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996Y1 - 조립식 목재패널 - Google Patents

조립식 목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996Y1
KR200454996Y1 KR2020090002830U KR20090002830U KR200454996Y1 KR 200454996 Y1 KR200454996 Y1 KR 200454996Y1 KR 2020090002830 U KR2020090002830 U KR 2020090002830U KR 20090002830 U KR20090002830 U KR 20090002830U KR 200454996 Y1 KR200454996 Y1 KR 200454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anel
wood
longitudinal direction
bol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51U (ko
Inventor
장석조
Original Assignee
장석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조 filed Critical 장석조
Priority to KR2020090002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99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solid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져 울타리,사이딩,외부의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목재패널의 조립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목재패널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며, 그리고 연결부재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목재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방형으로 형성된 목재패널(10)에 있어서, 상기 목재패널(10)의 이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 상기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도포되는 접착제(20); 상기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면으로 개방된 개구부(31a)의 상하로 이탈방지턱(31b)이 형성된 연결부재삽입홈(31)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연결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립식, 목재패널, 고정홈, 접착제, 연결바, 볼트, 결합브래킷

Description

조립식 목재패널{Prefabricated wood panel}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져 울타리,사이딩,외부의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목재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목재패널의 조립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목재패널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며, 그리고 연결부재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목재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사이딩,외부의자 등의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패널은 자연친화적인 목재패널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울타리,사이딩,외부의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목재패널은 일정한 규격의 면적을 갖는 개별 패널로 제작되고, 시공 시 프레임에 볼트 등의 연결부재로 조립되어 울타리,사이딩,의자 등의 구조물을 이룬다. 통상의 목재패널은 사각형, 특히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목재패널은 썩지 않도록 방부처리된 목재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목재패널(1)을 프레임(2)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목재패널(1)과 프레임(2)에 볼트공(1a)(2a)을 각각 형성한 후, 상기 목재패널(1)과 프레임(2)의 볼트공(1a)(2a)을 일치시킨 상태 에서 이 볼트공(1a)(2a)에 볼트(3)를 끼우고, 프레임(2)의 볼트공(2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볼트(3)의 단부에 와셔(4)를 끼운 상태에서 너트(5)를 체결하여 목재패널(1)을 조립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목재패널(1)의 고정부위에 볼트공(1a)을 일일이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목재패널(1)을 프레임(2)에 조립하는 작업이 불편하여 조립성과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목재패널(1)을 프레임(2)에 고정시키는 볼트(3)의 머리부위와 목재패널(1)의 볼트공(1a)이 외부로 노출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볼트(3)의 머리부위와 볼트공(1a)에 의해 목재패널(1)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목재패널(1)의 볼트공(1a)에 볼트(3)를 끼워서 조립하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볼트(3)의 고정위치가 달라질 경우 구조적으로 볼트(3)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해당위치에 다시 볼트공을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목재로 이루어져 울타리,사이딩,외부의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목재패널을 한층 더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시공 시 목재패널의 조립성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목재패널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의 고정위치가 달라질 경우 연결부재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목재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장방형으로 형성된 목재패널에 있어서, 상기 목재패널의 이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목재패널의 고정홈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목재패널의 고정홈에 연결바를 매입된 상태로 고정하되, 상기 연결바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부재삽입홈을 형성하여, 이 연결부재삽입홈에 볼트의 머리 또는 결합브래킷의 수평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서 조립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목재패널에 따르면 목재로 이루어져 울타리,사이딩,외부의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목재패널의 이면으로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연결바가 일체형으로 매입되기 때문에, 시공 시 목재패널을 한층 더 간단하게 조립하여 조립 성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볼트공이 삭제되고 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목재패널의 외관이 미려하며,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의 고정위치가 달라질 경우 연결부재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립식 목재패널은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목재패널(10)에 있어서, 상기 목재패널(10)의 이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 상기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도포되는 접착제(20); 상기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면으로 개방된 개구부(31a)의 상하로 이탈방지턱(31b)이 형성된 연결부재삽입홈(31)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연결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목재패널(10)은 울타리,사이딩,외부의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목재패널(10)은 일정한 규격의 면적을 갖는 개별 패널로 제작되고, 시공 시 볼트(40)나 결합브래킷(50)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프레임(60)에 조립되어 울타리,사이딩,의자 등의 구조물을 이룬다.
상기 목재패널(10)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목재패널(10)은 썩지 않도록 방부처리된 목재로 이루어지며, 본 고안에 따르면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상 기 목재패널(10)의 이면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홈(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는 접착제(20)가 도포되고, 또한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바(30)가 매입된다.
상기 접착제(20)는 도 9a,9b에서와 같이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도포되는 것으로, 이러한 접착제(20)는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매입되는 연결바(30)를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바(30)는 도 7,8과 도 9a,9b에서와 같이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바(30)의 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부재삽입홈(31)이 형성되고, 연결부재삽입홈(31)에는 이면으로 개방된 개구부(31a)가 형성되며, 개구부(31a)의 상하부에는 연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1b)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30)의 연결부재삽입홈(31)에는 연결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연결바(30)의 전면에는 다수의 요홈(32)이 형성되고, 연결바(30)의 상하면에는 래칫형 톱니(33)가 돌출되며, 연결바(30)의 이면 상하단에는 밀착편(34)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요홈(32)은 접착제(20)를 유입하여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톱니(33)는 쉽게 끼우는 동시에 빠지지 않도록 래칫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력과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밀착편(34)은 목재패널(10)의 이면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바(30)의 연 결부재삽입홈(31)에는 볼트(40)의 머리(4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삽입홈(31)에 머리(41)가 끼워진 볼트(40)는 개구부(31a)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외부로 돌출되고, 볼트(40)의 머리(31)는 이탈방지턱(31b)에 걸려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연결부재삽입홈(31)에 머리(41)가 끼워진 볼트(40)를 프레임(60)의 볼트공(61)에 일치시켜 끼우고, 프레임(60)의 볼트공(6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볼트(40)의 단부에 와셔(70)를 끼운 상태에서 너트(80)를 체결하면 목재패널(10)을 한층 더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조립하면 볼트(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목재패널(10)의 외관이 미려하고, 그리고 조립 시 볼트(40)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바(30)의 연결부재삽입홈(31)에는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결합브래킷(50)의 수평부(5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볼트(40)뿐만 아니라 결합브래킷(50)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식 목재패널(10)도 울타리,사이딩,외부의자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고, 시공 시 볼트(40)나 결합브래킷(50)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프레임(60)에 조립되어 울타리,사이딩,의자 등의 구조물을 이루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목재패널(10)의 이면에 연결바(30)가 매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연결바(30)의 연결부재삽입홈(31)으로 볼트(40)나 결합브래킷(50) 등의 연결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시공 시 볼트(40)나 결합브래킷(50) 등의 연결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프레임(60)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목재패널(10)의 이면으로 볼트(40)나 결합브래킷(50) 등의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연결바(30)가 일체형으로 매입되기 때문에, 시공 시 목재패널(10)을 한층 더 간단하게 조립하여 조립성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볼트를 끼우기 위해 목재패널에 형성된 볼트공이 삭제되고 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즉 목재패널(10)을 프레임(60)에 고정시키는 볼트(40)나 결합브래킷(50) 등의 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목재패널(10)의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볼트(40)나 결합브래킷(50) 등의 연결부재가 연결바(3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특히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의 고정위치가 달라질 경우 연결부재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목재패널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9a,9b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브래킷이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목재패널 11 : 고정홈
20 : 접착제 30 : 연결바
31 : 연결부재삽입홈 31a : 개구부
31b : 이탈방지턱 32 : 요홈
33 : 톱니 34 : 밀착편
40 : 볼트 41 : 머리
50 : 결합브래킷 51 : 수평부

Claims (4)

  1. 장방형으로 형성된 목재패널(10)에 있어서, 상기 목재패널(10)의 이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 상기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도포되는 접착제(20); 상기 목재패널(10)의 고정홈(11)에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면으로 개방된 개구부(31a)의 상하로 이탈방지턱(31b)이 형성된 연결부재삽입홈(31)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연결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30)의 전면에는 다수의 요홈(32)이 형성되고, 연결바(30)의 상하면에는 래칫형 톱니(33)가 돌출되며, 연결바(30)의 이면 상하단에는 밀착편(34)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30)의 연결부재삽입홈(31)에는 볼트(40)의 머리(4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30)의 연결부재삽입홈(31)에는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결합브래킷(50)의 수평부(5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패널.
KR2020090002830U 2009-03-12 2009-03-12 조립식 목재패널 KR200454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30U KR200454996Y1 (ko) 2009-03-12 2009-03-12 조립식 목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30U KR200454996Y1 (ko) 2009-03-12 2009-03-12 조립식 목재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51U KR20100009251U (ko) 2010-09-27
KR200454996Y1 true KR200454996Y1 (ko) 2011-08-09

Family

ID=4419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830U KR200454996Y1 (ko) 2009-03-12 2009-03-12 조립식 목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9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83A (ko) * 2019-05-31 2020-12-09 남궁민우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249B1 (ko) * 2014-11-07 2016-06-03 이경규 셔터패널 및 그 셔터패널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701A (ko) * 1997-10-02 1999-05-06 다케시게 시모노하라 구축용 패널과 그 연결방법
KR20000012211A (ko) * 1999-08-18 2000-03-06 최치웅 조립식 문틀
KR200295276Y1 (ko) 2002-05-11 2002-11-18 김경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용의 모서리보강재
KR200350064Y1 (ko) 2003-08-27 2004-05-14 주식회사 삼한 씨원 창인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701A (ko) * 1997-10-02 1999-05-06 다케시게 시모노하라 구축용 패널과 그 연결방법
KR20000012211A (ko) * 1999-08-18 2000-03-06 최치웅 조립식 문틀
KR200295276Y1 (ko) 2002-05-11 2002-11-18 김경수 건축물 외단열마감시공용의 모서리보강재
KR200350064Y1 (ko) 2003-08-27 2004-05-14 주식회사 삼한 씨원 창인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83A (ko) * 2019-05-31 2020-12-09 남궁민우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KR102201160B1 (ko) * 2019-05-31 2021-01-11 남궁민우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51U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652B1 (ko)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KR100724761B1 (ko) 안전 복합 프레임
KR200454996Y1 (ko) 조립식 목재패널
US20060112657A1 (en) Construction system
JP5892034B2 (ja) 建物の外部付帯物の支持構造
KR101006388B1 (ko) 펜스고정장치
KR20100001977U (ko) 난간의 고정구조
JP4367940B2 (ja) 軽金属製手摺
KR200350314Y1 (ko) 펜스 조립체
JP6099391B2 (ja) 横桟取り付け構造
JP3115996U (ja) 耐震補強具
KR200322223Y1 (ko)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JP2829819B2 (ja) 落石等の防護柵
KR100497932B1 (ko) 방음판용 프레임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JP3614803B2 (ja) 建物の柱の据付構造
JP5529556B2 (ja) 手摺支柱用ブラケット及び手摺
JP4837393B2 (ja) 柱と土台の接合装置
JP3174807U (ja) 木造建築の筋交いの補強構造及び筋交い交差部の固定金具
JP6889563B2 (ja) デッキ用フェンス構造
JP3355552B2 (ja) 建築仕口接合金物組体および該組体による建築仕口接合方法
JP2804007B2 (ja) 螺旋階段用連結金具
KR102201160B1 (ko)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JP4465332B2 (ja) 手摺における支柱と横部材のジョイント部材
JP4116471B2 (ja) 建物付設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