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432B1 - 슬래브패널 - Google Patents

슬래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432B1
KR102454432B1 KR1020210124506A KR20210124506A KR102454432B1 KR 102454432 B1 KR102454432 B1 KR 102454432B1 KR 1020210124506 A KR1020210124506 A KR 1020210124506A KR 20210124506 A KR20210124506 A KR 20210124506A KR 102454432 B1 KR102454432 B1 KR 10245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pin
face plate
slab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일
Original Assignee
박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일 filed Critical 박세일
Priority to KR102021012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면판; 양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의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면판이 배치되는 거치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면판에 접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래브패널{SLAB PANEL}
본 발명은 슬래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브패널은 벽면이나 천정에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거푸집은 콘크리트 건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종래의 슬래브패널은 일정 크기로 제작된 합판과 같은 면판을 사용하고, 거푸집의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슬래브패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콘크리트의 타설압을 견디기 위해 슬래브패널에 각목을 덧대어 못을 박아서 슬래브패널을 고정하였다.
하지만, 타설압에 의해 면판이 부숴지거나 꺾어져서 거푸집에 균열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래브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시, 못으로 고정된 면판을 슬래브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설압을 견딜 수 있고, 거푸집의 형성과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면판; 양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의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면판이 배치되는 거치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면판에 접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판은 거치프레임에 삽입되어 보강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판은 거치프레임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핀체결공이 상호 이격되어 메인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슬래브패널; 및 상호 접한 슬래브패널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패널은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에 면판이 배치됨으로써 타설압이 면판과 함께 프레임에 분산되어 면판의 파손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통해 타설압에 의해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파손된 면판만 거치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을 매개로 복수 개의 슬래브패널을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거푸집의 형성과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패널의 블록도, 사시도, 분해사시도,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섹션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슬래브패널에 고정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패널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배면도이다.
도 10,11은 도 8에 도시된 메인프레임과 덮개프레임의 결합 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10에 도시된 메인프레임(120')을 기준하여 덮개프레임(17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덮개프레임(170)을 기준하여 메인프레임(12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패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패널의 블록도, 사시도, 분해사시도,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섹션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슬래브패널(10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면판(110), 양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의 메인프레임(120),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면판(110)이 배치되는 거치프레임(130),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면판(110)에 접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파손된 상기 면판(110)만 상기 거치프레임(130)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20), 거치프레임(130)은 철재, 합금강과 같이 타설압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띤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면판(110)은 합판과 같이 목재가 사용되거나,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4개의 판상부재의 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양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130)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장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면판(110)에 대응되는 판삽입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판삽입공(131)에 상기 면판(110)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40)는 타설압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덧대어 보완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40)는 판상 형태로서,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각 모서리와 상기 거치프레임(130)의 타측면에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모서리보강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4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장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양측면과 상기 거치프레임(130)의 타측면에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보강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보강부재(142)는 일 예로 판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예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슬래브패널(100)은 상기 측면보강부재(142)에 설치되는 열전소자(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열전소자(150)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에 따라 상기 측면보강부재(142)에 발열 또는 흡열이 진행되고, 상기 면판(110)이 철재와 같이 열전도가 잘되는 소재로 이루질 경우, 상기 면판(110)을 매개로 하여 슬래브의 양생에 필요한 온도조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양생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보강부재(142)가 파이프 형태일 경우, 상기 열전소자(150)가 상기 측면보강부재(142)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불특정 외력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150)가 예상치 못하게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면판(110), 모서리보강부재(141), 측면보강부재(142)는 상호 대응되는 볼트체결공(10)이 형성되고, 볼트(11)가 상기 볼트체결공(1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판삽입공(131)에 삽입되는 상기 면판(110)이 상기 모서리보강부재(141)와 측면보강부재(142)에 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면판(110)의 교체 시, 체결된 볼트(11)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20)에서 상기 면판(110)을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슬래브패널에 고정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슬래브패널(100)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핀체결공(121)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래브패널(100)의 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상기 슬래브패널(100)의 상하 또는 좌우에 배치되고, 상호 대응되는 상기 핀체결공(121)에 고정핀(160)이 체결되어 거푸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60)은 체결핀(161)과 웨지핀(162)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핀(161)은 머리부(163)와 몸체(164)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164)에 통공(165)이 형성될 수 있다.
거푸집의 형성 시, 상기 몸체(164)가 상기 핀체결공(121)을 관통하여 상기 머리부(163)가 상기 슬래브패널(100)의 내측면에 걸리고, 상기 통공(165)에 상기 웨지핀(162)을 끼워주면 상호 접한 상기 슬래브패널(10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패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전술된 제1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패널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래브패널(100')에서 메인프레임(120')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123), 상기 세로프레임(123) 간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세로프레임(123)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가로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130')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장길이방향을 따라 면판(110')에 대응하는 판삽입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거치프레임(130')은 상단이 개방된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130')의 양단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장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면판(110')의 양단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장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돌기(132)가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판삽입공(131)에 상기 면판(110')이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면판(110')이 상기 측면보강부재(142)에 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11은 도 8에 도시된 메인프레임과 덮개프레임의 결합 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11을 참조하면, 상기 슬래브패널(100')은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상기 거치프레임(130')의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덮개프레임(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프레임(170)은 판상 형태로서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덮개프레임(170)의 양단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장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71)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프레임(123)의 양측 상단에 결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171)가 상기 결합홈(124)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프레임(170)이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거치프레임(130')의 상단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면판(110')이 상기 메인프레임(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의 타설압과 같은 불특정 외력에 의해 상기 덮개프레임(170)이 상기 메인프레임(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슬래브패널(100')은 순차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결합돌기(171)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핀(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71)가 상기 결합홈(124)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하여, 상기 결합홈(124)과 연통되는 핀삽입공(125)이 상기 세로프레임(123)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핀삽입공(125)과 대응하는 핀삽입홈(172)이 상기 결합돌기(17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핀(180)은 원통 형태이며, 상기 이탈방지핀(180)이 순차적으로 상기 핀삽입공(125)과 핀삽입홈(17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프레임(170)이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견고히 고정되어 원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패널은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에 면판이 배치됨으로써 타설압이 면판과 함께 프레임에 분산되어 면판의 파손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통해 타설압에 의해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파손된 면판만 거치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을 매개로 복수 개의 슬래브패널을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거푸집의 형성과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 : 슬래브패널 110,110' : 면판
120,120' : 메인프레임 130,130' : 거치프레임
140 : 보강부재 150 : 열전소자
160 : 고정핀 170 : 덮개프레임
180 : 이탈방지핀

Claims (7)

  1.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면판;
    양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의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면판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판삽입공이 형성된 거치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각 모서리와 상기 거치프레임의 타측면에 접하여 일체로 형성된 모서리보강부재와 메인프레임의 장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면과 상기 거치프레임의 타측면에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열전소자가 설치된 측면보강부재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복수개로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간에 배치되어 양단이 세로프레임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가로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개방된 'U'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덮개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프레임은 판상 형태이며, 덮개프레임의 양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의 하단에 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프레임의 결합홈을 연통하는 핀삽입공이 세로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고, 원통 형태의 이탈방지핀이 순차적으로 핀삽입공과 핀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덮개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면판의 양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면판이 상기 거치프레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핀체결공;과
    슬래브패널의 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상기 슬래브패널의 상하 또는 좌우에 배치되고, 상호 대응되는 핀체결공에 체결핀과 웨지핀으로 형성되며, 체결핀은 머리부와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에 통공이 형성된 고정핀을 체결하여 슬래브패널과 슬래브패널이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면판, 모서리보강부재, 측면보강부재는 상호 대응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볼트가 볼트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면판이 상기 거치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24506A 2021-09-17 2021-09-17 슬래브패널 KR10245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06A KR102454432B1 (ko) 2021-09-17 2021-09-17 슬래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06A KR102454432B1 (ko) 2021-09-17 2021-09-17 슬래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432B1 true KR102454432B1 (ko) 2022-10-14

Family

ID=8359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506A KR102454432B1 (ko) 2021-09-17 2021-09-17 슬래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4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205A (ko) * 2010-02-22 2011-08-30 조승현 패널 교체형 유로폼
KR20200061685A (ko) * 2018-11-26 2020-06-03 김부용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205A (ko) * 2010-02-22 2011-08-30 조승현 패널 교체형 유로폼
KR20200061685A (ko) * 2018-11-26 2020-06-03 김부용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690B1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101612088B1 (ko) 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알루미늄 거푸집
KR102454432B1 (ko) 슬래브패널
KR101027973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KR102306314B1 (ko)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KR101216632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JP2008223293A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082481B1 (ko) 연속 시공형 pc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102940A (ja) 耐震壁
JP4945428B2 (ja) 補強構造
KR20200141855A (ko) 건축물의 벽 시공 구조
US3689024A (en) Forms for casting concrete
KR102471710B1 (ko) 거푸집 확장장치
KR101938974B1 (ko)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101824461B1 (ko)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JP6830393B2 (ja) 柱梁接合部構造
KR102406336B1 (ko) 벽체 고정용 프레임 보강재 구조체
CN112639232A (zh) 构造元件
JP6945911B1 (ja) 透かしレンガ積み壁材の構築方法
KR10071741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패널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US11041318B1 (en) Load transfer plate apparatus
KR20110074637A (ko) 각목고정용 클램프
KR102106106B1 (ko) 알폼용 간격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