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087Y1 - 맥주캔 - Google Patents

맥주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087Y1
KR200292087Y1 KR2020020021587U KR20020021587U KR200292087Y1 KR 200292087 Y1 KR200292087 Y1 KR 200292087Y1 KR 2020020021587 U KR2020020021587 U KR 2020020021587U KR 20020021587 U KR20020021587 U KR 20020021587U KR 200292087 Y1 KR200292087 Y1 KR 200292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lid
lid portion
opener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이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호 filed Critical 이동호
Priority to KR2020020021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087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뚜껑부를 개봉하기 위한 절개선을 형성하고 이 절개선을 따라 뚜껑부를 개봉함으로써, 맥주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확장되어 맥주를 마실 때 출렁거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맥주를 따라 마시기 위한 별도의 컵이 필요없는 맥주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맥주캔은, 맥주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20)와, 뚜껑부(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따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맥주캔에 있어서, 뚜껑부(20)의 가장자리에 절개선(30)을 형성하고, 따개(40)를 절개선(30)의 안쪽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맥주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확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맥주캔{BEER CAN}
본 고안은 맥주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뚜껑부를 개봉하기 위한 절개선을 형성하고 이 절개선을 따라 뚜껑부를 개봉함으로써, 맥주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확장되어 맥주를 마실 때 출렁거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맥주를 따라 마시기 위한 별도의 컵이 필요없는 맥주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용기는 유리로 된 갈색병 내에 맥주를 주입시키고 그 상단 주입부에 뚜껑을 밀봉시켜서 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는 단지 맥주를 담아두기 위한 병의 개념에 국한된 것이어서, 맥주를 식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따개가 필요하며, 또한 맥주컵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병맥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2)의 안쪽 일부분에 절개선(3)을 형성하고 이 절개선(3) 안쪽을 뚜껑부(2)의 상면에 고정된 따개(4)를 이용해 원터치 작동에 의해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맥주캔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맥주캔의 경우, 그 뚜껑부의 일부분만을 개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부위에 입을 대고 마실 때 출렁거림이 발생하여 마시기가 불편하였으며, 그에 따라 별도의 맥주컵을 준비해서 맥주를 따라 마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맥주캔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뚜껑부를 개봉하기 위한 절개선을 형성하고 이 절개선을 따라 뚜껑부를 개봉함으로써, 맥주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확장되어 맥주를 마실 때 출렁거림을 방지하고 별도의 컵이 필요없이 그 자체로 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맥주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부를 본체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절개선 안쪽을 완전 개봉하거나, 본체 내로 밀어 넣어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맥주캔을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맥주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
도 4a, 4b는 도 2에 도시된 절개선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 8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20 : 뚜껑부
30, 30´: 절개선 40 : 따개
50, 50′: 고정부재 60 : 누름부재
본 고안에 따른 맥주캔은, 맥주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와, 뚜껑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따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맥주캔에 있어서,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절개선을 형성하고, 따개를 절개선의 안쪽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맥주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확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개선은 뚜껑부 전체가 본체의 바깥쪽으로 개봉되도록 뚜껑부의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개선은 뚜껑부가 본체 내로 개봉되도록 뚜껑부 가장자리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뚜껑부와 따개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양단에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선 안쪽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하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절개선의 안쪽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그 일단부의 상면에 따개가 좌우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맥주캔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4a, 4b는 도 2에 도시된 절개선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은, 맥주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를 밀폐하고 가장자리에 절개선(30)이 형성된 뚜껑부(20)와, 뚜껑부(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따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본체(10)와 뚜껑부(20)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상기 절개선(30)은 뚜껑부(20)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원형으로 형성되어 뚜껑부(20)의 개봉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뚜껑부(20) 전체가 개봉되도록 함으로써, 맥주를 마실 때 맥주의 토출구가 확장되어 출렁거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맥주컵이 필요없이 본체(10)만으로도 맥주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선(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또는 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따개(40)는 절개선(30)의 안쪽 가장자리에 그 일측이 고정부재(50)에 의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에 손가락이 삽입 관통되는 통공(4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따개(40)의 타측 통공(40a)에 손가락을 집어 넣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일단이 뚜껑부(20)의 가장자리를 압박하여 뚜껑부(20)의 일부가 개봉되며, 따개(40)의 타측을 쥐고 계속해서 잡아당기면 뚜껑부(20)는 본체(10)의 바깥쪽으로 완전히 개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에 따르면, 본체(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20)의 가장자리 전체에 절개선(30)을 형성하여 뚜껑부 (20) 전체를 개봉하도록 함으로써, 맥주의 토출구가 확장되어 맥주를 마실 때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가 맥주컵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맥주컵이 필요치 않다.
첨부된 도면의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부(20)의 둘레에 형성되는 절개선(30´)은 뚜껑부 둘레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따개(40)로 뚜껑부(20)의 일부를 개봉한 후 뚜껑부(20)의 상부를 손가락으로 강하게 압박하여 뚜껑부(20)를 본체(10)의 내측으로 개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뚜껑부(20)를 완전히 개봉하지 않고 일부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 8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에 따르면, 상기 뚜껑부(20)와 따개(40) 사이에는 양단에 뚜껑부(2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가압부 (61)(61′)가 수직 하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그 일측이 고정부재(50′)에 의해 절개선(30) 안쪽 가장자리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부재(60)가 개재된다.
이 때, 상기 누름부재(60)의 양단면은 절개선(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50′)로부터 근접한 그 일단부에 비해 타단부의 넓이가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따개(40)는 누름부재(60)의 일측 상면에 고정부재(50′)에 의해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따개(40)를 회동시켜 그 타측을 누름부재(60)의 일단부에 위치시킨 후 일측 통공(40a)에 손가락을 삽입한 다음 상방으로 잡아당겨 뚜껑부(20)의 일부를 개봉한 후, 계속해서 따개(40)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뚜껑부(20)는 본체 (10)의 바깥쪽으로 완전히 개봉된다.
한편, 상기 따개(40)를 반대로 회동시켜 그 타측을 누름부재(60)의 타단부에 위치시킨 후 일측 통공(40a)에 손가락을 삽입한 다음 고정부재(5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누름부재(60)의 가압부(61)에 의해 뚜껑부(20)의 일부가본체(10) 내로 개봉되고, 계속해서 같은 방향으로 따개(40)를 회동시키면 뚜껑부 (20)는 맥주의 유출통로를 더욱 확장시키면서 본체(10) 내로 더 크게 개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캔에 따르면, 양단에 뚜껑부(2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가압부(61)(61′)가 형성된 누름부재(60)를 뚜껑부(20)와 따개(40) 사이에 개재하고 결합부재(50′)를 이용해 누름부재(60)와 따개(40)를 뚜껑부(20)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가장자리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따개(40)를 회전시켜 고정부재(50′)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누름부재(60)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뚜껑부(20)의 일부를 절개한 후 따개(40)를 계속해서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뚜껑부(20)는 본체(10)의 바깥쪽으로 완전히 개봉되며, 따개(40)를 반대로 회동시켜 고정부재(50′)로부터 거리가 먼 누름부재(60)의 타단부에 위치시킨 후 고정부재(5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켜 뚜껑부(20)의 일부를 절개하고 계속해서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뚜껑부(20)는 본체(10)의 내측으로 개봉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맥주캔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맥주캔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의 주위에 절개선을 형성하여 뚜껑부 전체를 개봉시킴으로써, 맥주의 유출통로가 확장되어 맥주를 마실 때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본체가맥주컵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맥주컵이 필요치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소비자가 간편하게 맥주를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주의 소비량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Claims (6)

  1. 맥주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따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맥주캔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절개선을 형성하고, 상기 따개를 상기 절개선의 안쪽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맥주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확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뚜껑부 전체가 상기 본체의 바깥쪽으로 개봉되도록 상기 뚜껑부의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뚜껑부가 상기 본체 내로 개봉되도록 상기 뚜껑부 가장자리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와 상기 따개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양단에 상기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선 안쪽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하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절개선의 안쪽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그 일단부의 상면에 상기 따개가 좌우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캔.
KR2020020021587U 2002-07-19 2002-07-19 맥주캔 KR200292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87U KR200292087Y1 (ko) 2002-07-19 2002-07-19 맥주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87U KR200292087Y1 (ko) 2002-07-19 2002-07-19 맥주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087Y1 true KR200292087Y1 (ko) 2002-10-18

Family

ID=7312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587U KR200292087Y1 (ko) 2002-07-19 2002-07-19 맥주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0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999A (ko) 2020-09-15 2022-03-22 양정필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KR20220041625A (ko) 2020-09-25 2022-04-01 양정필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999A (ko) 2020-09-15 2022-03-22 양정필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KR20220041625A (ko) 2020-09-25 2022-04-01 양정필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015B2 (en)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JP2006520722A (ja) 飲食用容器
AU2002216027A1 (en) Closure made of a flexible plastic for containers, especially for bottles
KR200292087Y1 (ko) 맥주캔
GB2405143A (en) Expandable container stopper
KR200390444Y1 (ko) 2단 밀폐구조를 음료용기 뚜껑
KR200235808Y1 (ko) 오프너
KR200356882Y1 (ko)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갖는 마개
KR200345971Y1 (ko) 개봉탭이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음료수 캔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KR200182085Y1 (ko) 빨대를 구비하는 음료캔
KR200187704Y1 (ko) 음료용 캔의 개방구조
WO2004035412A1 (en) High-seal spout assembly
JP4926569B2 (ja) 注出栓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200381445Y1 (ko) 음료유도부재가 내장된 음료용 캔
KR200286571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175431Y1 (ko) 캔 따개
KR20000041528A (ko) 상면부에 별도의 당김고리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KR200238765Y1 (ko) 빨대가 구비된 용기용 뚜껑
KR20140126218A (ko)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KR20050032998A (ko) 개봉탭이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음료수 캔
KR200316639Y1 (ko) 재밀봉이 가능한 캔
KR20020035088A (ko) 음료용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