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146Y1 -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 Google Patents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46Y1
KR200271146Y1 KR2020020002194U KR20020002194U KR200271146Y1 KR 200271146 Y1 KR200271146 Y1 KR 200271146Y1 KR 2020020002194 U KR2020020002194 U KR 2020020002194U KR 20020002194 U KR20020002194 U KR 20020002194U KR 200271146 Y1 KR200271146 Y1 KR 200271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ixed liquor
lid
sealing member
sma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경원
Original Assignee
주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원 filed Critical 주경원
Priority to KR2020020002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46Y1/ko
Priority to PCT/KR2003/000016 priority patent/WO2003062072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65D2517/0007Location of opening in a separat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2Unusual opening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56Unus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65D2517/0062U-shaped and provided with an additional U-shaped periphera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이종의 음료를 혼합한 혼합주를 마시고자 할 때, 사용자가 간편하게 혼합주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은 원통형 본체와 그 본체 상단을 밀봉하는 뚜껑을 구비하는 캔에 있어서, 소형용기가 상기 뚜껑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뚜껑에는 제 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형용기의 상면에는 제 2개구부가 형성되며, 개봉장치가 상기 뚜껑의 제 1개구부와 상기 소형용기의 제 2개구부를 동시에 밀봉하기 위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DUAL VESSEL STRUCTURE TYPE CAN FOR MANUFACTURING BLENDING LIQUOR}
본 고안은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맥주 캔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소형용기를 장착하고 그 소형용기 내부에 맥주와 다른 술이나 음료를 충진시켜 밀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의 음료를 혼합한 혼합주를 마시고자 할 때, 사용자가 간편하게 혼합주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종의 음료(주류)를 혼합하여 마시고자 할 때, 소정 용적의 하나의 용기에 일정량의 주류를 따른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주류를 추가적으로 혼합시켜 이를 마시게 된다.
이러한 혼합주(일명, 폭탄주)는 애주가들에게는 일반적인 음용형태로 여겨지고 있으며, 그러한 혼합주에 대한 욕구도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그러나 혼합주를 만들기 위해서는 별도의 혼합용기가 필요하고 2종류 이상의 술을 어느 정도의 비율로 혼합해야 되는지를 알 수가 없어 최적의 혼합주를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대중적으로 널리 시판되고 있는 캔맥주의 경우에 있어서, 그를 이용하여 혼합주를 만들기 위해서는 별도의 혼합용기가 필요하고 다른 종류의 술도 필요한데, 일반적인 장소에서 별도의 혼합용기를 구하기가 쉽지 않고 다른 종류의 술도 한병씩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술을 구입하여 그냥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맥주외의 다른 음료나 술을 저장한 소형용기를 맥주캔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하여 언제 어느 곳에서나 간편하게 혼합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최적의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하여 맥주양에 따라 최적량의 이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을 부분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에서 개봉용 손잡이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 개봉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확대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이 작동되는 상태에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 개봉장치를 1차 개봉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 개봉장치를 2차 개봉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뚜껑 21 : 제 1절취선
23 : 제 1개구부 30 : 본체
40 : 소형용기 41 : 제 2절취선
43 : 제 2개구부 45 : 경사부
50 : 개봉장치 52 : 리벳부재
53 : 가압부재 53a : 손잡이부
53b : 가압부 55 : 제 1밀봉부재
57 : 제 2밀봉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은 원통형 본체와 그 본체 상단을 밀봉하는 뚜껑을 구비하는 캔에 있어서, 소형용기가 상기 뚜껑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뚜껑에는 제 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형용기의 상면에는 제 2개구부가 형성되며, 개봉장치가 상기 뚜껑의 제 1개구부와 상기 소형용기의 제 2개구부를 동시에 밀봉하기 위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봉장치는 손가락을 집어넣어 힘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부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로 구분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의 제 1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해 그와 동일한 형상 및 두께를 가지며, 맥주만을 음용하는 1차 개봉을 위한 설편이 형성된 제 1밀봉부재; 상기 제 1밀봉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형용기의 제 2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해 그와 동일한 형상 및 두께를 갖는 제 2밀봉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 제 1밀봉부재 및 제 2밀봉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지렛대 받침부 기능을 하기 위한 리벳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밀봉부재의 설편이 개봉될 때에, 상기 설편의 꺽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소형용기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종용기구조의 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언제 어느 곳에서나 혼합주를 간편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맥주캔의 내부에 소형용기를 더 내장시켜 필요에 따라 소형용기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혼합주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은 크게 뚜껑(20)의 내면과 접하여 원통형 본체(30)의 내부에 장착되는 소형용기(40)와 상기 뚜껑(20)과 소형용기(40)의 상면에 걸쳐 장착되는 개봉장치(50)로 이루어진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 개봉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확대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용기구조의 캔이 작동되는 상태에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에는 제 1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형용기(40)의 상면에는 제 2개구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봉장치(50)가 상기 뚜껑(20)의 제 1개구부(23)와 상기 소형용기(40)의 제 2개구부(43)를 동시에 밀봉하기 위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개구부(23)는 맥주나 혼합주를 마시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제 2개구부(43)는 맥주와 다른 이종음료를 맥주캔의 본체(30) 내부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봉장치(50)는 맥주만을 먹거나 혹은 맥주와 이종음료를 혼합한 혼합주를 먹기 위해 맥주캔을 개봉하는 장치로서, 리벳부재(52)를 사용하여 가압부재(53), 제 1밀봉부재(55) 및 제 2밀봉부재(57)를 일체로 결합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가압부재(53)는 상기 개봉장치(50)의 최상단에 위치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힘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부(53a)와 실제로 필요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압력을 기하기 위한 가압부(53b)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53)는 상기 리벳부재(52)를 받침대로 하여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1 밀봉부재(55)는 상기 가압부재(53)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20)의 제 1개구부(23)를 밀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밀봉부재(55)는 상기 제 1개구부(23)와 동일한 형상 및 두께를 가지며, 그 일측에는 설편(56)이 형성되어 있어 맥주만을 음용하는 1차 개봉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 2밀봉부재(57)는 상기 제 1밀봉부재(55)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소형용기(40)의 제 2개구부(43)를 밀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밀봉부재(57)는 상기 제 2개구부(43)와 동일한 형상 및 두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밀봉부재(55)의 설편(56)이 개봉될 때에, 상기 설편(56)의 꺽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소형용기(4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경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봉장치(50)와 상기 제 1개구부(23) 사이의 접촉부에는 제 1절취선(21)이 형성되어 있어 개봉을 용이하게 해주고, 상기 개봉장치(50)와 상기 제 2개구부(43) 사이의 접촉부에는 제 2절취선(41)이 형성되어 있어 개봉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의 작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주가 아닌 맥주만 마시기 위해서 1차 개봉을 할 때에는, 개봉장치(50)의 손잡이부(53a)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리벳부재(52)를 중심으로 하여 지렛대 작용에 의해 가압부(53b)가 제 1밀봉부재(55)의 설편(56)을 하방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설편(56)은 제 1절취선(21)의 일부를 따라 개봉되면서 본체(3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그 꺽임은 소형용기(40)의 경사부(45)에 의해 멈추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제 1개구부(23)의 일부가 개봉된 상태이고 그 개봉된 제 1개구부(23)를 통해 맥주만을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혼합주를 제조하여 마시기 위해서 2차 개봉을 할 때에는, 1차 개봉한 상태에서 손잡이부(53a)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당김력이 리벳부재(52)에 전달되고 동시에 제 1밀봉부재(55)와 제 2밀봉부재(57)에 전달되어, 결국 제 1밀봉부재(55)가 완전히 개봉되고 동시에 제 2밀봉부재(57)도 완전히 분리되어 개봉되게 된다. 상기 제 2밀봉부재(57)가 상기 소형용기(4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소형용기(40)는 그 지지점이 없어지기 때문에, 본체(30)의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제 2개구부(43)을 통해 유출되어 맥주와 혼합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맥주와 이종음료가 혼합된 혼합주를 완전히 개방된 상기 제 1개구부(23)을 통해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은 맥주캔 내부에 소형용기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고 그 소형용기 내부에 맥주이외의 이종음료를 저장하여 언제 어느 곳에서나 간편하게 혼합주를 제조할 수 있으며, 최적의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하여 맥주양에 따라 최적량의 이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원통형 본체(30)와 그 본체(30) 상단을 밀봉하는 뚜껑(20)을 구비하는 캔에 있어서,
    소형용기(40)가 상기 뚜껑(20)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원통형 본체(3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뚜껑(20)에는 제 1개구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소형용기(40)의 상면에는 제 2개구부(43)가 형성되며, 개봉장치(50)가 상기 뚜껑(20)의 제 1개구부(23)와 상기 소형용기(40)의 제 2개구부(43)를 동시에 밀봉하기 위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장치(50)는,
    손가락을 집어넣어 힘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부(53a)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53b)로 구분되는 가압부재(53);
    상기 가압부재(53)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20)의 제 1개구부(23)를 밀봉하기 위해 그와 동일한 형상 및 두께를 가지며, 맥주만을 음용하는 1차 개봉을 위한 설편(56)이 형성된 제 1밀봉부재(55);
    상기 제 1밀봉부재(55)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형용기(40)의 제 2개구부(43)를 밀봉하기 위해 그와 동일한 형상 및 두께를 갖는 제 2밀봉부재(57); 및
    상기 가압부재(53), 제 1밀봉부재(55) 및 제 2밀봉부재(57)를 일체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53)의 지렛대 받침부 기능을 하기 위한 리벳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밀봉부재(55)의 설편(56)이 개봉될 때에, 상기 설편(56)의 꺽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소형용기(4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경사부(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장치(50)와 상기 제 1개구부(23) 및 상기 제 2개구부(43) 사이의 접촉부에는 각각 제 1절취선(21)과 제 2절취선(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KR2020020002194U 2002-01-23 2002-01-23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KR200271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94U KR200271146Y1 (ko) 2002-01-23 2002-01-23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PCT/KR2003/000016 WO2003062072A1 (en) 2002-01-23 2003-01-06 Dual structure can for blending liqu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94U KR200271146Y1 (ko) 2002-01-23 2002-01-23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46Y1 true KR200271146Y1 (ko) 2002-04-09

Family

ID=3229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194U KR200271146Y1 (ko) 2002-01-23 2002-01-23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71146Y1 (ko)
WO (1) WO200306207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86B1 (ko) * 2007-05-14 2009-07-16 최원철 혼합주 제조기
KR200446392Y1 (ko) * 2007-10-12 2009-10-27 인치호 이종의 액체 혼합이 가능한 컵
KR101993213B1 (ko) 2018-11-26 2019-06-26 서주봉 이중 캔
KR102170442B1 (ko) 2019-06-03 2020-10-28 서주봉 이중 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44996C (en) 2019-12-26 2023-01-03 In-Can Llc Container with nested reservoirs for simultaneous content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2451A (en) * 1977-05-25 1978-07-25 Eli Lilly And Company Mixing vial
JPS61141263U (ko) * 1985-02-22 1986-09-01
JPH0542175U (ja) * 1991-11-05 1993-06-08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二種内容物混合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86B1 (ko) * 2007-05-14 2009-07-16 최원철 혼합주 제조기
KR200446392Y1 (ko) * 2007-10-12 2009-10-27 인치호 이종의 액체 혼합이 가능한 컵
KR101993213B1 (ko) 2018-11-26 2019-06-26 서주봉 이중 캔
WO2020111600A1 (ko) * 2018-11-26 2020-06-04 서주봉 이중 캔
KR102170442B1 (ko) 2019-06-03 2020-10-28 서주봉 이중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62072A1 (en)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783B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US8672163B2 (en) Reinforced paper lid
US9546022B2 (en) Multiple-opening container and method
US20050098561A1 (en) Beverage can
EP1585685A1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WO2009129153A1 (en) Multi-compartment fluid storage device
US20050076742A1 (en) Opener for producing hole in side of pressurized beverage can
KR200271146Y1 (ko)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KR20040107758A (ko)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KR100440593B1 (ko) 일회용 용기 뚜껑
KR101993213B1 (ko) 이중 캔
JP2004075087A (ja) ビールなどの発泡飲料缶
KR200271145Y1 (ko) 캔에 탈착가능한 혼합주 제조용기
JP4666952B2 (ja) 缶蓋
KR101104633B1 (ko) 음료용기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KR200210336Y1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KR20090036495A (ko) 조립식 수용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212959Y1 (ko) 파우치 음료용기용 스파우트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200327608Y1 (ko)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WO2004035412A1 (en) High-seal spout assembly
JP3102518U (ja) 飲料セット
WO2004048208A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