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456B1 -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456B1
KR102662456B1 KR1020230135579A KR20230135579A KR102662456B1 KR 102662456 B1 KR102662456 B1 KR 102662456B1 KR 1020230135579 A KR1020230135579 A KR 1020230135579A KR 20230135579 A KR20230135579 A KR 20230135579A KR 102662456 B1 KR102662456 B1 KR 102662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upling
mounting
bra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호 filed Critical 강영호
Priority to KR1020230135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스텝을 전기차의 플랫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사이드스텝(20)에 결합되는 스텝결합부(100); 상기 스텝결합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차량결합부(200); 및 상기 스텝결합부(10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차량결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Bracket for mounting side steps of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스텝을 전기차의 플랫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588호(2006.08.29. 등록)의 '차량용 사이드스텝의 브래킷 어셈블리'(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플랜지가 마련된 차체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차체의 측면 하방으로 사이드스텝 발판을 안착 고정하기 위한 차량용 사이드스텝의 브래킷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어셈블리는; 상기 차체의 하부 프레임 측면에 마운팅볼트를 통해 장착되는 프레임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하단에서 차체의 바깥 측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드스텝 발판이 안착 고정되는 발판 안착부와, 상기 발판 안착부를 이루기 위해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하단에서 밴딩된 코너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메인-브래킷과; 상단은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과 당접하며 하단에는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브래킷의 코너부 상면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서브-브래킷과; 상단이 상기 플랜지의 타측면과 당접하면서 상기 서브-브래킷에 볼트 장착되어 상기 메인-브래킷의 코너부 처짐을 방지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스텝의 브래킷 어셈블리"를 제시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588호(2006.08.29. 등록)
본 발명은 사이드스텝을 전기차의 플랫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되, 특히 전기차 플랫폼에 구비된 서비스홀 및 볼트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차 플랫폼에 별도의 홀을 가공하지 않고 사이드스텝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은, 사이드스텝(20)에 결합되는 스텝결합부(100); 상기 스텝결합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차량결합부(200); 및 상기 스텝결합부(10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차량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각각 수직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스텝결합판(110);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판(120); 및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하부에 측방 관통되게 형성된 스텝결합공(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의 제1차량결합판(210); 및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1차량결합공(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차량결합부(300)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의 제2차량결합판(310); 및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2차량결합공(3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상기 제1차량결합공(220)과 제2차량결합공(320) 중 어느 하나는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볼트(31)에 측방으로 진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상부에 각각 측방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두 제1-1장착홈(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는,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두 제1-1장착홈(140)에 삽입 결합되는 제1-1장착부(230); 및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1장착부(230)가 상기 두 제1-1장착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스텝결합판(110)의 측면과 접하여 걸리게 되는 제1-1걸림부(2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전단에 각각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두 제2-1장착홈(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은, 판재 형태로 되어 상기 두 제2장착홈(150)에 삽입 결합되는 제2-1장착부(311); 상기 제2-1장착부(31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직절곡부(312); 및 상기 수직절곡부(31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평절곡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량결합공(320)은 상기 수평절곡부(313)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와 인접한 스텝결합판(110)의 상부에 측방 관통되게 형성된 제1-2장착홈(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는,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장착홈(160)에 삽입 결합되는 제1-2장착부(250); 및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장착부(250)가 상기 제1-2장착홈(1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텝결합판(110)의 측면과 접하여 걸리게 되는 제1-2걸림부(2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상면에 각각 하방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두 제2-2장착홈(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차량결합부(300)는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의 단부와 중간부에 각각 전후 폭이 축소되게 형성되어 상기 두 제2-2장착홈(170)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두 제2-2장착부(3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 의하면, 사이드스텝을 전기차의 플랫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 의하면, 전기차 플랫폼에 구비된 서비스홀 및 볼트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차 플랫폼에 별도의 홀을 가공하지 않고 사이드스텝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사이드스텝을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이 사이드스텝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차량의 전륜 측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브래킷이 전기차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차량의 후륜 측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브래킷이 전기차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이 사이드스텝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차량의 전륜 측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브래킷이 전기차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에서 차량의 후륜 측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브래킷이 전기차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10)은 스텝결합부(100), 제1차량결합부(200) 및 제2차량결합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사이드스텝(20, 도 1 참조)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각각 수직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스텝결합판(110);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판(120); 및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하부에 측방 관통되게 형성된 스텝결합공(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텝결합공(130)은 사이드스텝(20)과의 연결구조에 따라 각 스텝결합판(110)에 각각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는 상기 스텝결합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 도 4 및 도 7 참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의 제1차량결합판(210); 및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1차량결합공(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차량결합부(300)는 상기 스텝결합부(10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의 제2차량결합판(310); 및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2차량결합공(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의 제1차량결합공(220)과 상기 제2차량결합부(300)의 제2차량결합공(320) 중 어느 하나는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상기 제1차량결합공(220)이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구조가 개시되고, 도 8에 의하면 상기 제1차량결합공(220)이 상기 스텝결합부(100)에서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구조가 개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차량결합공(220)이 전기차 플랫폼(30)의 볼트(31, 도 4 및 도 7 참조)에 측방으로 진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브래킷(10)을 전기차의 하부에 장착할 때에 전기차 플랫폼(30)에 구비된 볼트(31)를 조금만 풀어 제1차량결합판(210)이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후 제1차량결합공(220)에 상기 볼트(31)를 삽입함으로써, 제1차량결합부(200)를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차량결합공(220)과 제2차량결합공(320) 중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되게 않게 형성된 쪽,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차량결합공(320)은 볼트 및 너트의 조합에 의해 전기차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차량결합공(320)은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면에 구비된 서비스홀(service hole)과 마주하게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홀에 'ㄱ'형상의 후크볼트(40)를 설치하여 제2차량결합공(320)에 삽입되도록 배치한 후 너트(50)를 체결함으로써, 제2차량결합부(300)를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텝결합부(100), 제1차량결합부(200) 및 제2차량결합부(300)는 상기 브래킷(10)이 차량의 전륜 측에 장착되는 것인지, 차량의 후륜 측에 장착되는 것인지에 따라 각각의 구조가 다소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측 브래킷(10A)에 의하면,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상부에 각각 측방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두 제1-1장착홈(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는,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두 제1-1장착홈(140)에 삽입 결합되는 제1-1장착부(230); 및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1장착부(230)가 상기 두 제1-1장착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스텝결합판(110)의 측면과 접하여 걸리게 되는 제1-1걸림부(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1걸림부(240)는 상기 제1-1장착부(230)의 양측으로 폭이 확장된 플랜지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일측 스텝결합판(110)의 측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1장착부(230)가 상기 두 제1-1장착홈(14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륜 측 브래킷(10A)에 의하면,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전단에 각각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두 제2-1장착홈(1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은, 판재 형태로 되어 상기 두 제2장착홈(150)에 삽입 결합되는 제2-1장착부(311); 상기 제2-1장착부(31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직절곡부(312); 및 상기 수직절곡부(31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평절곡부(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절곡부(312)와 수평절곡부(313)는 전륜 측 브래킷(10A)을 설치할 때에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면에 형성된 잭포인트(jack point, 32)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차량결합공(320)은 상기 수평절곡부(313)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잭포인트(32) 내에 구비된 서비스홀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볼트(40) 및 너트를 이용하여 제2차량결합부(300)를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 측 브래킷(10B)에 의하면,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와 인접한 스텝결합판(110)의 상부에 측방 관통되게 형성된 제1-2장착홈(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는,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장착홈(160)에 삽입 결합되는 제1-2장착부(250); 및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장착부(250)가 상기 제1-2장착홈(1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텝결합판(110)의 측면과 접하여 걸리게 되는 제1-2걸림부(2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2걸림부(260)는 상기 제1-2장착부(250)의 양측으로 폭이 확장된 플랜지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일측 스텝결합판(110)의 측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2장착부(250)가 상기 두 제1-2장착홈(16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후륜 측 브래킷(10B)에 의하면,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상면에 각각 하방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두 제2-2장착홈(1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량결합부(300)는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의 단부와 중간부에 각각 전후 폭이 축소되게 형성되어 상기 두 제2-2장착홈(170)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두 제2-2장착부(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텝결합부(100)와 제2차량결합부(300)를 결합할 때에, 상기 제2-2장착홈(170)과 인접한 상기 스텝결합판(110)의 상단부가 상기 제2-2장착부(33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스텝결합부(100)와 제2차량결합부(300)가 정확한 위치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륜 측 브래킷(10B)에 의하면, 상기 제2차량결합부(300)는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의 하부에 구비된 보강판(3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판(340)은 상기 스텝결합판(110)과 제2차량결합판(310)의 사이에 리브(rib)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어 후륜 측 브래킷(10B)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판(340)이 상기 스텝결합판(110)과 제2차량결합판(3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판(340)의 전단 상면과 후면에는 상부결합돌기(341)와 후부결합돌기(342)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제2차량결합판(310)에는 상기 상부결합돌기(341)가 삽입되는 상부결합홈(350)이 형성되며, 스텝결합판(110)에는 상기 후부결합돌기(342)가 삽입되는 후부결합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은 제3차량결합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차량결합부(400)는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 및 제2차량결합부(3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텝결합부(100)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의 제3차량결합판(410); 및 상기 제3차량결합판(4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3차량결합공(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차량결합공(420)은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면에 구비된 서비스홀(service hole)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홀에 상기 후크볼트(40)를 설치하여 제3차량결합공(420)에 삽입되도록 배치한 후 너트(50)를 체결함으로써, 제3차량결합부(400)를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3차량결합부(400)는 필요에 따라 전륜 측 브래킷(10A) 또는 후륜 측 브래킷(10B)에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전륜 측 브래킷(10A)과 후륜 측 브래킷(10B)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브래킷(10)이 전기차 플랫폼(30)에 대하여 3점식(three point) 결합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차 플랫폼(30)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10)에 의하면, 사이드스텝(20)을 전기차의 하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브래킷(10)의 장착 시 전기차 플랫폼(30)에 구비된 서비스홀 및 볼트(31)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차 플랫폼(30)에 별도의 홀을 가공하지 않고 사이드스텝(20)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사이드스텝(20)을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브래킷 20 : 사이드스텝
30 : 플랫폼 31 : 볼트
32 : 잭포인트 40 : 후크볼트
50 : 너트 100 : 스텝결합부
110 : 스텝결합판 120 : 연결판
130 : 스텝결합공 140 : 제1-1장착홈
150 : 제2-1장착홈 160 : 제1-2장착홈
170 : 제2-2장착홈 180 : 후부결합홈
200 : 제1차량결합부 210 : 제1차량결합판
220 : 제1차량결합공 230 : 제1-1장착부
240 : 제1-1걸림부 250 : 제1-2장착부
260 : 제1-2걸림부 300 : 제2차량결합부
310 : 제2차량결합판 311 : 제2-1장착부
312 : 수직절곡부 313 : 수평절곡부
320 : 제2차량결합공 330 : 제2-2장착부
340 : 보강판 341 : 상부결합돌기
342 : 후부결합돌기 350 : 상부결합홈
400 : 제3차량결합부 410 : 제3차량결합판
420 : 제3차량결합공

Claims (8)

  1. 전기차의 하부에 사이드스텝(20)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0)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은,
    상기 사이드스텝(20)에 결합되는 스텝결합부(100);
    상기 스텝결합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차량결합부(200); 및
    상기 스텝결합부(10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차량결합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각각 수직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스텝결합판(110);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판(120); 및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하부에 측방 관통되게 형성된 스텝결합공(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의 제1차량결합판(210); 및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1차량결합공(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차량결합부(300)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의 제2차량결합판(310); 및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2차량결합공(320);을 포함하고,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전단에 각각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두 제2-1장착홈(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차량결합판(310)은,
    판재 형태로 되어 상기 두 제2-1장착홈(150)에 삽입 결합되는 제2-1장착부(311);
    상기 제2-1장착부(31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직절곡부(312); 및
    상기 수직절곡부(31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평절곡부(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량결합공(320)은 상기 수평절곡부(313)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량결합공(220)과 제2차량결합공(320) 중 어느 하나는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볼트(31)에 측방으로 진입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결합부(100)는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상부에 각각 측방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두 제1-1장착홈(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는,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두 스텝결합판(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두 제1-1장착홈(140)에 삽입 결합되는 제1-1장착부(230); 및
    상기 제1차량결합판(21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1장착부(230)가 상기 두 제1-1장착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스텝결합판(110)의 측면과 접하여 걸리게 되는 제1-1걸림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량결합부(200) 및 제2차량결합부(3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텝결합부(100)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기차 플랫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차량결합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차량결합부(400)는,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 형태의 제3차량결합판(410); 및
    상기 제3차량결합판(4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3차량결합공(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KR1020230135579A 2023-10-12 2023-10-12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KR102662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579A KR102662456B1 (ko) 2023-10-12 2023-10-12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579A KR102662456B1 (ko) 2023-10-12 2023-10-12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456B1 true KR102662456B1 (ko) 2024-04-30

Family

ID=9088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579A KR102662456B1 (ko) 2023-10-12 2023-10-12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4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588Y1 (ko) * 2006-06-26 2006-09-05 주식회사 지에스씨 차량용 사이드스텝의 브래킷 어셈블리
CN209208619U (zh) * 2018-12-11 2019-08-0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侧踏板固定支架
CN219007718U (zh) 2022-10-08 2023-05-1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电动侧踏板组件及电动车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588Y1 (ko) * 2006-06-26 2006-09-05 주식회사 지에스씨 차량용 사이드스텝의 브래킷 어셈블리
CN209208619U (zh) * 2018-12-11 2019-08-0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侧踏板固定支架
CN219007718U (zh) 2022-10-08 2023-05-1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电动侧踏板组件及电动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3622B (zh) 车辆的装饰物安装结构
JP5035658B2 (ja) 車両の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取付構造
JP4508499B2 (ja) 取付構造体
US20080231080A1 (en) Structure of rear portion of car body
JP4844065B2 (ja) 車体構造
KR101575320B1 (ko) 차체 보강구조
CN101445133B (zh) 座椅保持部结构
JP6452044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2662456B1 (ko) 전기차의 사이드스텝 장착용 브래킷
US8328274B2 (en) Cabin apparatus for moving vehicle
JP4360238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6544311B2 (ja) 車載機器固定構造
US10046633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KR20080054607A (ko) 차량의 크로스멤버구조
KR101989453B1 (ko) 차량의 쿼터 패널 보강구조
JP2003276535A (ja) プロテクタ部材の取付構造
CN210941439U (zh) 一种汽车前排座椅安装横梁
KR101413269B1 (ko)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JP2007168557A (ja) 補機取付ブラケット
CN219651291U (zh) 翼子板组件及车辆
JP7219421B2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CN211731561U (zh) 前副车架及车辆
CN215398295U (zh) 构件安装结构
KR950003033Y1 (ko) 자동차의 전면패널과 펜더에이프런(fenderapron)의 결합구조
JPH07144576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取付け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