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196B1 -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196B1
KR102547196B1 KR1020230011352A KR20230011352A KR102547196B1 KR 102547196 B1 KR102547196 B1 KR 102547196B1 KR 1020230011352 A KR1020230011352 A KR 1020230011352A KR 20230011352 A KR20230011352 A KR 20230011352A KR 102547196 B1 KR102547196 B1 KR 10254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body
lid
contain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식
Original Assignee
이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식 filed Critical 이주식
Priority to KR102023001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196B1/ko
Priority to PCT/KR2024/000398 priority patent/WO20241626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상에 결합되어 외압 작용시 마개부의 개봉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재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하단부분에 위치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걸림 배치되는 고정링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상단부분에 위치되어 나사 결합되고, 음료용기의 개폐기능을 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하단면 일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하측단이 상기 고정링부의 하단면에 연결되어 고정링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외측에 위치되는 연결부; 상기 고정링부의 상단면과 마개부의 하단면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되는 연결팁으로서, 상기 마개부에서의 회전력 부여시 작용되는 인장하중에 의해 고정링부와 마개부의 연결상태가 파괴되는 인장파단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고정링부의 연결부분에 홈절취라인으로 형성되어 마개부의 회전력 부여에 의한 상승시 작용되는 전단하중에 의해 고정링부의 연결상태가 파괴되는 고정링전단파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는 상단 일부가 고정링부에 연결되어 완전 분리되지않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로부터 뚜껑을 개봉시 마개부를 용기본체에 연결시켜주는 매개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파단부와 전단파단부를 혼용한 구조설계로서 용기본체로부터 마개부의 개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되, 개봉 후 마개부가 용기본체 상에 고정된 고정링부와 연결된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어 마개부의 자체 오염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재활용을 위한 분리 배출시 고정링부 자체를 쉽게 끊어 파괴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과는 달리 마개부와 고정링부를 함께 용기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내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with an integrated lid that is easy to separate}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개부와 고정링부를 포함하는 뚜껑을 용기본체에서 개봉하여도 용기본체와 연결되어 있어 뚜껑 측 마개부의 오염과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뚜껑 측 마개부를 고정링부와 함께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용도 용이하게 하며, 개봉한 상태의 뚜껑 측 마개부를 용기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어 음수시 편리하고, 위생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된다. 이때 뚜껑은 마개와 고정링을 포함한다.
최근 플라스틱재 음료용기는 용기본체와 뚜껑이 일체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는 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개봉하여도 용기본체에 붙어있게 하는 것으로서, 뚜껑의 유실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EU(유럽연합)에서는 2024년 7월부터 모든 페트병 음료 뚜껑이 개봉 후에도 용기본체에 부착되어 있도록 하는 '페트병 뚜껑 일체형'에 관한 의무화가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유럽에서는 이를 대비해 관련 상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부연하여, EU(유럽연합)의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지침(SUPD)은 3리터 이하의 소형 일회용 플라스틱 음료용기 반환율을 2025년까지 77%, 2029년까지 90%로 규정하고 있고, 3리터 이하의 일회용 플라스틱 음료용기에 대해 플라스틱 뚜껑이 용기에 '묶인(tethered)' 일체형 디자인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 지침은 현재는 권고 사항이지만 2024년 7월부터 법적인 효력이 발생될 예정이다.
그러나, 현재 음료용기에 있어 용기본체는 PET 재질로 제조되고, 마개와 고정링을 포함하는 뚜껑은 PE나 PP 재질로 제조되는 등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판매 및 유통되고 있는데, 재활용시에는 분리해야 하므로,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용기본체로부터 뚜껑을 분리할 때 마개와 더불어 고정링이 같이 분리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뚜껑에 있어 마개와 고정링이 같이 분리되게 제작하면 마개를 용기본체에 붙어있게 하기 힘들고, 뚜껑 측 마개를 용기본체에 붙어 있게 제작하면 음수에 불편함과 더불어 재활용시 분리 배출이 힘들게 된다.
즉, 마개와 고정링이 연결된 경우, 개봉시 마개가 용기본체의 입구에 걸쳐 있거나 덜렁거리는 상태로 있게 되므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음료를 컵에 따를 때 음료가 마개에 닿아 옆으로 튀는 문제가 발생되고, 용기본체의 입구에 입을 대고 음료를 마실 때 개봉된 마개가 얼굴에 닿거나 걸리적거려 불편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두 손을 사용하거나, 한 손을 사용하되 손가락으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기존에 마개와 고정링을 포함하는 구조인 뚜껑을 용기본체에 고정시켜 환경오염과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특허가 개시되어 있지만 사용에 매우 불편하는 등 단점이 있다.
국내특허출원 제20-2002-0009749호에서는 '다목적 용기 뚜껑 부착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국내특허출원 제20-2006-0025137호에서는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뚜껑을 용기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입구에서 멀리 부착하는 방식이라 불안정하고 번거롭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17-0016328호에서는 '분리수거가 용이한 용기 마개'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가로형 파단선이 2줄이고 구조가 복잡하여 기밀성이 떨어지므로 음료가 새어나올 수 있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19-0123844호에서는 '용기 개폐용 캡'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특허출원 제10-2020-0171301호에서는 '분리배출이 용이하고 개봉유무 확인이 가능하며 개봉 후 재사용이 용이한 병마개'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마개 개봉시 용기본체와 연결이 되지 않는 구성이다.
또한, 독일, 프랑스, 미국 등지에서의 해외 제품들은 모두가 분리 배출시 용기본체로부터 마개와 고정링을 함께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선행특허와 해외 제품들은 뚜껑의 회전 운동에 의한 상승 하중을 마개와 고정링을 분리하기 위한 인장파괴로만 활용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보 제20-2002-000974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보 제20-2006-002513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보 제10-2017-0016328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보 제10-2019-012384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보 제10-2020-01713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개부와 고정링부를 포함하는 뚜껑을 용기본체에서 개봉하여도 용기본체와 개봉된 마개부가 연결되어 있어 뚜껑 측 마개부의 오염과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뚜껑 측 마개부를 고정링부와 함께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용도 용이하게 하며, 개봉한 상태의 뚜껑 측 마개부를 용기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어 음수시 편리하고, 위생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봉시 연결 상태를 갖는 뚜껑 측 마개부를 고정할 수 있는 용기본체와 이에 일체형으로 구비하되 재활용시 용기본체로부터 마개부와 고정링부를 함께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상에 결합되어 외압 작용시 마개부의 개봉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재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하단부분에 위치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걸림 배치되는 고정링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상단부분에 위치되어 나사 결합되고, 음료용기의 개폐기능을 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하단면 일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하측단이 상기 고정링부의 하단면에 연결되어 고정링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외측에 위치되는 연결부; 상기 고정링부의 상단면과 마개부의 하단면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되는 연결팁으로서, 상기 마개부에서의 회전력 부여시 작용되는 인장하중에 의해 고정링부와 마개부의 연결상태가 파괴되는 인장파단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고정링부의 연결부분에 홈절취라인으로 형성되어 마개부의 회전력 부여에 의한 상승시 작용되는 전단하중에 의해 고정링부의 연결상태가 파괴되는 고정링전단파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는 상단 일부가 고정링부에 연결되어 완전 분리되지않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로부터 뚜껑을 개봉시 마개부를 용기본체에 연결시켜주는 매개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의 홈절취라인은, 상기 고정링부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의 폭에 대응하는 좌우양측에 간격 배치되어 제1 홈절취라인과 제2 홈절취라인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홈절취라인과 제2 홈절취라인은 각각 고정링부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해 직선 구조로 형성되는 직선홈라인부와 상기 직선홈라인부에 연장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곡선 구조로 형성되는 곡선홈라인부로 구비되며, 상기 직선홈라인부는 전체가 절취되어지는 구조이고, 상기 곡선홈라인부는 상단이 고정링부에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경우,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나사 결합이 해제된 마개부를 잡고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외력을 가할시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곡선홈라인부의 한쪽부분이 뜯어져 고정링부와 함께 용기본체로부터 완전 분리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하단부분 외면에는 용기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부의 내면에는 용기걸림턱에 걸림 형성되게 고정링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걸림턱과 고정링걸림턱은 상기 마개부에서의 회전력 부여시 인장파단부의 파괴에 이어지는 고정링전단파단부의 파괴시 상호간 걸림 형성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마개부는, 외면 둘레에 걸쳐 마찰산이 돌출 및 간격 배치되고, 상기 마찰산의 사이에 세로골과 가로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부에 마개부고정홈을 하나 이상 형성하여 마개부를 용기본체로부터 개봉시 용기본체에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마개부를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마개부고정홈에는,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 및 방사상 구조로 분배되어 다수가 간격 배열되는 돌출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병목부의 하단부분에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 구비되는 받침턱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턱 상에는 마개부고정홈을 향하는 부분에 절개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마개부를 마개부고정홈에 끼워 고정할 시 마개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끼우거나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개부를 개봉시 용기본체의 병목부 아래로 늘어뜨릴 수 있고, 용기본체의 마개고정홈에 개봉된 마개부를 안정적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부와 고정링부를 포함하는 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개봉하여도 용기본체와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뚜껑 측 마개부의 오염과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 측 마개부와 고정링부를 함께 용기본체로부터 분리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설계로 서로 구분하여 배출하는 등 재활용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개봉한 상태의 뚜껑 측 마개부를 용기본체 상에 고정시킬 수 있어 음수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위생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음료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로부터 개봉한 뚜껑 측 마개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용기본체와 이에 일체형으로 구비하되 재활용시 용기본체로부터 마개부와 고정링부를 함께 용이하게 분리해내 배출할 수 있는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파단부와 전단파단부를 혼용한 구조설계로서 뚜껑 측 마개부의 개봉이 용이하되 개봉 후 고정링부와 연결된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으며, 재활용을 위해 용기본체로부터 뚜껑을 완전히 분리 배출시 마개부를 통해 고정링부와 연결된 부분의 한쪽을 쉽게 끊어낼 수 있어 뚜껑 측 마개부와 고정링부를 함께 용기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내 배출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에 있어 뚜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에 있어 뚜껑 측 구조를 나타낸 세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에 있어 뚜껑 측 구조를 나타낸 가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에 있어 뚜껑의 개봉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용 상태도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에 있어 뚜껑의 완전 분리를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에 있어 마개부고정홈을 갖는 용기본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용기본체의 마개부고정홈에 마개부를 끼워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으로서, 표현이 과장되거나 축소 또는 개략화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상에 일체 결합된 상태에서 외압 부여를 통해 개봉하도록 구비 및 개봉시 용기본체(100) 상에서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뚜껑(2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200)은 고정링부(210), 마개부(220), 연결부(230), 인장파단부(240), 및 고정링전단파단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링부(210)는 용기본체(100)의 병목부 하단부분에 위치되어 고정 배치된다.
상기 고정링부(210)는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걸림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용기본체(100)의 병목부 하단부분 외면에는 용기걸림턱(110)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부(210)의 내면에는 용기걸림턱(110)에 걸림 형성되게 고정링걸림턱(211)을 돌출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걸림턱(110)과 고정링걸림턱(211)은 마개부(220)에서의 회전력 부여시 인장파단부(240)의 파괴에 이어지는 고정링전단파단부(250)의 파괴시 상호간 걸림 형성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마개부(220)는 용기본체(100)의 병목부 상단부분에 위치되어 나사 결합되고, 용기본체(100) 측 개폐기능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마개부(220)는 외면 둘레에 걸쳐 마찰산(221)이 돌출 및 간격 배치되어 배열되며, 상기 마찰산(221)과 마찰산(221)과의 사이에 세로골(222)과 가로골(223)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개부(220)는 마찰산(221)을 2열 또는 그 이상으로 배열하되, 외면 둘레의 전반에 걸쳐 다수가 간격지게 배열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230)는 용기본체(100)와 나사결합력을 갖는 마개부(220)의 하단면 일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하측단이 상기 고정링부(210)의 하단면에 연결되어 고정링부(210)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부(230)는 고정링부(210)의 하단면 아래로 충분한 길이를 갖게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용기본체(100)와 나사결합력이 해제되어 마개부(220)가 위로 상승할 때 1차로 인장파단부(240)가 파괴되고, 연이어 2차로 전단파단부(250)를 파괴시켜 용이하게 마개부(220)를 용기본체(100)로부터 개봉을 수행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장파단부(240)는 고정링부(210)의 상단면과 마개부(220)의 하단면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되는 연결팁으로서, 상기 마개부(220)에서의 회전력 부여시 작용되는 인장하중에 의해 파괴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인장파단부(240)는 고정링부(210)와 마개부(220)의 초기 연결상태에서 외압 작용시 고정링부(210)와 마개부(220)간의 연결상태가 파괴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250)는 연결부(230)가 연결되는 고정링부(210)의 연결부분에 홈절취라인으로 형성되어 마개부(220)의 회전력 부여에 의한 상승시 작용되는 전단하중에 의해 고정링부(210)와의 연결상태가 파괴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250)는 상단 일부가 고정링부(210)에 연결되는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어, 용기본체(100)로부터 뚜껑(200)을 개봉시 고정링부(210)가 용기본체(100)에서 분리되지 않아 개봉된 마개부(220)를 용기본체(100)에 연결시켜 연결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250)는 이와 같은 홈절취라인에 있어, 용기본체(100) 상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링부(210)의 내면에 홈타입 절취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230)의 폭에 대응하는 좌우양측에 간격 배치되어 제1 홈절취라인과 제2 홈절취라인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홈절취라인과 제2 홈절취라인은 각각 고정링부(210)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해 직선 구조로 형성되는 직선홈라인부(251)와, 상기 직선홈라인부(251)에 연장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곡선 구조로 형성되는 곡선홈라인부(252)로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직선홈라인부(251)는 전체가 절취되어지는 구조이고, 상기 곡선홈라인부(252)는 전체가 절취되어지는 구조이되 상단 끝단부가 고정링부(210)에 연결되는 구조로서 마개부(220)에 연결되는 연결부(230)가 완전 절취되지않고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뚜껑(200) 측 마개부(220)를 개봉한 후 용기본체(100) 상에 고정되어있는 고정링부(210)와 연결상태를 잘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뚜껑(200), 특히 용기본체(100)로부터 개봉된 마개부(22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개부(220) 자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250)는 음료용기의 재활용을 위해 용기본체(100)와 뚜껑(200)을 분리하여 배출시, 잡아당기거나 뜯어내는 형태의 외압 작용을 통해 고정링부(210)의 한쪽부분을 끊어내 용기본체(100)로부터 고정상태를 파괴하는 데에도 사용되게 한 구성이다.
부연하여, 상기 뚜껑(200)을 용기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배출하는 경우, 용기본체(100)로부터 나사결합이 해제되어 개봉된 뚜껑, 특히 마개부(220)를 잡고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외력을 가할시 연결상태를 유지하고있는 곡선홈라인부(252)의 한쪽이 뜯어져 고정링부(210)를 파괴시킴으로 마개부(220)와 고정링부(210)가 함께 용기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즉, 본 발명은 음료용기를 재활용시, 서로 사용 재질이 다른 용기본체(100)와 뚜껑(200)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100)로부터 고정링부(210)와 마개부(220)를 함께 분리해내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한번, 도 4를 참조하여, 뚜껑(200)의 개봉 동작을 설명해보면, 마개부(220)를 회전하면 마개부(220)가 용기본체(100)의 병목부를 타고 상승하면서 인장파단부(240)가 파괴되고, 마개부(220)의 연속 상승에 따라 연결부(230)에서의 수직하중(ㄱ)이 발생되고 고정링부(210)에서 회전하중(ㄴ)이 발생되어 전단파단부(250)가 파괴된다. 이때 고정링걸림턱(211)이 외측으로 들어 올려져 용기걸림턱(110)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마개부(220)의 개봉이 이루어지며, 개봉된 마개(220)는 용기본체(100)에 고정되어있는 고정링부(2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뚜껑(200) 측 구조 개선에 더하여, 상기 용기본체(100)에는 병목부 아래쪽에 위치되는 상부면에 마개부고정홈(120)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고정홈(120)은 용기본체(10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개부(220)를 용기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개봉시 사용중에 있는 연결상태의 마개부(220)를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마개부고정홈(120)을 통해서는 개봉한 상태이되 고정링부(210)에 연결되어 용기본체(100)로부터 완전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마개부(220)를 안정되게 고정 배치할 수 있으며, 음수시 대롱거림에 의해 발생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부고정홈(120)에는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 및 방사상 구조로 분배되어 다수가 간격 배열되는 돌출리브(130)를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고정홈(120) 상에 형성되는 돌출리브(130)는 마개부(220)의 외면에 형성된 가로골(223)에 끼워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마개부(220)의 가로골(223)에 맞물려 고정함으로써 마개부(220) 측 고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에는 병목부의 하단부분에 위치시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 구비되는 받침턱(140)을 형성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턱(140) 상에는 마개부고정홈(120)을 향하는 대응위치의 부분에 절개가이드부(141)를 형성하여 구비함으로써 마개부(220)를 용기본체(100)의 마개부고정홈(120)에 끼워 고정할 시 마개부(220)에 연결된 상태에 있는 연결부(230)를 끼우거나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용기본체(100)로부터 개봉된 마개부(220) 및 연결부(230)에 고정성 및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어 음수 등 음료용기에 대한 사용상의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여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를 통해서는 인장파단부(240)와 전단파단부(250)를 혼용한 구조설계로서 용기본체(100)로부터 마개부(220)의 개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되, 개봉 후 고정링부(210)와 연결된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어 자체 오염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재활용을 위한 분리 배출시 마개부(220)를 이용하여 고정링부(210) 자체를 쉽게 끊어 파괴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는 달리 마개부(220)에 더하여 고정링부(210)까지 용기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내 함께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인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용기걸림턱
120: 마개부고정홈 130: 돌출리브
140: 받침턱 141: 절개가이드부
200: 뚜껑 210: 고정링부
211: 고정링걸림턱 220: 마개부
221: 마찰산 222: 세로골
223: 가로골 230: 연결부
240: 인장파단부 250: 고정링전단파단부
251: 직선홈라인부 252: 곡선홈라인부

Claims (9)

  1.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상에 결합되어 외압 작용시 마개부의 개봉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재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하단부분에 위치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걸림 배치되는 고정링부;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상단부분에 위치되어 나사 결합되고, 음료용기의 개폐기능을 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하단면 일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하측단이 상기 고정링부의 하단면에 연결되어 고정링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외측에 위치되는 연결부;
    상기 고정링부의 상단면과 마개부의 하단면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되는 연결팁으로서, 상기 마개부에서의 회전력 부여시 작용되는 인장하중에 의해 고정링부와 마개부의 연결상태가 파괴되는 인장파단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고정링부의 연결부분에 홈절취라인으로 형성되어 마개부의 회전력 부여에 의한 상승시 작용되는 전단하중에 의해 고정링부의 연결상태가 파괴되는 고정링전단파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는 상단 일부가 고정링부에 연결되어 완전 분리되지않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로부터 뚜껑을 개봉시 마개부를 용기본체에 연결시켜주는 매개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전단파단부의 홈절취라인은,
    상기 고정링부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의 폭에 대응하는 좌우양측에 간격 배치되어 제1 홈절취라인과 제2 홈절취라인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홈절취라인과 제2 홈절취라인은 각각 고정링부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해 직선 구조로 형성되는 직선홈라인부와 상기 직선홈라인부에 연장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곡선 구조로 형성되는 곡선홈라인부로 구비되며,
    상기 직선홈라인부는 전체가 절취되어지는 구조이고, 상기 곡선홈라인부는 전체가 절취되어지는 구조이되 상단이 고정링부에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경우,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나사 결합이 해제된 마개부를 잡고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외력을 가할시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곡선홈라인부의 한쪽부분이 뜯어져 고정링부와 함께 용기본체로부터 완전 분리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병목부 하단부분 외면에는 용기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부의 내면에는 용기걸림턱에 걸림 형성되게 고정링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걸림턱과 고정링걸림턱은 개봉을 위한 상기 마개부에서의 회전력 부여시 인장파단부의 파괴에 이어지는 고정링전단파단부의 파괴시 상호간 걸림 형성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외면 둘레에 걸쳐 마찰산이 돌출 및 간격 배치되고,
    상기 마찰산의 사이에 세로골과 가로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부에 마개부고정홈을 하나 이상 형성하여 마개부를 용기본체로부터 개봉시 용기본체에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마개부를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고정홈에는,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 및 방사상 구조로 분배되어 다수가 간격 배열되는 돌출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병목부의 하단부분에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 구비되는 받침턱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턱 상에는 마개부고정홈을 향하는 부분에 절개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마개부를 마개부고정홈에 끼워 고정할 시 마개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끼우거나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개부를 개봉시 용기본체의 병목부 아래로 늘어뜨릴 수 있고, 용기본체의 마개고정홈에 개봉된 마개부를 안정적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KR1020230011352A 2023-01-30 2023-01-30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KR10254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352A KR102547196B1 (ko) 2023-01-30 2023-01-30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PCT/KR2024/000398 WO2024162641A1 (ko) 2023-01-30 2024-01-09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352A KR102547196B1 (ko) 2023-01-30 2023-01-30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196B1 true KR102547196B1 (ko) 2023-06-22

Family

ID=8698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1352A KR102547196B1 (ko) 2023-01-30 2023-01-30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7196B1 (ko)
WO (1) WO20241626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62641A1 (ko) * 2023-01-30 2024-08-08 이주식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1380A (ja) * 2011-03-24 2012-10-22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KR20170016328A (ko) 2014-06-20 2017-02-13 기가포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시스템
KR20190123844A (ko) 2018-04-25 2019-11-04 신칠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62U (ja) * 1992-05-12 1994-01-18 清光 石岡 瓶 栓
JP2001294259A (ja) * 2000-04-12 2001-10-23 Masahiro Tamura キャップホルダー付きボトル
JP4912689B2 (ja) * 2006-02-02 2012-04-1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キャップ保持部を有するスパウト
US20220017269A1 (en) * 2018-10-29 2022-01-20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Closing cap for closing a container
KR102547196B1 (ko) * 2023-01-30 2023-06-22 이주식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1380A (ja) * 2011-03-24 2012-10-22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KR20170016328A (ko) 2014-06-20 2017-02-13 기가포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시스템
KR20190123844A (ko) 2018-04-25 2019-11-04 신칠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62641A1 (ko) * 2023-01-30 2024-08-08 이주식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62641A1 (ko) 202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2914B (zh) 便于分类回收的容器盖
EP1681243B1 (en) Drinking spout and closure combination for a beverage container
EP1151934B1 (en) Synthetic resin tube container
KR102547196B1 (ko)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EA038679B1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JP4557224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KR102110373B1 (ko)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JP2003246338A (ja) ヒンジキャップ
JP3603935B2 (ja) 分別廃棄性の良好なヒンジキャップ
JP4076258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1261051A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330186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JP2010052747A (ja) 分別機能付ヒンジキャップ
JP4707793B2 (ja) 分別廃棄可能なキャップ
JP4486722B2 (ja) 合成樹脂製リサイクルキャップ
US20240076106A1 (en) Hinge cap
JP4966734B2 (ja) 注出筒付き蓋
US20130032595A1 (en) Drink containers with unremovable closures
JP4068189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3068566U (ja) 分別回収容易なヒンジキャップ
JP4702713B2 (ja) 注出キャップ
JP2016159927A (ja) 打栓キャップ
JP5965802B2 (ja) 本体及び外蓋を具備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
JP2023049856A (ja) 注出具
JP2024011417A (ja) 合成樹脂製の注出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