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886Y1 - 차음 펜스용 패널 - Google Patents

차음 펜스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886Y1
KR200418886Y1 KR2020060008255U KR20060008255U KR200418886Y1 KR 200418886 Y1 KR200418886 Y1 KR 200418886Y1 KR 2020060008255 U KR2020060008255 U KR 2020060008255U KR 20060008255 U KR20060008255 U KR 20060008255U KR 200418886 Y1 KR200418886 Y1 KR 200418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ound insulation
coupling portion
cov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춘
Original Assignee
이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춘 filed Critical 이우춘
Priority to KR2020060008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filling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2001/742Use of special materials; Materials having special structures o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enc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결구와 수용홈부로 이루어진 좌우 결합부를 구비하고 걸림턱이 형성된 커버 결합부에 흡음재가 개재된 상태로 커버를 체결함으로써, 결합이 편리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흡(차)음성능이 현저히 우수해지고 견고하게 지지되는 차음 펜스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구획된 차음공동이 형성되는 긴 패널형태로 건설현장 등의 소음지역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음 펜스용 패널에 있어서, 패널은 좌우 결합부와 커버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결합부는 좌측면에 ㄷ형태의 체결구가 돌출되고 우측면에 이 체결구에 대응하여 ㄷ형태의 수용홈부가 함몰되며, 이 체결구와 수용홈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쐐기형의 결합턱을 구비하고 내부에 차음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결합부는 좌우 결합부와 이격된 패널 정면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커버 결합부; 로 구성된다.
패널, 펜스, 차음, 차음공동, 결합부, 커버

Description

차음 펜스용 패널{PANEL FOR SOUND INSULATION FE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음 펜스용 패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음 펜스용 패널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음 펜스용 패널에 흡음재가 개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음 펜스용 패널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음 펜스용 패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차음 펜스용 패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차음공동 32: 체결구
33: 차음공동 34: 수용홈부
35: 차음공동 36: 보강리브
37: 커버 결합부 37a: 걸림턱
38: 커버 38a: 걸림고리
39: 결합턱 A: 흡음재
P: 패널 Pa: 결합턱
J: 브래킷 B: 크로스바
본 고안은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의 연결이 간편해서 작업이 용이하며, 결합 후에 견고하게 지지됨은 물론이고 흡(차)음성능이 현저히 향상되는 차음 펜스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차음 펜스(Sound Insulation Fence)는 지면에 고정된 폴대와 이 폴대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삽입되는 다단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폴대의 재질은 스틸이고 패널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가설 펜스는 쉽게 휘어지고, 그 절단면이 예리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이 됨은 물론 녹 발생의 시발점이 되어 사용연한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고, 슬롯 사이에 삽입되는 다단의 패널 사이 또는 패널과 슬롯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로 인해 차음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종래의 차음 펜스용 패널을 살펴보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 보강리브(12)가 배열된 차음 펜스용 패널(10) 외에 별도의 연결 프레임(18)이 구비되며, 이 연결 프레임(18)에는 구획판(14)에 의하여 차음 펜스용 패널(10)이 삽입고정되는 결합홈(16)이 양측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연결 프레임(18)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16)에 차음 펜스용 패 널(10)이 삽입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차음 펜스용 패널(10)을 상호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연결 프레임을 별도로 제작 및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제조단가 및 설치비가 상승되고, 차음 펜스용 패널 각각을 연결 프레임의 결합홈에 반복적으로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며, 차음공동만으로는 흡(차)음성능을 확보하기 어렵고 보강리브가 단순히 수직으로 배열되어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연결 프레임이 없이도 상호 간에 결합, 고정이 용이해서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결합 후에 그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흡(차)음성능을 향상시킨 차음 펜스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음 펜스용 패널은,
내부에 구획된 차음공동이 형성되는 긴 패널형태로 건설현장 등의 소음지역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음 펜스용 패널에 있어서,
패널은 좌우 결합부와 커버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결합부는 좌측면에 ㄷ형태의 체결구가 돌출되고 우측면에 이 체결구에 대응하여 ㄷ형태의 수용홈부가 함몰되며, 이 체결구와 수용홈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쐐기형의 결합턱을 구비하고 내부에 차음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결합부는 좌우 결합부와 이격된 패널 정면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커버 결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결합부의 걸림턱에는 흠음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양측단이 절곡된 평판형태의 커버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에 구획된 차음공동은 그 단면이
Figure 112006021870053-utm00001
형태로 연속되며, 보강리브가 패널 내면에 사선으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두 보강리브의 끝단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패널 내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음 펜스용 패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음 펜스용 패널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음 펜스용 패널에 흡음재가 개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음 펜스용 패널은 기본적으로 건설현장 등의 소음지역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내부에 구획된 차음공동(遮音空洞)(31)이 형성되는 긴 플라스틱 패널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패널은 체결구(32)와 수용홈부(34)로 이루어지는 좌우 결합부와 커버 결합부(37)로 구성되며, 좌우 결합부는 일측단에 ㄷ형태를 갖는 체결구(32)가 돌출되며, 이 ㄷ형태의 내부에 차음공동(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단에 ㄷ형태를 갖는 수용홈부(34)가 함몰되며, 이 수용홈부(34) 는 상기 체결구(32)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이 ㄷ형태의 내부에 차음공동(3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32)와 수용홈부(34)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로스바(B)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브래킷(J)과 결합되면서 패널(P)들을 연결, 고정하기 위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쐐기형의 결합턱(39)이 형성된다.
이때, 패널의 내부에 구획된 차음공동(31)은 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그 단면이
Figure 112006021870053-utm00002
형태로 연속되는데, 즉 도 2에서와 같이 보강리브(36)가 패널의 양측 내부면을 사선으로 연결하면서 인접하는 두 보강리브(36)의 끝단들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t)된 상태로 계속된다.
이것은 패널 내면과 인접하는 두 보강리브(36)의 끝단이 한 곳에 밀집되는 경우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패널의 전면에 흡음재(A)를 개재하기 위하여 좌우 결합부와 이격된 패널의 전면에 전방으로 수직 돌출되는 커버 결합구(37)가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구비되며, 이 결합구(37)는 내부에 차음공동이 형성되고 단부 외측면에 걸림턱(37a)이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 결합구(37)에 대응하여 평판형태의 커버(38)가 구비되며, 이 커버(38)는 양측단에 결합구(37)의 걸림턱(37a)에 걸려지는 걸림고리(38a)가 형성되는데, 이 걸림고리(38a)는 걸림턱(37a)을 감싸도록 커버(38)의 내측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개재되는 흡음재(吸音材)로는 일반적인 펠트나 기타 (유리)섬유판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구(37')와 걸림턱(37a')을 패널 전면으로부터 ㄴ형태로 돌출시키되 걸림턱(37a')을 패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커버(38')의 걸림부(38a')를 수평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음 펜스용 패널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 고안의 차음 펜스용 패널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패널을 수평으로 연결할 때에는 좌우 결합부로서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ㄷ형태의 체결구(32)와 수용홈부(34)를 서로 결합시키면 된다.
이때 체결구(32)와 수용홈부(34)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결합이 편리하고 결합 후 서로 쉽게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패널에 직접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연결 프레임이 불필요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보강리브(36)가 채널의 내부공간을
Figure 112006021870053-utm00003
형태로 구획하면서 보강리브(36) 끝단의 취약함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차음공동(31)을 형성하므로 외부의 충격에도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패널의 수평연결이 완료되면, 도 3에서처럼 커버 결합부(37), 커버(38) 및 패널전면 사이의 공간에 흡음재(A)를 개재시키는데, 구체적으로 패널의 전면에 흡음재(A)를 밀착한 상태에서 패널 양측에 돌출된 커버 결합부(37)의 경사진 걸림턱(37a)에 커버(38) 양측단에 절곡된 걸림고리(38)를 감싸서 걸어주면 된다.
이로써, 패널에 구획된 차음공동(31)의 흡(차)음성능을 흡음재(A)기 보강하 여 줌으로써 차음 펜스용 패널에 요구되는 충분한 흡(차)음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에서 좌우 결합부인 체결구(32), 수용홈부(34) 및 커버 결합부(37)는 모두 그 내부에 차음공동(遮音空洞)을 형성하고 있어서 패널의 차음성능이 배가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누릴 수 있다.
패널(P)이 결합되고 나면 도 5에서와 같이, 크로스바(B)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브래킷(J)을 체결구(32)와 수용홈부(34)의 결합턱(39)에 결합시켜 패널(P)들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본 고안의 차음 펜스용 패널은 축사에 설치되는 경우에 물세척만으로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축사 내의 습도나 가축의 체온관리에 아주 효율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음 펜스용 패널은 상호 간에 결합, 고정이 간편해서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결합 후에 그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흡(차)음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구획된 차음공동이 형성되는 긴 패널형태로 건설현장 등의 소음지역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음 펜스용 패널에 있어서,
    패널은 좌우 결합부와 커버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결합부는 좌측면에 ㄷ형태의 체결구가 돌출되고 우측면에 이 체결구에 대응하여 ㄷ형태의 수용홈부가 함몰되며, 이 체결구와 수용홈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쐐기형의 결합턱을 구비하고 내부에 차음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결합부는 좌우 결합부와 이격된 패널 정면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커버 결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펜스용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의 걸림턱에는 흠음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양측단이 절곡된 평판형태의 커버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펜스용 패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 구획된 차음공동은 그 단면이
    Figure 112006021870053-utm00004
    형태로 연속되며, 보강리브가 패널 내면에 사선으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두 보강리브의 끝단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패널 내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펜스용 패널.
KR2020060008255U 2006-03-28 2006-03-28 차음 펜스용 패널 KR200418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55U KR200418886Y1 (ko) 2006-03-28 2006-03-28 차음 펜스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55U KR200418886Y1 (ko) 2006-03-28 2006-03-28 차음 펜스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886Y1 true KR200418886Y1 (ko) 2006-06-15

Family

ID=4176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255U KR200418886Y1 (ko) 2006-03-28 2006-03-28 차음 펜스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8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387345B1 (ko) 니들펀칭형 방염 섬유 및 단백질계 친환경 접착제를 이용한 천장 판넬 및 역 v자 형상 클립을 이용한 천정 판넬 설치방법
KR101966226B1 (ko) 거푸집 패널 벽체
CA2900237A1 (en) Form 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the same
KR20190038022A (ko) 건축용 천정 구조물 프레임 어셈블리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90081331A (ko) 강화 유리벽 샤시 구조체
KR102058423B1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765673B1 (ko) 조립형 차음 스터드
KR200418886Y1 (ko) 차음 펜스용 패널
KR200418414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200418415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결합체
KR20110086316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5516843B2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20130046991A (ko) 단열성이 향상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101204208B1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KR20090091390A (ko) 알미늄폼의 결속공 보강구조
KR101935396B1 (ko) 이중벽체 및 이중벽체의 시공방법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100626976B1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20060015165A (ko) 배후 공기층을 갖는 흡음형 경량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