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115A -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115A
KR20120083115A KR1020110004584A KR20110004584A KR20120083115A KR 20120083115 A KR20120083115 A KR 20120083115A KR 1020110004584 A KR1020110004584 A KR 1020110004584A KR 20110004584 A KR20110004584 A KR 20110004584A KR 20120083115 A KR20120083115 A KR 20120083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assembly
frame
assembly fram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태
Original Assignee
김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태 filed Critical 김주태
Priority to KR102011000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3115A/ko
Publication of KR2012008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5Load-supporting elements with reinforcement at the connection point other than the conne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의 난관, 건축물골조, 방음벽골조, 벤치, 정자, 가로등 등과 같이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어떠한 시설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조립식 시설구조물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의 중심에는 중공을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에는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을 따라 이탈방지턱을 형성한 조립프레임과, 상기 조립프레임의 요홈에 끼워져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체결부재의 볼트부가 관통하는 볼트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조립프레임의 요홈 내부에 한쌍의 파형판스프링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조립프레임의 중공에 삽착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해 조립프레임의 결합력도 강화되고, 조립상태가 견고할 뿐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고, 신속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증진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Assembly style installations assemblies materials}
본 발명은 시설물의 난관, 건축물골조, 방음벽골조, 벤치, 정자, 가로등 등과 같이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어떠한 시설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조립식 시설구조물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의 중심에는 중공을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에는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을 따라 이탈방지턱을 형성한 조립프레임과, 상기 조립프레임의 요홈에 끼워져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체결부재의 볼트부가 관통하는 볼트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조립프레임의 요홈 내부에 한쌍의 파형판스프링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조립프레임의 중공에 삽착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해 조립프레임의 결합력도 강화되고, 조립상태가 견고할 뿐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고, 신속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증진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시설구조물은 뼈대(골조)는 복수개의 조립프레임과 각각의 조립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구로 조합하여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기 위해 종래에는 소정의 지름을 갖는 파이프나 목재 등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해 이를 조합하여 용접이나 못박음으로 고정하여 구조물을 이루었다.
종래의 일예로 각종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뼈대(골조)로 사용되는 프레임은 대부분 직각으로 조립되고, 이러한 프레임은 대체적으로 사각기둥이나 원형의 프레임 형태이며, 각각의 프레임과 조립블록의 대응면에 각각 결합구멍과 가이드편을 형성하여 맞물리도록 한 후, 볼트 또는 피스를 체결시켜 프레임과 조립블록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각종 구조물의 뼈대(골조)로 사용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립부재는 볼트 및 피스를 체결하기 위하여 볼트 및 피스가 삽입된 위치로 어림짐작으로 이동시킨 후, 볼트와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프레임의 요홈에 체결부재를 끼워 내설하고, 고정부재를 결합한 후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조립프레임의 결합력도 강화되고, 조립상태가 견고할 뿐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숙련공이 아니라도 누구나 신속하게 조립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크게 증진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요홈에 파형판스프링을 구성해, 볼트의 자유유동을 방지하도록 해 작업능률 향상되고, 요홈에 요홈마감부재를 결합하여 미감이 깔끔해 보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조립프레임의 중공에 보강부재를 삽착하도록 해 물리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조립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의 중심에는 중공을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에는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을 따라 이탈방지턱을 형성한 조립프레임과, 상기 조립프레임의 요홈에 끼워져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체결부재의 볼트부가 관통하는 볼트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조립프레임의 요홈 내부에 한쌍의 파형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프레임의 요홈에 길이로 끼워져 요홈을 메워 마감하는 요홈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요홈마감부재의 노출면에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립프레임의 중공에 삽착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재는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기 조립프레임의 요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접합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로드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를 구성하고, 하단부에 걸림편을 형성한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로드 외측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조립프레임 측으로 압박하는 압박너트와, 상기 걸림구의 로드에 구성되어 상기 압박구를 걸림편 측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프레임의 요홈에 체결부재를 끼워 내설하고, 고정부재를 결합한 후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조립프레임의 결합력도 강화되고, 조립상태가 견고할 뿐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숙련공이 아니라도 조립설명서를 참조하여 누구나 신속하게 조립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크게 증진시켜 생산성 향상하는 효과를 가진 진보한 발명이다.
그리고 상기 요홈에 파형판스프링을 구성해, 볼트의 자유유동을 방지하도록 해 작업능률 향상되고, 요홈에 요홈마감부재를 결합하여 미감이 깔끔해 보이는 효과를 가진 진보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 조립프레임의 중공에 보강부재를 삽착하도록 해 물리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조립프레임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 진보한 발명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프레임의 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프레임의 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프레임의 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판스프링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프레임의 결합상태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홈에 요홈마감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보인 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다른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다른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요홈마감부재에 결합홈을 형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중심에는 중공(11)을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에는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2)을 따라 이탈방지턱(13)을 형성한 조립프레임(10)과;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끼워져 체결하는 체결부재(20)와;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체결부재(20)의 볼트부가 관통하는 볼트공(3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 내부에 한쌍의 파형판스프링(1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길이로 끼워져 요홈(12)을 메워 마감하는 요홈마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요홈마감부재(40)의 노출면에는 발광부(4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중공(11)에 삽착하는 보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30)는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2)를 접합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체결부재(20)는 로드(21a)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1b)를 구성하고, 하단부에 걸림편(21c)을 형성한 걸림구(21)와;
상기 걸림구(21)의 로드(21a) 외측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를 조립프레임(10) 측으로 압박하는 압박너트(22)와;
상기 걸림구(21)의 로드(21a)에 구성되어 상기 압박구(22)를 걸림편(21c) 측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2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결합되어 조립프레임(10)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에서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구조물의 뼈대(골조)를 이루는 조립프레임(10)은 그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사이즈와 길이는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목재의 규격에 맞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프레임(1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프레임의 단면중심에는 중공(11)을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에는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요홈(12)을 따라 이탈방지턱(1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13)은 요홈(12)에 끼워진 체결부재(20)가 요홈(1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체결부재(20)의 자유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홈(12)에 한쌍의 파형판스프링(14)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중공(11)에는 보강부재(50)를 삽착해 조립프레임(10)의 물리적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부재(50)에 의해 중공(11)을 연결하여 조립프레임(10)의 길이연장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체결부재(20)의 볼트부가 관통하는 볼트공(3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다.
도면에는 구조물의 내측만 도시하나, 구조물의 외측과 측면에 상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재(20)로는 볼트/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상기 요홈(12)에 끼워져 위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요홈(12)을 따라 볼트가 유동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의 자유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요홈 내에 파형판스프링(14)을 내설할 수도 있는데, 상기 파형판스프링(14)의 파형에 볼트헤드의 모서리가 걸려 볼트의 유동을 방지하고, 볼트를 유동할 시에는 파형판스프링(14)의 탄성보다 볼트에 가해지는 이송력이 더 세면 파형판스프링(14)의 파형이 이완되어 볼트를 유동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체결부재(20)인 고정볼트의 헤드부를 끼워 내설하고, 상기 체결부재(20)인 고정볼트의 볼트부에 고정부재(30)의 볼트공(31)이 관통하도록 결합한 후 볼트부에 고정너트를 체결하여 조립프레임(10)이 서로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부재(20)의 다른 구성으로 도 7a에서 도 7b에 로드(21a)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1b)를 구성하고, 하단부에 걸림편(21c)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프레임(10)과 접합된 고정부재(30)의 볼트공(31)을 관통하여,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걸리는 걸림구(21)와, 상기 걸림구(21)의 로드(21a) 외측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를 조립프레임(10) 측으로 압박하는 압박너트(22)와, 상기 걸림구(21)의 로드(21a)에 구성되어 상기 압박구(22)를 걸림편(21c) 측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23)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의 다른 구성예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2)를 접합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의 접합면 즉 조립프레임(10)과 맞닿는 면에 볼트헤드형의 결합돌기(32)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32)가 요홈(12)에 끼워져 조립프레임(10)을 고정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의 다른 구성예에서도 구조물의 내측뿐만 아니라 측면 외측에서도 상기 조립프레임에 상응하게 구성하여 조립프레임(10)을 고정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프레임(10)의 미각을 증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요홈(12)을 마감 처리할 수 있는데, 요홈마감부재(40)를 상기 요홈(12)에 길이로 끼워져 요홈(12)을 메워 마감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마감부재(40)의 종단에 결합홈(42)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요홈마감부재(40)의 종단에 결합홈(42)을 형성하여, 상기 요홈(12)에 결합된 볼트의 볼트헤드에 결합되어 볼트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홈마감부재(40)의 노출면에는 발광부(41)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발광부(41)는 이엘시트, 엘이디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별도의 제어모듈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프레임에 의해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각도로 형성할 수 있는 결합부재(60)를 구성하여,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결합되어 조립프레임(10)을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에서 조립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니벳, 피스 등으로 상기 결합부재(60)를 관통하여 조립프레임(10)과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성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일예로 조립프레임, 체결부재, 결합부재, 요홈마감부재, 보강부재의 형상과 길이, 굴절각도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고, 조립프레임일 경우 요홈의 갯수, 중공의 형상 등을 변형이나 변경하여도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조립프레임 11: 중공 12: 요홈
13: 이탈방지턱 14: 파형판스프링 20: 체결부재
21a: 로드 21b: 손잡이 21c: 걸림편
22: 압박너트 23: 인장스프링 30:고정부재
31: 볼트공 32: 결합돌기 40: 요홈마감부재
41: 발광부 42: 결합홈 50: 보강부재
60: 결합부재

Claims (9)

  1.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중심에는 중공(11)을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에는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2)을 따라 이탈방지턱(13)을 형성한 조립프레임(10)과;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끼워져 체결하는 체결부재(20)와;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체결부재(20)의 볼트부가 관통하는 볼트공(3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고정부재(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 내부에 한쌍의 파형판스프링(1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길이로 끼워져 요홈(12)을 메워 마감하는 요홈마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홈마감부재(40)에는 발광부(4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 조립부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홈마감부재(40)의 종단을 볼트헤드에 결합되어 볼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결합홈(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 조립부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중공(11)에 삽착하는 보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 조립부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판재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2)를 접합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 조립부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로드(21a)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1b)를 구성하고, 하단부에 걸림편(21c)을 형성한 걸림구(21)와;
    상기 걸림구(21)의 로드(21a) 외측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를 조립프레임(10) 측으로 압박하는 압박너트(22)와;
    상기 걸림구(21)의 로드(21a)에 구성되어 상기 압박구(22)를 걸림편(21c) 측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2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 조립부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프레임(10)의 요홈(12)에 결합되어 조립프레임(10)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설구조물 조립부재.
KR1020110004584A 2011-01-17 2011-01-17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20120083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84A KR20120083115A (ko) 2011-01-17 2011-01-17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84A KR20120083115A (ko) 2011-01-17 2011-01-17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115A true KR20120083115A (ko) 2012-07-25

Family

ID=4671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584A KR20120083115A (ko) 2011-01-17 2011-01-17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31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269B1 (ko) * 2012-10-05 2014-08-06 고석환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KR20180025606A (ko) * 2016-09-01 2018-03-09 (주) 유피테크 메탈 마스크용 프레임
WO2019078376A1 (ko) * 2017-10-17 2019-04-25 백종균 하우스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269B1 (ko) * 2012-10-05 2014-08-06 고석환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KR20180025606A (ko) * 2016-09-01 2018-03-09 (주) 유피테크 메탈 마스크용 프레임
WO2019078376A1 (ko) * 2017-10-17 2019-04-25 백종균 하우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3115A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GB2500099A (en) Post with panel receiving opening
KR10105575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용 인서트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JP2009185586A (ja) 木造耐震壁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EP2320018A2 (en) Arrangement to furring of window
KR200469714Y1 (ko)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KR101559964B1 (ko) 안전 방충망장치
KR20190131344A (ko) 계단 조립체
KR101612376B1 (ko) 중간 연결재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7770347B2 (en) Building frame
KR200454996Y1 (ko) 조립식 목재패널
KR101567876B1 (ko) 무변형 프레임 코너부 결합구조
JP6677819B2 (ja) 韓屋及び寺院の組物組立構造
KR101919809B1 (ko)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펜스 구조물
KR101506481B1 (ko) 견고하고 간편한 조립수단을 구비한 조립식 구조물용 사각파이프
KR200404846Y1 (ko)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JP6099391B2 (ja) 横桟取り付け構造
KR20070043566A (ko)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2636779B1 (ko) 난간용 마감캡
KR102074248B1 (ko) 조립식 목재데크
JP7489261B2 (ja) 壁面構造
KR20120107604A (ko) 목재창호틀
KR101691398B1 (ko) 미닫이 문틀
CN202706369U (zh) 快速组合式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