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60B1 -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 Google Patents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60B1
KR101903460B1 KR1020170178585A KR20170178585A KR101903460B1 KR 101903460 B1 KR101903460 B1 KR 101903460B1 KR 1020170178585 A KR1020170178585 A KR 1020170178585A KR 20170178585 A KR20170178585 A KR 20170178585A KR 101903460 B1 KR101903460 B1 KR 101903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ceiving groove
connecting member
longitudina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학봉
이형호
이종열
이태민
Original Assignee
성우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공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공학봉 filed Critical 성우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재를 보강토 블럭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전면부재에 미감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럭부재와, 상기 블럭부재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전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재를 보강토 블럭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바, 전면부재를 보강토 블럭에서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기술에 비해 훨씬 간단하여 시간 및 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게다가,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이루어져 장착되는 전면부재에 다양하게 크기, 두께, 모양, 무늬, 형상 등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강토 블럭의 미감이 개선되어 제품 경쟁력도 함께 상승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BLOCK FOR RETAINING WALL COMBINING WITH FRONT MEMBERS MADE OF NATURAL MARBLE OR WHITE CEMENT WITH PIGMENT OR PORTLAND CEMENT}
본 발명은 옹벽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보강토 블럭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토 블럭에 전면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전면부재에 다양한 미감을 표현할 수 있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란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벽체로서, 땅을 깎아낸 절개지 또는 흙을 쌓아놓은 성토지 등과 같이 흙에 의한 횡압력이 큰 경우 이를 부담하는 역할을 하는 벽체를 가리킨다.
즉, 절개지 또는 성토지에서 비탈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을 가리킨다.
이러한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으로서 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옹벽 전체 또는 옹벽의 상당 부분을 하나의 일체형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보강 콘크리트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구조설계에 따라 철근을 세우고 거푸집을 배치한 후,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체형 콘크리트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다수의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며, 시공기간이 상당히길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축조되는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콘크리트의 양생에 필요한 기간이 더욱 길어질 수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낭비될 여지가 있다.
옹벽을 축조하는 다른 방법으로 다수의 옹벽 블럭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규격화된 치수의 옹벽 블럭의 조적에 의해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의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옹벽 블럭은 매우 큰 압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콘크리트 등의 재료와 같이 높은 강도를 제공하는 재료가 우선시되며, 이에 따라 외관의 심미성이 희생될 수 있다.
또한, 규격화된 옹벽 블럭이 반복되므로 상대적으로 단조로운 외관 외에는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보강토 옹벽은 매우 오랜 기간 사용되므로, 사용에 따라 일부 옹벽 블럭이 마모 또는 손상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낙서 등에 의한 훼손이 발생할 수 있으나, 각 옹벽 블럭의 육중한 크기와 조적조 형식으로 구현된 옹벽의 구조로 인해 개별 옹벽 블럭을 교체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큰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8901호에서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재(5)를 보강토 블럭의 전면에 형성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전면부재(5)를 인조석재층으로 분사하여 형성하는 바, 보강토 블럭에 장식용 전면부재를 형성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전면부재(5)의 다양한 소재나 다양한 형상을 조합하여 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작용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89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미감의 표현이 가능한 전면부재를 보강토 블럭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보강토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옹벽의 설치되는 보강토 블럭으로서, 블럭부재와, 상기 블럭부재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전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다양한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블럭부재의 상면에는 연결부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이 수용되고, 상기 전면부재의 상면 및 하면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 제2높이방향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수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옹벽의 설치되는 보강토 블럭으로서, 블럭부재와, 상기 블럭부재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전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후면 지지부와, 상기 후면 지지부에 형성되는 전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블럭부재의 상면에는 연결부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이 수용되고, 상기 후면 지지부의 상면 및 하면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 제2 높이방향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수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은, 상기 블럭부재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종방향 수용홈과, 상기 종방향 수용홈에 대해 하방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높이방향 수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종방향 수용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높이방향 연결부와, 상기 종방향 수용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제1 높이방향 연결부의 상부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종방향 연결부와, 상기 제2 높이방향 수용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종방향 연결부의 타단에서 상방 및 하방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높이방향 연결부로 이루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종방향 수용홈은 상방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블럭부재의 일단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높이방향 수용홈은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럭부재 상면의 연결부재 수용홈에 대응하는 상기 블럭부재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이 상기 블럭부재의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 높이방향 수용홈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부재의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이 상기 블럭부재의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 높이방향 수용홈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부재의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은 상기 블럭부재의 정면 및 좌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재의 정면 및 좌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홈에 상기 전면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옹벽의 좌측 직각부에 배치되는 코너 블럭으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은 상기 블럭부재의 정면 및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재의 정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홈에 상기 전면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옹벽의 우측 직각부에 배치되는 코너 블럭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블럭부재에서 횡방향 길이가 짧은 부분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에 상기 전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옹벽의 보강토 블럭 사이에 배치되는 반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전면부재는 전면 둘레 및 종방향 측면 둘레가 라운드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전면부재는 횡방향으로 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에는 하나의 무늬가 분할하여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는 종방향으로 서로 폭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의 각각에서 높이방향으로 종방향 폭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전면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후면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후면 지지부의 상면에 접착재를 도포하고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서 여러 조각으로 길이와 폭이 상이하게 형성된 전면재를 후면 지지부의 상면에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접착단재가 건조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의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높이방향 연결부를 상기 블럭부재에 형성된 제1높이방향 수용홈에 삽입하면서 상기 연결부재의 종방향 연결부를 상기 블럭부재에 형성된 종방향 수용홈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의 하부를 상기 전면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높이방향 수용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블럭부재의 연결부재 수용홈을 덮도록 블럭부재를 상부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전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높이방향 수용홈을 삽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재를 보강토 블럭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전면부재의 이탈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바, 전면부재를 보강토 블럭에서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기술에 비해 훨씬 간단하여 시간 및 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게다가, 장착되는 전면부재에 다양하게 크기, 두께, 모양, 무늬, 형상 등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강토 블럭의 미감이 개선되어 제품 경쟁력이 상당히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블럭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전면부재에서 측면 형상이 변형된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전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전면부재가 횡방향 폭이 상이한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는 도 7 에서 각각의 개별 전면부재의 종방향 두께가 상이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전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는 종래기술의 보강토 블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럭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10)은 블럭부재(100)와, 상기 블럭부재(10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부재(200)에 설치되는 전면부재(300)로 이루어진다.
도 2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블럭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블럭부재(100)는 조적조 형식으로 옹벽을 축조할 때 하중을 부담하기 위한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옹벽 블럭 또는 콘크리트 블럭과 유사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진다.
도 1 에는 블럭부재(100)를 위한 형상이 일례로써 묘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 에는 블럭 부재(100)의 후면이 정면에 비해 좁게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블럭부재(100)는 단순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기타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럭부재(100)는 한 개의 블럭부재(100)로 도 2a 에서와 같이 좌측 직각부를 형성하거나 도 2b 에서와 같이 우측 직각부를 형성하는 코너 블럭 형태로 사용되거나 도 2c 에서와 같이 반 블록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블럭부재(100)의 상부에는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 수용홈(110)은 블럭부재(100)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종방향 수용홈(111)과, 상기 종방향 수용홈(111)에 대해 하방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높이방향 수용홈(112)으로 이루어진다.
종방향 수용홈(111)는 상부가 개방되며 블럭부재(100)의 일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 수용홈(111)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 높이방향 수용홈(112) 역시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재 수용홈(110)은 도 1 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부재(100)의 횡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재 수용홈(1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 에서와 같이 블럭부재(100)의 정면(a)에 전면부재(300)를 설치하는 동시에 좌측면(a)에 종방향으로 연결부재 수용홈(110)을 형성하고 전면부재(300)를 설치하면 옹벽의 좌측 직각부에 배치되는 보강토 블럭(1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b 에서와 같이 블럭부재(100)의 정면(a)에 전면부재(300)를 설치하는 동시에 우측면(c)에 종방향으로 연결부재 수용홈(110)을 형성하고 전면부재(300)를 설치하면 옹벽의 우측 직각부에 배치되는 보강토 블럭(1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2c 에서와 같이 직육면체의 블럭부재(100)에서 길이가 짧은 부분인 측면(c)에만 전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반블록 형태의 보강토 블럭(10)을 형성하여 옹벽에 설치된 보강토 블럭 사이의 작은 공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블럭부재(100)에서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형성된 상면에 대응하는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블럭부재(100)가 적층되는 경우 상부에 적층된 블럭부재(100)의 하면이 하부에 적층된 블럭부재(100)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홈(110)을 덮도록 형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연결부재 수용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 수용홈(11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부재(100)의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럭부재(100)에서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횡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 연결부재(200)의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의 횡방향 폭 및 종방향 연결부(220)의 횡방향 폭의 크기에 관계없이 연결부재(200)를 블럭부재(100)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경우 연결부재(200)의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의 횡방향 폭이 블럭부재(100)의 제1 높이방향 수용홈(112)의 횡방향 폭보다 크거나, 연결부재(200)의 종방향 연결부(220)의 횡방향 폭이 블럭부재(100)의 종방향 수용홈(111)의 횡방향 폭보다 크게 되면 연결부재(200)가 블럭부재(100)에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데,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200)나 전면부재(300)를 측면에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강토 블럭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연결부재(200)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와, 상기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의 상부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종방향 연결부(220)와, 상기 종방향 연결부(220)의 타단에서 상방 및 하방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로 이루어진다.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는 상기 블럭부재(100)에 형성된 제1 높이방향 수용홈(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종방향 연결부(220)도 상기 블럭부재(100)에 형성된 종방향 수용홈(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는 상방 및 하방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가 종방향 연결부(220)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높이는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가 종방향 연결부(22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전면부재(300)의 무게 등에 따라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의 상부 높이나 하부 높이를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하거나 낮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의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종방향 연결부(220)는 수평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이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직형상이 아니거나 수평형상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00)의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 및 종방향 연결부(220)에 각각 대응하는 블럭부재(100)에서의 제1 높이방향 수용홈(112) 및 종방향 수용홈(111) 역시 수직형상이 아니거나 수평형상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도 수직하게 형성되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전면부재(300)에서의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도 역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전면부재(300)는 천연대리석, 방부목, 타일, 시멘트 백시멘트, 벽돌 등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다양한 문양과 색상의 도료 등이 도포될 수 있다.
전면부재(3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연결부재(200)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의 상부 내지 하부가 삽입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은 블럭부재(100)의 연결부재 수용홈(110)에 대응하는 개소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2 에서와 같이 블럭부재(100)에서 횡방향으로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면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도 이에 대응하도록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횡방향 전체적으로 형성된 경우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도 이에 대응하도록 전면부재(300)의 횡방향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이 전면부재(300)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 연결부재(200)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의 횡방향 폭의 크기에 관계없이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경우 연결부재(200)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의 횡방향 폭이 전면부재(300)의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의 폭보다 크게 되면 연결부재(200)가 전면부재(300)에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데,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전면부재에서 측면 형상이 변형된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면부재(300)는 일반적으로 정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을 가지며 평면에서 보아 종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평판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부재(300)는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양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폭이 상이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도 5b 에서와 같이 평면에서 볼때 오목하거나 볼록한 옹벽의 공사에 있어서 보강토 블럭을 옹벽의 테두리 라인과 일치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6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전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면부재(3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모서리 라인 및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라인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서 전면부재가 횡방향 폭이 상이한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면부재(300)는 하나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301)로 구성함으로써 다른 미감이 발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301)의 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데 도 7a 나 도 7b 에서와 같이 일정한 배수로 증가하게 하거나 도 7c 에서와 같이 배수과 관계없이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모티브를 각각의 개별 전면부재 (301)에 분할하여 표현하여 전체적으로 통일된 미감을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은 도 7 에서 각각의 개별 전면부재의 종방향 두께가 상이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각 개별 전면부재(301)의 종방향 폭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 전면부재(301)에서도 높이방향으로 종방향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재(300)를 하나로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301)로 형성함으로써 종방향, 횡방향, 높이방향으로 다양한 변형을 가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면부재를 통한 다양한 미감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은 전면부재(300)가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30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것이나, 하나의 전면부재(300)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종방향, 횡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다양하게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에 형성된 전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면부재(30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재(300)가 하나의 부재가 아니라 후면 지지부(300a) 및 상기 후면 지지부(300a)에 설치되는 전면재(300b)로 이루어진다.
후면 지지부(300a)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전면부재(30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전면재(300b)는 대리석이나 화강석과 같은 석재 또는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 및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9b 를 참조하여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전면부재(3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거푸집(h)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후면 지지부(300a)를 형성하는 작업을 한다.
그런 다음, 후면 지지부(300a)의 상면에 석재용 에폭시와 같은 접착재(b)를 도포한 다음 거푸집(h)의 내부에서 여러 조각으로 길이와 폭이 상이하게 형성된 전면재(300b)를 후면 지지부(300a)의 상면에 접착한다.
접착재가 건조된 다음 거푸집(h)을 제거하면 후면 지지부(300a)와 전면재(300b)로 이루어지는 전면부재(300)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전면재(300b)를 거푸집(h)내에서 부착하게 되므로 복수 개의 전면재(300b)가 전면부재(300)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미감이 개선되는 장점을 가지며 동시에 전면재(300b)가 형성된 전면부재(300)를 한번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재(300)의 구성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여러 가지도 다양한 미감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강토 블럭의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10 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형성된 보강토 블럭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최하단에 블럭부재(100)를 설치하고 블럭부재(100)의 전면에 전면부재(300)를 배치한 다음 연결부재(200)를 통해 블럭부재(100) 및 전면부재(300)를 체결하게 된다.
양자의 체결작업은 연결부재(200)의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를 블럭부재(100)의 제1 높이방향 수용홈(112)에 삽입하면서 동시에 연결부재(200)의 종방향 연결부(220)를 종방향 수용홈(111)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연결부재(200)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의 하부를 상기 전면부재(3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블럭부재(100)에 형성된 종방향 수용홈(111)이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제1 높이방향 수용홈(112) 역시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면부재(3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 역시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연결부재(200)를 단순히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전면부재(300)를 블럭부재(100)에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그런 다음 블럭부재(100)의 상부에 다른 블럭부재(100)를 적층하기만 하면 전면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연결부재(200)를 블럭부재(10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블럭부재(100)에서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형성된 상면에 대응하는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럭부재(100)가 적층되는 경우 상부에 적층된 블럭부재(100)의 하면이 하부에 적층된 블럭부재(100)의 연결부재 수용홈(110)을 덮게 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부재(100)의 자중에 의해 연결부재(200)가 고정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하부의 연결부재(200)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의 상부에 다른 전면부재(3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를 삽입하면 상층으로 전면부재(300)가 설치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하면서 보강토 블럭을 시공하게 된다.
전면부재(300)는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이 모두 연결부재(200)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에 의해 지지되므로 블럭부재(100)에 견고하게 체결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은 연결부재 및 전면부재를 블럭부재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의 효과를 정리하면,
첫째로, 전면부재를 연결부재를 통해 블럭부재에 용이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바, 전면부재를 구비하는 보강토 블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재의 구성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미감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토 블럭은 종래기술의 보강토 블럭에 비해 훨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미감을 표현할 수 있는 바, 제품 경쟁력이 개선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블럭부재 200 : 연결부재
300 : 전면부재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옹벽의 설치되는 보강토 블럭으로서,
    블럭부재(100)와,
    상기 블럭부재(10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부재(200)에 설치되는 전면부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재(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설치되는 후면 지지부(300a)와,
    상기 후면 지지부에 형성되는 전면재(3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럭부재(100)의 종방향 전단부에는 연결부재 수용홈(11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의 일단이 수용되고,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110)은,
    상기 블럭부재(100)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종방향 수용홈(111)과, 상기 종방향 수용홈(111)에 대해 하방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높이방향 수용홈(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 지지부(300a)의 상면 및 하면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 제2 높이방향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수용되며,
    상기 종방향 수용홈(111) 및 제1높이방향 수용홈(112)은 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종방향 수용홈(1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와,
    상기 제1 높이방향 연결부(210)의 상부 단부에서 상기 종방향 수용홈(1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종방향 연결부(220)와,
    상기 종방향 연결부(220)의 단부에서 상방 및 하방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재(300)의 후면 지지부(300a)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제2 높이방향 연결부(2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이 상기 후면 지지부(300a)의 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재(300)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후면 지지부(300a)를 형성하고, 상기 후면 지지부(300a)의 상면에 접착재를 도포하고 거푸집의 내부에서 여러 조각으로 길이와 폭이 상이하게 형성된 상기 전면재(300b)를 상기 후면 지지부(300a)의 상면에 접착한 다음 접착재가 건조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한번에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종방향 연결부(220) 및 제2높이방향 연결부(230)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각각 상기 블럭부재(100)의 종방향 수용홈(111) 및 제1높이방향 수용홈(112)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면부재(300)의 후방 지지부(300a)에 형성된 제2 높이방향 수용홈(310)이 상기 연결부재(200)의 제2높이방향 연결부(23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110)은 상기 블럭부재(100)의 정면 및 좌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재(100)의 정면 및 좌측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110)에 상기 전면부재(300)가 각각 설치되어 옹벽의 좌측 직각부에 배치되는 코너 블럭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9.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110)은 상기 블럭부재(100)의 정면 및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재(100)의 정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110)에 상기 전면부재(300)가 각각 설치되어 옹벽의 우측 직각부에 배치되는 코너 블럭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10.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11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블럭부재(100)에서 횡방향 길이가 짧은 부분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수용홈(110)에 상기 전면부재(300)를 설치함으로써 옹벽의 보강토 블럭 사이에 배치되는 반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11.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300)는 전면 둘레 및 종방향 측면 둘레가 라운드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12.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300)는 횡방향으로 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13. 삭제
  14.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300)는 종방향으로 서로 폭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15.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전면부재(300)의 각각에서 높이방향으로 종방향 폭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78585A 2017-12-22 2017-12-22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KR101903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85A KR101903460B1 (ko) 2017-12-22 2017-12-22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85A KR101903460B1 (ko) 2017-12-22 2017-12-22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460B1 true KR101903460B1 (ko) 2018-11-22

Family

ID=6455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585A KR101903460B1 (ko) 2017-12-22 2017-12-22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949B1 (ko) 2020-06-25 2021-05-20 씨엔피씨 주식회사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KR102240951B1 (ko) 2020-07-08 2021-05-20 씨엔피씨 주식회사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KR20210118643A (ko) 2020-03-23 2021-10-01 (주)지성이씨에스 블록 전면의 미관 개선이 가능한 장착구조
KR20210148588A (ko) 2020-06-01 2021-12-08 (주)엘엔드지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KR102495375B1 (ko) * 2022-05-08 2023-02-06 주식회사 금호콘텍 습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2753A1 (en) * 2009-09-29 2011-03-31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KR101256346B1 (ko) * 2011-10-19 2013-04-18 김종철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101284122B1 (ko) * 2013-04-26 2013-07-10 추성우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2753A1 (en) * 2009-09-29 2011-03-31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KR101256346B1 (ko) * 2011-10-19 2013-04-18 김종철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101284122B1 (ko) * 2013-04-26 2013-07-10 추성우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643A (ko) 2020-03-23 2021-10-01 (주)지성이씨에스 블록 전면의 미관 개선이 가능한 장착구조
KR20210002402U (ko) 2020-03-23 2021-10-29 (주)지성이씨에스 블록 전면의 미관 개선이 가능한 장착구조
KR20210148588A (ko) 2020-06-01 2021-12-08 (주)엘엔드지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KR102240949B1 (ko) 2020-06-25 2021-05-20 씨엔피씨 주식회사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KR102240951B1 (ko) 2020-07-08 2021-05-20 씨엔피씨 주식회사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KR102495375B1 (ko) * 2022-05-08 2023-02-06 주식회사 금호콘텍 습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60B1 (ko)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JP5677965B2 (ja) 複数要素から成る擁壁ブロック
US7165374B2 (en) Wall system and method
US7959380B2 (en) Landscaping system
US11958211B2 (en) Block, block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 block
WO2016138002A1 (en) Block having a trapezoidal shape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KR100538186B1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102157763B1 (ko) 앵커패널과 개비온월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08344B1 (ko) 보수 및 투수 포장 스페이서
KR102409262B1 (ko)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KR20200061685A (ko)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KR101278965B1 (ko) 건설용 석재블록
KR102341776B1 (ko) 옹벽용 pc패널유닛 제작을 위한 건식콘크리트를 진동에 의해 자동화생산이 가능한 개량형 거푸집 구조
KR200152667Y1 (ko) 문양 거푸집의 구조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0770041B1 (ko)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CN211815301U (zh) 可快速拼装的铺装模框结构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US2005028162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floating retaining wall
US20120159888A1 (en) Cultured stone masonry unit
CN212405898U (zh) 一种装配式架空地面瓷砖模块
CN210067303U (zh) 一种高强度的混凝土装饰板
ITRE20090074A1 (it) Sistema modulare di pavimentazione
CN211340262U (zh) 一种架空铺装的无机人造石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