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534U -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534U
KR19980019534U KR2019960032697U KR19960032697U KR19980019534U KR 19980019534 U KR19980019534 U KR 19980019534U KR 2019960032697 U KR2019960032697 U KR 2019960032697U KR 19960032697 U KR19960032697 U KR 19960032697U KR 19980019534 U KR19980019534 U KR 19980019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pper
contents
circular
c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이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수 filed Critical 이형수
Priority to KR2019960032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534U/ko
Publication of KR19980019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53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종래의 캔(can)(1)의 천판(3)에 개구선(95)이 타압되고 천판(3) 중앙통공에 손잡이 원공이 천공된 개구용구(96)의 선단측 축공에 리벳(93)으로 리벳팅되어 개구용구(96)의 손잡이 원공(90)축을 손가락으로 잡고 상측으로 잡아 당겨 절개선(95)이 절개되면서 개구부(94)의 캔(can)(1)내부로 함입하게 되어 개구부(94)를 통하여 내용물을 마시게되어 개관한 후에는 내용물 전부를 소비하거나 다 소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캔(can)과 함께 내용물을 버려야 했으므로 음료수의 소비가 많을뿐만아니라 그 내용물에 의하여 환경을 오염시키고, 한번 사용한 캔(can)을 재활용하기 위하여서는 캔(can)을 수거하여 새로운 캔(can)로 성형하여 사용하므로 일회용으로만 사용하여 자원의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단에 개구부(41)와 외주에 나사(40)을 형성한 원형의 원형돌기(4)를 형성하고 그 원형원형돌기(4)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형의 요홈(5)을 형성하며 일부에는 접합부(6)을 일체로 성형한 천판(3)과, 상기 원형돌기(4)에 나삽하기 위한 나사를 만들고 상부(20)과 하부(21)사이에 절개선(22)를 형성한 마개(2)로 구성한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이다.

Description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본 고안은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can)의 내부에 보관중인 음료수를 토출하고 밀폐하는 캔(can) 음료수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캔(can)음료수 용기에 들어있는 음료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하여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캔(can)(1)의 천판(3)에 개구선(95)의 타압되고 천판(3) 중앙통공에 손잡이 원공이 천공된 개구용기(96)의 선단측 축공에 리벳(93)으로 리벳팅되어 있고 캔(can)(1)의 내부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개관하고자 할시에는 개구용구(96)의 손잡이 원공(90)축을 손가락으로 잡고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리벳팅된 타발편을 지점으로한 지렛대 작용으로 개구용구(96)의 선단이 개구부(94)를 압입하는 압력에 의하여 절개선(95)이 절개되면서 개구부(94)이 캔(can)(1)내부로 함입하게 되어 개구부(94)를 통하여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캔용기는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캔용기의 크기에 따라 내용물이 일정량 들어 있어 개구한 후에는 내용물 전부를 소비하여야 하였으며, 어린와 같이 내용물을 소량 마시고자할시에는 캔(can)을 개구를 하지 않거나 내용물을 다 소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캔을 개구한 상태로 들고 다니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개구부를 통하여 유출되어 옷들에 묻을 수도 있으며, 또 캔(can)과 함께 내용물을 버려야 했으므로 음료수의 소비가 많을뿐만아니라 그 내용물에 의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되기도 하였다.
또 다른 문제점은 마시다 만 캔(can)의 개구된 상태로 내용물을 보관후에 마시게되며는 내용물에 함유된 향등이 날라가버리므로 맛이 없어 버릴수밖에 없었다.
또 다른 문제점은 한번 사용한 캔(can)을 재활용하기 위하여서는 캔(can)을 수거하여 새로운 캔(can)로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일회용으로만 사용하여 자원의 낭비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캔(can)의 개구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필요시는 밀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캔(can)음료수 용기의 마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하여 성형된 캔(can)을 쌓아 보관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캔(can) 2,9:마개 20:상부
21:하부 22,95:절개선 3:철판
4:원형돌기 40:나사 41,94:개구부
5:요홈 6:접합부 7:걸림턱
8:저면 90:원공 91;돌설주연
92:개구용구타발편 93:리벳 96:개구용구
상기의 목적은 일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원형돌기(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원형돌기(4)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형의 요홈을 형성한 천판(3)과, 상기 원형돌기(4)에 알맞는 마개(2)로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이며, 본 고안에 의하여 성형된 캔(can)(1)을 쌓아 보관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이다.
캔(can)(1) 음료수 용기에 보관중인 내용물을 토출하는데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41)와 외주에 나사(40)을 형성한 원형의 원형돌기(4)를 형성하고 그 원형돌기(4)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형의 요홈(5)을 형성하며 일부에는 접합부(6)를 일체로 성형한 천판(3)과, 상기 원형돌기(4)에 나삽하기 위한 나사를 만들고 상부(20)과 하부(21)사이에 절개선(22)를 형성한 마개(2)로 구성되는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이다.
천판(3)은 일부가 개구부(41)와 나사(40) 형성한 원형돌기(4)를 형성하고 그 원형돌기(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돌기(4)의 주위에 요홈(5)을 형성하며 외주에는 캔(can)(1)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6)를 만든다.
요홈(5)은 캔(can)(1)의 본체 저면(8)에 형성된 걸림턱(7)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캔(can)(1)을 쌓아 보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마시고한 후에는 밖으로 나온 내용물이 캔(can)(1)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저면(8)은 상기 캔(1)의 돌기(4)에 마개(2)를 결합시킨 높이보다 더 깊게 형성하여 다수개를 쌓아보관할시에 캔(can)(1)의 저면(8)과 마개(2)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감있게 다수개를 쌓아놓을 수 있게 된다.
마개(2)는 상기 원형돌기(4)에 형성한 나사(40)에 치합되도록 나사를 만들고 그 일부에는 상부(20)와 하부(21)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절개선(22)을 만든다. 상기 돌기(4)와 마개(2)에 만든 나사(40)는 라운딩형으로 만들어 용이하게 돌기(4)와 마개(2)의 개폐할 수 있다.
용기를 열고자할시에는 손으로 마개(2)을 잡고 돌리면 치합되어 있는 원형돌기(4)와 마개(2)가 분리되어 개구부(41)를 통하여 내용물을 마실수 있으며 마신후에는 마개(2)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원형돌기(4)에 마개(2)를 결합시켜 용기의 내부를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다.
내용물을 다 마신후에는 다른용기에 보관중인 음료수들을 따라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개봉된 캔(can)의 내용물이 남아있을 시에는 마개를 닫아 밀폐가 가능하므로 음료수를 재보관하여 사용할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른 효과는 캔(can)을 다수개 용이하게 쌓아 보관할 수 있다.
또 다른 효과는 내용물을 다 마시고난후에는 다른 용기에 보관중인 내용물을 담아 사용이 가능하여 캔(can)의 재활용을 할수 있어 자원절약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캔(can)(1) 음료수 용기에 보관중인 내용물을 토출하는데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41)와 외주에 나사(40)을 형성한 원형의 원형돌기(4)를 형성하고 그 원형돌기(4)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형의 요홈(5)을 형성하며 일부에는 접합부(6)를 일체로 성형한 천판(3)과, 상기 원형돌기(4)에 나삽하기 위한 나사를 만들고 상부(20)과 하부(21)사이에 절개선(22)를 형성한 마개(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KR2019960032697U 1996-10-04 1996-10-04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KR19980019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697U KR19980019534U (ko) 1996-10-04 1996-10-04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697U KR19980019534U (ko) 1996-10-04 1996-10-04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534U true KR19980019534U (ko) 1998-07-15

Family

ID=5397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697U KR19980019534U (ko) 1996-10-04 1996-10-04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53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1038A (en) Multi-purpose device for opening containers
EP1681243B1 (en) Drinking spout and closure combination for a beverage container
WO1998018690A1 (en) Beverage mixing dispenser device
EP3494060A1 (en) Plastic cover for cans with opener for opening and re-closure
US3251499A (en) Closure means for a container with an opening
US5779087A (en) Closing tab
KR19980019534U (ko) 캔(can) 음료수 용기의 마개
US4887746A (en) Two-piece screw closure for containers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200255384Y1 (ko) 액체용기 마개
KR102547196B1 (ko)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100787298B1 (ko) 개폐식 슬라이딩 캔엔드
KR200203043Y1 (ko) 병 뚜껑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236154Y1 (ko)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KR200365735Y1 (ko) 음료수 병마개
KR200224225Y1 (ko) 용기 마개
JPH09315470A (ja) エアゾ−ル容器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US20130032595A1 (en) Drink containers with unremovable closures
KR200236489Y1 (ko) 플라스틱병용 고리손잡이
KR200212959Y1 (ko) 파우치 음료용기용 스파우트
KR200280817Y1 (ko) 포장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