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571Y1 - 액체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571Y1
KR200286571Y1 KR2020020015975U KR20020015975U KR200286571Y1 KR 200286571 Y1 KR200286571 Y1 KR 200286571Y1 KR 2020020015975 U KR2020020015975 U KR 2020020015975U KR 20020015975 U KR20020015975 U KR 20020015975U KR 200286571 Y1 KR200286571 Y1 KR 200286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ece
stopper
main body
container
counterfe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020015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5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57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부에 권취단을 구비한 주입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부로 연결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덮개로 이루어진 마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제 1절취편으로 연결된 위조방지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위조방지지지편의 외측에는 제 2절취편으로 연결되고 그 끝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일면에 걸릴 수 있게 단턱부를 구비한 삽지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위조방지지지편이 손잡이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조방지지지편을 뜯지 않고서는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없어 마개의 위조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위조방지지지편을 뜯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며, 마개의 전체적인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액체용기 마개{CAP FOR A LIQUIDCAP}
본 고안은 액체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잡이부를 위조방지지지편으로 감싸도록 결합시켜 위조방지지지편을 뜯지 않고서는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없어 마개의 위조방지를 확실하게 하고, 적은 힘으로도 위조방지지지편을 뜯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며, 마개의 전체적인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 참기름, 식초 등의 액상물의 식료품은 유리나 기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용기에 담겨져 있고,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의 주입구에 마개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마개는 개폐가 용이하고 닫았을 때에는 주입구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24562호(명칭 : 액체용기 마개)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주입구(12)에 압입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2)의 내측벽 하단부에 상기 권취단(13)의 저면을 지지해 줄 수 있게 상면은 수평되게 측면은 수직되도록 걸림돌부가 형성된 결합부(미도시),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인출구(35), 상기 인출구(35)의 일측에 낮게 형성된 공기흡입구(37)로 이루어진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 연결부(40)로 연결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37)와 인출구(35)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돌부(51)와 밀폐부(52)가 형성된 덮개(50)로 이루어진 마개(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체(30)의 외주연 일측에는 위조방지턱(39)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되는 상기 덮개(5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절취편을 갖는 위조방지지지편(54)이 형성되며 이 위조방지지지편(54)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위조방지턱(39)에 끼워 고정될 수 있게 단턱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액체용기 마개는 위조방지지지편(54)이 덮개(50)의 손잡이부(58)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부(58)를 힘있게 상부로 잡아 당기면 위조방지지지편(54)이 위조방지턱(39)에서 쉽게 이탈되어 위조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었고, 뿐만 아니라 위조방지지지편(54)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마개(20)의 전체 외관이 미려하지 않으며, 또한 덮개(50)를 본체(30)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큰 힘이 요구되어 적은 힘으로는 위조방지지지편(54)이 잘 뜯어지지 않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손잡이부를 위조방지지지편으로 감싸도록 결합시켜 위조방지지지편을 뜯지 않고서는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없어 마개의 위조방지를 확실하게 하고, 적은 힘으로도 위조방지지지편을 뜯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며, 마개의 전체적인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에 권취단을 구비한 주입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부로 연결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덮개로 이루어진 마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제 1절취편으로 연결된 위조방지지지편이형성되고, 상기 위조방지지지편의 외측에는 제 2절취편으로 연결되고 그 끝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일면에 걸릴 수 있게 단턱부를 구비한 삽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마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액체용기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와 마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 102 : 주입구
103 : 권취단 110 : 마개
120 : 본체 130 : 덮개
131 : 손잡이부 140 : 위조방지지지편
141 : 제 1절취편 142 : 삽지부
142a : 단턱부 143 : 제 2절취편
150 : 연결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와 마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용기(100)와, 마개(110)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용유, 참기름, 식초 등의 액상물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것으로,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권취단(103)을 구비한 주입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110)는 용기(100)의 주입구(102)에 결합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에 연결부(150)로 연결 설치된 덮개(1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20)는 용기(100)의 주입구(102)에 압입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22)의 내측벽 하단부에는 상기 권취단(103)의 저면을 지지해 줄 수 있게 걸림돌부(1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덮개고정턱(123a)을 갖는 돌설부(123)가 돌설된 결합부(121)와, 상기 결합부(121)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인출구(124)와, 상기 인출구(124)의 일측에 낮게 형성된 공기흡입구(1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부(122a)의 상면은 수평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부(122a)의 끝단에서 하단으로는 수직부(122a-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부(122a-1)의 끝단부는 하방으로 라운딩지게 곡면부(122a-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본체(120)가 권취단(103)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잘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인출구(124)는 높고 공기흡입구(125)에 낮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인출구(124)에 오염된 내용물을 공기흡입구(125)를 통해 용기(100)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2중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본체(120)의 외주연 일측에는 제 1절취편(141)으로 연결된 위조방지지지편(1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조방지지지편(140)의 외측에는 제 2절취편(143)으로 연결되고 그 끝단이 후술할 손잡이부(131)의 일면에 걸릴 수 있게 단턱부(142a)를 구비한 삽지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130)는 상기 본체(120)에 연결부(150)로 연결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125)와 인출구(124)에 각각 결합되어 밀폐시킬 수 있게 결합돌부(133) 및 밀폐부(134)와,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고정턱(123a)에 끼워맞춤되는 환턱(13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13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위조방지지지편(140)이 감싸게 설치됨과 동시에 개방할 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3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개(110)를 용기(100)에 결합시키기 전에 상기 마개(110)의 덮개(130)를 상기 본체(12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덮개(130)의 결합돌부(133)는 상기 본체(120)의 공기흡입구(125)에 결합되고, 밀폐부(134)는 인출구(124)에 끼워 결합되며, 상기 덮개(13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환턱(136)은 상기 돌설부(123)의 덮개고정턱(123a)에 끼워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위조방지지지편(140)은 상기 손잡이부(131)를 감싸면서 고정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부(131)의 일면에 상기 위조방지지지편(140)에 형성된 삽지부(142)의 단턱부(142a)가 걸리게 된다.
상기한 덮개(130)가 본체(120)에 결합되면 상기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100)에 마개(110)를 결합시키면 된다.
즉, 상기 용기(100)의 권취단(103)에 본체(120)의 결합홈(122)을 위치시킨 다음 마개(11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곡면부(122a-2)가 권취단(103)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결합홈(122)의 외측벽이 탄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마개(110)를 하방으로 더 가압하게 되면 수직부(122a-1)가 권취단(103)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결합홈(122)에 권취단(103)이 끼워진다. 그러면, 권취단(103)의 저면에는 결합부(121)의 걸림돌부(122a) 상면이 위치하게 되어 용기(100)와 마개(1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부(122a)의 상면은 수평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어 마개(110)가 권취단(103)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부(131)를 감싸면서 설치된 위조방지지지편(140)을 손으로 밀게되면 그 힘에 의해 제 2절취편(143)이 1차로 끊어지게 되면서 삽지부(142)의단턱부(142a)가 손잡이부(131)에서 이탈되고, 상기한 제 2절취편(143)이 끊어지면 사용자는 위조방지지지편(140)의 전단부를 파지한 후 지렛대식으로 잡아 당기면 제 1절취편(141)이 끊어지게 되면서 위조방지지지편(140)은 덮개(130)에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위조방지지지편(140)이 덮개(130)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면 상기 덮개(130)의 손잡이부(131)를 잡고 상부로 잡아당겨 덮개(130)를 개봉시킨다. 그러면, 상기 덮개(130)가 개봉됨과 동시에 공기흡입구(125)로는 공기가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100)를 거꾸로 일정각도로 기울이게 되면 용기(100)에 담겨진 내용물은 인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위조방지지지편(140)이 손잡이부(131)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조방지지지편(140)을 뜯지 않고서는 손잡이부(131)를 파지할 수 없어 마개(110)의 위조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위조방지지지편(140)을 뜯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액체용기 마개에 따르면 덮개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감싸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본체에 제 1절취편과 제 2절취편으로 연결된 위조방지지지편을 형성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위조방지지지편이 손잡이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조방지지지편을 뜯지 않고서는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없어 마개의 위조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위조방지지지편을 뜯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며, 마개의 전체적인 외관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 권취단(103)을 구비한 주입구(102)가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주입구(102)에 결합되는 본체(120),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 연결부(150)로 연결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손잡이부(131)를 구비한 덮개(130)로 이루어진 마개(11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31)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120)의 외주연에 제 1절취편(141)으로 연결된 위조방지지지편(140)이 형성되고, 상기 위조방지지지편(140)의 외측에는 제 2절취편(143)으로 연결되고 그 끝단이 상기 손잡이부(131)의 일면에 걸릴 수 있게 단턱부(142a)를 구비한 삽지부(1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마개.
KR2020020015975U 2002-05-24 2002-05-24 액체용기 마개 KR200286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75U KR200286571Y1 (ko) 2002-05-24 2002-05-24 액체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75U KR200286571Y1 (ko) 2002-05-24 2002-05-24 액체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571Y1 true KR200286571Y1 (ko) 2002-08-22

Family

ID=7308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975U KR200286571Y1 (ko) 2002-05-24 2002-05-24 액체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5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25270A5 (ko)
KR200286571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425667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WO2004054888A1 (en) Pouch container with spou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200295553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JP5456374B2 (ja) 注出キャップ
KR200255384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434081Y1 (ko)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425778Y1 (ko) 위조방지를 위한 뚜껑용 마개
CN211845597U (zh) 一种可辅助取用的盖组件
JP4596419B2 (ja) 封緘式キャップ
JPH0744604Y2 (ja) ストロ−付きの飲料用容器
CN109533636B (zh) 一种翻折式盖体结构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KR20110009540U (ko) 착탈식 일체형 캡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286570Y1 (ko) 위조 방지용 캔마개
JP4080211B2 (ja) 液注出容器
KR200316253Y1 (ko)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밀폐용기
KR910007081Y1 (ko) 병마개를 부설한 유출구
KR200360690Y1 (ko) 식품용기용 뚜껑
KR200271038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