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844A -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844A
KR20190123844A KR1020180047644A KR20180047644A KR20190123844A KR 20190123844 A KR20190123844 A KR 20190123844A KR 1020180047644 A KR1020180047644 A KR 1020180047644A KR 20180047644 A KR20180047644 A KR 20180047644A KR 20190123844 A KR20190123844 A KR 2019012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assembly
joint clip
body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429B1 (ko
Inventor
신칠호
Original Assignee
신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칠호 filed Critical 신칠호
Priority to KR102018004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외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조립홈과 중앙 기둥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립공을 구비한 프로파일들을 직각으로 조립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프로파일의 제1 조립공에 체결되는 볼트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구비하고, 제2 프로파일의 제2 조립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 측단에서 일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프로파일의 제1 조립홈에 끼워지는 절곡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조립홈의 양측 걸림부에 접촉하는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를 포함하여, 조립된 프로파일들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JOINT CLIP FOR PROFILE}
본 발명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외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조립홈과 중앙 기둥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립공을 구비한 프로파일들을 직각으로 조립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프로파일의 제1 조립공에 체결되는 볼트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구비하고, 제2 프로파일의 제2 조립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 측단에서 일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프로파일의 제1 조립홈에 끼워지는 절곡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조립홈의 양측 걸림부에 접촉하는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를 포함하여, 조립된 프로파일들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 관한 것이다.
선반이나 수납장, 창틀, 테이블, 클린룸 등 각종 구조물의 틀(뼈대)을 형성하는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어, 가볍고 강도가 높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설치 후에도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고 가격도 저렴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동일 구조의 세로 프로파일(이하 제1 프로파일이라 함.)과 가로 프로파일(이하 제2 프로파일이라 함.)을, 시공 설계에 맞게 격자형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조립하여 사용된다.
프로파일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적어도 일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으며(일반적으로 사각 프로파일의 경우, 4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됨.), 중앙 기둥부에 길이방향으로 조립공이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1, 제2 프로파일을 직각으로 연결하여 구조물로 조립된다.
이때 프로파일들을 직각으로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조인트 클립이라 하며, 조인트 클립에 관한 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457646호, 등록특허 제10-1058840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들은 조인트 클립의 구조 및 고정 방식이 매우 복잡하여 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높아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실제 현장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도 6의 [A], [B]에는 종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인트 클립(TJC)을 이용한 프로파일의 조립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조인트 클립(TJC)은 볼트(20)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구비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좌우 양 측단에서 일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12)으로 구성되어, 볼트(20)로 조인트 클립을 제1 프로파일(P1)에 가결합한 상태에서, 조인트 클립을 제2 프로파일(P2)의 조립홈(1)으로 슬라이딩 결합 후, 제2 프로파일(P2)에 천공된 관통홀(미도시)에 렌치를 삽입하여 볼트를 조여서 제1, 제2 프로파일(P1)(P2)이 직각으로 조립된다.
이때 종래의 조인트 클립은 볼트의 조임 강도에 의해 몸체부(10)와 조립홈(1)의 걸림부(2)가 상호 밀착되면서, 제1, 제2 프로파일(P1)(P2)의 조립이 유지되는 바, 볼트(20)의 조임이 약하거나 제1 프로파일(P1)에 볼트의 조임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2 프로파일(P2)의 길이방향으로 제1 프로파일(p1)이 미끄러져 조립 구조가 틀어질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된 프로파일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프로파일들의 조립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조립된 구조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를 구비하여, 볼트 조임 시 미끄럼 방지부가 조립홈의 걸림부에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외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조립홈과 중앙 기둥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립공을 구비한 프로파일들을 직각으로 조립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 있어서,
제1 프로파일의 제1 조립공에 체결되는 볼트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구비하고, 제2 프로파일의 제2 조립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 측단에서 일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프로파일의 제1 조립홈에 끼워지는 절곡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조립홈의 양측 걸림부에 접촉하는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제1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요철형으로 돌출된 제2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서,
상기 제2 프로파일은 상기 제2 조립홈의 양측 걸림부 일부가 원형으로 절개된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는 상기 끼움공의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제3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은,
다양한 형태로 돌출된 돌기들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를 통해 몸체부와 걸림홈의 걸림부가 마찰에 의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상호 고정되어, 직각으로 조립된 프로파일들이 서로 미끄러져 조립 구조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고정편을 이용한 2중 볼트 조임을 통해 프로파일들의 조립을 더욱 견고하게 함은 물론,
몸체부에서 볼트가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구조를 통해 볼트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몸체부의 안내 돌기를 이용해 조인트 클립을 조립홈에 쉽게 끼울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별도의 부품 내지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종래의 조인트 클립 구조의 변형을 통해 생산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 단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조인트 클립을 이용한 프로파일들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조인트 클립을 이용한 조립 전 프로파일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클립의 사시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클립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클립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들.
도 6은 종래의 조인트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b,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프로파일(P)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프로파일(P)은 적어도 일 측면에 개구부를 갖는 조립홈(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기둥부(3)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립공(4)이 구비된다.
이러한 프로파일(P)은, 대부분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어, 중앙 기둥부(3)를 기준으로 4면 중앙에 상기 조립홈(1)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홈(1)은 개구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양측 걸림부(2)를 구비하여, 프로파일들의 조립 시 조인트 클립(J)의 몸체부(10)가 제1 볼트(20) 조임에 의해 상기 걸림부(2)에 밀착되면서 프로파일들이 직각으로 조립된다.
아울러 프로파일들 중 하나(제2 프로파일(P2))는 기둥부(3)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1 관통홀(5)이 천공되어, 제1 관통홀(5)의 양 단부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조립홈들 바닥면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통홀(5)을 이용해 가결합된 조인트 클립(J)의 제1 볼트(20)를 조여서 프로파일들의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관통홀(5)의 위치가 직교되는 프로파일의 조립 위치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프로파일들(P1)(P2)을 직각으로 조립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JC)에 관한 것으로, 도 1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로파일(P1, 세로 프로파일)의 제1 조립공(4a)에 체결되는 제1 볼트(20)가 끼워지는 끼움공(11)을 구비하고, 제2 프로파일(P2, 가로 프로파일)의 제2 조립홈(1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좌우 양 측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프로파일(P1)의 제1 조립홈(1a)에 끼워지는 절곡편(12); 및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조립홈(1b)의 양측 걸림부(2)에 접촉하는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제1 프로파일(P1)의 기둥부(3)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판상 플레이트로써, 중앙에 상기 끼움공(11)이 양면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몸체부(10)는 좌우 양 측단의 연장부를 일측 방향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절곡시킨 절곡편(12)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절곡편(12)은 제1 볼트(20) 조임 시 제1 프로파일(P1)의 제1 조립홈(1a)으로 삽입되어 조인트 클립(JC)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종래의 조인트 클립(TJC)에 있어서는 제1 볼트(20) 조임에 따른 몸체부(10)와 제2 조립홈(1b)의 걸림부(2) 간의 상호 밀착에 의해서 프로파일들(P1)(P2)이 조립되었는 바, 몸체부(10)와 제2 조립홈(1b)의 걸림부(2)가 밀착되는 접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제1 볼트(20)의 조임력이 약하거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1 프로파일(P1)이 제2 조립홈(1b)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프로파일들(P1)(P2)의 조립 구조가 틀어질 위험성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를 통해 몸체부(10)의 일측면을 돌출 구조로 형성하여, 제1 볼트(20) 조임 시 돌출부(13)가 제2 조립홈(1b)의 걸림부(2)들에 접촉하면서 마찰력을 증대시켜, 몸체부(10)가 제2 조립홈(1b) 상에 억지 끼움되면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2, 도 4, 도 5의 [A]에 도시된 제1 실시예로써,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는 상기 몸체부(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제1 돌기(13a)(13a')로 구성된다.
제1 돌기(13a)(13a')의 위치나 개수 등에 제한이 없으나, 적어도 끼움공(11)의 양측에 각각 2개 이상의 제1 돌기(13a)(13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돌기(13a)(13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전후 측단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위를 일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중간 부위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위를 일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13a)(13a')의 모양도 제한이 없다.
도 2에서는 몸체부(10)의 전후 양 측단에 구비된 제1 돌기(13a)가 사각 형상으로 절개되어 절곡 성형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고, 도 5의 [A]에서는 몸체부(10)의 중간 부위에 구비된 제1 돌기(13a')를 절개 후 절곡 성형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도 2의 제1 돌기(13a)의 경우, 끝단부를 뾰족하게 형성된 삼각형 형상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제2 실시예로써,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에서 요철형으로 돌출된 제2 돌기(13b)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돌기(13b)는 삼각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과 같이 끼움공(11)의 전후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돌기(13b)가 몸체부(10)의 전후로 전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13b)의 요철 개수 및 모양 등에 제한이 없다.
상기 절곡편(12)에 의해 몸체부(10)가 제1 프로파일(P1)의 기둥부(3)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조인트 클립(JC)의 가결합 상태에서 제1, 제2 돌기(13a)(13a')(13b)의 끝단부가 제2 조립홈(1b)의 걸림부(2)에 접촉하지 않아 조인트 클립(JC)을 제2 조립홈(1b)으로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고, 이후 제1 관통홀(5)을 통해 렌치를 삽입하여 제1 볼트(20)를 조이면 몸체부(10)가 걸림부(2)에 밀착되면서 제1, 제2 돌기(13a)(13a')(13b)의 끝단부가 걸림부(2)에 접촉하면서 파고들어, 조인트 클립(JC)이 제2 조립홈(1b)의 걸림부(2)에 억지 끼움되는 효과를 가져, 프로파일들(P1)(P2)이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한 조립이 유지된다.
이어서 도 5의 [C]에 도시된 제3 실시예로써, 상기 제2 프로파일(P2)은 상기 제2 조립홈(1b)의 양측 걸림부(2) 일부가 원형으로 절개된 끼움홈(2a)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는 상기 끼움공(11)의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2a)에 끼워지는 제3 돌기(13c)로 구성된다.
상기 제3 돌기(13c)는 끼움공(11)에 상응하는 원형으로, 돌출 높이는 제2 프로파일(P2)의 걸림부(2) 두께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상기한 제3 돌기(13c)는 조인트 클립(JC)이 제1 프로파일(P1)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10)가 제1 프로파일(P1)의 기둥부(3)에서 이격되어 제3 돌기(13c)가 제2 조립홈(1b)의 걸림부(2)에 접촉하지 않아 제2 조립홈(1b)으로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고, 이후 제1 관통홀(5)로 렌치를 삽입하여 제1 볼트(20)를 조이면 몸체부(10)가 제2 프로파일(P2)의 제2 조립홈(1b)의 걸림부(2)에 밀착되면서 제3 돌기(13c)가 상기 끼움홈(2a)으로 끼워져 제3 돌기(13c)와 양측 걸림부(2)의 걸림(접촉)에 의해 고정되어, 프로파일들(P1)(P2)이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한 조립이 유지된다.
이때 상기 제3 돌기(13c)는 완전한 원형이 아니라 서로 분리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로파일들(P1)(P2)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0)의 좌우 일 측단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편(14)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14)에는 제2 볼트(미도시)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탭(14a)이 고정편(14)의 양면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 몸체부(10)를 일반적인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고, 좌우 일측 중간 부위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위를 일방향 내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절곡편(12)을 성형 후, 나머지 부위를 절곡부(14b)를 기점으로 타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고정편(14)을 성형한다.
이러한 고정편(14)은 제1 프로파일(P1)의 외측면보다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탭(14a)이 제1 프로파일(P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프로파일(P2)에는 상기 나사탭(14a)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관통홀(5)과 대응하는 형태의 제2 관통홀(미도시)을 구비한다.
따라서 가결합된 조인트 클립(JC)을 제2 조립홈(1b)에 슬라이딩 결합하면, 상기 나사탭(14a)이 제2 조립홈(1b)에 의해 노출되며, 이를 이용해 제2 볼트를 나사탭(14a)에 결합하여 조이면, 제2 볼트의 나사부가 나사탭(14a)을 관통하여 제2 관통홀에 끼워져 조인트 클립(JC), 즉 제1 프로파일(P1)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볼트를 이용한 고정편(14)은 제1 볼트(20)에 의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와 함께 조인트 클립(JC)과 제2 조립홈(1b)의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한 고정을 보다 강하게 유지하여, 프로파일들(P1)(P2)의 조립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4b)는 후술하는 안내 돌기(15)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제1 프로파일(P1)에 가결합된 조인트 클립(JC)을 제2 조립홈(1b)에 끼울 때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몸체부(10)는 절곡편(12, 보다 엄밀하게는 고정편(14)이 연결되지 않은 방향에 배치된 절곡편)의 전후 끝단부에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의 반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 연결된 안내 돌기(15)를 포함한다.
이는 종래의 조인트 클립(TJC)에 있어, 상기 절곡편(12)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몸체부(10)의 끝단부가'ㅡ'자로 평탄하여 조인트 클립의 끝단부를 제2 조립홈(1b)에 끼울 때 걸림부(2)의 내측면에 걸려서 조인트 클립(JC)의 끼움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이에 상기 안내 돌기(15)를 통해 몸체부(10) 또는 고정편(14)의 끝단부가 제2 조립홈(1b)의 걸림부(2)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조인트 클립(JC)의 슬라이딩 결합, 즉 제2 프로파일(P2)의 길이방향으로 제1 프로파일(P1)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안내 돌기(15)가 구비된 방향이 아닌 고정편(14)이 구비된 방향으로 조인트 클립(JC)을 끼울 경우 상기 절곡부(14a)가 안내 돌기(15)의 기능을 대신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끼움공(11)에 상기 제1 볼트(20)가 분리되지 않고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볼트(20)가 상기 끼움공(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 볼트(20)의 나사부를 끼움공(11)에 끼운 후 몸체부(10)의 전후 양 측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원형의 끼움공(11)을 타원형으로 변형하는 방식, 대안적으로 제1 볼트(20)의 헤드 아래쪽으로 나사산을 없애 끼움공(11)에 걸리는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파일 조립 시 제1 볼트(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체형 제1 볼트(20)는 상기 제2 볼트와 상기 나사탭(14a)의 결합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절곡편(12)은 수직 절곡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식별홈(12a)을 구비한다.
상기 식별홈(12a)은 제1 볼트(20)로 조인트 클립(JC)을 가결합 할 때, 식별홈(12a)의 높이까지만 제1 볼트(20)를 조여서, 조인트 클립(JC)을 제2 조립홈(1b)에 끼울 때 상호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JC : 조인트 클립
P, P1, P2 : 프포파일 1, 1a, 1b : 조립홈
2 : 걸림부 2a : 끼움홈
3 : 기둥부 4, 4a, 4b : 조립공
5 : 제1 관통홀
10 : 몸체부 11 : 끼움공
12 : 절곡편 12a: 식별홈
13 :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
13a, 13a' : 제1 돌기 13b : 제2 돌기
13c : 제3 돌기 14 : 고정편
14a : 나사공 14b : 절곡부
15 : 안내 돌기

Claims (4)

  1.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외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조립홈과 중앙 기둥부(3)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립공을 구비한 프로파일들을 직각으로 조립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에 있어서,
    제1 프로파일(P1)의 제1 조립공(4a)에 체결되는 볼트(20)가 끼워지는 끼움공(11)을 구비하고, 제2 프로파일(P2)의 제2 조립홈(1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좌우 양 측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프로파일(P1)의 제1 조립홈(1a)에 끼워지는 절곡편(12); 및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조립홈(1b)의 양측 걸림부(2)에 접촉하는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는 상기 몸체부(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제1 돌기(13a)(13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에서 요철형으로 돌출된 제2 돌기(1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파일(P2)은 상기 제2 조립홈(1b)의 양측 걸림부(2) 일부가 원형으로 절개된 끼움홈(2a)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출부(13)는 상기 끼움공(11)의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2a)에 끼워지는 제3 돌기(13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KR1020180047644A 2018-04-25 2018-04-25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KR10212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44A KR102120429B1 (ko) 2018-04-25 2018-04-25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44A KR102120429B1 (ko) 2018-04-25 2018-04-25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844A true KR20190123844A (ko) 2019-11-04
KR102120429B1 KR102120429B1 (ko) 2020-06-16

Family

ID=6857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644A KR102120429B1 (ko) 2018-04-25 2018-04-25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591A (ko) * 2020-07-16 2022-01-25 이하영 프로파일 다방향 체결장치
KR102547196B1 (ko) 2023-01-30 2023-06-22 이주식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558B1 (ko) * 1996-05-02 1999-08-16 다까다 요시유끼 구조부재 또는 기계부품의 상호 결합장치 및 그 결합부품
KR200351332Y1 (ko) * 2004-02-27 2004-05-20 김근열 어린이 놀이터 시설물용 지지대와 연결바의 결합구조
KR200416679Y1 (ko) * 2006-03-07 2006-05-19 주식회사 임진너트산업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체결볼트
KR20100007565U (ko) * 2009-01-16 2010-07-26 이인환 프로파일파이프의 조인트클립
KR101137211B1 (ko) * 2011-04-05 2012-04-19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KR20180113776A (ko) * 2017-04-07 2018-10-17 최미림 조인트 클립이 결합된 프로파일 어셈블리 및 프로파일 어셈블리 결합용 조인트 클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558B1 (ko) * 1996-05-02 1999-08-16 다까다 요시유끼 구조부재 또는 기계부품의 상호 결합장치 및 그 결합부품
KR200351332Y1 (ko) * 2004-02-27 2004-05-20 김근열 어린이 놀이터 시설물용 지지대와 연결바의 결합구조
KR200416679Y1 (ko) * 2006-03-07 2006-05-19 주식회사 임진너트산업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체결볼트
KR20100007565U (ko) * 2009-01-16 2010-07-26 이인환 프로파일파이프의 조인트클립
KR101137211B1 (ko) * 2011-04-05 2012-04-19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KR20180113776A (ko) * 2017-04-07 2018-10-17 최미림 조인트 클립이 결합된 프로파일 어셈블리 및 프로파일 어셈블리 결합용 조인트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591A (ko) * 2020-07-16 2022-01-25 이하영 프로파일 다방향 체결장치
KR102547196B1 (ko) 2023-01-30 2023-06-22 이주식 분리가 용이한 일체형 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429B1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3288B2 (en) Connector
US9121433B1 (en) Joining elements for channelled structural members
EP2997269A1 (de) Werkzeuglos befestigbares montageelement
KR20190123844A (ko) 프로파일 조립용 조인트 클립
US9051742B1 (en) Ceiling system
US10655661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profiled-section elements
US10619405B2 (en) Joint for the angular connection of hollow profile members and method using such joint
WO2015174835A1 (en) Floor or wall composed of boards, and a product for producing such a floor or wall
KR20200008865A (ko) 무타공 프로파일 연결 장치
US9328752B2 (en) Rail clip for forming door and window assemblies
US10072691B2 (en) Attachment means for connecting thin-walled roof or facade panels to a substructure as well as a kit having such an attachment means and a sealing washer and a kit having such an attachment means and a sealing washer and a magazining-belt, respectively
US10077891B2 (en) Luminaire connection systems
US20170009791A1 (en) Mechanical tubular elements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a first and second tubular element of such a tubular elements connection system
KR10113721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KR10111533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JP3206776U (ja) タイル取り付け用金具
KR20120083115A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200352566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멀티너트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TW201707613A (zh) 用於家具的可組裝抽屜以及組裝抽屜的方法
KR200390983Y1 (ko) 원터치 결합형 리벳
JP5760211B1 (ja) C形鋼用取付具
US2948958A (en) Method of assembling a fastening device
US20120198786A1 (en) Door corner assembly
KR101115332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