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41B1 -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41B1
KR100770041B1 KR1020070014531A KR20070014531A KR100770041B1 KR 100770041 B1 KR100770041 B1 KR 100770041B1 KR 1020070014531 A KR1020070014531 A KR 1020070014531A KR 20070014531 A KR20070014531 A KR 20070014531A KR 100770041 B1 KR100770041 B1 KR 100770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binding
blocks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현
Original Assignee
도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보호를 위한 옹벽 축조시 사용되는 조립식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끼워 결합되는 조립식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 대칭형상을 가지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공을 구비하는 지지블럭;과 상하 대칭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공보다 큰 폭을 가지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상기 지지블럭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부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결합공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결속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럭을 제공한다.
조립식 옹벽 블럭

Description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block of breast wall for assemblage and breast wall constucting method using whic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지지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지지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블럭의 결합홈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지지블럭과 결속블럭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을 이용하여 설치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설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종래의 조립식 옹벽 블럭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초 콘크리트 20 : 천단 콘크리트
100 : 지지블럭 120 : 전면
140 : 배면 160 : 상단부
162, 164, 166 : 결합공 180 : 하단부
182, 184, 186 : 결합공 200 : 결속블럭
212, 214, 216, 218 : 결합홈
본 발명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보호를 위한 옹벽 축조시 사용되는 조립식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끼워 결합되는 조립식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 블럭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옹벽 블럭의 축조시 블럭과 블럭을 별도의 결속수단에 의해 결합하고 배면 후미에 턱이 형성된 벽돌식 블럭을 사용하여 옹벽의 축조 영역에 따라 축조시간이 증가하여 신속하고 견고한 옹벽의 축조가 상당부분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축조된 옹벽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하여 결속이 약해지고 부분적으로 붕괴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20-0194534호 '조립식옹벽블럭'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옹벽블럭은 결속블럭(30)이 지지블럭(20)에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결속블럭(30)에 형성된 홈이 지지블럭(20)에 걸쳐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결속블럭(30)과 지지블럭(20)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결속블럭(30)이 지지블럭(2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결속블럭(30)을 따라서 미끄러지며 움직일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축조영역에 제한 없이 신속하고 견고한 옹벽 축조를 가능케 하는 조립식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미리 제작된 옹벽 블럭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도록 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옹벽 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결속수단 없이 상호간에 끼움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옹벽 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립식 옹벽 블럭을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대칭형상을 가지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공을 구비하는 지지블럭;과 상하 대칭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공보다 큰 폭을 가지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상기 지지블럭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부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결합공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결속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럭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블럭은 배면은 평평하고, 전면에는 상하 대칭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단부는 배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에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옹벽 안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기초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 콘트리트 위에 결속블럭을 설치하는 단계; 및 지지블록과 결속블럭을 반복하여 적층하며 내부채움과 외부채움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 블럭을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 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지지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지지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럭(100)은 길다란 막대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100)의 길이방향이 절개지의 외곽면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지지블럭(100)은 상하가 대칭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서, 상하로 적층시에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블럭(100)의 전면(120)은 옹벽의 외관을 형성하는 면으로, 옹벽 구조물 완성시의 외관향상과 소음 흡수 그리고 옹벽 구조물 위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볼록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볼록부(122)는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중심선(C1)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블럭(100)의 배면(140)은 평평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블럭(100)의 뒤쪽은 채움재로 채워지는 부분으로 외관을 형성하거나 소음 흡수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지지블럭(100)은 상단부(160)와 하단부(180)은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단부(16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단부(160)는 배면(140)과 전면(120)이 연결되는 부분이며, 결속블럭(200)과 직접 결합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상단부(160)의 형상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결속블럭(200)과 손쉽게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져야 할 것과, 형틀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배면(140)이 가장 넓게 형성되고 전면(120)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상단부(160)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상단부(160)는 배면(140)에서 전면(120)으로 향할 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다. 하단부(180)는 중심선(C1)에 대하여 상단부(16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단부(160)와 하단부(180)에는 소정 간격으로 결합공(162,164,182,184)이 구비되어 있다. 결합공(162,164,182,184)은 상단부(160) 또는 하단부(180)에서 중심선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공(162,164,182,184)의 형성 깊이는 전체 지지블럭(100) 높이의 1/3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공(162,164,182,184)이 서로 마주하여 생기는 목부의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공(162,164,182,184)은 폭은 후술하는 결속블럭(200)의 홈부의 단면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지지블럭(100)의 길이는 결합공(162,164,182,184)으로 분할되는 데, 그 분할비는 1: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로 분할해야 지지블록(100)을 엇물림 구조로 적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162,164,166,182,184,186)을 3쌍 구비하는 경우에 그 분할비는 1:2:2:1이 되는 것이고, 그 이상으로 구비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공을 배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결속블럭(200)은 상기 지지블럭(도 1의 100)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럭(100)의 결합공(162,164,182,184)에 끼워져 상하의 지지블럭(100)과 외곽면과 내측면의 지지블럭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결속블럭(200)도 지지블럭(100)과 마찬가지로 상하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결속블럭(200)은 전방부와 후방부의 양측면에 결합홈부(212,214,216,218)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결속블럭(200)은 각각의 결합홈부(212,214,216,218)에 하나씩의 지지블럭(100)과 결합하는 것으로 총 4개의 지지블럭(100)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홈부(212,214,216,218)는 지지블럭(10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요(凹)홈으로 결속블럭(200)의 중심선(C2)에 대하여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부(212, 216)사이의 간격부(t)는 지지블럭(100)이 적층되었을 때 상하단의 지지블럭(10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된다. 적층되는 지지블럭(100)이 서로 밀착하게 되면 투수성이나 배수성이 좋지 못하므로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간격이 너무 큰 경우에는 지지블럭(100) 사이의 간격으로 내부 채움재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간격은 1~6c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블럭의 결합홈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A선에 따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214,218)는 소정두께 요입되어 형성된 요홈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블럭(100)의 두께(w)가 결합공(도 1의 164, 다른 결합공도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짐.)의 폭(w)과 대응한다. 따라서, 지지블럭(100)의 결합공(162,164,182,184)에 결속블럭(200)의 결합홈부가 끼워지면 지지블럭(100)과 결속블럭(200)이 수평방향으로는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없이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의 지지블럭과 결속블럭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럭(100)은 엇물림으로 서로 어긋나게 쌓고,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외부면 지지블럭(100-1)과 절개지의 표면에 접하는 내측면 지지블럭(100-2)이 결속블럭(200)으로 서로 연결되어 그 내부는 격자 형태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블럭(100)과 결속블럭(200)의 상호 끼움구조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지지블럭(100)과 결속블럭(200) 만으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블럭(200)과 지지블럭(100)으로 형성되는 격자형태의 안쪽(S)은 채움재로 채워지고, 내측면 지지블럭과 절개지의 표면 사이도 채움재로 채워진다. 상기 채움재는 현장에서 발생한 발생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을 이용하여 설치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을 이용하여 설치된 옹벽 구조물 은 최하단에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위에 최하단 결속블럭(200-1)이 배치되고, 그 위로 지지블럭(100)과 결속블럭(200)이 차례로 적층된다. 최하단 결속블럭(200-1)이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이고 결속블럭(200)과 동일하지만 기초 콘크리트(10)의 표면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부호를 달리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블럭(100)과 결속블럭(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자형태의 공간은 채움재로 채워지며, 옹벽 구조물의 뒤쪽도 채움재로 채워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설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을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은 설치할 옹벽 안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기초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s10);와, 상기 기초 콘트리트 위에 최하단의 결속블럭을 설치하는 단계(s20); 와, 지지블록과 결속블럭을 반복하여 적층하며 내부채움과 외부채움을 실시하는 단계(s30);와, 소정의 높이까지 적층이 완료되면 옹벽의 상단부인 천단을 마감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각의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기초 콘크리트 설치 단계(s10)는 터파기 및 기초지반 다짐, 기초 콘크리트 형틀 조립, 기초 콘크리트 타설, 탈형 및 양생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경사면과 반대방향의 기울기(옹벽 안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야 설치되는 옹벽의 하중이 콘크리트에 의하여 적절하게 지지되고 하중이 콘크리트와 절개지 방향으로 분산된다.
최하단의 결속블럭 설치 단계(s20)는 완성된 기초 콘크리트(도 6의 10) 면의 위에 먹줄을 이용하여 지지블럭, 결속블럭의 위치를 표시한 후, 표시된 결속블럭의 위치에 결속블럭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초 콘크리트의 표면이 완벽할 수는 없기 때문에 고저차가 발생하게 된다. 배치되는 모든 결속블럭은 돌일한 높이를 가지고 일정한 구배의 기울기로 맞추어져야 하기 때문에 기초 콘크리트를 깍아 내려서 맞추거나, 별도의 쐐기등을 이용하여 가장 높은 결속블럭의 높이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블럭과 결속블럭을 반복하여 적층단계(s30)는 순차적으로 지지블럭과 결속블럭을 적층하면서 내부채움과 뒤채움을 실시하는 것인데, 이 때 지지블럭 2단을 쌓을 때 마다 채움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움이 이루어져야 지지블럭의 하중이 절개지 측으로 분산되어 붕괴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천단작업(s-40)은 천단 콘크리트(도 6의 20)를 타설하여 상단부를 마감하는 작업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은 엇물림 구조로 지지블럭이 적층되고 그 사이사이에 결속블럭이 자체의 요철로 서로 끼워지는 구조를 제공하여 외력, 토압, 수압, 부등침하 등에 유연하게 적응하며 개개의 부재가 종횡으로 조적 조립되어 외력을 분산 수용함으로써 응력 집중에 따른 구조 성능의 저하 및 균열로 인한 구조적 취약 부분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옹벽 블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럭은 별도의 접합재 없이 신속하게 조적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 속도가 신속하며 별도의 양생기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조적후 즉시 채움 및 메우기가 가능하여 응급 복구 지역 및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 큰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블록과 결속불럭의 공극과 내부 채움돌의 공극으로 과잉수압 발생시 신속한 배수처리가 이루어져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고 별도의 배수시설이 필요치 않은 효과도 가져온다.

Claims (6)

  1. 상하 대칭형상을 가지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공을 구비하는 지지블럭;과
    상하 대칭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공보다 큰 폭을 가지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상기 지지블럭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부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결합공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결속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배면은 평평하고, 전면에는 상하 대칭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단부는 배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에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2쌍의 결합공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공으로 분할되는 지지블럭의 길이는 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3쌍의 결합공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공으로 분할되는 지지블럭의 길이는 1:2: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블럭의 상하 결합홈부 사이의 폭(t)은 1~6c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럭.
  6. 옹벽 안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기초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 콘트리트 위에 제 1항의 결속블럭을 설치하는 단계; 및
    제 1항의 지지블록과 결속블럭을 반복하여 적층하며 내부채움과 외부채움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 블럭을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KR1020070014531A 2007-02-12 2007-02-12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KR100770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531A KR100770041B1 (ko) 2007-02-12 2007-02-12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531A KR100770041B1 (ko) 2007-02-12 2007-02-12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041B1 true KR100770041B1 (ko) 2007-10-26

Family

ID=3881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531A KR100770041B1 (ko) 2007-02-12 2007-02-12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0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26B1 (ko) 2012-10-08 2013-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판형 각재를 이용한 보강토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50338B1 (ko) 2013-02-28 2014-01-10 유한회사 티엔에이 친환경 목재옹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144U (ko) * 1990-03-07 1991-11-27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144U (ko) * 1990-03-07 1991-11-2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26B1 (ko) 2012-10-08 2013-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판형 각재를 이용한 보강토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50338B1 (ko) 2013-02-28 2014-01-10 유한회사 티엔에이 친환경 목재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0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US20120020746A1 (en) Modular block
JP6343727B1 (ja) 自立式擁壁及び連結ブロック
KR102060746B1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AU1738699A (e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0770041B1 (ko)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CN205669211U (zh) 一种预制重力式挡墙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KR100538186B1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101088477B1 (ko)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KR101570938B1 (ko) 강관 말뚝 기초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하천내 댐 건설 방법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JP2003313974A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KR101647089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CN211815301U (zh) 可快速拼装的铺装模框结构
KR102391434B1 (ko)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371637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시공방법
KR100940339B1 (ko)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2003020658A (ja) 構造体
KR20090012102U (ko) 옹벽용 블럭
KR100843998B1 (ko) 조립식 옹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0433699Y1 (ko)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