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685A -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685A
KR20200061685A KR1020180147264A KR20180147264A KR20200061685A KR 20200061685 A KR20200061685 A KR 20200061685A KR 1020180147264 A KR1020180147264 A KR 1020180147264A KR 20180147264 A KR20180147264 A KR 20180147264A KR 20200061685 A KR20200061685 A KR 2020006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panel
block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용
Original Assignee
김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용 filed Critical 김부용
Priority to KR102018014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685A/ko
Publication of KR2020006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옹벽블록의 무게를 줄이고, 옹벽블록간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옹벽블록을 속성으로 양생할 수 있고, 나아가 양생과 함께 옹벽블록에 문양을 새길 수 있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옹벽블록을 제작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바닥패널; 복수 개로 이루어져 바닥패널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체결되어 옹벽블록을 양생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및 공간 측으로 바닥패널에 돌출되어 옹벽블록에 중공을 형성하는 기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MOLD FOR MANUFACTURING RETAINING WALL BLOCK}
본 발명은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옹벽블록의 무게를 줄이고, 옹벽블록간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옹벽블록을 속성으로 양생할 수 있고, 나아가 양생과 함께 옹벽블록에 문양을 새길 수 있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물로써,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산기슭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압 및 우수 등의 자연조건에 의해 이들이 붕괴를 막는 기능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 옹벽블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공장에서 단위 크기의 성형,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의 옹벽블록을 현장으로 운반하고 이를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한다.
이러한 옹벽블록의 운반 및 적층을 위해 중장비가 이용되며, 옹벽블록의 무게는 시공비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옹벽블록간 유격이 있을 경우, 옹벽 시공 후 붕괴의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옹벽의 미관을 위해 문양이 새겨진 별도의 타일을 옹벽블록에 붙이는 공정을 진행하거나, 옹벽블록에 직접 문양을 세공하는 공정을 진행할 경우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옹벽블록의 양생시간으로 인해 옹벽 시공 시 대량 공급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0492516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블록의 무게를 줄이고, 옹벽블록간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옹벽블록을 속성으로 양생할 수 있고, 나아가 양생과 함께 옹벽블록에 문양을 새길 수 있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옹벽블록을 제작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바닥패널; 복수 개로 이루어져 바닥패널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체결되어 옹벽블록을 양생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및 공간 측으로 바닥패널에 돌출되어 옹벽블록에 중공을 형성하는 기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측면패널은 옹벽블록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도록 수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양각패널; 및 옹벽블록의 타측에 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암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음각패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옹벽블록에 형성되는 홈과 돌기가 맞물려 옹벽이 시공된다.
본 발명은 기설정된 문양이 가공되어 공간 측으로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옹벽블록에 문양을 형성하는 무늬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바닥패널에 설치되고, 체결이 해제되어 회전하는 측면패널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측면패널에 설치되어 받침부에 거치되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닥패널에 설치되고, 상방 이동하여 양생이 완료된 옹벽블록을 밀어주는 탈형블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은 바닥패널에 형성되는 기둥을 통해 양생 시 승온되는 옹벽블록의 온도가 조절됨으로써 옹벽블록의 양생이 속성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효과를 통해 옹벽블록의 양생시간이 감소됨에 따라 옹벽 시공 시 대량의 옹벽블록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기둥을 통해 옹벽블록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됨으로써 옹벽블록의 전체 무게가 감소되어 옹벽블록의 운반에 따른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옹벽블록이 돌기와 홈이 맞물려 상호간 유격이 방지됨에 따라 완성 후 옹벽이 무너지는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무늬부재를 통해 옹벽블록의 양생과 함께 문양이 형성됨에 따라 문양이 새겨진 별도의 타일이 불필요하고, 문양 세공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시공비 및 공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의 사시도로써, 순차적으로 측면패널이 볼트 체결되어 상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볼트 체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분 'A'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무늬부재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도로써, 순차적으로 (a) 측면패널, (b) 측면패널에 합판이 설치된 상태, (c) 합판에 무늬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측면부재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바닥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부분 'b'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기둥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기둥의 다른 예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보강부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8a에 도시된 보강부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측면패널의 부분 단면도로써, 삽입홀에 고정구가 끼워져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을 통해 제작된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1에 도시된 바닥패널(110)을 기준하여 기둥(13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기둥(130)을 기준하여 바닥패널(11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의 사시도로써, 순차적으로 측면패널이 볼트 체결되어 상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볼트 체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을 통해 제작된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이하 '거푸집'이라 함)은 적층식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옹벽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써, 도 1, 2, 10을 참조하면, 상기 거푸집(100)은 바닥패널(110), 상기 바닥패널(1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측면패널(12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패널(110)은 상기 옹벽블록(10)을 제작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측면패널(12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패널(110)의 형태에 따라 상기 바닥패널(110)의 각 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패널(110)이 사각 형태일 경우, 상기 측면패널(120)은 4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패널(110)의 각 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바닥패널이 삼각 또는 오각 형태일 경우, 상기 측면패널은 3개 또는 5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패널의 각 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용이를 위해 상기 바닥패널(110)은 사각 형태인 것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측면패널(120)은 상기 바닥패널(110)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테두리에 복수 개의 체결공(H)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패널(120)은 상기 체결공(H)을 통해 볼트가 삽입되어 상호 체결됨으로써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상기 옹벽블록(10)을 양생하기 위한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100)은 상기 공간(S) 측으로 상기 바닥패널(110)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옹벽블록(10)에 중공을 형성하는 기둥(1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기둥(130)이 상기 옹벽블록(10)의 중심부에 위치함에 따라 양생 시 승온되는 상기 옹벽블록(10)의 내부열이 상기 기둥(13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상기 옹벽블록(10)의 온도가 하강되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옹벽블록(10)의 양생이 속성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옹벽블록(10)의 양생시간이 감소됨으로써 옹벽 시공 시 상기 옹벽블록(10)의 대량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130)에 의해 양생이 완료된 상기 옹벽블록(10)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옹벽블록(10)의 무게를 감소시켜주어 운반에 따른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120)은 상기 바닥패널(110)의 일측변에 설치되는 양각패널(121), 타측변에 설치되는 음각패널(122), 나머지 양측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양각패널(121)과 음각패널(122)에 체결되는 조립패널(123)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2,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각패널(121)은 상기 옹벽블록(10)의 일측에 홈(11)이 형성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부(121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각패널(122)은 상기 옹벽블록(10)의 타측에 상기 홈(11)에 대응하는 돌기(12)가 형성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암부(122a)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복수 개의 상기 옹벽블록(10)에 형성되는 상기 홈(11)과 돌기(12)가 맞물려 옹벽이 시공됨으로써 상기 옹벽블록(10)간 유격이 방지되어 옹벽 시공 후 붕괴되는 위험성을 감소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10)이 홈(11)과 돌기(12)가 견고히 맞물림으로써, 무게 감소에 의해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는 것을 보완해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분 'A'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거푸집(100)은 상기 옹벽블록(10)의 테두리에 모따기되도록 상기 측면패널(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경사부(15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경사부(150)를 통해 상기 옹벽블록(10)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옹벽블록(10)의 운반 시 날카로운 상기 옹벽블록(10)의 테두리에 의해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성 및 상기 옹벽블록(10)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옹벽블록(10)에 설치되는 타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150)는 옹벽의 시공환경에 따라 상기 측면패널(120)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기 양각패널(121), 음각패널(122), 조립패널(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무늬부재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도로써, 순차적으로 (a) 측면패널, (b) 측면패널에 합판이 설치된 상태, (c) 합판에 무늬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거푸집(100)은 기설정된 문양(13)이 가공되어 상기 공간(S) 측으로 상기 측면패널(120)에 설치되고, 상기 옹벽블록(10)에 상기 문양(13)을 형성하는 무늬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늬부재(140)는 옹벽의 미관을 위한 구성으로써, 일 예로, 상기 무늬부재(140)는 기설정된 상기 문양(13)이 세공된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무늬부재(140)는 목재 또는 철판에 기설정된 상기 문양(13)이 세공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거푸집(100)에 상기 무늬부재(140)를 설치하기 위해,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패널(120)에 우선 합판(P)을 설치한다.
이는 타설 또는 반복되는 양생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무늬부재(140)를 상기 측면패널(12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하여 교체해주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합판(P)의 설치는 본드, 접착스프레이, 접착테이프와 같은 공지의 접착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120)에 상기 합판(P)이 설치된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판(P)에 상기 무늬부재(14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무늬부재(140)는 타카와 같은 고정부재(T)가 사용되거나 전술된 접착부재가 사용되어 상기 합판(P)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측면부재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5를 참조하면, 상기 거푸집(100)은 상기 바닥패널(110)에 설치되고, 체결이 해제되어 회전하는 상기 측면패널(120)을 지지하는 받침부(160), 상기 측면패널(120)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160)에 거치되는 고정플레이트(17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패널(120)은 손잡이(124)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24)를 통해 상기 측면패널(120)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160)는 'ㄴ'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상기 바닥패널(110)에 설치되고, 타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7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측면패널(120)에 설치되는 연결부(171), 상기 연결부(171)의 타측 단부에 일정각도만큼 절곡되어 상기 받침부(160)에 밀착되는 안착부(17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는 상기 측면패널(120)의 회전각도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안착부(172)와 상기 받침부(160)간 접촉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측면패널(120)이 상기 받침부(160)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패널(110)에 상기 측면패널(1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위해, 상기 바닥패널(110)의 각 변에는 상기 측면패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축(11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패널(12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111)에 힌지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125)가 설치된다.
즉, 볼트 체결이 해제된 상기 측면패널(120)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25)를 매개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70)가 상기 안착부(17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측면패널(120)의 회전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된 상기 측면패널(120)을 통해 양생이 완료된 상기 옹벽블록(10)을 상기 거푸집(100)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하여 외부로 운반할 수 있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바닥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부분 'b'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6a,6b를 참조하면, 상기 거푸집(100)은 상기 기둥(13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패널(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탈형블록(1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탈형블록(180)은 상기 바닥패널(110)로부터 상방 이동하여 양생이 완료된 상기 옹벽블록(10)을 밀어주어 상기 거푸집(100)으로부터 상기 옹벽블록(1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형블록(180)은 육면체이며, 상기 바닥패널(110)은 상기 탈형블록(180)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탈형블록(18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탈형블록(180)의 이동 시 상기 탈형블록(180)의 요동을 방지하여 상기 옹벽블록(10)을 밀어주는 상기 탈형블록(180)의 운동에너지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형블록(180)의 단면 형태는 사각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관통공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탈형블록(180)을 상방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 잭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압 잭을 상기 탈형블록(180)의 하부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바닥패널(110)은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탈형블록(18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삽입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압 잭을 상기 삽입부(112)에 밀어 넣어 상기 탈형블록(180)의 하부에 배치하고, 유압 잭을 구동하여 상기 탈형블록(180)이 상방 이동됨에 따라 상기 탈형블록(180)이 양생이 완료된 상기 옹벽블록(10)을 밀어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패널(110)로부터 상기 옹벽블록(10)이 분리되지 않는 구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개의 상기 탈형블록(180)이 상기 바닥패널(110)의 모서리 인근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탈형블록(180)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삽입부(112)의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탈형블록(180)의 상부에 절곡되어 상기 관통공에 걸리는 확장부(180a)가 형성된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기둥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기둥의 다른 예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130)은 일 예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패널(1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130')은 다른 예로 상기 기둥(130')의 상부에 환봉부재(132)가 입설될 수 있다.
상기 환봉부재(132)는 상기 옹벽블록(10)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양생이 완료된 상기 옹벽블록(10)을 뒤집을 경우, 상기 기둥(130')에 의해 상기 옹벽블록(10)에 형성된 중공을 화단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환봉부재(132)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배수구로 이용할 수 있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보강부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도8a에 도시된 보강부의 다른 예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패널(120)은 보강부(1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26)는 타설압에 의해 상기 측면패널(1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패널(120)에 덧대어 보완하는 구성으로써, 일 예로 일정강성을 띤 철재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26)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보완효과를 높여줄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120)의 길이 또는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측면패널(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126)는 상기 측면패널(120)의 길이 및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측면패널(120)에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을 띨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126')의 다른 예로 일정강성을 띤 철재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고, 전술된 일 예와 같이 상기 측면패널(12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100)은 상기 보강부(126')에 설치되는 열전소자(12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소자(126a)는 상기 보강부(126')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패널(1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전소자(126a)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에 따라 상기 측면패널(120)에 발열 또는 흡열이 진행되어 상기 옹벽블록(10)의 양생에 필요한 온도조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양생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126a)가 상기 보강부(126')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불특정 외력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126a)가 예상치 못하게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측면패널의 부분 단면도로써, 삽입홀에 고정구가 끼워져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9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패널(120)은 볼트가 체결되는 고정구(14)가 상기 옹벽블록(10)에 매립되도록 상기 고정구(14)의 단부가 설치되는 삽입홀(123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14)는 내주면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이며, 상기 고정구(14)의 일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23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0)에 매립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4)에 볼트 체결 시, 볼트의 회전과 함께 상기 고정구(14)가 동조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구(14)의 내부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14)의 타측 단부는 압착되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록(10)에 상기 고정구(14)가 매립되고, 상기 고정구(14)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옹벽블록(10)을 옮기기 위한 타이와 같은 끈부재를 볼트에 걸 수 있다.
그리고 중장비에 의해 운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옹벽블록(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홈(11)과 돌기(12)가 맞물리고, 적층됨에 따라 옹벽이 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은 바닥패널에 형성되는 기둥을 통해 양생 시 승온되는 옹벽블록의 온도가 조절됨으로써 옹벽블록의 양생이 속성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효과를 통해 옹벽블록의 양생시간이 감소됨에 따라 옹벽 시공 시 대량의 옹벽블록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기둥을 통해 옹벽블록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됨으로써 옹벽블록의 전체 무게가 감소되어 옹벽블록의 운반에 따른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옹벽블록이 돌기와 홈이 맞물려 상호간 유격이 방지됨에 따라 완성 후 옹벽이 무너지는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무늬부재를 통해 옹벽블록의 양생과 함께 문양이 형성됨에 따라 문양이 새겨진 별도의 타일이 불필요하고, 문양 세공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시공비 및 공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거푸집 110 : 바닥패널
120 : 측면패널 130, 130' : 기둥
140 : 무늬부재 150 : 경사부
160 : 받침부 170 : 고정플레이트

Claims (5)

  1.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옹벽블록을 제작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바닥패널;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패널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체결되어 상기 옹벽블록을 양생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및
    상기 공간 측으로 상기 바닥패널에 돌출되어 상기 옹벽블록에 중공을 형성하는 기둥;
    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옹벽블록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도록 수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양각패널; 및
    상기 옹벽블록의 타측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암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음각패널;
    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옹벽블록에 형성되는 상기 홈과 돌기가 맞물려 상기 옹벽이 시공되는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문양이 가공되어 상기 공간 측으로 상기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옹벽블록에 상기 문양을 형성하는 무늬부재를 더 포함하는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에 설치되고, 체결이 해제되어 회전하는 상기 측면패널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측면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거치되는 고정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에 설치되고, 상방 이동하여 양생이 완료된 상기 옹벽블록을 밀어주는 탈형블록을 더 포함하는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KR1020180147264A 2018-11-26 2018-11-26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KR20200061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64A KR20200061685A (ko) 2018-11-26 2018-11-26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64A KR20200061685A (ko) 2018-11-26 2018-11-26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85A true KR20200061685A (ko) 2020-06-03

Family

ID=7108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64A KR20200061685A (ko) 2018-11-26 2018-11-26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6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101B1 (ko) 2021-10-14 2022-02-08 유한회사 그린콘크리트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KR102454432B1 (ko) * 2021-09-17 2022-10-14 박세일 슬래브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16B1 (ko) 2004-08-27 2005-06-02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옹벽 제작용 거푸집 및 옹벽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16B1 (ko) 2004-08-27 2005-06-02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옹벽 제작용 거푸집 및 옹벽 제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432B1 (ko) * 2021-09-17 2022-10-14 박세일 슬래브패널
KR102357101B1 (ko) 2021-10-14 2022-02-08 유한회사 그린콘크리트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560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1903460B1 (ko)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KR20200061685A (ko)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JP655749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US11661719B2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305918B1 (ko) 프리캐스트 거더용 거푸집장치
KR20080006425U (ko) 콘크리트 패널 성형장치
KR20040019818A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WO2017042856A1 (ja) 組立ブロック
KR101680595B1 (ko) 조립식 기초구조를 갖는 지주를 포함하는 펜스
KR100448221B1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KR102214348B1 (ko) 개량형 pc패널유닛 제조 장치
KR102341776B1 (ko) 옹벽용 pc패널유닛 제작을 위한 건식콘크리트를 진동에 의해 자동화생산이 가능한 개량형 거푸집 구조
DE102008010545A1 (de) Verlorenes Schalungselement, Verschalung und deren Verwendung
KR101899860B1 (ko)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52343B1 (ko) 기둥 폼 지지 장치
KR101859406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20100037342A (ko) 건물 저층 외벽용 문양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1794983B1 (ko) 고 절·성부에 적용이 가능한 수직 자립형 경관 옹벽
KR100203013B1 (ko) 설치및해체가용이한벽체용시스템포옴
KR102012481B1 (ko) 대형 프리캐스트 더블월 판넬과 중간 연결부재의 일체형 접속 구조
US20180320333A1 (en)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formwork system for forming such a formwor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TW202344744A (zh) 系統化立柱組模結構及應用彼之組立方法
KR101859408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