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420B1 - 거푸집용 패널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420B1
KR100904420B1 KR1020070074251A KR20070074251A KR100904420B1 KR 100904420 B1 KR100904420 B1 KR 100904420B1 KR 1020070074251 A KR1020070074251 A KR 1020070074251A KR 20070074251 A KR20070074251 A KR 20070074251A KR 100904420 B1 KR100904420 B1 KR 10090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longitudinal direction
pane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835A (ko
Inventor
최경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에스
Priority to KR102007007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420B1/ko
Priority to PCT/KR2008/002172 priority patent/WO2009014302A1/en
Publication of KR2009001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110);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형틀 부재(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31)를 구비한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는 거푸집용 패널(100)을 제시함으로써,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마감공사의 수고와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거푸집, 패널, 결합

Description

거푸집용 패널{PANNEL FOR MOLD}
도 1은 종래의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거푸집을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13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용 패널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
도 5는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형틀 부재와의 결합 구조에 관한 사시도.
도 8은 형틀 부재와의 결합 구조에 관한 단면도.
도 9는 제4실시예로서 패널 결합부의 단면도.
도 10은 패널 결합부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패널 결합부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주요부 확대도.
도 13은 제4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형틀 부재 100,100a : 거푸집용 패널
110 : 판재 120 : 띠형 보강부재
130 : 결합부재 131 : 결합부
132 : 한 쌍의 돌출부 200 : 패널 결합부
210 : 끼움홈 형성부재 211 : 끼움홈
220 : 끼움돌기 형성부재 221 : 끼움돌기
222 : 끼움홈 형성부재 삽입홈 230 : 단차 결합부
230a : 대응 단차 결합부
본 발명은 건축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미늄 재질에 의한 패널(1)이 형틀 부재(10)에 의해 보강 및 연결됨으로써 거푸집이 형성되고, 벽체의 경우 이들 사이에 간격재(20)가 설치된다.
이는 종래의 목재 거푸집 방식에 비해,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콘크리트의 표면 마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패널(1)을 형성하는 알미늄은 목재에 비해 값비싼 재질이므로, 일정 두께를 넘지 않는 규격으로 양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높이가 높은 벽체의 타설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패널(1) 및 형틀 부재(10)가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해한다는 점, 마감공사를 위해 많은 수고와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 손상된 패널의 재사용이 어렵다는 점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마감공사의 수고와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재(11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형틀 부재(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31)를 구비한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는 거푸집용 패널(100)을 제시한다.
상기 결합부재(130)의 결합부(131)는 판형 구조로서 상기 판재(110)와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31)와 상기 판재(110) 사이에는 여유공간(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32); 상기 한 쌍의 돌출부(132)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결합부(1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재(110) 및 결합부재(13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은 만곡진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사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다수가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부재(130) 사이에는 복수의 띠형 보강부재(12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재(110)의 측단부에는 타 거푸집용 패널(100a)과의 결합을 위한 패널 결합부(20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 결합부(200)는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끼움홈(211)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홈 형성부재(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 결합부(200)는 상기 판재(110)의 측면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 결합부(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푸집용 패널(100)과 결합하는 거푸집용 패널(100a)로서, 판재(11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31)를 구비한 결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110)의 측단부에는 타 거푸집용 패널(100)과의 결합을 위한 패널 결합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 결합부(200)는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홈(211)에 결합하도록 외측에 끼움돌기(221)가 형성된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패널(100a)을 제시한다.
상기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는 외측에 상기 끼움홈 형성부재(210)가 끼워지는 끼움홈 형성부재 삽입홈(222)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32); 상기 한 쌍의 돌출부(132)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결합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132) 중 외측의 돌출부(132)로부터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푸집용 패널(100)과 결합하는 거푸집용 패널(100a)로서, 판재(11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31)를 구비한 결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110)의 측단부에는 타 거푸집용 패널(100)과의 결합을 위한 패널 결합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 결합부(200)는 상기 단차 결합부(230)에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상기 판재(110)의 측면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대응 단차 결합부(2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패널(100a)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용 패널(100)은 기본적으로, 판재(110);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형틀 부재(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31)를 구비한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알미늄 재질 등에 의한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를 설치함으로써, 따라서 높이가 높은 벽체의 타설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라도, 타설된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한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띠형 보강부재(120)가 설치됨에 따라 판재(110)와 형틀 부재(10) 사이의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결합부재(130)를 설치하고 그 결합부재(130)의 결합부(131)에 의해 형틀 부재(1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도 7,8 참조).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용 패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한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하므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마감공사의 수고와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이하, 결합부재(130)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결합부재(130)의 결합부(131)는 형틀 부재(1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구조로서 판재(110)와 평행하게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11)에 의해 형틀 부재(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 직하다.
또한, 결합부(131)와 판재(110) 사이에 여유공간(a)이 형성되는 경우, 볼트 등의 결합구(11)가 끼워지는 깊이가 적어지므로, 패널(100)과 형틀 부재(10)의 결합작업이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결합부재(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32); 한 쌍의 돌출부(132)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결합부(131);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판재(110) 및 결합부재(13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이 만곡진 구조(원형 또는 타원형)를 취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결합부재(130)는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부재(130)가 다수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결합부재(130) 사이에 복수의 띠형 보강부재(12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패널(100)은 일정한 규격에 의해 양산된 것들이 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조립되어 사용되는데, 그 조립된 틈 사이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이탈함으로써, 각종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판재(110)의 측단부에는 타 거푸집용 패널(100a)과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패널 결합부(2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패널 결합부(200)는 끼움홈 형성부재(210)와 끼움돌기 형성부재(220)가 쌍을 이루어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홈 형성부재(210)는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끼움홈(211)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는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홈(211)에 결합하도록 외측에 끼움돌기(221)가 형성된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는 외측에 끼움홈 형성부재(210)가 끼워지는 끼움홈 형성부재 삽입홈(222)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는 판재(110)로부터 직접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이는 타 부분에 비해 응력집중이 발생할 수 있는 곳이므로,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132) 및 결합부(131)에 의해 구성된 결합부재(130)의 외측 돌출부(132)로부터 끼움돌기 형성부재(220)가 연장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이탈은 양 패널(100,100a)의 판재(110)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특히 이 부분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위 패널 결합부(200)는 판재(110)의 측면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 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단차 결합부(230)에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결합하는 패널(100a)의 판재(110)의 측면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대응 단차 결합부(230a)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마감공사의 수고와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한다.

Claims (14)

  1. 판재(11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32);
    상기 한 쌍의 돌출부(132)의 단부 사이를 연결함과 아울러, 형틀 부재(10)와 결합하도록, 상기 판재(110)와 평행하게 형성하게 형성된 판형 구조의 결합부(131);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31)와 상기 판재(110) 사이에는 여유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판재(110) 및 결합부재(13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은 만곡진 구조이고,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130)는 다수가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부재(130) 사이에는 복수의 상기 띠형 보강부재(120)가 형성되고,
    상기 판재(110)의 측단부에는 타 거푸집용 패널(100a)과의 결합을 위한 패널 결합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 결합부(200)는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끼움홈(211)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홈 형성부재(210);를 포함하는 거푸집용 패널(100)과 결합하는 거푸집용 패널(100a)로서,
    판재(11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띠형 보강부재(120);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31)를 구비한 결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32);
    상기 한 쌍의 돌출부(132)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결합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110)의 측단부에는 타 거푸집용 패널(100)과의 결합을 위한 패널 결합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 결합부(200)는 상기 판재(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홈(211)에 결합하도록 외측에 끼움돌기(221)가 형성된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는 외측에 상기 끼움홈 형성부재(210)가 끼워지는 끼움홈 형성부재 삽입홈(222)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끼움돌기 형성부재(220)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132) 중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132)로부터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패널(100a).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74251A 2007-07-24 2007-07-24 거푸집용 패널 KR10090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251A KR100904420B1 (ko) 2007-07-24 2007-07-24 거푸집용 패널
PCT/KR2008/002172 WO2009014302A1 (en) 2007-07-24 2008-04-17 Panel for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251A KR100904420B1 (ko) 2007-07-24 2007-07-24 거푸집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35A KR20090010835A (ko) 2009-01-30
KR100904420B1 true KR100904420B1 (ko) 2009-06-26

Family

ID=4028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251A KR100904420B1 (ko) 2007-07-24 2007-07-24 거푸집용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4420B1 (ko)
WO (1) WO2009014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60B1 (ko) * 2020-07-01 2022-05-12 고미순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198U (ko) * 1992-06-22 1994-01-03 허창구 건축용 패널
JPH07259328A (ja) * 1994-02-04 1995-10-09 Mitsuo Sasaki 型枠要素及びそれらを使用した組立式型枠
KR19980024830U (ko) * 1998-04-17 1998-07-25 변무원 개량형 유로폼
KR20070058415A (ko) * 2007-05-18 2007-06-08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거푸집용 단면 판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06575C (en) * 1989-12-22 1993-06-22 Vittorio Spera Prefabricated assembly for poured concrete forming structures
US6283439B1 (en) * 1998-01-16 2001-09-04 Feather Lite Innovations, Inc. Wall form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R2846688A1 (fr) * 2002-11-06 2004-05-07 Pierre Louis Salas Banche de coffrage en aluminium et profiles pour sa realis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198U (ko) * 1992-06-22 1994-01-03 허창구 건축용 패널
JPH07259328A (ja) * 1994-02-04 1995-10-09 Mitsuo Sasaki 型枠要素及びそれらを使用した組立式型枠
KR19980024830U (ko) * 1998-04-17 1998-07-25 변무원 개량형 유로폼
KR20070058415A (ko) * 2007-05-18 2007-06-08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거푸집용 단면 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35A (ko) 2009-01-30
WO2009014302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811B1 (ko)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04420B1 (ko) 거푸집용 패널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CN210507910U (zh) 一种钢结构装配式墙板
KR200222871Y1 (ko)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CN213653801U (zh) 装配式钢筋混凝土预制构件的快速连接件
KR200418414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0418415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결합체
KR200403203Y1 (ko) 차음 펜스용 플라스틱 패널
KR101620515B1 (ko) 파형강판 결합구조물을 이용한 터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15009Y1 (ko) 거푸집 결속장치
KR10071741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패널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JP4021404B2 (ja) 型枠兼断熱建材およびその型枠兼断熱建材を使用した建築用型枠
KR102454432B1 (ko) 슬래브패널
KR102106106B1 (ko) 알폼용 간격유지장치
KR100998364B1 (ko) 벽체 시공용 유로폼의 설치구조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KR20170113783A (ko) 철근이 부착된 거푸집 일체형 벽체구조
KR200418886Y1 (ko) 차음 펜스용 패널
KR200354549Y1 (ko) 건축용 플레이트 타이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KR20170115927A (ko) 거푸집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