는 입술에 직접 닿지 않고 음료만 배출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에서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음료를 마실 때 의도하지 않은 부분에서 음료가 새어 나와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에서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음료를 마실 때 음료가 배출되는 유속을 빠르게 유지해 더위 갈증을 좀 더 빨리 해소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크아웃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플랜지(14)로부터 떨어진 높이에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20)가 형성된 컵(10); 및 상기 그루브(20)에 밀착하여 수납되고, 커버 보디(40)의 가장자리가 곡면을 갖고 상측 방향으로 구부려져 에지(42)가 형성되며, 상기 에지(42)의 한쪽에 아웃렛(44)이 형성된 커버(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컵(10)이 상기 그루브(20)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4)와 가까운 쪽에 형성된 제1컵 보디(21); 및 상기 그루브(20)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4)로부터 먼 쪽에 형성된 제2컵 보디(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컵 보디(22)의 제2 안쪽 지름이 상기 제1컵 보디(21)의 제1 안쪽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커버(30)의 표면이 평탄하고, 상기 커버(30)의 겉면에 광고가 기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아웃렛(44)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커버 보디(40)에 구멍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아일릿(4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아일릿(46)을 통하여 상기 커버 보디(40)에 결합한 코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커버 보디(40)에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는 핸들(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핸들(48)이 상기 커버 보디(4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컵 보디(12)의 바깥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핸들(48)이 상기 커버 보디(40)에서 상기 컵 보디(12)의 안쪽으로 2곳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핸들(48)이 상기 커버 보디(4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커버(30)는, 종이 재질 또는 나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과 커버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테이크아웃 컵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에 음료를 담은 후에 커버를 닫고, 음료를 마실 때 커버를 벗겨내지 않고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컵에 음료가 담긴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 컵이 다소 기울어지더라도 음료가 쏟아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을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공하더라도 컵 내에 커버가 갖춰진 상태이므로 커버가 컵의 강성을 보강하여 컵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얼음 등이 떠 있는 음료를 마실 때 커버 때문에 얼음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얼음이 코 또는 입술에 직접 닿지 않고 음료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커버가 컵의 그루브에 밀착되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컵에서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음료를 마실 때, 임의의 부분에서 음료가 새어 나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커버가 컵의 플랜지로부터 높이를 갖는 것으로써, 음료를 마실 때 커버가 코에 닿지 않아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에서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음료를 마실 때 음료가 배출되는 유속을 빠르게 유지해 더위 갈증을 좀 더 빨리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10) 및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컵(10)은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컵 보디(12)가 형성되고, 컵 보디(12)의 상측에 입술을 댈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 보디(12)에는 상기 플랜지(14)로부터 떨어진 높이에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그루브(20)에 밀착하여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커버 보디(40)의 가장자리가 곡면을 갖고 상측 방향으로 구부려져 에지(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지(42)가 구부려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30)를 상기 컵 보디(12)의 그루브(20)에 조립할 때에 좀 더 수월하게 밀어 넣어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지(42)의 한쪽에 아웃렛(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렛(44)은 상기 커버(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0)의 외형이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지(42) 일부가 절개되어 아웃렛(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렛(44)을 통하여 음료가 배출될 수 있고, 아웃렛(44)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에지(42)는 상기 그루브(20)에 밀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10)과 커버(30)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테이크아웃 컵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 보디(12)에 음료를 담은 후에 커버(30)를 닫고, 음료를 마실 때 커버(30)를 벗겨내지 않고 음료를 마실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컵(10)에 음료가 담긴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 컵(10)이 다소 기울어지더라도 커버(30)로 음료가 과도하게 출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커버(30)는 플랜지(14)와 높이를 갖는 것으로써 음료가 외부로 쏟아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10)을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공하더라도 컵(10) 내에 커버(30)가 갖춰진 상태이므로 커버(30)가 컵(10)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컵(10)을 다소 큰 힘으로 쥐더라도 컵(10)의 일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얼음 등이 떠 있는 음료를 마실 때 커버(30)로 얼음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얼음이 코 또는 입술에 직접 닿지 않고 음료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커버(30)가 컵(10)의 그루브(20)에 밀착되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컵(10)에서 커버(30)를 제거하지 않고 음료를 마실 때, 임의의 부분에서 음료가 새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커버(30)가 컵(10)의 플랜지(14)로부터 높이를 갖는 것으로써, 음료를 마실 때 커버(30)가 코에 닿지 않아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보디(40)에 구멍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아일릿(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아웃렛(44)을 통하여 음료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아일릿(46)을 통하여 컵(10)의 내부 압력과 대기 압력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컵(10)의 내부에서 음료가 배출되어 생기는 체적만큼 외부 공기가 채워짐으로써 음료가 배출될 때 배출 속도가 빠르게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아웃렛(44)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44)이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아웃렛(44) 중에 어느 하나의 아웃렛(44)을 통하여 음료를 배출할 수 있고, 나머지 아웃렛(44)을 통하여 컵(10)의 내부 압력과 대기 압력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컵(10)의 내부에서 음료가 배출되어 생기는 체적만큼 외부 공기가 채워짐으로써 음료가 배출될 때 배출 속도가 빠르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컵(10)에서 커버(30)를 제거하지 않고 음료를 마실 때 음료가 배출되는 유속을 빠르게 유지해 더위 갈증을 좀 더 빨리 해소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상기 아일릿(46)을 통하여 상기 커버 보디(40)에 결합한 코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60)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써, 컵(10)으로부터 커버(30)를 분리할 때에 코드(60)를 붙잡아 당길 수 있다. 즉, 컵(10)과 커버(30)를 좀 더 쉽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 2, 도 4,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보디(40)에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는 핸들(4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B 선 단면도이다.
상기 핸들(48)은 컵(10)으로부터 커버(30)를 분리할 때에 이용될 수 있고, 이로써 컵(10)과 커버(30)를 좀 더 쉽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핸들(48)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보디(4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컵 보디(12)의 바깥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핸들(48)이 컵(10)의 바깥쪽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쉽게 붙잡을 수 있고, 가장자리부터 당겨짐으로써 커버(30)의 가장자리가 휘어지면서 벗겨질 수 있어 더욱 신속하게 컵(10)과 커버(3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48)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보디(40)에서 상기 컵 보디(12)의 안쪽으로 2곳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된 부분의 사이에 핸들(48)을 붙잡을 수 있는 것으로써 그 핸들(48)을 붙잡은 상태에서 당겨 컵(10)으로부터 커버(3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48)은 도 6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보디(4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된 핸들(48)을 붙잡을 수 있는 것으로써 그 핸들(48)을 붙잡은 상태에서 당겨 컵(10)으로부터 커버(3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의 높이는 플랜지(14)로부터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음료를 마실 때 핸들(48)에 코 등의 신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컵(10)은, 상기 컵 보디(12)를 제1컵 보디(21)와 제2컵 보디(22)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컵 보디(21)는 상기 그루브(20)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4)와 가까운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컵 보디(22)는 상기 그루브(20)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4)로부터 먼 쪽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컵 보디(22)의 제2 안쪽 지름이 상기 제1컵 보디(21)의 제1 안쪽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커버(30)를 상기 그루브(20)에 삽입시켜 컵(10)을 닫을 때 커버(30)는 제1컵 보디(21)를 쉽게 통과하여 그루브(20)에 도달할 수 있지만, 제2컵 보디(22)는 쉽게 통과할 수 없어 결국 커버(30)가 그루브(20)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커버(3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을 평탄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커버(30)의 겉면에 광고를 기재할 수 있다. 상기 광고는 커버(30)에 직접 인쇄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컵(10), 상기 커버(30)는 종이, 나무, 금속, 도자기, 유리 등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고, 특히 커버(30)는 종이, 나무, 생분해성 재료 등으로 소재로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써 종래에 알려진 테이크아웃 컵에 비교하여 환경친화적인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컵은 음료를 담아 마시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컵
12: 컵 보디 14: 플랜지
20: 그루브 21, 22: 제1, 2컵 보디
30: 커버
40: 커버 보디 42: 에지
44: 아웃렛 46: 아일릿
48: 핸들 60: 코드

Claims (11)

  1. 플랜지(14)로부터 떨어진 높이에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20)가 형성된 컵(10); 및
    상기 그루브(20)에 밀착하여 수납되고, 커버 보디(40)의 가장자리가 곡면을 갖고 상측 방향으로 구부려져 에지(42)가 형성되며, 상기 에지(42)의 한쪽에 아웃렛(44)이 형성된 커버(30);
    를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은,
    상기 그루브(20)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4)와 가까운 쪽에 형성된 제1컵 보디(21); 및
    상기 그루브(20)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4)로부터 먼 쪽에 형성된 제2컵 보디(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컵 보디(22)의 제2 안쪽 지름이 상기 제1컵 보디(21)의 제1 안쪽 지름보다 작은 것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표면이 평탄하고, 상기 커버(30)의 겉면에 광고가 기재되는 것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44)은 복수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보디(40)에 구멍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아일릿(46);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릿(46)을 통하여 상기 커버 보디(40)에 결합한 코드(60);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보디(40)에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는 핸들(48);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8)은 상기 커버 보디(4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컵 보디(12)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8)은 상기 커버 보디(40)에서 상기 컵 보디(12)의 안쪽으로 2곳이 함몰되어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8)은 상기 커버 보디(4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종이 재질 또는 나무 재질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테이크아웃 컵.
KR1020180108018A 2018-09-10 2018-09-10 테이크아웃 컵 KR20200029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18A KR20200029320A (ko) 2018-09-10 2018-09-10 테이크아웃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18A KR20200029320A (ko) 2018-09-10 2018-09-10 테이크아웃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320A true KR20200029320A (ko) 2020-03-18

Family

ID=6999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18A KR20200029320A (ko) 2018-09-10 2018-09-10 테이크아웃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32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26Y1 (ko) 2002-04-26 2002-07-22 방종관 커피 분말 내장형 일회용 종이컵
KR200421585Y1 (ko) 2006-03-22 2006-07-14 김금재 컵용 기능성뚜껑
KR101140050B1 (ko) 2010-07-05 2012-05-02 최원철 혼합주 제조기
KR20130137737A (ko) 2012-06-08 2013-12-18 김재홍 빨대가 내장된 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26Y1 (ko) 2002-04-26 2002-07-22 방종관 커피 분말 내장형 일회용 종이컵
KR200421585Y1 (ko) 2006-03-22 2006-07-14 김금재 컵용 기능성뚜껑
KR101140050B1 (ko) 2010-07-05 2012-05-02 최원철 혼합주 제조기
KR20130137737A (ko) 2012-06-08 2013-12-18 김재홍 빨대가 내장된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8535B1 (en) Container lid with a food compartment and a sip-hole
US4756440A (en) Anti-spill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6883677B2 (en) Disposable drinking device
US10427858B2 (en) Insulated bottle holder
US8672163B2 (en) Reinforced paper lid
CN1302273A (zh) 用于单体饮料容器的塞子
US20140332495A1 (en) Beverage or alcohol container
GB2478503A (en) Paper cap
US20050098561A1 (en) Beverage can
WO2009146433A1 (en) Coffee cup lid
WO2019227247A1 (zh) 纸塑杯盖
US20030102312A1 (en) Disposable lid with cream and sugar port
KR20200040942A (ko) 빨대 단면부가 구비된 일체형 음용 컵 뚜껑
JP4300882B2 (ja)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EP2786944A1 (en) Beverage or alcohol container
KR20200029320A (ko) 테이크아웃 컵
TWD195294S (zh) Paper cup cover
MX2014005366A (es) Botella que incluye un cierre removible hueco.
US20160015198A1 (en) Can type container changeable to type of cup or glass
US20190127124A1 (en) Beverage Container Cover
US20040211879A1 (en) Dripless ice cube making and bagging tray
US20120318816A1 (en) Positioning device for connecting cap to cup
KR200271146Y1 (ko)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KR200489712Y1 (ko) 일회용 컵 뚜껑
US20200093301A1 (en) Anti-spill Disposable Drink through Cup L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