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746B1 -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746B1
KR102060746B1 KR1020170071422A KR20170071422A KR102060746B1 KR 102060746 B1 KR102060746 B1 KR 102060746B1 KR 1020170071422 A KR1020170071422 A KR 1020170071422A KR 20170071422 A KR20170071422 A KR 20170071422A KR 102060746 B1 KR102060746 B1 KR 10206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protrusion
frame
coupling
reinforc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445A (ko
Inventor
추한선
김종길
이광준
Original Assignee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추한선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추한선, 김종길 filed Critical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7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단부가 테두리와 연결된 다수의 곡선 홈이 음각으로 형성된 배수패턴홈을 구비한 정면부; 측면결합두께만큼 돌출된 측면돌출결합부를 구비한 좌측면부; 상기 측면결합두께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측면돌출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측면함몰결합부를 구비한 우측면부; 상측결합두께만큼 돌출된 상면돌출결합부를 구비한 상면부; 상기 상측결합두께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저면함몰결합부를 구비한 저면부; 상기 정면부 일측에서 배면부를 향하여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배면부로부터 상기 정면부를 향한 배수를 가이드할 수 있는 배수관; 및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와 상기 저면함몰결합부 사이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봉 삽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Stackable Concrete Block and Formwork for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에서 편리하게 콘크리트 블록들을 직립형 또는 계단형으로 적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직 직립형 또는 경사형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의 경계선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일탈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종래 이러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경사진 면에 소정 형태의 석재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양생함으로써 견고한 구조물로 축조되도록 시공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된 옹벽은, 시멘트의 양생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고, 양생이 완료되기 이전에는 석재의 일탈 또는 붕괴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옹벽 또는 축대의 축조를 위해 자연석으로 석재를 마련하여야 하는데, 석재 자원의 고갈됨에 따라 석재 자재 비용이 증가되고, 이러한 석재를 준비할 때 큰 석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며, 시공기간을 연장시키는 시멘트 양생 등으로 인해 인건비가 증가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의 토사에 흡수된 수분이 적절하게 배출되지 못하거나, 특히 겨울철과 같이 날씨가 추워질 경우 수분이 얼어 부피가 팽창되거나 하면, 옹벽에 균열이 발생하고 심지어는 옹벽이 붕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조합하여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시공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옹벽 축조용의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일례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5752호 (2000.12.01. 공고)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에 개시되어 있다. 본 등록실용신안에서는 하부블록층(30, 40, 50)을 쌓을 때 하부블록(80)의 소정 위치에 철근공(81)을 형성하고 상기 철근공(81)에 철근을 삽입하여 아래위층의 하부블록층들을 상호 고정시키고 있다. 따라서, 철근공(81)에 철근을 삽입하여 블록들을 고정시키기 전까지는 아래위층간에 블록들의 위치가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철근공(81)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아래위층의 하부블록들의 철근공(81)의 위치를 정밀하게 맞추어야 하므로 그 위치조절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좌우방향으로는 연결블록(70)에 의해 인접한 하부블록(80)들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지만, 상이한 형상의 하부블록(80)과 연결블록(70)의 두 가지 자재를 준비하고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재관리 및 시공에 어려움이 있고, 좌우방향으로 직선으로만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배수공(84)이 하부블록(80)의 후면에 형성됨으로써 배수가 블록내부 하측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배수량이 많은 경우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옹벽 축조용의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또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 제10-1314556호 (2013.10.07. 공고)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블록에 조립홈(106, 206)과 조립돌기(208, 308)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연결블록 등의 개입이 없이도 수평방향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수직 직립방향 적층시에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식생축조블록(100, 200, 300)들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하여 식생축조블록의 배수홈(410)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지지체(420)를 삽입하여야만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식생축조블록의 적층만으로는 토압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강건한 옹벽을 구축하기 어려워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후방기초부(70)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는 상기 등록실용신안과 마찬가지로 직선으로만 블록의 조립이 가능하여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형상에 대응하는 옹벽을 형성함에 어려움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5752호 (2000.12.01. 공고)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등록특허 제10-1314556호 (2013.10.07. 공고)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연결자재 없이 수평방향뿐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자체적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층과 하층의 블록들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적층 및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 형상을 벗어나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옹벽을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일단부가 테두리와 연결된 다수의 곡선 홈이 음각으로 형성된 배수패턴홈을 구비한 정면부;와, 측면결합두께만큼 돌출된 측면돌출결합부를 구비한 좌측면부;와, 상기 측면결합두께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측면돌출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측면함몰결합부를 구비한 우측면부;와, 상측결합두께만큼 돌출된 상면돌출결합부를 구비한 상면부;와, 상기 상측결합두께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저면함몰결합부를 구비한 저면부;와, 상기 정면부 일측에서 배면부를 향하여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배면부로부터 상기 정면부를 향한 배수를 가이드할 수 있는 배수관; 및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와 상기 저면함몰결합부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보강봉 삽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면돌출결합부는 원뿔대 형상으로 2개 형성되고, 상기 보강봉 삽입구도 2개 형성되며, 상기 저면함몰결합부는 상기 원뿔대의 중심 종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좌측면부에서 상기 우측면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면돌출결합부는 상기 배면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는 상기 정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저면함몰결합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추가 저면함몰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저면함몰결합부와 상기 상면부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2개의 추가 보강봉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상기 배수패턴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양각 패턴을 구비한 바닥면틀;
상기 바닥면틀의 일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면돌출결합부에 대응되는 측면함몰형상을 구비한 좌측면틀;
상기 바닥면틀의 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면함몰결합부에 대응되는 측면돌출형상을 구비한 우측면틀;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에 대응되는 상면함몰형상을 구비한 상면틀;
상기 저면함몰결합부에 대응되는 저면돌출형상을 구비한 저면틀;
상기 상면함몰형상 및 상기 저면돌출형상으로부터 각각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상면 보강봉 고정돌기와 저면 보강봉 고정돌기; 및
상기 바닥면틀의 일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배수관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보강봉 삽입구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상면 보강봉 고정돌기 및 저면 보강봉 고정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보강봉 삽입구용 파이프는 일단부를 상면함몰형상에 구비된 상면 보강용 고정돌기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가 저면돌출형상에 구비된 저면 보강용 고정돌기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는 그 하단부가 상기 배수관 고정돌기에 연결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상면틀과 저면틀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배수관 상측고정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틀, 우측면틀, 상면틀 및 저면틀은 콘크리트 투입 및 양생 후에 완성된 블록을 거푸집으로부터 들어올려서 빼낼 때 바닥면틀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호간에 분리 가능한 핀 또는 쐐기편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에 의하면, 수평방향은 물론이고 수직방향으로도 블록 자체만으로 블록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블록간 연결자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자재관리가 용이해지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한편 블록간 결합 또한 더욱 강건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 자체만으로 블록의 위치가 고정되고 블록간 결합이 강건하게 이뤄질 수 있으므로, 철근 등 별도 보강자재의 조립을 위해 상층 블록과 하층 블록간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맞춰야 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옹벽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직선 형상을 벗어나는 형상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대해서는 그 형상에 근접하는 형상의 옹벽 구축이 가능해짐으로써,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옹벽 사이의 빈틈을 메우기 위해 필요한 토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서, (A)는 좌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우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기 제1실시예 및 그 변형예의 측면도로서, (A)는 상기 제1실시예, (B)는 제1 변형예, (C)는 제2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를, (B)는 수직 적층 상태의 측면도를, (C)는 계단식 적층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로서, (A)는 좌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우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D)는 상기 변형예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그리고 (C)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조립사시도를 여러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과 그 제조용 거푸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아래 설명에서 서로 다른 실시예의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서, (A)는 좌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우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제1실시예(100)는 정면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30), 상면부(140), 저면부(150) 및 배면부(160)를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정면부(110)에는 음각으로 형성된 배수패턴홈(113)이 구비된다. 배수패턴홈(113)은 다수의 곡선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곡선 홈들 각각은 일단부만 또는 양단부 모두가 테두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패턴홈(113)은 블록의 정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의 원활한 배수를 돕는 동시에 블록의 미관 및 블록에 의해 형성된 옹벽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좌측면부(120)에는 측면결합두께(D1)만큼 돌출된 측면돌출결합부(123)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돌출결합부(123)는 후술하는 측면함몰결합부(133)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좌우로 길쭉한 직사각형 기반의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뿔대, 원뿔대 등의 뿔대 형상이나 삼각뿔, 사각뿔 등의 각뿔 형상 등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우측면부(130)에는 상기 측면결합두께(D1)만큼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돌출결합부(12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함몰결합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함몰결합부(133)는 상기 측면돌출결합부(12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돌출결합부(12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함몰결합부(133)는 좌우로 길쭉한 직사각형 기반의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측면돌출결합부(123)는 돌출된 사각뿔대 형상인 반면, 측면함몰결합부(133)는 함몰된 사각뿔대 형상이다.
이로써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두 블록(100) 중 우측에 위치한 블록의 좌측면부(120)와 좌측에 위치한 블록의 우측면부(130)가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두 블록은 상기 측면돌출결합부(123)와 측면함몰결합부(133)에 의해 상호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면부(140)는 상측결합두께(D2)만큼 돌출된 상면돌출결합부(143)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돌출결합부(143)는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된 직사각형 기반의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저면부(150)는 상기 상면돌출결합부(143)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결합두께(D2)만큼 함몰되어 형성된 저면함몰결합부(153)를 구비한다. 저면함몰결합부(153)는 상기 상면돌출결합부(14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된 직사각형 기반의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대신,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측면부(120)로부터 우측면부(130)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의 채널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의 블록(100)이 서로 절반만 겹쳐지는 등의 형태로 엇갈리는 배치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두 블록(100) 중 하측에 위치한 블록의 상면부(140)와 상측에 위치한 블록의 저면부(150)가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두 블록은 상기 상면돌출결합부(143)와 저면함몰결합부(153)에 의해 상호 고정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100)에는 상기 정면부(110)의 일측에서 배면부(160)를 향하여 관통 형성된 배수관(170)이 구비될 수 있다. 배수관(17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PVC 등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파이프를 거푸집 내의 위치에 배치하여 블록(1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속에 매설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170)은 블록(100)이 옹벽으로 축조되었을 때 상기 배면부(160)측에 위치한 토사에 흡수된 수분이 상기 배수관(170)의 배면부(160) 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정면부(110) 쪽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를 가이드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면돌출결합부(143)와 상기 저면함몰결합부(153)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봉 삽입구(18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100)은 종래의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과 달리 블록 자체만으로도 강건한 결합이 이뤄질 수 있는 것이지만, 옹벽이 지지하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압을 고려하여 상기 보강봉 삽입구(180)에 보강봉(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함으로써 블록들간의 결합을 더욱 강건하게 할 수 있다.
보강봉 삽입구(18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VC 등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파이프를 거푸집 내의 위치에 배치하여 블록(1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속에 매설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강봉 삽입구(180)는 옹벽 축조를 위해 적층되어 상하로 위치한 블록(100)간에 보강봉 삽입구(180)가 상호 일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그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가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봉 삽입구(180)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는 블록(100)을 도시된 것처럼 절반씩 겹쳐지게 적층하는 경우뿐 아니라 예컨대 1/3씩 겹쳐지게 적층하는 경우에도 보강봉 삽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블록(100)의 적층 패턴을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도 1의 상기 제1실시예 및 그 변형예의 측면도로서, (A)는 상기 제1실시예, (B)는 제1 변형예, (C)는 제2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100)에서 상면부(140)에 형성된 상면돌출결합부(143)와 저면부(150)에 형성된 저면함몰결합부(153)는 각각 정면부(110)와 배면부(160)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A) 참조).
이와 달리, 상면돌출결합부(143)와 저면함몰결합부(153)를 정면부(110)쪽으로 또는 배면부(160)쪽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B)는 상면돌출결합부(143)와 저면함몰결합부(153)가 배면부(160)쪽으로 치우쳐 위치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면돌출결합부(143)와 저면함몰결합부(153)를 배면부(160)쪽으로 치우치게 형성하되, 저면부(150)에서 정면부(110)쪽에 상기 저면함몰결합부(153)와 나란하게 형성된 추가 저면함몰결합부(155)를 더 형성할 수 있다(도 2(C) 참조). 이러한 변형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블록의 계단식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 저면함몰결합부(155)가 구비된 때에는 상기 추가 저면함몰결합부(155)와 상기 상면부(140)에서 상기 상면돌출결합부(143)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과의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보강봉 삽입구(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보강봉 삽입구(183)는 블록의 계단식 적층시에 보강봉(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구조강도 보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를, (B)는 수직 적층 상태의 측면도를, (C)는 계단식 적층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A)의 실시예 또는 도 2(B)의 변형예의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적층에 의한 옹벽 축조만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2(C)의 변형예의 경우에는 도 3(B)의 수직 적층 뿐만 아니라 도 3(C)에 도시된 계단식 적층에 의한 옹벽 축조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도 2(C)의 변형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100)의 경우 필요에 따라, 또는 선택에 따라 수직 적층식 옹벽 도는 계단 적층식 옹벽 중 임의로 축조가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계단 적층식 옹벽은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하측의 2개 블록에 대해 상측에 1개 블록이 대응되는 방식과, 하측 1개 블록에 상측 1개 블록이 대응되는 방식 중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는데, 성토지 또는 절개지 자체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후자의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측의 2개 블록에 대해 상측에 1개 블록이 대응되는 방식은 옹벽 하부측이 상부측에 비해 훨씬 튼튼하게 시공되는 이점이 있으므로, 옹벽 하부측에 통상의 경우보다 강한 토압이 가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적용하면 유리한 점이 있다. 다만, 블록을 높이 쌓아야 하는 경우에는 하부측에 각 층마다 상당한 개수의 블록(100)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경제성을 고려할 때 적층높이가 4-5층 이내인 경우로 한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로서, (A)는 좌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우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D)는 상기 변형예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제2실시예(200)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상면돌출결합부(243)가 원뿔대 형상으로 2개 형성되고, 상기 보강봉 삽입구(280)도 2개 형성되되 상기 원뿔대 형상의 상면돌출결합부(243)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함몰결합부(253)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블록(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측면부(220)로부터 우측면부(230)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의 채널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2실시예의 저면함몰결합부(253)는 상기 원뿔대의 중심 종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좌측면부에서 상기 우측면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함몰결합부(253)는 상기 상면돌출결합부(243)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제1실시예의 도 2(A) 또는 도 2(B)의 구성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제1 실시예의 도 2(C)의 구성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상면돌출결합부(243)가 상기 배면부(260)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250)는 상기 정면부(210)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저면함몰결합부(253)와 나란하게 형성된 추가 저면함몰결합부(255)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도 4(C),(D) 참조). 물론, 이때 상기 추가 저면함몰결합부(255)와 상기 상면부(240)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보강봉 삽입구(28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 보강봉 삽입구(28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의 계단식 적층시에 보강봉(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구조강도 보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그리고 (C)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상면돌출결합부(243)를 2개의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200)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할 때 직선으로만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곡선 형상으로도 배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성토지나 절개지의 형상이 직선에서 다소 벗어난 형상인 때에도 그 형상에 맞춰가며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조립사시도를 여러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400)은 바닥면틀(410), 좌측면틀(420), 우측면틀(430), 상면틀(440), 저면틀(450) 등의 틀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닥면틀(410)은 블록(100)의 정면부(11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배수패턴홈(113)에 대응되는 형상의 양각 패턴(413)을 구비하여, 블록(110)의 정면부(110)에 음각의 배수패턴홈(113)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좌측면틀(420)은 블록(100)의 좌측면부(12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면틀(410)의 일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면돌출결합부(123)에 대응되는 측면함몰형상(423)을 구비한다.
우측면틀(430)은 블록(100)의 우측면부(13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면틀(410)의 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면함몰결합부(133)에 대응되는 측면돌출형상(433)을 구비한다.
상면틀(440)은 블록(100)의 상면부(14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면돌출결합부(143)에 대응되는 상면함몰형상(443)을 구비한다.
저면틀(450)은 블록(100)의 저면부(15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저면함몰결합부(153)에 대응되는 저면돌출형상(453)을 구비한다.
상기 좌측면틀(420), 우측면틀(430), 상면틀(440) 및 저면틀(450)은 각각 상기 바닥면틀(410)에 고정되는 동시에 인접한 틀부재 상호간에도 고정되도록 결속됨으로써 거푸집(400)에 투입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좌측면틀(420), 우측면틀(430), 상면틀(440) 및 저면틀(450) 등의 틀부재는 콘크리트 투입 및 양생 후에 완성된 블록(100)을 거푸집(400)으로부터 들어올려서 빼낼 때 바닥면틀(4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각 틀부재는 바닥면틀(410)에 그리고 틀부재 상호간에 핀, 쐐기편 등의 분리가능한 체결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결합된다.
상기 거푸집(400)에는 배수관(170) 형성을 위해 PVC 등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파이프(470)를 거푸집 내의 위치에 배치하여 블록(1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속에 매설되도록 한다. 파이프(470)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면틀(410)의 일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배수관 고정돌기(415)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면틀(440)과 저면틀(45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490)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배수관 상측고정돌기(493)에 연결된다.
보강봉 삽입구(180)를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480)의 양단부는, 상기 상면함몰형상(443) 및 상기 저면돌출형상(453)으로부터 각각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상면 보강봉 고정돌기(445)와 저면 보강봉 고정돌기(455)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푸집(400)에 의한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거푸집(400)의 바닥면틀(410)에 좌측면틀(420)과 우측면틀(430)을 조립한다.
이어서, 상면틀(440)을 바닥면틀(410)과 좌측면틀(420) 및 우측면틀(430)에 조립한다.
보강봉 삽입구(180)용 파이프(480)의 일단부를 상면함몰형상(443)에 구비된 상면 보강용 고정돌기(445)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480)의 타단부가 저면돌출형상(453)에 구비된 저면 보강용 고정돌기(455)에 삽입되도록 유의하면서 저면틀(450)을 바닥면틀(410)과 좌측면틀(420) 및 우측면틀(430)에 조립한다.
다음으로, 배수관(170)용 파이프(470)의 하단부를 바닥면틀(410)의 배수관 고정돌기(415)에 고정하고, 상기 파이프(470)의 상단부를 위치고정부재(490)의 상측고정돌기(493)에 결합한 후, 위치고정부재(490)를 상면틀(440)과 저면틀(45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고정한다.
골재가 혼합된 콘크리트를 거푸집(400)에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붓고, 양생 후에 블록(100)을 들어올리기 위한 견인고리(도시되지 않음)를 콘크리트에 2개 이상 꽂아둔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에, 위치고정부재(490)를 먼저 제거하고, 좌측면틀(420)과 우측면틀(430)을 제거한 다음, 상면틀(410)과 저면틀(420)을 제거한다. 이어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100)을 들어올려서 보관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운송을 위해 트럭에 적재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200 :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110, 210 : 정면부
113, 213 : 배수패턴홈 120, 220 : 좌측면부
123, 223 : 측면돌출결합부 130, 230 : 우측면부
133, 233 : 측면함몰결합부 140, 240 : 상면부
143, 243 : 상면돌출결합부 150, 250 : 저면부
153, 253 : 저면함몰결합부 155, 255 : 추가 저면함몰결합부
160, 260 : 배면부 170, 270 : 배수관
180, 280 : 보강봉 삽입구 183, 283 : 추가 보강봉 삽입구
400 : 거푸집 410 : 바닥면틀
413 : 양각 패턴 415 : 배수관 고정돌기
420 : 좌측면틀 423 : 측면함몰형상
430 : 우측면틀 433 : 측면돌출형상
440 : 상면틀 443 : 상면함몰형상
445 : 상면 보강봉 고정돌기 450 : 저면틀
453 : 저면돌출형상 455 : 저면 보강봉 고정돌기
470, 480 : 파이프 490 : 위치고정부재
493 : 배수관 상측고정돌기
D1 : 측면결합두께 D2 : 상측결합두께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적어도 일단부가 테두리와 연결된 다수의 곡선 홈이 음각으로 형성된 배수패턴홈을 구비한 정면부;와, 측면결합두께만큼 돌출된 측면돌출결합부를 구비한 좌측면부;와, 상기 측면결합두께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측면돌출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측면함몰결합부를 구비한 우측면부;와, 상측결합두께만큼 돌출된 상면돌출결합부를 구비한 상면부;와, 상기 상측결합두께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저면함몰결합부를 구비한 저면부;와, 상기 정면부 일측에서 배면부를 향하여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배면부로부터 상기 정면부를 향한 배수를 가이드할 수 있는 배수관; 및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와 상기 저면함몰결합부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보강봉 삽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면돌출결합부는 원뿔대 형상으로 2개 형성되고, 상기 보강봉 삽입구도 2개 형성되며, 상기 저면함몰결합부는 상기 원뿔대의 중심 종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좌측면부에서 상기 우측면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면돌출결합부는 상기 배면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는 상기 정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저면함몰결합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추가 저면함몰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저면함몰결합부와 상기 상면부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2개의 추가 보강봉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상기 배수패턴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양각 패턴을 구비한 바닥면틀;
    상기 바닥면틀의 일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면돌출결합부에 대응되는 측면함몰형상을 구비한 좌측면틀;
    상기 바닥면틀의 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면함몰결합부에 대응되는 측면돌출형상을 구비한 우측면틀;
    상기 상면돌출결합부에 대응되는 상면함몰형상을 구비한 상면틀;
    상기 저면함몰결합부에 대응되는 저면돌출형상을 구비한 저면틀;
    상기 상면함몰형상 및 상기 저면돌출형상으로부터 각각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상면 보강봉 고정돌기와 저면 보강봉 고정돌기; 및
    상기 바닥면틀의 일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배수관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보강봉 삽입구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상면 보강봉 고정돌기 및 저면 보강봉 고정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보강봉 삽입구용 파이프는 일단부를 상면함몰형상에 구비된 상면 보강용 고정돌기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가 저면돌출형상에 구비된 저면 보강용 고정돌기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는 그 하단부가 상기 배수관 고정돌기에 연결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상면틀과 저면틀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고정부재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배수관 상측고정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틀, 우측면틀, 상면틀 및 저면틀은 콘크리트 투입 및 양생 후에 완성된 블록을 거푸집으로부터 들어올려서 빼낼 때 바닥면틀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호간에 분리 가능한 핀 또는 쐐기편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KR1020170071422A 2017-06-08 2017-06-08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KR10206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422A KR102060746B1 (ko) 2017-06-08 2017-06-08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422A KR102060746B1 (ko) 2017-06-08 2017-06-08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445A KR20180134445A (ko) 2018-12-19
KR102060746B1 true KR102060746B1 (ko) 2020-02-21

Family

ID=6500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422A KR102060746B1 (ko) 2017-06-08 2017-06-08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749B1 (ko) * 2020-01-21 2021-11-30 임태승 경사 변형이 용이한 옹벽 블록
KR102341776B1 (ko) * 2020-01-31 2021-12-22 주식회사 케이에스아이 옹벽용 pc패널유닛 제작을 위한 건식콘크리트를 진동에 의해 자동화생산이 가능한 개량형 거푸집 구조
KR102279379B1 (ko) * 2020-05-29 2021-07-19 김두연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KR102320582B1 (ko) * 2021-04-29 2021-11-03 최윤하 각도조절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518Y1 (ko) * 2005-07-01 2005-10-05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생태 식생옹벽블럭
KR200399797Y1 (ko) * 2005-07-25 2005-11-01 임종덕 식생용 조립식 옹벽 블록
JP2005332619A (ja) * 2004-05-18 2005-12-02 Toshiba Corp 基板の冷却方法および基板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52Y1 (ko) 2000-06-29 2000-12-01 주식회사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KR20060129146A (ko) * 2006-11-27 2006-12-15 전영총 옹벽용 피씨구조체
KR101314556B1 (ko) 2013-04-12 2013-10-07 최은경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2619A (ja) * 2004-05-18 2005-12-02 Toshiba Corp 基板の冷却方法および基板冷却装置
KR200397518Y1 (ko) * 2005-07-01 2005-10-05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생태 식생옹벽블럭
KR200399797Y1 (ko) * 2005-07-25 2005-11-01 임종덕 식생용 조립식 옹벽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445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746B1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KR101709858B1 (ko) 기초 일체형 pc 벽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842474B1 (ko) 현장 타설 팽이말뚝용 보강재, 이를 이용한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 및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의 시공방법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JP4847265B2 (ja) 擁壁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CN212715013U (zh) 生态装配挡土墙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100770041B1 (ko)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CN209816901U (zh) 一种连接式预制混凝土挡土墙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KR101104957B1 (ko) 블록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1024064B1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20130062586A (ko) 옹벽용 블럭 및 옹벽용 블럭의 옹벽시공방법
KR102364316B1 (ko) 뉴캐슬록블록의 구조 및 상기 뉴캐슬록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99307B1 (ko) 사방블럭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102371637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시공방법
KR101009823B1 (ko) 반분리형 노치부를 갖는 빅 스톤 옹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CN212925886U (zh) 一种装配式隔离栅混凝土立柱及基础
KR20130068527A (ko) 연결부를 갖는 현장타설 팽이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