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572B1 -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572B1
KR100556572B1 KR1020040062063A KR20040062063A KR100556572B1 KR 100556572 B1 KR100556572 B1 KR 100556572B1 KR 1020040062063 A KR1020040062063 A KR 1020040062063A KR 20040062063 A KR20040062063 A KR 20040062063A KR 100556572 B1 KR100556572 B1 KR 10055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let
inlet
air inl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672A (ko
Inventor
이수근
Original Assignee
백상호
이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호, 이수근 filed Critical 백상호
Priority to KR102004006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5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4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top or upp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본체(100)와, 용기본체(100) 상면에 형성되어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110)와, 상기 배출구(110)를 개폐시키는 배출구 덮개(120)와, 손잡이부(130)가 형성된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후면부로 부터 손잡이부(130) 내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110)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유로(140)와; 상기 손잡이부(130)측 단부와 상기 배출구(110) 사이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관통되어 유로(140)와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용기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와(150);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30)측 단부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구(150) 상면을 덮는 유입구덮개(160)와; 상기 유입구 덮개(160)의 하측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유입구 덮개(160)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유입구(150)에 삽입되는 마개(170); 그리고,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하단부를 따라 결합형성되며, 배출구 덮개(120)의 회전개폐에 의해 절개부(183)를 따라 분리되는 봉인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용기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를 형성시킴에 의해 배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이 원할하게 배출되고, 공기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유입구 덮개를 따로이 봉인할 필요없이 배출구 덮개를 이용하여 공기유입구를 봉인시킴과 동시에 유입구 덮개를 배출구 덮개가 자연스럽게 압박시킴에 의해 유입구 덮개가 폐쇄됨과 동시에 외부충격으로 부터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액체 용기 유로 공기유입 배출 덮개

Description

공기유입식 액체용기{liquid container having air inflow means}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봉인을 겸한 액체용기용통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2 - 도1의 통기구의 사용예시도.
도3 - 종래기술에 따른 액체용기의 평면도(a) 및 우측면도(b)
도4 - 종래기술에 따른 액체용기의 동작전후 단면도.
도5 -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식 액체용기의 일부절개 요부종단면도.
도6 - 배출구 덮개 및 유입구 덮개가 개방된 액체용기의 일부절개 분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본체 110 : 배출구
111 : 절단돌기 120 : 배출구덮개
121 : 오링 130 : 손잡이부
131 : 연결관 140 : 유로
150 : 공기유입구 151 : 돌출돌기
160 : 유입구덮개 162 : 함몰부
170 : 마개 180 : 봉인부재
181 : 결합봉인부재 182 : 탈락봉인부재
183 : 절개부 190 : 장석
본 발명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장 등의 액체용기가 담겨지는 액체용기에 외부로 부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킴에 의해 액체용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공기유입구 자체를 액체용기의 덮개로 봉인시키는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료로부터 각종 산업용 오일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액상의 물질들이 유통되고 있으며, 이들은 특정의 용기에 담겨져 소비자들에게 공급된다. 제품의 종류에 따라 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재질이나 크기 등이 상이하며 사용상의 편리를 위해 계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상적으로 접하게되는 액체용기로서 물통이나 간장통 등의 경우를 보면, 용기의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됨이 일반적이고 보다 나은 것으로는 상기 배출구와는 별도로 또 하나의 통기구가 갖추어진 것들이 있었다.
이러한 통기구는 나사결합된 마개이거나, 원터치식으로 가압함으로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형식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기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20-252695호의 봉인을 겸한 액체용기용 통기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상기 종래기술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사용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봉인을 겸한 액체용기용 통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관통공(1)을 가진 통기구 본체(100)와, 전기 통기구 본체(100)에 축핀(2)을 중심으로 시소작동하여 관통공(1)을 개폐자재하는 돌봉(3) 및 통기공(4)을 각각 형성한 자동판(20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통기구에 있어서, 작동판(200)의 통기공(4) 반대쪽 상면에 상향절곡부(6)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향절곡부(6)의 외주면 하측에 절취홈(7)이 형성된 봉인테(8)를 연설하여 작동판(200)이 닫힌 상태에서 통기구 본체(100)의 상주면에 재착되도록 설치하며, 통기구 본체(100)의 저면에 관통공(1)과 연통되는 삽지관(9)을 하향 돌설시켜 이의 하단에 상광하협한 형상의 걸림돌기(10)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을 겸한 액체용기용 통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구는 액체용기의 손잡이부 외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작동판을 가압함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통기구가 외측으로 돌출 되어짐으로써 이동시나 부주의 하게 되면 상기 작동판을 가압하게 되고 결국 봉인테의 결합이 해제되어 봉인테가 갖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둘째, 상기 통기구가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뜻하지 아니한 충격으로 파손의 우려를 안고 있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셋째, 상기 통기구를 따로이 봉인하여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제작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278617호에 본 발명의 발명자가 등록한 액체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본체(10)의 상단에 주출구(11)와 손잡이부(12)가 구비되는 액체용기에 있어서,
손잡이부(12) 후단부에 절곡단(25)을 이루면서 좌우로 관통되고 일측면에 액체용기 내부로 통하는 유로(29)가 형성되는 결합홀(20)과, 상기 결합홀(20)에 삽입되며 일측단부가 개구되도록 중심부는 빈공간을 이루게되며 상기 유로(29)에 대응하는 측면에 두개소의 유입구(38)가 구비되고, 개구된 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개폐바아(30)와, 직경이 상이한 봉인테(40a)와 캡(40b)이 결합돌기(41)에 의해 연결되어지며 상기 캡(40b)의 내경면에는 상기 개폐바아(30)의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42)이 구비되어 결합됨으로서 상기 봉인테(40a)의 단부에 구비되는 또 다른 결합돌기(41)가 결합홀에 형성되는 절곡단과 맞닿으면서 고정결합되는 스토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봉인기능과 용기 내부로의 공기유입도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스토퍼에 따로이 봉인테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의 후단부에 결합홀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됨과 동시에 개폐바아와 스토퍼가 외부로 돌출됨에 의해 외부의 충격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를 형성시킴에 의해 배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이 원할하게 배출되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공기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유입구 덮개를 따로이 봉인할 필요없이 배출구 덮개를 이용하여 공기유입구를 봉인시키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입구 덮개를 배출구 덮개가 자연스럽게 압박시킴에 의해 유입구 덮개가 패쇄됨과 동시에 외부충격으로 부터 보호되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용기본체 상면에 형성되어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 덮개와, 손잡이부가 형성된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부로 부터 손잡이부 내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유로와; 상기 손잡이부측 단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관통되어 유로와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용기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측 단부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배출구 덮개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구 상면을 덮는 유입구덮개와; 상기 유입구 덮개의 하측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유입구 덮개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유입구에 삽입되는 마개; 그리고,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덮개의 하단부를 따라 결합형성되며, 배출구 덮개의 회전개폐에 의해 절개부를 따라 분리되는 봉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의 공기유입구 인접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 덮개의 하측에는 상기 돌출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맞춤 결합되고, 상기 봉인부재는, 상기 배출구 덮개의 하단부인접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봉인부재와; 상기 결합봉인부재의 내측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절개부에 의해 상기 결합봉인부재와 결합되어 배출구덮개의 회전개폐에 의해 상기 결합봉인부재로 부터 탈락되는 탈락봉인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 덮개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출구 단부와 접촉되어 용액의 무단외부누출을 방지시키는 오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를 형성시킴에 의해 배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이 원할하게 배출되고, 공기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유입구 덮개를 따로이 봉인할 필요없이 배출구 덮개를 이용하여 공기유입구를 봉인시킴과 동시에 유입구 덮개를 배출구 덮개가 자연스럽게 압박시킴에 의해 유입구 덮개가 폐쇄됨과 동시에 외부충격으로 부터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식 액체용기의 일부절개 요부종단면도이고, 도6은 배출구 덮개 및 유입구 덮개가 개방된 액체용기의 일부절개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식 액체용기는 크게 용기본체(100)와, 배출구(110)와, 배출구덮개(120)와, 손잡이부(130)와, 유로(140)와, 공기유입구(150)와, 유입구덮개(160)와, 마개(170)와, 봉인부재(180)로 구성된다.
먼저 용기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직육면체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배출구(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0)에 충전된 용액이 배출구(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바, 배출구(110)만 형성되는 경우 배출구(110)를 통하여 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에 용액의 꿀렁거림 현상이 발생되어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바, 용액이 꿀렁거리지 않음과 동시에 원할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본발명의 주된 요점이다.
상기 배출구(110)의 외표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배출구덮개(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결합됨에 의해 배출구 덮개(120)가 배출구(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10)의 외표면에는 후술하는 절개부(183)를 절단시키는 절단돌기((111)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중앙부에서 후면부측으로 연결되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면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30)의 전단부는 관형상의 연결관(131)과 연결되 어 상기 배출구(110)측과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31)은 손잡이부(130)측에서 배출구(110)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관(131)측으로 유입된 용액이 자연스럽게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130)와 연결관(131)과 배출구(110)측이 상호간에 연통됨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 후면부로부터 손잡이부(130)를 통하고 연결관(131)을 통하고 배출구(110)측의 측면으로 연결된 유로(14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덮개(120)는 하부가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배출구(110)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상부 하면에는 링형상의 오링((121)이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 덮개(120)가 배출구(1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오링(121)이 상기 배출구(110)의 상단부에 접촉됨에 의해 용기본체(110)에 충전된 용액이 외부로 무단 누출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하단부 인접부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봉인부재(180)가 형성되는 바, 상기 봉인부재(180)는 배출구 덮개(120)를 최초로 개방하느냐 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 크게 결합봉인부재(181)와, 탈락봉인부재(182)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봉인부재(18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폭을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덮개(120)의 하단부에 접착됨과 동시에 내주면을 따라 접촉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탈락봉인부재(182)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봉인부재(181)의 배출구 덮개(120) 내부측 단부를 따라 절개부(183)에 의해 상기 결합봉인 부재(18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 덮개(120)를 나사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배출구(110)에 외표면에 형성된 절단돌기(111)에 상기 탈락봉인부재(182)가 걸림됨에 의해 상기 탈락봉인부재(182)가 상기 결합봉인부재(181)로 부터 탈락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유입구(150)는 상기 손잡이부(130)의 전단부에 형성된 연결관(131)에 형성되는 바, 상기 공기유입구(150)는 하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31)측의 유로(140)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구(150)를 통하여 유로(14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용기본체(100)로 유입되어 용기본체(100)의 용액이 배출구(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배력으로 작용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150) 인접부 연결관(131)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15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유입구 덮개(160)의 함몰부(162)와 결합된다.
상기 유입구덮개(16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인접부가 상기 손잡이부(130)에 장석(190)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50) 상측을 덮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 덮개(120)가 상기 배출구(110)에 결합되는 경우, 유입구덮개(160)의 상면은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단부에 접촉됨에 의해 배출구 덮개(120)가 상기 유입구덮개(160)를 누름하여 상기 유입구덮개(160)가 상기 공기유입구(150)에 안정되게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 덮개(160)의 하부면에는 상기 돌출돌기(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162)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 덮개(160)가 공기유입구(150)를 덮는 경우, 상기 돌출돌기(151)와 함몰부(162)가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 덮개(16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원주형상의 마개(170)가 형성되어 상기 마개(170)가 상기 공기유입구(150)를 개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덮개(160)는, 상기 배출구덮개(120)가 배출구(110)에 결합잠금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단부의 가압력에 의해 공기유입구(150)를 외부로 부터 폐쇄시키는 바, 유입구 덮개(160)측에 따로이 봉인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충전된 용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배출구 덮개(120)를 개방시켜야 하는 바, 상기 배출구 덮개(120)를 나사회전시키면 상기 탈락봉인부재(182)가 상기 절단돌기(111)에 걸림되어 상기 절개부(183)를 따라 절개되고, 상기 결합봉인부재(181)로 부터 탈락되어 상기 배출구덮개(120)는 상기 배출구(110)로 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유입구덮개(160)를 장석(190)을 회동축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유입구덮개(160)에 형성된 마개(170)가 공기유입구(150)로 뿌터 빠져나와 공기유입구(150)가 개방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배출구(110)를 통하여 용기본체(100)에 충전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는 바, 상기 용기본체(100)를 기울이게 되면 상기 공기유입구(150)를 통하여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구(150)로 유입되어 용기본체(100) 내 부로 출입하게 되며, 용기본체(100)로 유입된 공기가 용액에 배력으로 작용하게되어 용액이 배출구(110)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된다.
용액이 일정량 배출되면 사용자는 용기본체(100)를 잠그어야 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유입구 덮개(16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마개(170)가 상기 공기유입구(150)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돌기(151)와 함몰부(162)가 결합되어 유입구덮개(160)가 상기 공기유입구(150)를 막은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탈락봉인부재(182)가 탈락된 배출구 덮개(120)를 상기 배출구(110)와 나사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배출구(110)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하단부는 상기 유입구덮개(160)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배출구 덮개(120)가 배출구(11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유입구덮개(160)가 상기 공기유입구(150)를 안정되게 폐쇄시키게 되어 용액의 무단 외부누출은 원척적으로 방지된다.
이때, 상기 유로(140)측에 일부 유입된 용액은 상기 유로(140)의 연결관(131)측 하향경사면을 따라 배출구(110)측면으로 흘러 용기본체(100) 내부로 재유입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용기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를 형성시킴에 의해 배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이 원할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기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유입구 덮개를 따로이 봉인할 필요없이 배출구 덮개를 이용하여 공기유입구를 봉인시키므로 작업이 번거롭지 않고 경제적이 라는 효과가 또한 있다.
또한, 유입구 덮개를 배출구 덮개가 자연스럽게 압박시킴에 의해 유입구 덮개가 패쇄됨과 동시에 외부충격으로 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용기본체(100)와, 용기본체(100) 상면에 형성되어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110)와, 상기 배출구(110)를 개폐시키는 배출구 덮개(120)와, 손잡이부(130)가 형성된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후면부로 부터 손잡이부(130) 내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110)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유로(140)와;
    상기 손잡이부(130)측 단부와 상기 배출구(110) 사이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관통되어 유로(140)와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용기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와(150);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30)측 단부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구(150) 상면을 덮는 유입구덮개(160)와;
    상기 유입구 덮개(160)의 하측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유입구 덮개(160)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유입구(150)에 삽입되는 마개(170); 그리고,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하단부를 따라 결합형성되며, 배출구 덮개(120)의 회전개폐에 의해 절개부(183)를 따라 분리되는 봉인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공기유입구(150) 인접부에는 상측으 로 돌출된 돌출돌기(15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 덮개(160)의 하측에는 상기 돌출돌기(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162)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맞춤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재(180)는,
    상기 배출구 덮개의 하단부인접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봉인부재(181)와;
    상기 결합봉인부재(181)의 내측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절개부(183)에 의해 상기 결합봉인부재(181)와 결합되어 배출구덮개(120)의 회전개폐에 의해 상기 결합봉인부재(181)로 부터 탈락되는 탈락봉인부재(18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덮개(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출구(110) 단부와 접촉되어 용액의 무단외부누출을 방지시키는 오링(1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KR1020040062063A 2004-08-06 2004-08-06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KR10055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063A KR100556572B1 (ko) 2004-08-06 2004-08-06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063A KR100556572B1 (ko) 2004-08-06 2004-08-06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62U Division KR200323946Y1 (ko) 2003-06-04 2003-06-04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672A KR20040074672A (ko) 2004-08-25
KR100556572B1 true KR100556572B1 (ko) 2006-03-06

Family

ID=3736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063A KR100556572B1 (ko) 2004-08-06 2004-08-06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657A (zh) * 2017-04-18 2017-07-25 淮阴工学院 烟窗式换气藻类运输桶
CN107054812A (zh) * 2017-04-18 2017-08-18 淮阴工学院 烟窗式换气藻类运输桶的桶盖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657A (zh) * 2017-04-18 2017-07-25 淮阴工学院 烟窗式换气藻类运输桶
CN107054812A (zh) * 2017-04-18 2017-08-18 淮阴工学院 烟窗式换气藻类运输桶的桶盖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672A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JP3184024U (ja) 栓およびその栓を備えた容器
KR100556572B1 (ko)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KR200323946Y1 (ko)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KR200444121Y1 (ko) 용기 마개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JP509000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869914B2 (ja) 容器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5785060B2 (ja) 混合容器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KR200278617Y1 (ko) 액체용기
JP6776594B2 (ja) 注出機構付きキャ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
JP3737398B2 (ja) 注ぎ口部材及び容器
JPS6348540Y2 (ko)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0383177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KR200347140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JP5785059B2 (ja) 混合容器
KR200487556Y1 (ko) 포장 용기
JP2002347855A (ja) 混合分配容器
KR200339902Y1 (ko) 유량조절용 이중마개
KR200241999Y1 (ko) 혼합식 화장품 용기
KR20030027931A (ko) 음료용기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