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269B1 -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269B1
KR101413269B1 KR1020120110440A KR20120110440A KR101413269B1 KR 101413269 B1 KR101413269 B1 KR 101413269B1 KR 1020120110440 A KR1020120110440 A KR 1020120110440A KR 20120110440 A KR20120110440 A KR 20120110440A KR 101413269 B1 KR101413269 B1 KR 101413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lightweight section
hole
joint memb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467A (ko
Inventor
고석환
Original Assignee
고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석환 filed Critical 고석환
Priority to KR102012011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2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형강은,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며,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배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형량으로 용접 없이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프레임구조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시공 시간, 비용, 안전 사고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춘다.

Description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LIGHT SHAPE STEEL AND ASSEMBL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골조 등으로 사용되는 경량 형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외벽 자재를 설치하는 공법 중에는, 건물의 외벽에 파이프 또는 C형강 등의 하부 구조체를 설치하고, 외벽 자재를 하부 구조체에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3400호 "건물 외장용 조립체" (특허문헌 1)에는 앵커볼트(6)를 이용해 건물의 외벽면(W)에 'ㄴ'자 형태의 레그(8)을 설치하고, 레그(8)에 각파이프(10)를 용접하여 프레임구조를 형성하고, 프레임구조 상에 외장 패널(2)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장 패널 시공을 위해서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앵커 레그에 파이프 또는 C형강을 용접하여 프레임구조를 형성하였으나, 현장 용접 시공은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고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증대시키며, 용접 부위에 추가적인 방청 마감 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벽 자재 등을 부착하는 프레임구조를 용접 없이 조립할 수 있는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형강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며,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배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에는 결합부재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형강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며,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측이 구조물에 고정 지지되는 앵커부재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배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부재의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재와 상기 경량 형강은 상기 결합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호 수직하게 설치되는 경량 형강들과 상기 경량 형강들을 상호 결합하는 조인트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량 형강들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며,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경량 형강의 상기 절곡부와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경량 형강의 절곡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경량 형강의 상기 절곡부와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경량 형강의 절곡부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호 수직하게 설치되는 경량 형강들과 상기 경량 형강들을 상호 결합하는 조인트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량 형강들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며,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경량 형강의 상기 절곡부와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경량 형강의 절곡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경량 형강의 상기 삽입틈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경량 형강의 삽입틈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을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호 수직하게 설치되는 경량 형강들과 상기 경량 형강들을 상호 결합하는 조인트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량 형강들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며,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경량 형강의 상기 삽입틈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경량 형강의 삽입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경량 형강의 상기 삽입틈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경량 형강의 삽입틈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에는 각각 상기 관통홀과 대응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경량 형강, 상기 제2경량 형강 및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은 용접 없이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프레임구조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시공 시간, 비용, 안전 사고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춘다.
또한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체결부재의 회손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체결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이 건물 외벽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이 연장 부재를 이용해 건물 외벽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1000)은 전면부(1100), 한 쌍의 측면부(1200) 및 한 쌍의 배면부(1300)를 포함한다.
전면부(1100)는 외장 패널(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외장 패널(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100)에는 외장 패널(10)의 크기, 형상에 따라 외장 패널(10)을 고정할 수 있는 체결구(미도시)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부(1200) 각각은 전면부(1100)의 양단에서 전면부(110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측면부(1200) 각각은 중앙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1201)가 구비되고, 절곡부(1201)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0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02)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진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의 관통홀(1202a)이 이용될 수 있고, 또는 호환성 및 조립 용이성을 확장하기 위해 슬릿형의 관통홀(1202b)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절곡부(1201)는 측면부(1200) 상에서 함몰 형성되어, 관통홀(1202)로 체결되는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재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배면부(1300) 각각은 측면부(1200)의 단부에서 측면부(120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면부(1100)와 대략 평행하게 마주한다. 한 쌍의 배면부(1300)의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는 삽입틈(1301)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1000)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하부가 개방된 쉘타입의 'I'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이 건물 외벽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1000)은 건물 외벽(W)에 고정된 앵커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앵커부재로는 'L'자 형태의 레그(2)를 예로 설명한다.
레그(2)의 일측은 앵커볼트(1)에 의해 건물의 외벽(W)에 고정될 수 있다. 레그(2)의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벽(W)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레그(2)의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3)이 형성되어, 경량 형강(1000)의 관통홀(1202)로 삽입되는 볼트(5)가 삽입하여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그(2)의 타측을 경량 형강(1000)의 삽입틈(1301)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시키고, 볼트(5)를 일측의 관통홀(1202)로 삽입시켜 레그(2)의 결합홀(3), 타측의 관통홀(1202') 순으로 통과시키고, 타측의 관통홀(1202')로 돌출된 볼트(5)의 타측을 너트(6)와 결합시킴으로써, 경량 형강(1000)을 레그(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이 연장 앵커를 이용해 건물 외벽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1000)은 건물 외벽(W)에 고정된 앵커부재에 체결될 때, 연장부재(7)를 이용해 체결될 수도 있다. 도 2에 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상 앵커부재로는 'L'자 형태의 레그(2)를 예로 설명하고,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을 설명을 생략한다.
건물의 외형, 자재의 형상 등의 시공 조건에 따라 경량 형강(1000)이 건물 외벽(W)에 고정된 앵커부재로부터 상당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경우 종래에는 앵커부재의 단부에 별도의 연장용 부재를 용접하여 앵커부재를 연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형강(1000)은, 양측에 연장결합홀(7a,7b)이 형성된 연장부재(7)를 앵커부재 일측에 결합하여 건물 외벽(W)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7)는 일측에 레그(2)의 결합홀(3)과 대응되는 제1연장결합홀(7a)을 구비하고, 타측에 경량 형강(1000)의 관통홀(1202, 1202')과 대응하는 제2연장결합홀(7b)을 구비한다.
도 3에는 연장부재(7)가 레그(3)의 타단에 걸쳐지도록 절곡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연장부재(7)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자 형태 등 레그(3)의 타단으로부터 경량 형강(1000)의 설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재(7)의 타단은 경량 형강(1000)의 삽입틈(1301)을 통해 경량 형강(100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연장부재(7)의 제2연장결합홀(7b)과 경량 형강(1000)의 관통홀(1202, 1202')을 통과하는 볼트(5)와 너트(6)에 의해 경량 형강(1000)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재(7)의 일단은 레그(2)의 타단에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레그(2)의 결합홀(3)과 연장부재(7)의 제1연장결합홀(7a)을 통과하는 볼트(8)와 너트(9)에 의해 레그(2)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볼트(5), 너트(6) 등의 체결부재만을 이용해 외벽에 고정 설치된 레그(2)에 경량 형강(1000)을 고정시킬 수 있어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 경량 형강(1000)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공 시간, 비용, 안전 사고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볼트(5), 너트(6) 등의 체결부재가 함몰 형성된 절곡부(1201)를 통해 결합되므로 체결부재가 경량 형강(10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체결부재의 회손을 방지하여 체결 강도 및 내구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부재에 의한 작업자의 상해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동시에 측부에 절곡부(1201)를 형성하여 경량 형강(1000)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조인트부재(500)는 상호 수직하여 설치되는 경량 형강(1000)들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부(510)와 제2삽입부(520)를 포함한다.
제1삽입부(510) 및 제2삽입부(520)는 경량 형강(1000)의 측면부(1200)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절곡부(1201)를 포함한 측면부(1200)의 외형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삽입부(510) 및 제2삽입부(520)는 각각 절곡부(1201)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경량 형강(1000)의 절곡부(1201)로 삽입되는 진입단(511,521)과, 측면부(1200)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절곡부(1201) 양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00)에 밀착되는 지지단(512,522)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삽입부(510) 및 제2삽입부(520)의 진입단(511,512)에는 각각 경량 형강(1000)의 절곡부(1201)에 형성된 관통홀(1202)에 대응하는 조립홀(513)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조립홀(513) 역시 관통홀(1202)과 유사하게, 원형의 조립홀(513a)이 이용될 수 있고, 또는 호환성 및 조립 용이성을 확장하기 위해 슬릿형의 조립홀(513b)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은 조인트부재(500)와 복수 개의 경량 형강(1000,2000)을 포함한다.
외장 패널(10)이 장착되는 경량 형강(1000,2000)을 이용한 프레임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량 형강(1000,2000)이 상호 수직하도록 결합될 필요가 있다.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경량 형강(1000)과 제1방향에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경량 형강(200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 전술한 조인트부재(500)가 사용될 수 있다.
조인트부재(500)는 제1경량 형강(1000)과 제2경량 형강(2000)이 직교하는 부분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부재(500)의 제1삽입부(510)의 진입단(511)은 제1경량 형강(1000)의 일측의 절곡부(1201)로 삽입된다. 이때, 제1삽입부(510)의 지지단(512)은 절곡부(1201) 양측의 측면부(1200)에 밀착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조인트부재(500)의 제2삽입부(520)의 진입단(521)은 제2경량 형강(2000)의 일측의 절곡부(2201)로 삽입된다. 이 때, 제2삽입부(520)의 지지단(522)은 절곡부(2201) 양측의 측면부(220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A)가 제1진입단(511)의 조립홀(513), 제1경량 형강(1000)의 일측의 관통홀(1202), 제1경량 형강(1000)의 타측의 관통홀(1202')의 순서로 삽입되도록, 볼트(A)를 제1삽입부(511)의 조립홀(513) 측으로 삽입한 후, 제1경량 형강(1000)의 타측의 관통홀(1202')로 돌출된 볼트(A)의 타단을 너트(미도시)로 결합하여 조인트부재(500)와 제1경량 형강(1000)을 결합한다.
그리고, 또 다른 볼트(B)가 제2삽입부(521)의 조립홀(513), 제2경량 형강(2000)의 일측의 관통홀(2202), 제2경량 형강(2000)의 타측의 관통홀(2202')의 순서로 삽입되도록, 볼트(B)를 제2삽입부(521)의 조립홀(513) 측으로 삽입한 후, 제2경량 형강(2000)의 타측의 관통홀(2202')로 돌출된 볼트(B)의 타단을 너트(미도시)로 결합하여 조인트부재(500)와 제2경량 형강(2000)을 결합한다.
조인트부재(500)와 경량 형강(1000,2000)의 체결 강도 향상을 위해서는 제1삽입부(511) 및 제2삽입부(521)에 형성된 추가적인 조립홀(513)을 이용해 체결부재를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볼트, 너트 등의 체결부재만을 이용해 제1경량 형강(1000)과 제2경량 형강(2000)은 조인트부재(500)를 매개로 격자 형태의 프레임구조를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시공 시간, 비용 및 안전 사고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립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조립시스템과 비교할 때, 조인트부재(700)가 제2경량 형강(2000)의 삽입틈(2301)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에 따라 조인트부재(700)의 제2삽입부(720)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형태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경량 형강(2000)은 삽입틈(2301)이 조인트부재(700)를 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재(700)의 제2삽입부(720)는 평판 형태의 지지단(722)과 지지단(721)의 하부면에서 지지단(721)에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는 진입단(721)을 구비할 수 있다.
진입단(721)은 제2경량 형강(2000)은 삽입틈(2301)를 통해 제2경량 형강(20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삽입부(2301)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단(721)은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고,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삽입틈(2301)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삽입틈(2301)의 폭에 따라 진입단(721)은 단일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진입단(721)에는 제2경량 형강(2000)에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713)이 제2경량 형강(2000)의 관통홀(220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단(722)은 제2경량 형강(2000)의 측면부(2200)에 밀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조인트부재(700)와 제1경량 형강(1000)의 결합 방법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조인트부재(700)와 제2경량 형강(2000)은, 조인트부재(700)의 제2삽입부(720)측 지지단(722)이 제2경량 형강(2000)의 측면부(2200)에 밀착되도록 제2삽입부(720)측 진입단(721)을 제2경량 형강(2000)의 삽입틈(2301)를 통해 삽입한 후, 볼트(B)가 제2삽입부(721)의 조립홀(713), 제2경량 형강(2000)의 일측의 관통홀(2202), 제2경량 형강(2000)의 타측의 관통홀(미도시)의 순서로 삽입되도록, 볼트(B)를 제2삽입부(521)의 조립홀(513) 측으로 삽입한 후, 제2경량 형강(2000)의 타측의 관통홀로 돌출된 볼트(B)의 타단을 너트(미도시)로 결합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조립시스템과 비교할 때, 조인트부재(800)가 제1경량 형강(1000) 및 제2경량 형강(2000)의 삽입틈(1301,2301)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에 따라 조인트부재(800)의 제1삽입부(810) 및 제2삽입부(820)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형태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량 형강(1000) 및 제2경량 형강(2000)은 각각 삽입틈(1301,2301)이 조인트부재(800)를 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부재(800)의 제1삽입부(810)과 제2삽입부(820)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조인트부재(700)의 제2삽입부(720;도 6참조)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삽입부(810)와 제2삽입부(820)는 대략 직교하는 평판 형태의 지지단(812,822)과 각 지지단(812,822)의 하부면에서 지지단(812,822)에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는 진입단(811,821)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제2실시예의 조인트부재(700)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진입단(811,821)은 제1경량 형강(1000) 또는 제2경량 형강(2000)은 삽입틈(2301)을 통해 각 경량 형강(1000, 20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삽입틈(2301)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단(811,821)은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고,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삽입틈(2301)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삽입틈(2301)의 폭에 따라 진입단(811,821)은 단일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진입단(811,821)에는 제1경량 형강(1000) 또는 제2경량 형강(2000)에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813)이 제1경량 형강(1000) 또는 제2경량 형강(2000)의 관통홀(1202,220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단(811,821)은 각각 제1경량 형강(1000) 또는 제2경량 형강(2000)의 측면부(2200)에 밀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조인트부재(800)와 제1경량 형강(1000) 및 제2경량 형강(2000)의 결합 방법은, 전술한 제2실시예의 조립시스템에서, 조인트부재(700)와 제2경량 형강(2000)의 조립 방법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시공 상황에 따라 경량 형강(1000,2000)의 조립 방법을 다양화 할 수 있어, 시공에 대한 자유도가 확대된다. 상술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각각 경량 형강(1000,2000)의 조립 방향이 서로 다르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형강(1000,2000)은 절곡부(1201,2201)에 형성된 관통홀(1101,1101',1201)을 이용해 조인트부재(500,700,800)와 결합되는 확장성을 가지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재(6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재(500)와 비교할 때, 지지단(512,522)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조인트부재(600)는 지지단(512,522)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경량 형강(1000)의 절곡부(1201)의 함몰 깊이와 관계없이 절곡부(1201)의 외측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량 형강(1000)의 생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절곡부(1201)의 함몰 깊이 가공 오차에 관계없이 경량 형강(1000)을 조립하여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재(700)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재(800) 역시 지지단(712,722,812,822)을 포함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단(711,811,821)이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지지하는 브릿지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시스템은 상술한 제2실시예의 조립시스템과 비교할 때, 조인트부재(700)의 제2삽입부(720)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삽입부(720)에는 제2경량 형강(2000)에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713)이 형성되고, 제2경량 형강(2000)은 삽입틈(2301)이 제2삽입부(720)로 삽입되도록 측방으로 결합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부재(700)의 제2삽입부(72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삽입부(720)의 진입단(721)이 형성되지 않으며, 지지단(722) 자체가 진입단(721)의 역할까지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부재(700)는 제2경량 형강(2000)이 제1경량 향강(1000)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형태로도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의 다양성을 제공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W: 외벽 1: 앵커볼트
2: 레그 7: 연장부재
10: 외장 패널 500,600,700,800: 조인트부재
1000,2000: 경량 형강 1100,2100: 전면부
1200,2200: 측면부 1201,2201: 절곡부
1300,2300: 배면부 1301: 삽입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호 수직하게 설치되는 경량 형강들과 상기 경량 형강들을 상호 결합하는 조인트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량 형강들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며,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경량 형강의 상기 절곡부와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경량 형강의 절곡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경량 형강의 상기 삽입틈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경량 형강의 삽입틈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스템.
  7. 상호 수직하게 설치되는 경량 형강들과 상기 경량 형강들을 상호 결합하는 조인트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량 형강들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며,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경량 형강의 상기 삽입틈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경량 형강의 삽입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경량 형강들 중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경량 형강의 상기 삽입틈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경량 형강의 삽입틈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에는 각각 상기 관통홀과 대응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경량 형강, 상기 제2경량 형강 및 상기 조이트부재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스템.
KR1020120110440A 2012-10-05 2012-10-05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KR10141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40A KR101413269B1 (ko) 2012-10-05 2012-10-05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40A KR101413269B1 (ko) 2012-10-05 2012-10-05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467A KR20140044467A (ko) 2014-04-15
KR101413269B1 true KR101413269B1 (ko) 2014-08-06

Family

ID=5065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440A KR101413269B1 (ko) 2012-10-05 2012-10-05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376A1 (ko) * 2017-10-17 2019-04-25 백종균 하우스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821B1 (ko) * 1996-04-15 1999-02-18 정기관 건축용 구조물
KR200356609Y1 (ko) * 2004-04-26 2004-07-19 김진용 스틸하우스용 지붕 트러스 부재
KR20110115495A (ko) * 2010-04-15 2011-10-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패널 고정부재
KR20120083115A (ko) * 2011-01-17 2012-07-25 김주태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821B1 (ko) * 1996-04-15 1999-02-18 정기관 건축용 구조물
KR200356609Y1 (ko) * 2004-04-26 2004-07-19 김진용 스틸하우스용 지붕 트러스 부재
KR20110115495A (ko) * 2010-04-15 2011-10-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패널 고정부재
KR20120083115A (ko) * 2011-01-17 2012-07-25 김주태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376A1 (ko) * 2017-10-17 2019-04-25 백종균 하우스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467A (ko)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1177B1 (ja) リップ溝形鋼およびその連結金具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CN107605033B (zh) 外装件的安装配件以及建筑物的外装结构
KR101872687B1 (ko) 무개공 외부코너 브라켓
TW201630766A (zh) 安裝金屬件、安裝單元、及鐵道車輛
KR101289316B1 (ko)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간의 연결구조
KR101413269B1 (ko)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JP6931571B2 (ja) 防振架台
JP2015055034A (ja) 梁補強構造および方法、ならびに、補助梁用支持具
KR101778060B1 (ko) 외장판넬 지지파이프 연결브라켓트
KR20150016009A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구조물
KR102007937B1 (ko)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JP7182475B2 (ja) 木製横架材と鋼製横架材との接合構造および受け金物
JP2007327321A (ja) 型枠構造
JP2007162425A (ja) メッシュフェンスの連結金具
JP2006233458A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縦積み工法及びその構造
JP5584348B1 (ja) 建築用ルーバーパネルの落下防止構造
JP5752440B2 (ja) 連結金具及びこれを備えた耐力壁並びにこれを用いた建築物
KR102662456B1 (ko)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KR20130087953A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JP5199856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624217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床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49810Y1 (ko) 수평 결합형 고정 브라켓
JP5685332B1 (ja) 建築物用ブレース接合金具
KR100965815B1 (ko) 거푸집 코너부재의 마감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