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953A -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 Google Patents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953A
KR20130087953A KR1020120009238A KR20120009238A KR20130087953A KR 20130087953 A KR20130087953 A KR 20130087953A KR 1020120009238 A KR1020120009238 A KR 1020120009238A KR 20120009238 A KR20120009238 A KR 20120009238A KR 20130087953 A KR20130087953 A KR 20130087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reinforcement
formwork
j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843B1 (ko
Inventor
안호중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알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알폼 filed Critical (주)에이원알폼
Priority to KR102012000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8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널부재와, 상기 널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패널프레임과, 상기 널부재에 연결되는 장선부재와, 상기 패널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장선부재를 지지하는 멍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널부재 또는 멍에부재, 또는 이들 모두에는 간격유지부재의 장착을 위한 타이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타이홀을 형성하는 대신에 보강패널의 널부재와, 멍에부재에 타이홀을 형성하여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각 패널프레임가의 결합부가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부로 콘크리트 침투에 의한 누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간의 결합부에서 밀림현상이나, 또는 배부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보강패널에 장선부재와 멍에부재를 일체화시켜 보강패널 자체의 강도를 증대시켜 강성보강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REINFORCEMENT PANEL AND FORM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거푸집은 상호 이격 설치된 거푸집패널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되고, 이 경우 상호 인접한 거푸집패널의 각 패널프레임 결합부에는 간격유지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홀(이하 '타이홀'이라 함)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타이홀은 유동상태인 콘크리트의 침투를 허용할 뿐만 아니라, 거푸집패널의 재사용 시에 타이홀이나, 타이홀 주변의 패널프레임에 콘크리트 잔해가 부착됨으로써 각 패널프레임간의 결합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타이홀이나, 또는 패널프레임간의 틈새 사이로 침투하는 콘크리트 압력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은 거푸집의 측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또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가 외측방향으로 밀리거나, 또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타이홀을 형성하는 대신에 보강패널의 널부재와, 멍에부재에 타이홀을 형성하여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각 패널프레임가의 결합부가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부로 콘크리트 침투에 의한 누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간의 결합부에서 밀림현상이나, 또는 배부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보강패널에 장선부재와 멍에부재를 일체화시켜 보강패널 자체의 강도를 증대시켜 강성보강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조립체는 콘크리트 주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되는 보강패널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보강패널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가 도입되는데,
이러한 간격유지부재는 플랫타이, 폼타이 또는 세파타이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그리고 종래의 간격유지부재는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는 거푸집패널의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호 인접하여 결합되는 거푸집패널의 각 패널프레임에 상호 대응하도록 타이홈이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각 패널프레임을 맞대어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각 타이홈에 의하여 거푸집의 외측방향과 내측방향이 연통되도록 타이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홀에 간격유지부재를 삽입하여 그 양단부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호 이격 설치된 거푸집패널들 간의 이격 거리가 간격유지부재에 의하여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이 경우 간격유지부재를 타이홀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 타이홀에는 간격유지부재 주변에 일정한 틈새가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가 침투하여 외부로 누출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압력에 의하여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의 침투 시에 각 패널프레임은 거푸집의 측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어 벌어지면서 결합이 약화되어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는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외측방향으로 밀려 배부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거푸집조립체에 의하여 구조물의 축조 후, 거푸집를 해체하게 되면 각 패널프레임의 타이홈과, 타이홈 주변의 패널프레임에는 콘크리트가 경화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렇게 부착된 콘크리트는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령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콘크리트의 잔해가 남게 마련이다.
이 상태에서 보강패널 또는 거푸집패널을 재사용하게 되면 부착된 콘크리트나, 콘크리트의 잔해물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는 일정한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경우 각 패널프레임은 거푸집의 측방향으로 콘크리트에 의하여 압력을 받게 되어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가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때 상기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는 결합이 약화되어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외측방향으로 밀려 배부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타이홀을 형성하는 대신에 보강패널의 널부재와, 멍에부재에 타이홀을 형성하여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각 패널프레임가의 결합부가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부로 콘크리트 침투에 의한 누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간의 결합부에서 밀림현상이나, 또는 배부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보강패널에 장선부재와 멍에부재를 일체화시켜 보강패널 자체의 강도를 증대시켜 강성보강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패널의 패널프레임 폭 방향 길이가 기존 거푸집패널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는 되는 경우 보강패널의 패널프레임 늘어난 폭 방향 길이만큼 단면 2차 모멘트가 증대되어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서 강성을 증대시켜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강패널의 패널프레임 외측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설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어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을 결합 시에, 보강패널의 걸림부재가 거푸집패널의 패널프레임을 외측방향에서 지지하여 받쳐줌으로써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간의 결합부에서 강성을 보다 극대화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은 널부재와, 상기 널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패널프레임과, 상기 널부재에 연결되는 장선부재와, 상기 패널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장선부재를 지지하는 멍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널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설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널프레임의 외측면이 인접패널(일반적으로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이 주로 사용된다)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규격패널의 프레임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널부재 또는 멍에부재, 또는 이들 모두에는 간격유지부재의 장착을 위한 타이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널프레임에는 패널프레임간의 결합 시에, 결합부에서의 단면 2차모멘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연장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조립체는 콘크리트 주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이 교번하여 측방향으로 연결하고,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된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일반적으로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이 흔히 사용된다)로 이루어진 거푸집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은 널부재와, 상기 널부재에 연결되는 패널프레임과, 상기 널부재에 연결되는 장선부재와, 상기 패널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장선부재와 맞닿는 멍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패널의 외측면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패널의 걸림부재에 의해 인접한 거푸집패널의 프레임이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패널의 널부재 또는 멍에부재, 또는 이들 모두에는 타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타이홀을 통하여 간격유지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는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타이홀을 형성하는 대신에 보강패널의 널부재와, 멍에부재에 타이홀을 형성하여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각 패널프레임가의 결합부가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부로 콘크리트 침투에 의한 누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간의 결합부에서 밀림현상이나, 또는 배부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보강패널에 장선부재와 멍에부재를 일체화시켜 보강패널 자체의 강도를 증대시켜 강성보강효과를 극대화시킬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패널의 패널프레임 폭 방향 길이가 기존 거푸집패널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는 되는 경우 보강패널의 패널프레임 늘어난 폭 방향 길이만큼 단면 2차 모멘트가 증대되어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서 강성을 증대시켜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강패널의 패널프레임 외측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설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어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을 결합 시에, 보강패널의 걸림부재가 거푸집패널의 패널프레임을 외측방향에서 지지하여 받쳐줌으로써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간의 결합부에서 강성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타이홀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타이홀이나, 타이홀에 인접한 패널프레임에 콘크리트 잔해가 부착되지 않아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의 재사용 시에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고,
또한 간격유지부재의 설치작업이 쉽고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에 의하여 구성되는 거푸집조립체의 평면도 및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에 의하여 구성되는 거푸집조립체의 사시도 및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 설치된 보강패널(10)들 또는 기존의 거푸집패널(30)들(이하 '거푸집패널(30)'이라 함.) 사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주입공간 쪽을 '내측방향'이라 하고,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이 상호 연결되어 벽체의 내외면을 형성하는 방향을 '측방향'이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은
널부재(11)와, 상기 널부재(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패널프레임과, 상기 널부재(11)에 연결되는 장선부재(13)와, 상기 패널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장선부재(13)를 지지하는 멍에부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널부재(11) 또는 멍에부재(14), 또는 이들 모두에는 간격유지부재(40)의 장착을 위한 타이홀(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에서, 상기 널부재(11)는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 설치되어 콘크리트 주입공간(S)을 형성하고, 주입공간(S)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벽체를 형성하도록 벽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널부재(11)는 금속, 합성수지재, 목재 등과 같은 판상의 소재로 구성되어 상호 측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거푸집의 벽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에서, 상기 패널프레임(12)은
상기 널부재(11)와 연결되어 거푸집의 설치 시에 거푸집패널(30)의 패널프레임(31)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프레임(12)은 상기 널부재(11)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하프레임과, 좌우측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설되도록 구성되는데,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에 의하여 거푸집조립체(FA)가 제작되는 경우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이 측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상호 배치되고,
이때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의 각 패널프레임(12)(31)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어 결합수단, 즉 결합핀을 각 결합공에 삽입한 후, 상기 결합핀에 형성된 삽입공에 웨지핀을 꽂아 각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보강패널(10)의 패널프레임(12)에서 좌우측프레임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부재(12a)가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부재(12a)는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이 결합되는 경우 거푸집패널(30)의 패널프레임(31)을 외측방향에서 접촉하여 지지하여 줌으로써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과의 결합부에서 콘크리트 측압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켜 결합부에서의 밀림현상이나, 배부름현상을 방지하여 강성 보강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강패널(10)의 패널프레임(12), 보다 정확하게는 좌우측프레임에는 패널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프레임(15)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장프레임(15)은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과의 결합 시에, 각 패널프레임(12)(31)의 결합부에서 보강패널(10)의 패널프레임(12) 길이를 연장하여 줌으로써 연장된 길이만큼 각 패널프레임(12)(31)간의 결합부에서 단면 2차모멘트를 증대시켜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에서, 상기 장선부재(13)는
상기 널부재(11)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널부재(1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장선부재(13)는 상기 널부재(11)의 외측면에 일체로 다수 연결되어 널부재(11)를 지지함으로써 널부재(11)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에서, 상기 멍에부재(14)는
상기 패널프레임(12)에 연결되고, 측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장선부재(13)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멍에부재(14)는 상기 각 패널프레임(12)(좌우측프레임)의 내측면에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배열되어 상기 각 장선부재(13)에 직교하는 형태로 맞대어져 각 장선부재(13)를 외측방향에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각 패널프레임(12)을 측방향에서 지지하여 줌으로써 보강패널(10) 자체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선부재(13)는 널부재(11)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상기 멍에부재(14)는 널부재(11)를 지지하는 장선부재(13)의 강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각 패널프레임(12)의 휨 변형을 저지시켜 줌으로써 보강패널(10) 자체의 강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패널(10)이 도입된 거푸집조립체(FA)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중복 기재를 회피하기 위해 동일한 명칭의 동일 구성요소와, 이에 따른 기능이나, 작용효과는 그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조립체(FA)는
거푸집조립체(FA)는 콘크리트 주입공간(S)을 형성하기 위해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이 교번하여 측방향으로 연결하고,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된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보강패널(10)은 널부재(11)와, 상기 널부재(11)에 연결되는 패널프레임(12)과, 상기 널부재(11)에 연결되는 장선부재(13)와, 상기 패널프레임(12)에 연결되고, 상기 장선부재(13)와 맞닿는 멍에부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패널(10)의 널부재(11) 또는 멍에부재(14), 또는 이들 모두에는 타이홀(17)이 형성되고, 상기 타이홀(17)을 통하여 간격유지부재(4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거푸집조립체가 보강패널만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보강패널의 패널프레임을 상호 연결한 후, 대향하는 방향에도 상호 연결된 보강패널들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시켜 콘크리트 주입공간을 형성하게 된다(제1 방식).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을 조합하여 거푸집조립체(FA)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을 교번하여 배치시킨 후, 각 패널프레임(12)(31)을 연결한 후, 대향하는 방향에도 상호 연결된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시켜 콘크리트 주입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제2 방식).
이하에서의 거푸집조립체(FA)는 제2 방식, 즉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거푸집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 방식에 의하여 거푸집조립체(FA)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에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되는 보강패널(10)이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가 도입되는데,
이러한 간격유지부재는 플랫타이나 폼타이, 또는 세파타이에 의하여 구현된다.
우선 간격유지부재가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도입되는 경우로,
상호 인접하여 결합되는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의 각 패널프레임에 상호 대응하도록 타이홈이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각 패널프레임을 맞대어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각 타이홈에 의하여 거푸집의 외측방향과 내측방향이 연통되도록 타이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홀에 간격유지부재를 삽입하여 그 양단부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호 이격 설치된 보강패널들과, 상호 이격된 설치된 거푸집패널들 간의 이격 거리가 간격유지부재에 의하여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이 경우 간격유지부재를 타이홀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 타이홀에는 간격유지부재 주변에 일정한 틈새가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가 침투하여 외부로 누출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압력에 의하여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의 침투 시에 각 패널프레임은 거푸집의 측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어 벌어지면서 결합이 약화되어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는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외측방향으로 밀려 배부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거푸집조립체에 의하여 구조물의 축조 후, 거푸집를 해체하게 되면 각 패널프레임의 타이홈과, 타이홈 주변의 패널프레임에는 콘크리트가 경화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렇게 부착된 콘크리트는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령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콘크리트의 잔해가 남게 마련이다.
이 상태에서 보강패널 또는 거푸집패널을 재사용하게 되면 부착된 콘크리트나, 콘크리트의 잔해물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는 일정한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경우 각 패널프레임은 거푸집의 측방향으로 콘크리트에 의하여 압력을 받게 되어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가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때 상기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는 결합이 약화되어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외측방향으로 밀려 배부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이 연결되는 각 패널프레임(12)(31)의 결합부에 타이홀을 형성하는 대신에
상기 널부재(11) 또는 상기 멍에부재(14), 또는 이들 모두에 타이홀(17)을 형성하여 간격유지부재(40)를 설치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타이홀(17)은 상기 보강패널(10)의 널부재(11)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보강패널(10)의 멍에부재(14)에도 상기 널부재(11)의 타이홀에 대응하는 타이홀(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0)를 일측 방향에 형성된 타이홀(17)을 통하여 삽입하여 타측 방향의 타이홀(17)의 외측방향으로 간격유지부재(40)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한 후,
간격유지부재(40)의 양단부를 보강패널(10)에 고정시키게 되면 간격유지부재(40)의 설치가 종료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부재(40)를 각 패널프레임(12)(31)의 결합부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보강패널(10)에 설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재(40)가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동상태의 콘크리트 압력에 의하여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됨으로써 각 패널프레임이 틈새 사이로 침투하는 콘크리트 압력에 의하여 거푸집이 측방향으로 밀려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각 패널프레임간의 결합부가 콘크리트 측압에 의하여 외측방향으로의 밀림현상이나, 배부름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거푸집조립체(FA)의 해체 후, 다시 사용하는 경우 각 패널프레임(12)(31)에 부착된 콘크리트나, 콘크리트 잔해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각 패널프레임(12)(31)에 부착된 콘크리트나, 콘크리트 잔해물이 없어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가 완전히 밀착될 수 있어 재 설치되는 거푸집조립체(FA)에서 각 패널프레임의 결합부에서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패널(10)의 패널프레임에는 그 길이를 연장하여 형성된 연장프레임(15)이 구비되어 각 패널프레임(12)(31)간의 결합부에서 연장프레임에 의하여 늘어난 길이만큼 결합부에서의 단면 2차모멘트가 증대되고,
아울러 상기 보강패널(10)의 패널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12a)가 거푸집패널(30)의 패널프레임(31)을 외측방향에서 지지하여 줌으로써 보강패널(10)과 거푸집패널(30)간의 결합부에서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강성을 증대시켜 보다 안정적인 거푸집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부재(40)를 타이홀(17)에 장착시킨 후,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50)가 도입되고,
이때 상기 고정부재(50)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50)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51)에는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멍에부재(14)에 고정부재(50)를 삽입하여 장착시키게 되면 상기 삽입부에 간격유지부재(4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40)의 노출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41)가 구비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0)에는 상기 연결부(41)와 이결되어 구비되는 고정돌기(43)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돌기(43)는 상기 고정부재(50)의 삽입부의 폭보다 단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간격유지부재(40)가 삽입부에 장착된 후, 상기 연결부(41)에 결합볼트(42)를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43)의 외측면이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지지부(51)의 외측면에 맞닿아 가압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40)가 멍에부재(14)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거푸집패널에 도입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보강패널이 거푸집패널(30)을 지지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보강패널에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여 그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A : 거푸집조립체 S : 주입공간
10 : 보강패널 11 : 널부재
12 : 보강패널의 패널프레임 12a : 걸림부재
13 : 장선부재 14 : 멍에부재
15 : 연장프레임 16 : 보강부재
16a : 수용부 16b : 제1 지탱부
16c : 제2 지탱부 17 : 타이홀
30 : 거푸집패널 31 : 거푸집패널의 패널프레임
40 : 간격유지부재 41 : 연결부
42 : 연결볼트 43 : 고정돌기
50 : 고정부재 51 : 지지부
53 : 삽입부

Claims (4)

  1. 널부재와,
    상기 널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패널프레임과,
    상기 널부재에 연결되는 장선부재와,
    상기 패널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장선부재를 지지하는 멍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패널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인접패널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널부재 또는 멍에부재, 또는 이들 모두에는 간격유지부재의 장착을 위한 타이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프레임에는 패널프레임간의 결합 시에, 결합부에서 단면 2차모멘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연장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프레임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는, 상기 패널프레임의 외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설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4. 콘크리트 주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이 교번하여 측방향으로 연결하고,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된 보강패널과 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진 거푸집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은 널부재와, 상기 널부재에 연결되는 패널프레임과, 상기 널부재에 연결되는 장선부재와, 상기 패널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장선부재와 맞닿는 멍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패널의 외측면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패널의 걸림부재에 의해 인접한 거푸집패널의 프레임이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패널의 널부재 또는 멍에부재, 또는 이들 모두에는 타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타이홀을 통하여 간격유지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1020120009238A 2012-01-30 2012-01-30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101310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38A KR101310843B1 (ko) 2012-01-30 2012-01-30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38A KR101310843B1 (ko) 2012-01-30 2012-01-30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53A true KR20130087953A (ko) 2013-08-07
KR101310843B1 KR101310843B1 (ko) 2013-09-25

Family

ID=4921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238A KR101310843B1 (ko) 2012-01-30 2012-01-30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3771A (zh) * 2022-01-13 2022-04-08 华汇工程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u型防漏浆封边模板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52B1 (ko) 2015-05-21 2016-07-20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68Y1 (ko) * 2007-04-03 2007-12-11 서보산업 주식회사 일체형 본체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3771A (zh) * 2022-01-13 2022-04-08 华汇工程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u型防漏浆封边模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843B1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439B1 (ko) 유로폼 고정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의 일체적 지지구조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194681B1 (ko) 보조 판넬 결합용 클램프
KR101824861B1 (ko) 결합구조가 향상된 거푸집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101264411B1 (ko) 강성이 보강된 코너용 거푸집조립체
JP6489356B2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JP6283169B2 (ja) 大スパンコンクリート床版型枠および該床版型枠を用いた施工方法
JP6148697B2 (ja) 型枠
JP2010168877A (ja) 残存型枠、およびこれに用いる型枠パネル
KR102064451B1 (ko) 시멘트 페이스트의 누출 방지를 위한 건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960783B1 (ko)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WO2018061075A1 (ja) 型枠
KR20130103420A (ko) 합성보를 이용한 클린룸 골조
KR102007937B1 (ko)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KR101847105B1 (ko)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KR100943424B1 (ko) 앵커를 이용한 모서리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KR101876141B1 (ko) 재활용 가능한 보 설치를 위한 유로폼
KR20150018366A (ko) 콘크리트 플랜지와 강재 웨브 접합형 거더 시공방법
KR20130092760A (ko) 합판 보강용 목심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거푸집조립체
KR102446198B1 (ko) 거푸집 연결체
KR100904420B1 (ko) 거푸집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