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84Y1 - 액체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84Y1
KR200255384Y1 KR2020010024562U KR20010024562U KR200255384Y1 KR 200255384 Y1 KR200255384 Y1 KR 200255384Y1 KR 2020010024562 U KR2020010024562 U KR 2020010024562U KR 20010024562 U KR20010024562 U KR 20010024562U KR 200255384 Y1 KR200255384 Y1 KR 200255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outlet
stop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010024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8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주입구에 권취단을 구비한 용기; 상기 용기에 압입 결합되고 인출구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부로 연결 설치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마개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를 금속재로 형성함으로써 빛에 의해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와 마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된 후에는 마개가 용기의 권취단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되며, 본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는 용기 내의 내용물을 꿀렁거림 없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량 배출을 위하여 인출구의 크기를 작게 하여도 내용물이 잘 배출되고, 공기흡입구를 낮게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할 때에 인출구 외부에 오염된 내용물이 용기 내부로 용이하게 회수되며, 덮개의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위조방지지지편의 유무로 내용물의 위조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등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액체용기 마개{CAP FOR A LIQUIDCAP}
본 고안은 액체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참기름 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액상물을 빛의 투과가 없는 금속재의 용기에 담겨지도록 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마개의 구조를 변경하여 마개가 용기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내용물을 소량씩 순조롭고 꿀렁거림없이 배출시키고, 오염된 내용물은 용기내로 회수하며, 위조방지가 될 수 있는 액체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 참기름, 식초 등의 액상물의 식료품은 유리나 기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용기에 담겨져 있고,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의 주입구에 마개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마개는 개폐가 용이하고 닫았을 때에는 주입구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액체용기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써, 용기와 마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00)는 식용유, 참기름, 식초 등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것으로,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주입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110)는 상기 주입구(102)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에 연결구(114)로 덮개(116)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11)는 중앙에 인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116)는 상기 본체(111)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내용물이 담겨지는 유리 및 플라스틱의 용기(100)는 빛이 투과되기 때문에 용기(100)에 담겨진 내용물이 빨리 변질 되었고, 또한 용기(100)에 담겨진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용기(100)를 기울려 내용물을 배출하려고 할 경우에 인출구(112)가 크게 형성되어 있어 인출되는 내용물의 량을 조절할 수 없어 불편하였고, 뿐만 아니라 공기가 들어가는 흡입구가 없어 내용물의 꿀렁거림이 심하게 발생하여 목표한 곳에 깨끗하게 따를 수 없었고, 인출구(112)에 남아있는 내용물에 의해 인출구가(112)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용기를 빛이 투과할 수 없는 금속재로 형성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마개의 구조를 변경하여 권취단이 있는 용기에 마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하며, 내용물을 소량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인출구 주위에 오염된 내용물이 용기내로 회수되도록 하며, 위조방지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권취단을 구비한 주입구가 형성된 용기; 상기 주입구에 압입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벽 하단부에 상기 권취단의 저면을 지지해 줄 수 있게 상면은 수평되게 측면은 수직되도록 걸림돌부가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인출구, 상기 인출구의 일측에 낮게 형성된 공기흡입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부로 연결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와 인출구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돌부와 밀폐부가 형성된 덮개로 이루어진 마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마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액체용기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와 마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액체용기에 결합된 마개의 덮개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2 : 주입구
13 : 권취단 20 : 마개
30 : 본체 31: 결합부
32 : 결합홈 32a : 걸림돌부
33 : 돌설부 33a : 덮개고정턱
35 : 인출구 37 : 공기흡입구
39 : 위조방지턱 40 : 연결부
50 : 덮개 51 : 결합돌부
52 : 밀폐부 53 : 환턱
54 : 위조방지지지편 55 : 절취편
56 : 단턱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와 마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서 액체용기에 결합된 마개의 덮개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용기(10)와, 마개(20)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10)는 도 2와 같이 식용유, 참기름, 식초 등의 액상물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것으로,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권취단(13)을 구비한 주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20)는 용기(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 연결부(40)로 연결 설치된 덮개(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30)는 용기(10)의 주입구(12)에 압입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32)의 내측벽 하단부에는 상기 권취단(13)의 저면을 지지해 줄 수 있게 걸림돌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덮개고정턱(33a)을 갖는 돌설부(33)가 돌설된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31)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인출구(35)와, 상기 인출구(35)의 일측에 낮게 형성된 공기흡입구(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부(32a)의 상면은 수평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부(32a)의 끝단에서 하단으로는 수직부(32a-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부(32a-1)의 끝단부는 하방으로 라운딩지게 곡면부(32a-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본체(30)가 권취단(13)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잘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인출구(35)는 높고 공기흡입구(37)에 낮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인출구(35)에 오염된 내용물을 공기흡입구(37)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2중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상기 덮개(50)는 상기 본체(30)에 연결부(40)로 연결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37)와 인출구(35)에 각각 결합되어 밀폐시킬 수 있게 결합돌부(51) 및 밀폐부(52)와,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고정턱(33a)에 끼워맞춤되는 환턱(5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50)의 일측 끝단에는 개방할 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8)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마개(20)의 위조방지를 위하여 상기 본체(30)의 외주연 일측에는 위조방지턱(39)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응되는 상기 덮개(5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절취편(55)을 갖는 위조방지지지편(54)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조방지지지편(54)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위조방지턱(39)에 끼워 고정될 수 있게 단턱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0)를 용기(10)에 결합시키기 전에 상기 마개(20)의 덮개(50)를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덮개(50)의 결합돌부(51)는 상기 본체(30)의 공기흡입구(37)에 결합되고, 밀폐부(52)는 인출구(35)에 끼워 결합되며, 상기 덮개(5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환턱(53)은 상기 돌설부(33)의 덮개고정턱(33a)에 끼워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위조방지지지편(54)은 상기 위조방지턱(39)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위조방지턱(39)의 저면에 상기 위조방지지지편(54)의 저면에 형성된 단턱부(56)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한 덮개(50)가 본체(30)에 결합되면 상기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10)에 마개(20)를 결합시키면 된다.
즉, 상기 용기(10)의 권취단(13)에 본체(30)의 결합홈(32)을 위치시킨 다음 마개(2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상기 곡면부(32a-2)가 권취단(13)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결합홈(32)의 외측벽이 탄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마개(20)를 하방으로 더 가압하게 되면 수직부(32a-1)가 권취단(13)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결합홈(32)에 권취단(13)이 끼워진다. 그러면, 권취단(13)의 저면에는 결합부(31)의 걸림돌부(32a) 상면이 위치하게 되어 용기(10)와 마개(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부(32a)의 상면은 수평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어 마개(20)가 권취단(13)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용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위조방지지지편(54)을 파지한 다음 상기 위조방지지지편(54)을 뜯어낸다. 그러면, 단턱부(56)가 상기 위조방지턱(39)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절취편(55)이 끊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위조방지지지편(54)은 덮개(50)에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위조방지지지편(54)이 덮개(50)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면 상기 덮개(50)의 손잡이부(58)를 잡고 상부로 잡아당겨 덮개(50)를 개봉시킨다. 그러면, 상기 덮개(50)가 개봉됨과 동시에 공기흡입구(37)로는 공기가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10)를 거꾸로 일정각도로 기울이게 되면 용기(10)에 담겨진 내용물은 인출구(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인출구(35)는 소량 배출을 위하여 작게 설치하여도 상기 공기흡입구(37)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용물은 꿀렁거림 없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되면 용기(10)를 원래상태로 세운 다음 덮개(50)를 본체310)의 상부로 닫으면 된다.
한편, 인출구(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이 상기 인출구(35)의 주위에 남아 있을 경우 이 내용물은 인출구(35)의 외주연을 따라 공기흡입구(37)로 흐르게 되고, 이 공기흡입구(37)로 유입된 내용물은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어져 잔류된 내용물에 의해 인출구(35)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액체용기 마개에 따르면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권취단을 구비한 주입구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에 압입 결합되고 인출구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부로 연결 설치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마개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와 마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내용물을 빛이 투과되지 못하는 금속재인 용기에 담겨지도록 하여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의해 인출구가 작아도 용기 내의 내용물을 꿀렁거림 없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량 배출이 용이하고, 덮개의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위조방지지지편의 유무로 내용물의 위조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인출구를 높게 형성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기흡입구를 인출구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이 인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 인출구에 오염된 내용물을 용기내로 회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권취단(13)을 구비한 주입구(12)가 형성된 용기(10);
    상기 주입구(12)에 압입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2)의 내측벽 하단부에 상기 권취단(13)의 저면을 지지해 줄 수 있게 상면은 수평되게 측면은 수직되도록 걸림돌부(32a)가 형성된 결합부(31), 상기 결합부(31)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인출구(35), 상기 인출구(35)의 일측에 낮게 형성된 공기흡입구(37)로 이루어진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 연결부(40)로 연결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37)와 인출구(35)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돌부(51)와 밀폐부(52)가 형성된 덮개(50)로 이루어진 마개(2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의 외주연 일측에는 위조방지턱(39)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되는 상기 덮개(5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절취편(55)을 갖는 위조방지지지편(54)이 형성되며 이 위조방지지지편(54)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위조방지턱(39)에 끼워 고정될 수 있게 단턱부(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마개.
KR2020010024562U 2001-08-13 2001-08-13 액체용기 마개 KR200255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62U KR200255384Y1 (ko) 2001-08-13 2001-08-13 액체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62U KR200255384Y1 (ko) 2001-08-13 2001-08-13 액체용기 마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130A Division KR20030015167A (ko) 2002-10-21 2002-10-21 액체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84Y1 true KR200255384Y1 (ko) 2001-12-20

Family

ID=7310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562U KR200255384Y1 (ko) 2001-08-13 2001-08-13 액체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278A (en) Beverage can resealing device
EP1947024B1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GB2375531A (en) Container lid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US20220371871A1 (en) Implement for Opening Sealed Beverage Lever Tab Cans, Twist Cap Bottles and Pop-Off Cap Bottles
US20060273119A1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200255384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101876962B1 (ko)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393640Y1 (ko) 밀폐용기
KR200286571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295553Y1 (ko) 액체용기 마개
JP4015373B2 (ja) 固液分離容器及び蓋体
WO2003062072A1 (en) Dual structure can for blending liquor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173348Y1 (ko) 분리가용이한위조방지용캔마개
KR101104633B1 (ko) 음료용기
KR100556572B1 (ko)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WO2004035412A1 (en) High-seal spout assembly
KR20020080520A (ko) 용기의 마개
KR19980019534U (ko)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KR20220144565A (ko) 밀폐기능을 가지는 용기 뚜껑
KR200316253Y1 (ko)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