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931A - 음료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931A
KR20030027931A KR1020030017809A KR20030017809A KR20030027931A KR 20030027931 A KR20030027931 A KR 20030027931A KR 1020030017809 A KR1020030017809 A KR 1020030017809A KR 20030017809 A KR20030017809 A KR 20030017809A KR 20030027931 A KR20030027931 A KR 20030027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upport pipe
pipe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사도
Original Assignee
한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사도 filed Critical 한사도
Priority to KR102003001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7931A/ko
Publication of KR2003002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65D81/3288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e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격벽에 의해 구분된 저장실을 갖는 음료용기가 안출되어 있으나, 하나의 마개로부터 선택적인 음용이나 브랜딩(혼합)음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8 과 같이, 마개에 밸브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선택적으로 음료수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밸브수단은 마개베이스에 지지파이프가 형성되고 이 지지파이프에서 이동되는 밸브바디가 압착되어 설치되며, 밸브바디의 저부에는 격벽에 의해 구분된 각각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압착패널이 형성되어 밸브바디를 이동시켜 압착패널의 개폐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선택적인 음용 또는 브랜딩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의 마개{Bottle Cap}
본 발명은 음료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로 구분되어 음료물이 충진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선택적인 음용 또는 브랜딩(혼합)음용이 가능하도록 유로조절밸브의 역할을 하는 음료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음료용기가 개발되어 왔으며, 그 예로써 이중의 격벽을 두어 다수의 음료수를 저장하는 음료용기나 나사결합된 병마개를 돌려서 개방하지 않고 원터치 식으로 개폐시키는 병마개가 안출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의 것으로, 이중 음료수 용기(출원번호 20-1992-0017338)나 이중용기(출원번호 20-2001-0020913)는 음료용기를 격벽으로 수직분할하여 여기에 음료수가 구분되어 저장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시도면 도 1 은 상기 이중용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것은 용기(1)를 격벽(3)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단일 뚜껑(2)을 끼움시켜서 구분된 배출구로부터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음료를 마실때 하나의 두껑(2)으로 각각의 용기(1)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거나 다른 그릇에 담을 때는 일측의 두껑(2)을 열고 또 다른 타측의 두껑(2)은 손으로 고정시켜서 두껑(2)의 완전 개방 없이 각각의 음료를 인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의 것으로, 예시도면 도 2 는 병마개(출원번호 10-1996-0077035)를 나타낸 것으로, 병의 목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 중앙의 돌출구(4)를 중심으로 링상의 배출공을 가지는 고정마개(5)와 이 고정매개(5) 상부 외주연에 내주연이 긴밀히 유착되어 일정구간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돌출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이동마개(6) 및 고정마개(5)와 이동마개(6)를 동시에 상부에 덮는 외부덮개(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병마개를 통해 용기의 개폐가 용이해 지는 것이며, 기존과는 달리 병마개를 돌려서 개방시킬 필요가 없어 음용이 간편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된 저장실이 구분된 음료용기나 병마개를 통하여 선택적인 음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병마개는 하나의 음료수가 저장되는 음료용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의 음료수가 저장된 음료용기에 적용되지 못하며, 이를 적용시킬 경우 음료수가 단순히 혼합되어 토출될 뿐이다.
이를 통해 구분된 저장실을 갖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음료수의 선택적 음용이 곤란한 것이다.
한편, 구분된 저장실을 갖는 음료용기는 선택적인 음용을 위한 병마개의 개폐가 불편하다.
상기된 종래의 것을 살펴보면 이중용기는 선택적인 음용을 위해 마개를 열고 뚜껑을 손으로 잡고 일측의 저장실을 폐쇄시킨 다음 개방된 배출구로부터 음용을 하여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하며 빨대를 사용하더라도 마개나 뚜껑의 개방은 그 사용이 불편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구분된 저장실을 갖는다 하더라도 그 사용이 불편하여 민감한 소비자의 취향에 마추기 어려웠던 것이다.
더욱이, 서로 다른 성질의 음료수를 혼합하여 새로운 맛을 내는 브랜딩의 경우 상기된 격벽으로 구분된 음료용기의 토출구로는 그 수행이 곤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격실로 구분되어 다수의 음료수가 저장되는 음료용기에 적용되어 하나의 마개로부터 선택적으로 음용이 가능하고, 또한 취향에 마추어 음료수의 브랜딩 토출이 가능한 음료용기 마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마개에 밸브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선택적으로 음료수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밸브수단은 마개베이스에 지지파이프가 형성되고 이 지지파이프에서 이동되는 밸브바디가 압착되어 설치되며, 밸브바디의 저부에는 격벽에 의해 구분된 각각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압착패널이 형성되어 밸브바디를이동시켜 압착패널의 개폐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선택적인 음용 또는 브랜딩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격벽으로 구분된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설명도,
도 2 는 종래 마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마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그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절개사시도,
도 4 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5 는 제 1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마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그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절개사시도,
도 7 은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8 은 제 2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음료용기,12 - 격벽,
14,14' - 토출구,16,16' - 저장실,
18 - 마개베이스,20 - 지지파이프,
22 - 밸브수단,24,50 - 밸브바디,
26 - 압박테두리,28,52 - 밸브파이프,
30 - 커버,32 - 요철부,
34,34' - 스톱퍼,36 - 파지돌기,
38 - 차단벽,40,54 - 압착패널,
42,58 - 유입구,44 - 유도실,
46 - 턱부,48 - 테이퍼면,
56 - 폐쇄패널,60 - 가이드돌기,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구분된 음료용기로부터 사용자의 임의에 따른 선택적인 음용이 가능한 병마개를 제공하며,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병마개에 유로조절을 수행하는 밸브수단을 장착하여 구분된 저장실이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5 에서와 같이 격벽(12)으로 분할되어 구분된 토출구(14)(14')와 저장실(16)(16')을 갖는 음료용기(10)에 이 음료용기(10)의 토출구 외주와 나사결합되는 마개베이스(12)가 마련되고 이 마개베이스(18)에 지지파이프(20)가 형성되며, 이 지지파이프(14)를 매개로 상기 음료용기(10)의 구분된 저장실(16)(16')로부터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밸브수단(22)이 마개베이스(12)에 설치된 음료용기 마개이다.
상기 밸브수단(22)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로 구분되며,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마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그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절개사시도이고, 예시도면 도 4 는 제 1 실시예의 단면설명도이며, 예시도면 도 5 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상기 밸브수단(22)은 지지파이프(20)에 격벽(12)의 연장선상으로 이격거리를 두어 차단벽(3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20)에 상기 차단벽(38)에 의해 직선왕복되는 밸브바디(24)가 토출구(14)(14') 마다 각각 설치되어지되, 상기 밸브바디(24)는 상기 지지파이프(20)의 압박테두리(26)에 의해 밀폐되는 밸브파이프(28)와 지지파이프(20)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30)로 구분되어, 커버(30)와 지지파이프(20) 사이에는 밸브바디(24)의 이탈이 방지되게 서로 맞물리는 스톱퍼(34)(34')가 각각 형성되고, 커버(30)의 선단에는 파지돌기(36)가 형성되는 한편, 밸브파이프(28)의 저부에는 음료용기(10)의 격벽(12)과 토출구(14)(14')의 내주면에 압착되는 압착패널(4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파이프(28)의 측부에는 압착패널(40)의 이탈에 의한 토출구(14)(14') 개방시 밸브파이프(28)의 내측으로 음료수가 유입되게 유입구(42)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입구(42)와 지지파이프(20) 사이에는 상기 압착패널의 개방시 유입구(42)와 연결되는 유도실(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지지파이프(20)는 마개베이스(18)에서 회전 가능하게 요철부(32)를매개로 마개베이스(18)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기본적으로 후술되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밸브수단(22)이 지지파이프(20)를 매개로 마개베이스(18)에 설치되는데, 밸브파이프(28)와 커버(30)가 일체로 성형된 이중벽의 파이프로 밸브바디(24)가 이루어진다.
이 이중벽에 지지파이프(20)가 삽입되어 섭동되면서 밸브바디(24)의 승강이 보유지지되며, 지지파이프(20)와 밸브바디(24) 내벽 사이에서의 음료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파이프(20)에 패킹의 역할을 하는 압박테두리(26)가 형성된다.
도시된 것은 압박테두리(26)가 지지파이프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압박테두리(26)의 형상이나 상하배열위치 역시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두며, 후술되는 제 2 실시예 역시 마찬가지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음료용기(10)의 구분된 저장실(16)(16')이라 함은 수직격벽에 의해 구분된 저장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 두개의 저장실에 국한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해 두개를 초과하는 다수의 저장실에도 그 적용이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제 1 의 실시예는 구분된 각 저장실(16)(16')에 각각 별도로 작동되는 밸브바디(24)가 설치된 것이며, 이를 위한 밸브바디(28)는 격벽(12)의 연장선상에 따른 차단벽(38)으로 구분되어지고, 각 밸브파이프(28)의 저부에 압착패널(40)이 형성된다.
압착패널(40)은 음료용기(10)의 토출구(14)(14')에 삽입압착되어 음료용기를 밀폐시키며, 상기 밸브바디(24)의 승강에 의한 압착패널(40)의 삽입 이탈에 의해토출구(14)(14')가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압착패널(40)에는 토출구(14)(14')로의 삽입에 한계를 제공하고 격벽(12)과 맞물려 밀폐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턱부(46)가 각각 분할되어 형성된다.
또한, 압착패널(40)에는 음료용기 토출구(14)(14')로의 삽입압착이 유도되기 위해 테이퍼면(4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14)(14')로부터 압착패널(40)의 이탈시, 즉 토출구(14)(14') 개방시 음료수 유입을 위해 밸브파이프(28)에는 유입구(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치에서 음료수의 유입유도를 위해 지지파이프(20)의 내벽이 굴곡되어 유도실(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실(44)을 통해 밸브파이프(28)의 내부로 음료수가 유입되며, 이때 상기 압박테두리(26)는 밸브파이프(28) 외주를 밀봉시켜 밸브파이프(28)와 지지파이프(20)의 미세틈세로 음료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그리고, 밸브바디(24)의 사용을 위해 커버(30)에는 파지돌기(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바디(24)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유입구(42)와 유도실(44)의 위치를 부합시키 위해 밸브바디의 이동경로 한계를 제공하는 스톱퍼(34)(3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부재는 서로 마찰되므로 밸브바디(24)의 개방이 헐겁지 않으며,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킹수단은 재질이 부여하는 압착에 따른 마찰에 의해 내제되어 있는 것이다.
즉, 도면상의 설명을 위하여 부재를 이루는 각 파이프는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 파이프의 면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특히 압박테두리와 같은 돌출부재가 파이프면을 밀봉시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밸브의 개방을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수단등의 마련이 필요없으며, 공차등에 의해 개방의 헐거움이 예상될 때, 이것이 보완됨이 바람직하데, 이러한 보완은 마찰을 유지시키는 일반적인 수단으로 보완될 사항이다.
한편, 제 1 실시예에서 지지파이프(20)는 마개베이스(18)에 회전가능하게 요철부(32)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밸브바디(24)의 최초위치설정이 용이해 진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음료용기의 사용전 포장상태는 밸브바디(24)가 모두 개방된 위치이고, 토출구(14)(14')는 일반적인 접착캡(미도시)에 의해 밀봉된 상태며, 밸브바디(24) 외측으로는 별도의 캡(미도시)에 의해 포장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캡을 탈거한 다음 마개베이스(18)를 열고 접착캡을 뜯어낸 후 다시 마개베이스(18)를 닫고 각각의 밸브바디(24)를 토출구(14)(14')에 압착시킨 다음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음료용기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상기 마개베이스(18)나 밸브바디(24) 등은 압착을 위해 재질상 탄성변형이 부여된 수지재질이므로, 마개베이스(18)를 닫을때 공차에 의해 밸브바디(24)의 턱부(46)가 격벽(12)과 일치하는 선상에 놓이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때, 지지파이프(20)를 돌려 그 위치의 수정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위치조절 후 밸브바디(24)를 통해 음료용기를 밀폐시키고 임의에 따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된 바와 같이 캡과 접착캡을 제거하고 마개베이스와 함께 밸브바디를 재장착 한 후 일측의 저장실(16)로부터의 음용을 위해 해당 밸브바디를 들어 올리게 되면, 압착패널(40)이 토출구(14)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14)와 유도실(44)이 개방되며, 유도실(44)로 유입된 음료수는 개방된 밸브파이프(28)의 유입구(42)로 진입되고, 뒤이어 사용자는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다른 하나의 밸브파이프(28)는 그 차단벽(38)과 격벽(12)에 의해 타측 토출구(14')를 폐쇄시키고 있는 것이며, 도 5a 및 도 5b 와 같이 일측 토출구(14)와 타측 토출구(14')의 선택적 개방에 의해 선택된 음용이 가능하다.
양측의 토출구(14)(14')를 모두 개방시키는 경우, 도 5c 와 같이 압착패널(40)의 저부와 격벽(12) 사이의 공간이 음료수의 혼합부 역할을 하게 되며, 이 공간에서 음료수가 혼합되어 각각의 밸브바디를 거쳐 토출되므로 브랜딩 음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마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그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절개사시도이고, 예시도면 도 7 은 제 2 실시예의 단면설명도이며, 예시도면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제 2 의 실시예로서 밸브수단(22)은 지지파이프(20)에 내접되어 직선왕복운동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밸브바디(50)가 설치되며, 이 밸브바디(50)는지지파이프(20)의 압박테두리(26)에 의해 밀폐되는 밸브파이프(52)와 지지파이프(20)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30)로 구분되어, 커버(30)와 지지파이프(20) 사이에는 밸브바디(50)의 이탈이 방지되게 서로 맞물리는 스톱퍼(34)(34')가 각각 형성되고, 커버(30)의 선단에는 파지돌기(3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밸브파이프(52) 저부에 상기 음료용기(10)의 격벽(12)을 중심으로 일측 토출구(14)에 삽입압착되는 압착패널(54)이 형성되고, 이 압착패널(54)에는 일체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타측 토출구(14')에 삽입압착되는 폐쇄패널(56)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패널(54)에는 일측 토출구(14)로의 삽입압착시 격벽(12)의 측면에 의해 폐쇄됨과 더불어 상기 단차에 의해 격벽(12)에서 노출되면서 타측 토출구(14')와 연결되는 유입구(58)가 형성되고, 또한 이 유입구(58)는 밸브파이프(52)의 내부와 연결되는 한편, 지지파이프(20)에는 타측 토출구와 유입구로의 상기 연결과 압착패널(54)의 완전이탈에 따른 모든 토출구(14)(14') 개방의 경계거리가 제공되도록 상기 스톱퍼(34)와 간섭되는 가이드돌기(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밸브바디(50)의 회전과 승강에 의해 선택적으로 토출구(14)(14')가 개방되도록 한 것으로, 하나의 밸브파이프를 통해 이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스톱퍼(34)(34')나 파지돌기(36) 및 테이퍼면(48) 등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밸브파이프(52) 저부에 하나의 압착패널(54)이 설치되어 일측 토출구(14)는 압착패널(54)의 삽입압착으로 밀폐되고, 타측토출구(14')는 폐쇄패널(56)의 압착에 의해 밀폐되어지되, 압착패널(54)과는 단차지게 삽입압착되어 있다.
그리고, 압착패널(54)과 폐쇄패널(56) 사이의 단차의 경계에는 격벽(12)과 맞물리는 턱부(46)가 형성되어 압착패널(54)이 어느 일측의 토출구(14)에 정확히 삽입압착되며, 압착패널(54)과 폐쇄패널(56)의 단차 사이에 유입구(5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차는 상기 유입구(58)의 개방을 위한 이격거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압착패널(56)이 상승되어 유입구(58)가 격벽(12) 위로 노출되면 일측 토출구(14)가 폐쇄된 상태에서 타측 토출구(14')와 유입구(58)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타측 토출구(14')로부터 음료수가 밸브파이프(52)로 유입되는 것이며, 유입구(58)와 타측 토출구(14')는 가이드돌기(60)에 의해 그 위치가 보유지지된다.
즉, 가이드돌기(60)는 지지파이프(20)에 형성되어 스톱퍼(34)와 간섭됨으로써, 밸브바디(50)의 상승경로를 제한시켜, 유입구(58)만을 타측 토출구(14')로 노출시키고 압착패널(54)의 저부는 일측 토출구(14)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일측 토출구(14)로부터의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하여는 가이드돌기(60)를 굴복시켜 압착패널(54)을 완전히 일측의 토출구(14)에서 이탈시킨 다음, 타측 토출구(14')에 압착패널(54)을 삽입시키면 일측 토출구(14)로부터의 음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압착패널(54)을 이탈시킨 후 90°정도 회전시키게 되면 토출구(14)(14')에 대해 유입구(58)가 모두 개방된 상태이므로, 브랜딩 음용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더욱이, 회전에 의해 밸브바디(50)를 개폐하는 경우 밸브바디(50)의 회전위치에 따라 각 저장실(16)(16')로의 유입구 개도량이 달라진다.
이에 의해 블랜딩의 양이 달라지므로, 사용자 취향에 따른 혼합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두개 이상의 토출구와 저장실이 마련될 경우 하나의 밸브바디로서 다수의 저장실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 2 실시예는 밸브파이프(28)가 일체형이고 그 회전에 의한 선택적 음용이 수행되는 것이므로, 제 1 실시예와 달리 지지파이프(20)와 마개베이스(18)가 일체형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를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가이드돌기에 의해 압착패널이 일측 토출구를 폐쇄하면서 유입구만을 타측 토출구와 연결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도 8a 및 도 8b 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선택적인 음용이 가능하며, 8c 와 같이 압착패널을 완전히 이탈시킨 후 밸브바디를 회전시키게 되면 유입구가 토출구와 모두 연결되고 이에 의해 브랜딩 음용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수단이 설치된 마개가 마련되어 격벽으로 구분된 음료용기로부터 선태적인 음용이나 브랜딩음용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격벽(12)으로 분할되어 구분된 토출구(14)(14')와 저장실(16)(16')을 갖는 음료용기(10)에 이 음료용기(10)의 토출구 외주와 나사결합되는 마개베이스(18)가 마련되고 이 마개베이스(18)에 지지파이프(20)가 형성되며,이 지지파이프(20)를 매개로 상기 음료용기(10)의 구분된 저장실(16)(16')로부터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밸브수단(22)이 마개베이스(18)에 설치된 음료용기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수단(22)은 밸브수단(22)은 지지파이프(20)에 격벽(12)의 연장선상으로 이격거리를 두어 차단벽(3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20)에 상기 차단벽(38)에 의해 직선왕복되는 밸브바디(24)가 토출구(14)(14') 마다 각각 설치되어지되, 상기 밸브바디(24)는 상기 지지파이프(20)의 압박테두리(26)에 의해 밀폐되는 밸브파이프(28)와 지지파이프(20)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30)로 구분되어, 커버(30)와 지지파이프(20) 사이에는 밸브바디(24)의 이탈이 방지되게 서로 맞물리는 스톱퍼(34)(34')가 각각 형성되고, 커버(30)의 선단에는 파지돌기(36)가 형성되는 한편, 밸브파이프(28)의 저부에는 음료용기(10)의 격벽(12)과 토출구(14)(14')의 내주면에 압착되는 압착패널(4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파이프(28)의 측부에는 압착패널(40)의 이탈에 의한 토출구(14)(14') 개방시 밸브파이프(28)의 내측으로 음료수가 유입되게 유입구(42)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입구(42)와 지지파이프(20) 사이에는 상기 압착패널의 개방시 유입구(42)와 연결되는 유도실(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수단(22)은 지지파이프(20)에 내접되어 직선왕복운동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밸브바디(50)가 설치되며, 이 밸브바디(50)는 지지파이프(20)의 압박테두리(26)에 의해 밀폐되는 밸브파이프(52)와 지지파이프(20)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30)로 구분되어, 커버(30)와 지지파이프(20) 사이에는 밸브바디(50)의 이탈이 방지되게 서로 맞물리는 스톱퍼(34)(34')가 각각 형성되고, 커버(30)의 선단에는 파지돌기(3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밸브파이프(52) 저부에 상기 음료용기(10)의 격벽(12)을 중심으로 일측 토출구(14)에 삽입압착되는 압착패널(54)이 형성되고, 이 압착패널(54)에는 일체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타측 토출구(14')에 삽입압착되는 폐쇄패널(56)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패널(54)에는 일측 토출구(14)로의 삽입압착시 격벽(12)의 측면에 의해 폐쇄됨과 더불어 상기 단차에 의해 격벽(12)에서 노출되면서 타측 토출구(14')와 연결되는 유입구(58)가 형성되고, 또한 이 유입구(58)는 밸브파이프(52)의 내부와 연결되는 한편, 지지파이프(20)에는 타측 토출구와 유입구로의 상기 연결과 압착패널(54)의 완전이탈에 따른 모든 토출구(14)(14') 개방의 경계거리가 제공되도록 상기 스톱퍼(34)와 간섭되는 가이드돌기(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마개.
  4.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파이프(20)는 마개베이스(18)로부터 회전가능하게 마개베이스(18)와 요철부(32)를 매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마개.
  5.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파이프(20)는 마개베이스(18)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마개.
KR1020030017809A 2003-03-21 2003-03-21 음료용기의 마개 KR20030027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09A KR20030027931A (ko) 2003-03-21 2003-03-21 음료용기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09A KR20030027931A (ko) 2003-03-21 2003-03-21 음료용기의 마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556U Division KR200315702Y1 (ko) 2003-03-21 2003-03-21 음료용기의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31A true KR20030027931A (ko) 2003-04-07

Family

ID=2957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809A KR20030027931A (ko) 2003-03-21 2003-03-21 음료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79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9995A1 (en) * 2010-02-10 2011-08-18 Liquid Health Labs, Inc. Inverted dome to supply dose
WO2012094588A3 (en) * 2011-01-06 2012-10-11 Plastek Industries, Inc. Dispenser and methods
US9284102B2 (en) 2011-01-06 2016-03-15 Plastek Industries, Inc. Dispenser and methods
US10293993B2 (en) 2009-11-05 2019-05-21 Liquid Health Labs, Inc. Universal domed closure to supply dos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786B2 (en) 2009-02-11 2013-07-23 Liquid Health Labs, Inc. Inverted dome to supply dose
US10293993B2 (en) 2009-11-05 2019-05-21 Liquid Health Labs, Inc. Universal domed closure to supply dose
WO2011099995A1 (en) * 2010-02-10 2011-08-18 Liquid Health Labs, Inc. Inverted dome to supply dose
WO2012094588A3 (en) * 2011-01-06 2012-10-11 Plastek Industries, Inc. Dispenser and methods
US8752738B2 (en) 2011-01-06 2014-06-17 Plastek Industries, Inc. Dispenser and methods
US9284102B2 (en) 2011-01-06 2016-03-15 Plastek Industries, Inc. Dispenser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164B2 (en) Drinking vessel with atmospheric assist valve
US69942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CN103303588B (zh) 可重新密封的多隔间饮品容器
AU2014300355A1 (en) Double-walled container
US20050115845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20180265255A1 (en) Two-in-one drinking vessel
EA014514B1 (ru) Емкость, ее применение, камера для добавки и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емкости
US20190053649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Non-Circular Shape
JPH03500759A (ja) 飲用容器
EP1062163B1 (en) Hybrid beverage container
US20090283528A1 (en) Enhanced liquid container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KR20030027931A (ko) 음료용기의 마개
KR20090114295A (ko) 이중용기
KR200385406Y1 (ko) 음료용기의 마개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KR200282192Y1 (ko) 서로 다른 음료수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병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KR200385405Y1 (ko) 음료용기의 마개
JP4198332B2 (ja) 混合容器
KR200259302Y1 (ko) 발효용 용기뚜껑
KR200347140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